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934A -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및 슬래브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및 슬래브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934A
KR20160076934A KR1020140187606A KR20140187606A KR20160076934A KR 20160076934 A KR20160076934 A KR 20160076934A KR 1020140187606 A KR1020140187606 A KR 1020140187606A KR 20140187606 A KR20140187606 A KR 20140187606A KR 20160076934 A KR20160076934 A KR 20160076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extraction
working beam
heating furnace
ex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7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6934A/ko
Publication of KR20160076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14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along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로 내에서 배출구와 투입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슬래브를 지지하는 고정빔; 상기 고정빔 사이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래브를 상기 배출구측으로 이동시키는 워킹빔; 상기 워킹빔을 상기 투입구측에서 배출구측으로 이동시키되, 상승, 전진, 하강 및 복귀 순의 사이클을 갖는 단계적 이동방식으로 워킹빔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배출구측에 배치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추출빔을 가열로 내부로 전진 및 복귀시키면서 추출위치에 배치된 슬래브를 가열로의 외부로 추출하는 추출기; 및 상기 워킹빔이 하강하는 시점에 상기 추출기의 추출빔이 배출구를 통해 내부로 투입되도록 구동제어하여 상기 추출위치의 슬래브가 외부로 추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및 슬래브 추출방법{Slab Extraction System For Furnace And Slab Extraction Method}
본 발명은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및 슬래브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슬래브의 추출피치를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및 슬래브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및,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주공정은 액체상태인 용강을 주형에 주입한 후 연속주조기를 통과시키면서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또한, 상기 슬래브는 후판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장치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압연공정이 개시되기 전에는 슬래브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일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 압연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에는 가열로 내에 투입된 후 가열된 슬래브를 외부로 추출하기 위해, 고정빔과 워킹빔 및 추출기를 이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빔은 가열로의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로 투입되는 슬래브를 지지하고, 상기 워킹빔은 고정빔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상승, 전진, 하강 및 복귀 순의 사이클을 갖는 단계적 이동방식으로 투입구측에서 배출구 측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빔에 지지된 슬래브를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추출기는 추출빔을 이용하여 워킹빔에 의해 가열로 내에서 추출위치로 이동된 슬래브를 외부로 추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워킹빔이 상승, 전진 및 하강하면서 상기 추출위치에 슬래브가 위치하고, 상기 워킹빔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사이클이 완료된 후에나 추출기가 가열로 내부로 투입되면서 추출위치에서 슬래브를 추출할 수 있었기 때문에, 워킹빔이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 슬래브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피치가 지연될 수 밖에 없었으며 추출 공정이 진행될 수록 이러한 추출피치 지연시간이 누적되면서 전반적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46262호 (공고일: 2013년 3월 21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워킹빔이 하강하는 시점에 추출기의 추출빔이 가열로 내부로 투입되면서 추출위치에 배치된 슬래브를 추출하도록 구동제어하여, 상기 워킹빔이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 슬래브 추출피치를 단축시키기 위한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및 