KR20160149652A -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652A
KR20160149652A KR1020150087055A KR20150087055A KR20160149652A KR 20160149652 A KR20160149652 A KR 20160149652A KR 1020150087055 A KR1020150087055 A KR 1020150087055A KR 20150087055 A KR20150087055 A KR 20150087055A KR 20160149652 A KR20160149652 A KR 20160149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tension
stone panel
buil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947B1 (ko
Inventor
유세진
Original Assignee
유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세진 filed Critical 유세진
Priority to KR1020150087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94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 또는 사각의 판재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단부에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끼움고정홈(110)이 수평상으로 길게 형성된 석재패널(100)과; 건축 구조물 외벽에 결합되고, 평단면상에서 전방이 개방된 "ㅓ" 형상의 조정결합홈(210)이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위치조정부재(200)와;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되어 고정결합되고, 석재의 하부를 지지 고정하도록 구비된 받침고정수단(300)과;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되어 고정결합되고, 석재패널(10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탄성변형되며, 석재패널(100)의 상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된 탄성고정수단(400);으로 형성된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를 통해 건축 외장재 설치고정이 간편하고, 설치고정후에도 설치위치의 조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Building exterior building exterior fasteners and fixing methods using them}
본 발명은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옹벽, 경사면 등의 외장에 대리석, 화강암 등의 판넬형태의 외장재 고정설치시, 숙련된 기술 없이도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부분 파손 등에 따른 유지보수가 간편한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축 외장재는 건축물, 옹벽, 경사면 등의 건축 구조물의 외벽에 장식성을 부여하여 건축물의 가치를 증대하고, 이를 통해 건축 구조물이 주변환경과 어우러질 수 있도록 설치함은 물론, 단열이나 기타 목적에 의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 외장재는 석재, 콘크리트 패널, 타일, 금속판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하나 통상 석재가 외부환경과 잘 어우러지는 특성상 주요 재료로 사용하여 건축물의 가치를 증대하고, 기초 건축구조물의 장식성을 부여하도록 함과 함께 단열이나 외부 오염원으로부터 건축물의 보호 등의 목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건축외장재는 콘크리트나 접착성이 있는 재질 등을 이용하여 건축물, 옹벽, 경사면 등의 건축 구조물 외벽에 부착하거나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벽면에 부착 고정하고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고조물 외면에 먼저 콘크리트가 접착성을 띄게 물과 함께 희석하거나 접착성이 있는 재질을 이용하여 바르고 난 후, 건축외장재를 구조물의 외면에 결합하는 것으로, 오래전 부터 사용되어 왔고, 현재도 가장 손쉽게 부착하는 방식으로 욕실의 타일을 부착하는 등이 대표적 사례이다. 이와 같은 결합방식은 현장에서 단지 콘크리트 내지는 접착성이 있는 재질을 구조물 외면에 바르고 건축 외장재를 부착하기만 하면 간단히 시공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이 빠르다라는 장점이 있으나, 중력이나 건축외장재의 자체 하중에 의해 건축외장재가 구조물 외면에서 하향 쏠림이 발생하고, 설치된 면이 고르지 못하는 문제점 있다.
더욱이, 한 번 시공한 후에는 일부 파손이 발생할 경우, 파손된 주변 둘레 로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와 교체 후에 기존 설치된 부분과의 설치 일체화에 따른 조화가 사실상 어렵다의 문제점과 유지보수에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가장 큰 문제는 최근 고층화되고 있는 건축물의 특성상 건축 외장재를 접착하는 방식은 앞서 상술한 문제로 인해 고층빌딩이나 대형 구조물에는 적용하지 않고 있고, 후자의 별도의 고정장치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고정장치는 통상 건축 외장재 상하에 핀을 결합하여 건축물과 결합되도록 형성된 고정장치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 매우 취약하여 안전사고의 발생과 유지보수가 간편하지 못하고, 숙련된 기술을 가진 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통상 핀이나 볼트에 의한 결합을 위해서는 건축 구조물 외부에 별도의 앵커 등이 결합되어 있어야만 하고, 앵커 등이 설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그 위치가 정확하지 않아 건축 외장재 설치시 허용공차 이상의 간극이 발생되어 설치가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과 이로 인한 건축물의 가치상승에 역효과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허용공차로 인한 틈새의 발생으로 인해 외부환경에 따른 우천시 수분침투, 동절기 결로현상, 수분침투에 따른 결빙으로 인한 파손 등의 문제와 풍속이 강하게 작용할 경우에는 허용공차로 인한 틈새로 바람이 유입되어 외장재의 이탈 내지는 진동과 소음발생의 원인이 되어 안전성에 큰 결함을 발생하는 문제가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보다 개선하고자 최근에는 별도의 브라켓과 같은 석재 고정장치를 개발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개선된 종래의 고정장치는 건축외벽에 앵커가 시공되고, 앵커에 "ㄴ" 형상의 브라켓과 석재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하여 볼트결합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고정장치는 먼저 벽면에 시공된 앵커에 "ㄴ" 형상의 브라켓을 볼트체결하여 결합하고, 석재고정용 브라켓을 "ㄴ" 형상의 브라켓에 볼트체결한 후, 석재를 끼워 맞추는 방법으로 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석재 고정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시 볼트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앵커에 설치되는 구조의 특성상 앵커의 위치를 벗어나지 못하여 건축 외장재가 정위치에 바르게 시공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이로 인해 건축 외장재의 평활도 내지는 설치높이가 용이하지 않아 발생되는 접합면의 불일치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한 번 고정되면 설치 조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273593호, 등록일자 2002년 04월 15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건축 외장재 설치고정이 간편하고, 설치고정후에도 설치위치의 조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는 건축 구조물의 가치상승 및 외관의 장식감과 단열효과를 가지도록 건축 구조물 외벽에 판 형상의 건축외장재를 고정하는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외장재는 직사각 또는 사각의 판재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단부에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끼움고정홈(110)이 수평상으로 길게 형성된 석재패널(100)과; 건축 구조물 외벽에 결합되고, 평단면상에서 전방이 개방된 "ㅓ" 형상의 조정결합홈(210)이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위치조정부재(200)와;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되어 고정결합되고, 석재의 하부를 지지 고정하도록 구비된 받침고정수단(300)과;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되어 고정결합되고, 석재패널(10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탄성변형되며, 석재패널(100)의 상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된 탄성고정수단(4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은 상기 조정결합홈(2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제1인장볼트공(312)이 형성된 판상의 제1정착편(310)과; 상기 석재패널(100) 하단부에 형성된 끼움고정홈(110)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부(322)가 선단에 수직으로 상향돌출되고, 상기 걸림부(322) 하단으로 직각 연장되게 수평절곡형성되어 상기 석재패널(100)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부(324)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지지부(324) 후단에 상향돌출되어 직각 연장되게 수직절곡형성되어 상기 제1인장볼트공(312)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는 일면에 제1인장공(328)이 관통된 제1인장부(326)로 형성된 받침지지편(320)과; 상기 받침지지편(320)의 제1인장공(328)을 통해 상기 제1정착편(310)에 형성된 제1인장볼트공(312)에 볼트결합되어 상기 제1정착편(310)과 상기 받침지지편(320)이 상기 조정결합홈(210) 상의 석재패널(100)이 고정될 위치에 고정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인장볼트(3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탄성고정수단(400)은 상기 조정결합홈(2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제2인장볼트공(412)이 형성된 판상의 제2정착편(410)과; 상기 석재패널(100)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고정홈(110)에 걸림결합되는 이탈방지부(422)가 선단에 수직으로 하향돌출되고, 상기 이탈방지부(422) 상단으로 직각 연장되게 수평 절곡형성되어 상기 석재패널(10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탄성변형되는 수평탄성부(424)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탄성부(424) 후단에 하향으로 직각 연장되게 수직절곡형성되어 상기 제2인장볼트공(412)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는 일면에 제2인장공(428)이 관통된 제2인장부(426)로 형성된 탄성고정편(420)과; 상기 탄성고정편(420)의 제2인장공(428)을 통해 상기 