슬래브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열로 내에서 배출구와 투입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슬래브를 지지하는 고정빔; 상기 고정빔 사이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래브를 상기 배출구측으로 이동시키는 워킹빔; 상기 워킹빔을 상기 투입구측에서 배출구측으로 이동시키되, 상승, 전진, 하강 및 복귀 순의 사이클을 갖는 단계적 이동방식으로 워킹빔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배출구측에 배치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추출빔을 가열로 내부로 전진 및 복귀시키면서 추출위치에 배치된 슬래브를 가열로의 외부로 추출하는 추출기; 및 상기 워킹빔이 하강하는 시점에 상기 추출기의 추출빔이 배출구를 통해 내부로 투입되도록 구동제어하여 상기 추출위치의 슬래브가 외부로 추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워킹빔의 일측에 배치되어 워킹빔의 하강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하강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강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추출위치에 배치된 슬래브를 외부로 추출하도록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추출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강감지부는, 상기 워킹빔의 측부에 이격배치되어 워킹빔의 하강하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광센서 또는, 상기 워킹빔의 하강하는 움직임에 가압되면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리밋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가 워킹빔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사이클의 각 단계별로 소요되는 시간정보인 제1소요시간 데이터와, 상기 추출기의 추출빔이 전진 및 복귀하면서 추출위치의 슬래브를 외부로 추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정보인 제2소요시간 데이터가 각각 저장되고, 상기 제1소요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워킹빔이 하강하는 시점에 상기 추출기가 슬래브를 추출하도록 구동제어하며, 상기 제2소요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추출기의 추출빔이 복귀하는 시점에 상기 구동부가 워킹빔을 상승시키면서 이동하도록 구동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열로 내에서 배출구와 투입구 사이에 설치된 고정빔에 지지되도록 상기 투입구를 통해 슬래브를 투입하는 슬래브 투입 단계; 구동부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고정빔 사이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워킹빔을 투입구측에서 배출구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빔에 지지된 슬래브를 배출구측으로 이동시키되, 상승, 전진, 하강 및 복귀 순의 사이클을 갖는 단계적 이동방식으로 상기 워킹빔을 이동시키는 슬래브 이동 단계; 및 상기 워킹빔이 하강하는 시점에 상기 배출구측에 배치된 추출기를 구동제어하여 추출위치에 배치된 슬래브를 가열로 외부로 추출하는 슬래브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워킹빔의 일측에 배치된 하강감지부를 통해 워킹빔의 하강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하강 감지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래브 추출 단계는, 상기 하강감지부로부터 워킹빔의 하강이 감지되면 상기 추출기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슬래브를 외부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및 슬래브 추출방법에 의하면, 워킹빔의 하강하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워킹빔이 하강하는 시점에 추출기의 추출빔이 가열로 내부로 투입되면서 추출위치에 배치된 슬래브를 추출하도록 구동제어하여, 상기 워킹빔이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 슬래브 추출피치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추출공정이 진행될수록 이러한 추출피치 단축시간이 누적되면서 전반적으로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및 슬래브 추출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은, 워킹빔(120)이 하강하는 시점에 추출기(140)의 추출빔(141)이 가열로(10) 내부로 투입되면서 추출위치에 배치된 슬래브(20)를 추출하도록 구동제어하여 슬래브(20)의 추출피치를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빔(110), 워킹빔(120), 구동부(130), 추출기(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고정빔(110)은, 가열로(10)의 내부로 투입된 슬래브(20)가 설치된 히터(미도시)에 가열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가열로(10) 내에서 배출구(111)와 가열로(10) 내에서 상기 배출구(111)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투입구(미도시) 사이에 설치되어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슬래브(20)를 지지한다.