제2정착편(410)에 형성된 제2인장볼트공(412)에 볼트결합되어 상기 제2정착편(410)과 상기 탄성고정편(420)이 상기 조정결합홈(210) 상의 석재패널(100)이 고정될 위치에 고정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인장볼트(4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은 건축 구조물의 가치상승 및 외관의 장식감과 단열효과를 가지도록 건축 구조물 외벽에 판 형상의 건축외장재를 고정하는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직사각 또는 사각의 판재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단부에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끼움고정홈(110)이 수평상으로 길게 형성된 건축외장재인 석재패널(100)과, 건축 구조물 외벽에 결합되고, 평단면상에서 전방이 개방된 "ㅓ" 형상의 조정결합홈(210)이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위치조정부재(200)와,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되어 고정결합되고, 석재의 하부를 지지 고정하도록 구비된 받침고정수단(300)과,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되어 고정결합되고, 석재패널(10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탄성변형되며, 석재패널(100)의 상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된 탄성고정수단(400)을 준비하는 제1단계(S100)와; 상기 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이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건축 구조물 외측에 노출되도록 건축 구조물의 외벽에 결합하는 제2단계(S200)와; 상기 조정결합홈(210)에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볼트를 통해 상기 조정결합홈(210) 상에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이 고정결합하는 제3단계(S300)와; 상기 조정결합홈(210)에 상기 탄성고정수단(40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석재패널(100)의 상하 높이에 대응되게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을 기준으로 상향위치되게 볼트를 통해 상기 조정결합홈(210) 상에 상기 탄성고정수단(400)이 고정결합하는 제4단계(S400)와; 준비된 상기 석재패널(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끼움고정홈(110)을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에 끼움결합하여 지지하고, 상기 탄성고정수단(400)을 탄성변형시켜 상기 석재패널(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고정홈(110)이 끼움결합되도록 하여 이탈방지되고 고정하여 상기 석재패널(100)의 설치를 완료하는 제5단계(S500);를 건축 구조물 외벽 전체를 따라 반복하여 연접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은 상기 조정결합홈(2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제1인장볼트공(312)이 형성된 판상의 제1정착편(310)과; 상기 석재패널(100) 하단부에 형성된 끼움고정홈(110)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부(322)가 선단에 수직으로 상향돌출되고, 상기 걸림부(322) 하단으로 직각 연장되게 수평절곡형성되어 상기 석재패널(100)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부(324)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지지부(324) 후단에 상향돌출되어 직각 연장되게 수직절곡형성되어 상기 제1인장볼트공(312)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는 일면에 제1인장공(328)이 관통된 제1인장부(326)로 형성된 받침지지편(320)과; 상기 받침지지편(320)의 제1인장공(328)을 통해 상기 제1정착편(310)에 형성된 제1인장볼트공(312)에 볼트결합되어 상기 제1정착편(310)과 상기 받침지지편(320)이 상기 조정결합홈(210) 상의 석재패널(100)이 고정될 위치에 고정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인장볼트(3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탄성고정수단(400)은 상기 조정결합홈(2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제2인장볼트공(412)이 형성된 판상의 제2정착편(410)과; 상기 석재패널(100)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고정홈(110)에 걸림결합되는 이탈방지부(422)가 선단에 수직으로 하향돌출되고, 상기 이탈방지부(422) 상단으로 직각 연장되게 수평 절곡형성되어 상기 석재패널(10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탄성변형되는 수평탄성부(424)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탄성부(424) 후단에 하향으로 직각 연장되게 수직절곡형성되어 상기 제2인장볼트공(412)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는 일면에 제2인장공(428)이 관통된 제2인장부(426)로 형성된 탄성고정편(420)과; 상기 탄성고정편(420)의 제2인장공(428)을 통해 상기 제2정착편(410)에 형성된 제2인장볼트공(412)에 볼트결합되어 상기 제2정착편(410)과 상기 탄성고정편(420)이 상기 조정결합홈(210) 상의 석재패널(100)이 고정될 위치에 고정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인장볼트(4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받침고정수단과 탄성고정수단을 위치조정부재상에 결합하여 건축 외장재인 석재패널의 설치고정이 간편하고, 설치고정후에도 석재패널의 간격 및 인접하는 석재패널과의 편평도 등의 설치위치의 조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파손시에도 탄성고정수단의 탄성변형만으로 석재패널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의 전체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의 받침고정수단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의 탄성고정수단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의 받침고정수단 및 탄성고정수단의 요부확대 평면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의 탄성고정수단의 요부확대 측면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의 전체 측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의 받침고정수단의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의 받침고정수단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의 탄성고정수단의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의 탄성고정수단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는 건축 구조물의 가치상승 및 외관의 장식감과 단열효과를 가지도록 건축 외장재 설치고정이 간편하고, 설치고정후에도 설치위치의 조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패널(100), 위치조정부재(200), 받침고정수단(300), 탄성고정수단(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석재패널(100)은 후술되는 받침고정수단(300)과 탄성고정수단(400) 전면측으로 상하가 결합되어 건축 구조물 외벽을 마감하도록 상하단부 측이 가공 형성된 것으로, 직사각 또는 사각의 판재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하단부에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끼움고정홈(110)이 수평상으로 길게 가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석재패널(100) 이외에도 상기 끼움고정홈(110)이 가공되거나 성형될 수 있는 목재패널, 합성수지패널, 도기패널 등 다양한 건축 외장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정부재(200)는 후술되는 받침고정수단(300)과 탄성고정수단(400)이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움결합되도록 건축 구조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건축 구조물 외벽에 접착, 체결, 성형 등의 형태로 결합 및 형성되고, 평단면상에서 전방이 개방된 "ㅓ" 형상의 조정결합홈(210)이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이 세로방향일 때에는 받침고정수단(300)과 탄성고정수단(400)을 상하조정이 가능하여 석재패널의 상하조정이 가능하고, 가로방향일 때에는 받침고정수단(300)과 탄성고정수단(400)을 좌우조정이 가능하여 석재패널의 좌우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이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받침고정수단(300)과 탄성고정수단(400)의 상하좌우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은 건축 구조물 외벽 마감을 위한 석재패널(100)의 하부를 받침지지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되어 고정결합되고, 석재의 하부를 지지 고정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은 제1정착편(310), 받침지지편(320), 제1인장볼트(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정착편(310)은 전술한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제1인장볼트공(312)이 형성된 판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정착편(310)은 후술되는 제1인장볼트(330)가 제1인장볼트공(312)에 볼트결합하여 상기 조정결합홈(210)의 개방된 전방측으로 상기 제1정착편(310)이 잡아당겨져 밀착고정됨에 따라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정착편(310)은 판상의 직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제1인장볼트의 나선을 따라 수평이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제1인장볼트(3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정착편(310)이 상기 조정결합홈(210)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조정결합홈(210)의 내부 폭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지지편(320)은 전술한 석재패널(100)을 받침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석재패널(100) 하단부에 형성된 끼움고정홈(110)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부(322)가 선단에 수직으로 상향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322) 하단으로 직각 연장되게 수평절곡형성되어 상기 석재패널(100)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부(324)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부(324) 후단에 상향돌출되어 직각 연장되게 수직절곡형성되어 상기 제1인장볼트공(312)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는 일면에 제1인장공(328)이 관통된 제1인장부(326)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지지편(320)은 전술한 제1정착편(310)이 결합되는 조정결합홈(210) 외측에 위치되어 후술되는 제1인장볼트(330)가 공회전하면서 볼트결합된 제1정착편(310)이 조정결합홈(210) 내연 전방측으로 수평이동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인장볼트(330)는 전술한 제1정착편(310)이 상기 조정결합홈(210)의 전방측으로 수평이동하여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에 조정결합홈(210) 상에 위치된 곳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전술한 상기 받침지지편(320)의 제1인장공(328)을 통해 상기 제1정착편(310)에 형성된 제1인장볼트공(312)에 볼트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정착편(310)과 상기 받침지지편(320)이 상기 조정결합홈(210) 상의 석재패널(100)의 하부가 고정될 위치에 고정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인장볼트(3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인장공(328)에 공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하여 상기 제1인장볼트(330) 두부(頭部)가 상기 받침지지편(320)의 제1인장부(326)의 제1인장공(328) 둘레면에 지지되고, 볼트회전에 따라 전술한 제1정착편(310)이 상기 제1인장볼트(330)의 나선상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탄성고정수단(400)은 전술한 석재패널(100)의 상하폭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위치조정부재의 조정결합홈(210) 상에 고정결합되어 석재패널(100)의 상단부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되어 고정결합되고, 석재패널(10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탄성변형되며, 석재패널(100)의 상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고정수단(400)은 제2정착편(410), 탄성고정편(420), 제2인장볼트(430)로 구성된다.