또한, 고정빔(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11)와 투입구를 연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가 일정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수직바가 체결되면서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각 수평바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수평바 사이의 간격으로 워킹빔(120)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워킹빔(120)은, 구동부(130)에 의해 구동되면서 고정빔(110)에 지지된 각 슬래브(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으로서, 고정빔(110)과 마찬가지로 배출구(111)와 투입구를 연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가 일정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수직바가 체결되면서 전체적인 형상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빔(110)의 각 수평바 사이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되어 슬래브(20)를 배출구(111)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구동부(130)는, 워킹빔(120)이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워킹빔(120)을 투입구측에서 배출구(111)측으로 이동시키되, 도 2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상승(Waking Beam Up) → 전진(Waking Beam Forward) → 하강(Waking Beam Down) → 복귀(Waking Beam Reverse) 순의 사이클(Cycle)을 갖는 단계적 이동방식으로 워킹빔(120)을 투입구에서 배출구(111)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구동부(130)가 워킹빔(120)을 단계적 이동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기술구성은 종래에 공지된 구성이므로 세부적인 기술구성 및 동작원리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추출기(140)는 워킹빔(120) 및 구동부(130)에 의해 배출구(111)에 가깝게 이동되어 설정된 추출위치에 배치된 슬래브(20)를 외부로 추출하여 가열로(10) 외측에 설치된 추출테이블(142)에 안착시켜 후단의 압연기 측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배출구(111)측에 배치되며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추출빔(141)을 가열로(10) 내부로 전진 및 복귀시키면서 추출위치에 배치된 슬래브(20)를 가열로(10)의 외부로 추출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111)의 하단에는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복수 개의 삽입홈부(미도시)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추출기(140)로부터 돌출되는 추출빔(141)이 상기 삽입홈부를 통해 가열로(10)의 내부로 전진하여 슬래브(20)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후에 추출기(140)에 의해 추출빔(141)이 상승하고 복귀하는 작동에 의해 슬래브(20)가 거치된 상태로 배출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을 중앙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상기 구동부(130)와 추출기(140) 및 가열로(10)의 배출구(111)측에 설치된 출입도어(112)와 신호연결되어 프로그래밍된 사항에 따라 가열로(10)의 내부로 투입된 슬래브(20)를 내부에서 이동시키고 외부로 배출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중앙제어한다.
특히, 상기 워킹빔(120)이 하강하는 시점에 상기 추출기(140)의 추출빔(141)이 배출구(111)를 통해 가열로(10)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구동제어하여 추출위치의 슬래브(20)가 외부로 추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50)가 워킹빔(120)의 하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워킹빔(120)의 일측에는 워킹빔(120)의 하강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150)로 전송하는 하강감지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강감지부(160)는 워킹빔(120)의 측부에 이격배치되어 워킹빔(120)의 하강하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광센서(레이져센서) 또는, 상기 워킹빔(120)의 하강하는 움직임에 가압되면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리밋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하강감지부(160)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워킹빔(120)의 하강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고 추출위치에 배치된 슬래브(20)를 외부로 추출하도록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추출기(140)로 전송하여 추출기(140)의 추출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은 상기 하강감지부(160)의 구성없이 미리 설정 및 저장된 시간데이터를 이용하여 워킹빔(120)의 하강을 판단하고, 이에 맞추어 추출기(140)의 추출빔(141)이 내부로 투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50)에는 구동부(130)가 워킹빔(120)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사이클의 각 단계별로 소요되는 시간정보인 제1소요시간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제1소요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워킹빔(120)이 하강하는 시점에 추출기(140)가 슬래브(20)를 추출하도록 구동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에서 구동부(130)로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한 후로부터 상기 워킹빔(120)이 상승하는데 5초가 소요되고, 전진하는데 10초가 소요될 경우, 16초가 되는 시점에 상기 추출기(140)의 추출빔(141)이 배출구(111)를 통해 내부로 투입되도록 구동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강감지부(160)의 구성없이도 워킹빔(120)이 하강하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어 하강감지부(160)를 가열로(10) 내에 배치하고 배치된 하강감지부(160)와 가열로(10) 외부에 배치된 제어부(150)를 상호 신호연결하기 위한 신호라인의 구축이 불필요하므로 시스템 구축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에는 상기 제1소요시간 데이터 이외에 상기 추출기(140)가 추출위치의 슬래브(20)를 외부로 추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정보인 제2소요시간 데이터가 더 포함하여 저장되며, 상기 제2소요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추출기(140)에 의한 슬래브(20)의 추출이 완료된 시점에 상기 구동부(130)가 워킹빔(120)을 상승시키면서 이동하도록 구동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기(140)의 추출빔(141)에 슬래브(20)가 거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복귀하는 시점에 상기 워킹빔(120)의 이동이 시작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슬래브(20)의 추출피치를 보다 단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투입 단계(S210), 슬래브 이동 단계(S230) 및 슬래브 추출 단계(S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슬래브 투입 단계(S210)는, 가열로(10)의 내부로 슬래브(20)가 투입되는 단계로서, 가열로(10) 내에서 배출구(111)와 투입구 사이에 설치된 고정빔(110)에 지지되도록 투입구를 통해 슬래브(20)를 투입하며, 투입된 슬래브(20)는 히터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다.