상기 제2정착편(410)은 전술한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제2인장볼트공(412)이 형성된 판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정착편(410)은 후술되는 제2인장볼트(430)가 제2인장볼트공(412)에 볼트결합하여 상기 조정결합홈(210)의 개방된 전방측으로 상기 제2정착편(410)이 잡아당겨져 밀착고정됨에 따라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정착편(410)은 판상의 직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제2인장볼트의 나선을 따라 수평이동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제2인장볼트(4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정착편(410)이 상기 조정결합홈(210)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조정결합홈(210)의 내부 폭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고정편(420)은 전술한 석재패널(100)의 상단부를 고정하여 이탈방지 및 석재패널의 파손이나 교체 등에 따른 석재패널 상부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탄성변형되는 것으로, 상기 석재패널(100)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고정홈(110)에 걸림결합되는 이탈방지부(422)가 선단에 수직으로 하향돌출되고, 상기 이탈방지부(422) 상단으로 직각 연장되게 수평 절곡형성되어 상기 석재패널(10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탄성변형되는 수평탄성부(4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탄성부(424) 후단에 하향으로 직각 연장되게 수직절곡형성되어 상기 제2인장볼트공(412)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는 일면에 제2인장공(428)이 관통된 제2인장부(426)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고정편(42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2정착편(410)이 결합되는 조정결합홈(210) 외측에 위치되어 후술되는 제2인장볼트(430)가 공회전하면서 볼트결합된 제2정착편(310)이 조정결합홈(210) 내연 전방측으로 수평이동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인장볼트(430)는 전술한 제2정착편(410)이 상기 조정결합홈(210)의 전방측으로 수평이동하여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에 조정결합홈(210) 상에 위치된 곳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전술한 상기 탄성고정편(420)의 제2인장공(428)을 통해 상기 제2정착편(410)에 형성된 제2인장볼트공(412)에 볼트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정착편(410)과 상기 탄성고정편(420)이 상기 조정결합홈(210) 상의 석재패널(100)의 상부가 이탈방지 및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고정될 위치 즉, 상기 석재패널(100)의 상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인장볼트(430)는 제4인장공(328)에 공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하여 상기 제2인장볼트(430) 두부(頭部)가 상기 탄성고정편(420)의 제2인장부(426)의 제2인장공(428) 둘레면에 지지되고, 볼트회전에 따라 전술한 제2정착편(410)이 상기 제2인장볼트(430)의 나선상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에서 제5단계를 거쳐 상기 석재패널(100)을 건축 구조물 외벽에 결합함으로써, 건축 구조물의 가치상승 및 외관의 장식감과 단열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제1단계(S100)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를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직사각 또는 사각의 판재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단부에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끼움고정홈(110)이 수평상으로 길게 형성된 건축외장재인 석재패널(100)과, 건축 구조물 외벽에 결합되고, 평단면상에서 전방이 개방된 "ㅓ" 형상의 조정결합홈(210)이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위치조정부재(200)와,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되어 고정결합되고, 석재의 하부를 지지 고정하도록 구비된 받침고정수단(300)과,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되어 고정결합되고, 석재패널(10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탄성변형되며, 석재패널(100)의 상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된 탄성고정수단(400)으로 형성된다.
제2단계(S200)
상기 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이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건축 구조물 외측에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되도록 건축 구조물의 외벽에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조정부재(200)는 건축 구조물 외벽 시공시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블럭이나 별도의 부재로 분리형성되어 결합할 수 있다.
제3단계(S300)
상기 조정결합홈(210)에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볼트를 통해 상기 조정결합홈(210) 상에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이 고정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 구조물의 외벽 마감을 위한 석고패널(100) 하단부를 받침지지한다. 또한,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은 석고패널(100)을 건축 구조물 외벽에 시공하기 위한 최초 시작부분이 된다.
제4단계(S400)
상기 조정결합홈(210)에 상기 탄성고정수단(40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석재패널(100)의 상하 높이에 대응되게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을 기준으로 상향위치되게 볼트를 통해 상기 조정결합홈(210) 상에 상기 탄성고정수단(400)이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고정수단(400)의 위치는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으로부터 석재패널(100)의 높이나 폭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즉, 상기 탄성고정수단(400)과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은 석재패널(100)의 높이나 폭과 일치하여 석재패널(100)이 상기 탄성고정수단(400)과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에 의해 고정시 유동없이 시공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5단계(S500)
준비된 상기 석재패널(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끼움고정홈(110)을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에 끼움결합하여 지지하고, 상기 탄성고정수단(400)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시켜 상기 석재패널(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고정홈(110)이 끼움결합되도록 하여 이탈방지되고 고정하여 상기 석재패널(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고정수단(400)과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이 석재패널(100)을 유동없이 고정하도록 상기 위치조정부재의 조정결합홈(210) 상에 위치됨에 따라 석재패널(100)의 부착시 결합을 위한 유격이 필요한데 이를 탄성고정수단(400)의 탄성변형을 통해 석재패널(100)의 결합을 위한 유격을 제공함에 따라 석재패널(100)의ㅏ 용이한 부착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탄성고정수단(400)이 지속적으로 상기 석재패널(100)의 상부를 하부로 가압함에 따라 석재패널(100)의 결합력을 견고히 유지하여 보다 효과적이 시공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단계 내지 제5단계 과정을 통해 석재패널(100)을 건축 구조물 외벽 전체를 따라 반복하여 연접설치하여 마감함에 따라 건축 구조물의 가치증대와 단열, 보온이 가능하고, 석재패널(100)의 결합이 특별한 기술이나 숙련된 기술자 없이도 간편하게 누구나 시공이 가능함은 물론 시공시간 단축을 통한 시공비용 절감과 파손 등에 따른 교체작업이나 유지보수가 부분적으로 가능하여 전체적인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석재패널 110 : 끼움고정홈
200 : 위치조정부재 210 : 조정결합홈
300 : 받침고정수단 310 : 제1정착편
312 : 제1인장볼트공 320 : 받침지지편
322 : 걸림부 324 : 수평지지부
326 : 제1인장부 328 : 제1인장공
330 : 제1인장볼트 400 : 탄성고정수단
410 : 제2정착편 412 : 제2인장볼트공
420 : 탄성고정편 422 : 이탈방지부
424 : 수평탄성부 426 : 제2인장부
428 : 제2인장공 430 : 제2인장볼트
S100 : 제1단계 S200 : 제2단계
S300 : 제3단계 S400 : 제4단계
S500 : 제5단계

Claims (6)

  1. 건축 구조물의 가치상승 및 외관의 장식감과 단열효과를 가지도록 건축 구조물 외벽에 판 형상의 건축외장재를 고정하는 건축외장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외장재는 직사각 또는 사각의 판재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단부에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끼움고정홈(110)이 수평상으로 길게 형성된 석재패널(100)과;
    건축 구조물 외벽에 결합되고, 평단면상에서 전방이 개방된 "ㅓ" 형상의 조정결합홈(210)이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위치조정부재(200)와;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되어 고정결합되고, 석재의 하부를 지지 고정하도록 구비된 받침고정수단(300)과;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되어 고정결합되고, 석재패널(10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탄성변형되며, 석재패널(100)의 상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된 탄성고정수단(4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은 상기 조정결합홈(2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제1인장볼트공(312)이 형성된 판상의 제1정착편(310)과;
    상기 석재패널(100) 하단부에 형성된 끼움고정홈(110)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부(322)가 선단에 수직으로 상향돌출되고, 상기 걸림부(322) 하단으로 직각 연장되게 수평절곡형성되어 상기 석재패널(100)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부(324)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지지부(324) 후단에 상향돌출되어 직각 연장되게 수직절곡형성되어 상기 제1인장볼트공(312)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는 일면에 제1인장공(328)이 관통된 제1인장부(326)로 형성된 받침지지편(320)과;
    상기 받침지지편(320)의 제1인장공(328)을 통해 상기 제1정착편(310)에 형성된 제1인장볼트공(312)에 볼트결합되어 상기 제1정착편(310)과 상기 받침지지편(320)이 상기 조정결합홈(210) 상의 석재패널(100)이 고정될 위치에 고정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인장볼트(3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수단(400)은 상기 조정결합홈(2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제2인장볼트공(412)이 형성된 판상의 제2정착편(410)과;
    상기 석재패널(100)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고정홈(110)에 걸림결합되는 이탈방지부(422)가 선단에 수직으로 하향돌출되고, 상기 이탈방지부(422) 상단으로 직각 연장되게 수평 절곡형성되어 상기 석재패널(10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탄성변형되는 수평탄성부(424)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탄성부(424) 후단에 하향으로 직각 연장되게 수직절곡형성되어 상기 제2인장볼트공(412)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는 일면에 제2인장공(428)이 관통된 제2인장부(426)로 형성된 탄성고정편(420)과;