상기 슬래브 이동 단계(S230)는, 가열된 슬래브(20)를 외부로 추출할 수 있도록 고정빔(110)에 지지된 각 슬래브(20)를 배출구(111)를 향해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구동부(130)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고정빔(110) 사이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워킹빔(120)을 투입구측에서 배출구(111)측으로 이동시켜 고정빔(110)에 지지된 슬래브(20)를 이동시키되, 상승, 전진, 하강 및 복귀 순의 사이클을 갖는 단계적 이동방식으로 워킹빔(120)을 이동시킨다.
상기 슬래브 추출 단계(S270)는, 슬래브 이동 단계(S230)를 통해 배출구(111)측에 가깝게 이동하면서 설정된 추출위치에 배치된 슬래브(20)를 외부로 추출하는 단계로서, 배출구(111)측에 설치된 출입도어(112)가 개방된 상태에서 워킹빔(120)이 하강하는 시점에 상기 배출구(111)측에 배치된 추출기(140)를 구동제어하여 추출위치에 배치된 슬래브(20)를 가열로(10) 외부로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추출기(140)로부터 돌출되는 추출빔(141)이 배출구(111)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홈부를 통해 가열로(10)의 내부로 전진하여 슬래브(20)의 하측에 배치되며, 이후에 추출기(140)에 의해 추출빔(141)이 상승하고 복귀하는 작동에 의해 슬래브(20)가 추출빔(141)에 거치된 상태에서 배출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추출테이블(142) 상에 안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방법은 상기 슬래브 이동 단계(S230)가 수행된 이후에, 상기 워킹빔(120)의 일측에 배치된 광센서 또는 리밋스위치 등의 하강감지부(160)를 통해 워킹빔(120)의 하강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150)로 전송하는 하강 감지 단계(S250)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래브 추출 단계(S270)에서 제어부(150)는 하강감지부(160)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워킹빔(120)의 하강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고 추출위치에 배치된 슬래브(20)를 외부로 추출하도록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추출기(140)로 전송하여 추출기(140)의 추출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및 슬래브 추출방법의 각 구성 및 방법에 의해, 워킹빔(120)의 하강하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워킹빔(120)이 하강하는 시점에 추출기(140)의 추출빔(141)이 가열로(10) 내부로 투입되면서 추출위치에 배치된 슬래브(20)를 추출하도록 구동제어하여, 상기 워킹빔(120)이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 슬래브 추출피치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추출공정이 진행될수록 이러한 추출피치 단축시간이 누적되면서 전반적으로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가열로 20...슬래브
110...고정빔 120...워킹빔
130...구동부 140...추출기
141...추출빔 150...제어부
160...하강감지부

Claims (6)

  1. 가열로 내에 제공되고 슬래브를 지지하는 고정빔;
    구동부를 매개로 슬래브를 이동시키는 워킹빔;
    상기 가열로의 배출구 측에 배치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추출빔을 가열로 내부로 전진 및 복귀시키면서 추출위치의 슬래브를 가열로 외부로 추출하는 추출기; 및
    상기 워킹빔이 하강하는 시점에 상기 추출기의 추출빔이 배출구를 통해 내부로 투입되도록 구동 제어하여 상기 추출위치의 슬래브가 외부로 추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은
    상기 워킹빔의 일측에 배치되어 워킹빔의 하강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하강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강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추출위치에 배치된 슬래브를 외부로 추출하도록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추출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감지부는,
    상기 워킹빔의 측부에 이격배치되어 워킹빔의 하강하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광센서 또는
    상기 워킹빔의 하강하는 움직임에 가압되면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리밋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가 워킹빔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사이클의 각 단계별로 소요되는 시간정보인 제1소요시간 데이터와, 상기 추출기의 추출빔이 전진 및 복귀하면서 추출위치의 슬래브를 외부로 추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정보인 제2소요시간 데이터가 각각 저장되고,
    상기 제1소요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워킹빔이 하강하는 시점에 상기 추출기가 슬래브를 추출하도록 구동제어하며, 상기 제2소요시간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추출기의 추출빔이 복귀하는 시점에 상기 구동부가 워킹빔을 상승시키면서 이동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5. 가열로 내의 고정빔에 지지되도록 슬래브를 투입하는 슬래브 투입 단계;