    상기 탄성고정편(420)의 제2인장공(428)을 통해 상기 제2정착편(410)에 형성된 제2인장볼트공(412)에 볼트결합되어 상기 제2정착편(410)과 상기 탄성고정편(420)이 상기 조정결합홈(210) 상의 석재패널(100)이 고정될 위치에 고정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인장볼트(4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4. 건축 구조물의 가치상승 및 외관의 장식감과 단열효과를 가지도록 건축 구조물 외벽에 판 형상의 건축외장재를 고정하는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직사각 또는 사각의 판재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단부에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끼움고정홈(110)이 수평상으로 길게 형성된 건축외장재인 석재패널(100)과, 건축 구조물 외벽에 결합되고, 평단면상에서 전방이 개방된 "ㅓ" 형상의 조정결합홈(210)이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위치조정부재(200)와,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되어 고정결합되고, 석재의 하부를 지지 고정하도록 구비된 받침고정수단(300)과, 상기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되어 고정결합되고, 석재패널(10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탄성변형되며, 석재패널(100)의 상부를 고정하도록 구비된 탄성고정수단(400)을 준비하는 제1단계(S100)와;
    상기 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위치조정부재(200)의 조정결합홈(210)이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건축 구조물 외측에 노출되도록 건축 구조물의 외벽에 결합하는 제2단계(S200)와;
    상기 조정결합홈(210)에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볼트를 통해 상기 조정결합홈(210) 상에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이 고정결합하는 제3단계(S300)와;
    상기 조정결합홈(210)에 상기 탄성고정수단(40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석재패널(100)의 상하 높이에 대응되게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을 기준으로 상향위치되게 볼트를 통해 상기 조정결합홈(210) 상에 상기 탄성고정수단(400)이 고정결합하는 제4단계(S400)와;
    준비된 상기 석재패널(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끼움고정홈(110)을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에 끼움결합하여 지지하고, 상기 탄성고정수단(400)을 탄성변형시켜 상기 석재패널(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고정홈(110)이 끼움결합되도록 하여 이탈방지되고 고정하여 상기 석재패널(100)의 설치를 완료하는 제5단계(S500);를 건축 구조물 외벽 전체를 따라 반복하여 연접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고정수단(300)은 상기 조정결합홈(2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제1인장볼트공(312)이 형성된 판상의 제1정착편(310)과;
    상기 석재패널(100) 하단부에 형성된 끼움고정홈(110)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부(322)가 선단에 수직으로 상향돌출되고, 상기 걸림부(322) 하단으로 직각 연장되게 수평절곡형성되어 상기 석재패널(100)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부(324)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지지부(324) 후단에 상향돌출되어 직각 연장되게 수직절곡형성되어 상기 제1인장볼트공(312)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는 일면에 제1인장공(328)이 관통된 제1인장부(326)로 형성된 받침지지편(320)과;
    상기 받침지지편(320)의 제1인장공(328)을 통해 상기 제1정착편(310)에 형성된 제1인장볼트공(312)에 볼트결합되어 상기 제1정착편(310)과 상기 받침지지편(320)이 상기 조정결합홈(210) 상의 석재패널(100)이 고정될 위치에 고정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인장볼트(3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수단(400)은 상기 조정결합홈(2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제2인장볼트공(412)이 형성된 판상의 제2정착편(410)과;
    상기 석재패널(100)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고정홈(110)에 걸림결합되는 이탈방지부(422)가 선단에 수직으로 하향돌출되고, 상기 이탈방지부(422) 상단으로 직각 연장되게 수평 절곡형성되어 상기 석재패널(10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탄성변형되는 수평탄성부(424)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탄성부(424) 후단에 하향으로 직각 연장되게 수직절곡형성되어 상기 제2인장볼트공(412)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는 일면에 제2인장공(428)이 관통된 제2인장부(426)로 형성된 탄성고정편(420)과;
    상기 탄성고정편(420)의 제2인장공(428)을 통해 상기 제2정착편(410)에 형성된 제2인장볼트공(412)에 볼트결합되어 상기 제2정착편(410)과 상기 탄성고정편(420)이 상기 조정결합홈(210) 상의 석재패널(100)이 고정될 위치에 고정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인장볼트(4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
KR1020150087055A 2015-06-18 2015-06-18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 KR101691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055A KR101691947B1 (ko) 2015-06-18 2015-06-18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055A KR101691947B1 (ko) 2015-06-18 2015-06-18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652A true KR20160149652A (ko) 2016-12-28
KR101691947B1 KR101691947B1 (ko) 2017-01-02

Family

ID=5772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055A KR101691947B1 (ko) 2015-06-18 2015-06-18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94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7686A (zh) * 2017-09-27 2018-01-16 浙江德清森朗装饰材料有限公司 新型安装结构的集成墙面
CN111255187A (zh) * 2020-03-12 2020-06-09 宿迁市奥援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房屋内墙面的装饰板及其施工方法
US20210131117A1 (en) * 2019-08-30 2021-05-06 Nine O, Llc Wall system with fulcrum release and replaceable units
KR102288870B1 (ko) 2021-02-19 2021-08-12 주식회사 튠미디어 Ai 로봇을 이용하는 광고 시스템 및 ai 로봇을 제어하는 서버
KR20220118908A (ko) 2021-02-19 2022-08-26 주식회사 튠미디어 Ai 광고용 로봇을 이용하는 광고 시스템 및 ai 광고용 로봇
KR20220154004A (ko) * 2021-05-12 2022-11-21 구동길 코킹부재 및 타격 시공용 탄성지지부재를 구비한 외벽패널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833B1 (ko) 2020-12-09 2021-12-22 (주)산돌기업 외장재용 내진 접합유닛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361A (ja) * 1994-04-06 1995-10-27 Toto Ltd タイル等の陶板の乾式施工法による取付け構造
KR200273593Y1 (ko) 2002-02-06 2002-05-03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20050081043A (ko) * 2004-02-12 2005-08-18 이수연 표면목재 루버 마감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0953210B1 (ko) * 2007-07-20 2010-04-15 이영구 건축용 판넬과 이의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1421965B1 (ko) * 2013-06-14 2014-07-30 박광일 테라코타패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361A (ja) * 1994-04-06 1995-10-27 Toto Ltd タイル等の陶板の乾式施工法による取付け構造
KR200273593Y1 (ko) 2002-02-06 2002-05-03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20050081043A (ko) * 2004-02-12 2005-08-18 이수연 표면목재 루버 마감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0953210B1 (ko) * 2007-07-20 2010-04-15 이영구 건축용 판넬과 이의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1421965B1 (ko) * 2013-06-14 2014-07-30 박광일 테라코타패널 고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7686A (zh) * 2017-09-27 2018-01-16 浙江德清森朗装饰材料有限公司 新型安装结构的集成墙面
US20210131117A1 (en) * 2019-08-30 2021-05-06 Nine O, Llc Wall system with fulcrum release and replaceable units
US11891811B2 (en) * 2019-08-30 2024-02-06 Nine O, Llc Wall system with fulcrum release and replaceable units
CN111255187A (zh) * 2020-03-12 2020-06-09 宿迁市奥援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房屋内墙面的装饰板及其施工方法
KR102288870B1 (ko) 2021-02-19 2021-08-12 주식회사 튠미디어 Ai 로봇을 이용하는 광고 시스템 및 ai 로봇을 제어하는 서버
KR20220118908A (ko) 2021-02-19 2022-08-26 주식회사 튠미디어 Ai 광고용 로봇을 이용하는 광고 시스템 및 ai 광고용 로봇
KR20220154004A (ko) * 2021-05-12 2022-11-21 구동길 코킹부재 및 타격 시공용 탄성지지부재를 구비한 외벽패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947B1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947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축 외장재 고정방법
CA2913749C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talling cladding panels
AU2012280201B2 (en) Fastening system
KR20130045711A (ko) 실내장식용 커튼월 시공장치
KR200414098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2123459B1 (ko) 건축 외장용 기능성 판넬
KR20090020294A (ko) 외장 석재 시공용 고정구
KR20110004692U (ko) 시멘트 패널 마감재 고정클립
KR100901005B1 (ko)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조립장치
KR200423791Y1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160090639A (ko) 내외장재 설치 장치
KR101842150B1 (ko) 시공성이 향상된 패널 고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795458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70107944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101302552B1 (ko) 외장패널 고정 브래킷
KR20200025634A (ko)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2077855B1 (ko) 단열재 일체형 고강도 콘크리트패널 제조방법과 패널구조 및 패널설치방법
KR20100040420A (ko) 건축물 벽체용 내,외장재 설치구조
KR100753494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381607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059957B1 (ko) 커튼월 고정구
KR20110000288U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486849B1 (ko) 건축물 벽면장식용 석재 시공방법 및 브라켓트 구조
KR200421885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KR200421886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