    구동부를 제어하여 워킹빔에 의해 상기 슬래브를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슬래브 이동 단계; 및
    상기 워킹빔이 하강하는 시점에 상기 배출구측에 배치된 추출기를 제어하여 추출위치에 배치된 슬래브를 가열로 외부로 추출하는 슬래브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방법은
    상기 워킹빔의 일측에 배치된 하강감지부를 통해 상기 워킹빔의 하강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하강 감지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래브 추출 단계는, 상기 하강감지부로부터 상기 워킹빔의 하강이 감지되면 상기 추출기를 제어하여 상기 슬래브를 외부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방법.
KR1020140187606A 2014-12-23 2014-12-23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및 슬래브 추출방법 KR20160076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606A KR20160076934A (ko) 2014-12-23 2014-12-23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및 슬래브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606A KR20160076934A (ko) 2014-12-23 2014-12-23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및 슬래브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934A true KR20160076934A (ko) 2016-07-01

Family

ID=5650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606A KR20160076934A (ko) 2014-12-23 2014-12-23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및 슬래브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69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3923A (zh) * 2018-07-24 2020-02-0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环形加热炉自动抽钢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62B1 (ko) 2010-10-27 2013-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기용 가열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62B1 (ko) 2010-10-27 2013-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기용 가열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3923A (zh) * 2018-07-24 2020-02-0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环形加热炉自动抽钢系统及方法
CN110743923B (zh) * 2018-07-24 2021-06-1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环形加热炉自动抽钢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5051A (en) Mold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plural molds to plural stations
EP2899005A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uring concrete products
CN106282531B (zh) 一种步进式加热炉高位出钢自动控制方法
KR20160076934A (ko) 가열로용 슬래브 추출시스템 및 슬래브 추출방법
JP2005329577A (ja) 金型温度の調整装置および調整方法
JPWO2007013279A1 (ja) 加熱装置及び加熱方法
JP6684807B2 (ja) 圧延方法、連続鋳造圧延方法、及び連続鋳造圧延装置
KR20130110492A (ko) 가열로의 보상 운전 방법
CN105648203A (zh) 钢板在线连续快速感应加热控制方法和装置
JP4999905B2 (ja) 金型温度の調整装置
KR20140042076A (ko) 디스케일러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51304B1 (ko) 빌렛트 가열로 장입 제어 방법
KR101246234B1 (ko) 가열로 및 그 제어방법
CN105834542A (zh) 一种双列直插封装芯片拆卸装置
KR101647234B1 (ko) 센서 장치, 그를 이용한 마그네슘 정련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KR101442915B1 (ko) 가열로 스키드 빔의 이동 패턴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372618B1 (ko) 워킹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05386631U (zh) 一种合金冷却装置
US805041A (en) Heating-furnace.
CN204686237U (zh) 一种双列直插封装芯片拆卸装置
KR100568327B1 (ko) 워킹 허스 타잎 가열로를 이용한 소재의 가열방법
KR101184931B1 (ko) 코크스로용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96248B1 (ko) 전자동 사출성형장치
KR20180071674A (ko) 열연 가열로 장입 장치 및 방법
KR20100047006A (ko) 가열로의 슬라브 가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