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765A -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765A
KR20160076765A KR1020140187232A KR20140187232A KR20160076765A KR 20160076765 A KR20160076765 A KR 20160076765A KR 1020140187232 A KR1020140187232 A KR 1020140187232A KR 20140187232 A KR20140187232 A KR 20140187232A KR 20160076765 A KR20160076765 A KR 20160076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power supply
frame
display panel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2620B1 (ko
Inventor
김용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블테크
Priority to KR1020140187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620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을 양분하도록 메인 프레임의 두 변에 양단이 결합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가 안착되는 중앙 프레임, 메인 프레임의 양분된 일 영역에 설치되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중앙 프레임에 장착되어 중앙 프레임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연결되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 신호 및 전원을 전송하는 메인보드, 메인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하는 결합부, 메인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며, 전원공급부를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된 방향으로 탈착되도록 형성된 홀더부 및 전원공급부와 메인보드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전원연결 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MULT VISIO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원공급장치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가능한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비젼 시스템은 실내외 전시장 또는 공연장 등에 설치되어 영상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이다. 멀티 비젼 시스템은 대형 화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의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된다.
멀티 비젼 시스템은 실내외 전광판과 같은 고정 설치용으로 사용되거나, 공연장, 이벤트 행사 등의 이동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렇게 이동용으로 사용될 경우 대화면으로 설치 및 해체를 반복한다.
이때, 멀티 비젼 시스템의 설치 및 해체 시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단위로 설치하거나 해체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잦은 설치 및 해체 작업으로 인하여 파손 또는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공연 시작 시간이 임박할 경우 고장이 발생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교체가 완료되지 못할 경우 공연 지연이 발생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23603호는 엘시디를 프레임에 슬라이딩 시켜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멀티비젼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23603호의 경우 멀티비젼의 패널 교체시 프레임을 분해하고, 다시 재조립을 해야하므로 교체시 시간지연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원공급부가 전면에서 탈착되도록 형성된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을 양분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두 변에 양단이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가 안착되는 중앙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분된 일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중앙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중앙 프레임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 신호 및 상기 전원을 전송하는 메인보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된 방향으로 탈착되도록 형성된 홀더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메인보드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전원연결 커넥터를 포함하는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제1 자성체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제2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2 자성체가 매립되는 제1 결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1 결합홈에 상응하는 돌출부에 상기 제1 자성체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중앙 프레임에 형성된 제3 자성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자성체는 상기 중앙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 자성체는 동일한 극성이며, 상기 제2 및 제3 자성체는 상기 제1 자성체와 다른 극성일 수 있다.
상기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전원공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각각 연결되는 신호공급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프레임은 상기 신호공급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원공급부가 전면에서 탈착되도록 형성되어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 유지 보수가 가능하므로 두께가 얇아져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멀티 비젼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
도 5는 메인보드의 위치 및 메인보드에 구비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결합부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된 멀디 비젼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비젼 시스템은 실내외의 전시장 또는 공연장 등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된다.
멀티 비젼은 복수의 사각형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종횡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로 결합되기 위하여 별도의 결합을 위한 프레임이 구비되거나,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프레임에 결합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100)은 복수개가 배치되므로,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중 내부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 고장 등이 발생될 경우 교체가 필요하다. 이때, 1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교체를 위해 멀티 비젼 또는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커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교체가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에서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메인보드의 위치 및 메인보드에 구비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메인 프레임(300), 중앙 프레임(400), 전원공급부(500), 메인보드(600), 홀더부(510) 및 전원연결 커넥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발광 다이오드가 종횡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LED 패널 또는 LCD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OLED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문자 또는 사진 등을 표시하는 패널로, 디스플레이 유?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그 배면에 복수의 돌기(2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돌기(210) 끝단에는 제1 자성체(22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돌기(210) 및 제1 자성체(22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메인 프레임(300)과 중앙 프레임(400)에 장착하여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전원공급부(500)를 지지한다. 메인 프레임(300)은 사각의 프레임 구조물로서, 상하 및 좌우변에 긴 프레임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메인 프레임(300)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을 위한 결합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안착되도록 전면에 복수의 제1 결합홈(31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결합홈(310)의 내측에는 제2 자성체(320)가 부착 또는 형성될 수 있다.
중앙 프레임(400)은 메인 프레임(300)의 중앙에 형성된다. 중앙 프레임(400)은 메인 프레임(300)을 두 영역으로 양분할 수 있다. 이때, 중앙 프레임(400)은 양단이 메인 프레임(300)의 두 변에 결합되어 메인 프레임(300)을 두 영역으로 양분할 수 있다. 두 영역으로 양분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전원공급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중앙 프레임(4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측이 부착되도록 소정의 너비를 갖는 'I'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 프레임(400)은 메인보드(600)를 실장할 수 있다. 중앙 프레임(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프레임(400a, 400b)이 구비되며, 메인보드(600)를 사이에 두고 두 프레임(400a, 400b)이 메인보드(600)의 전면과 후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중앙 프레임(400)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보드(600)와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연결되도록 노출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출부(430)는 메인보드(600)의 신호공급 커넥터(610)를 노출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다. 노출부(43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구비된 커넥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 프레임(400)은 제2 결합홈(410) 및 제3 자성체(4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홈(410)과 제3 자성체(42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구비된 돌기(210) 및 제1 자성체(220)와 대응된다. 제3 자성체(420)는 제2 결합홈(410) 내측에 부착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장착될 때, 제2 결합홈(410)에는 돌기(210)가 삽입된다. 제3 자성체(420)와 제1 자성체(220)의 극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0) 장착 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메인보드(6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표시 신호 및 전원을 전송할 수 있다. 메인보드(600)는 전원공급부(500)와 연결되어 전원을 수신하고, 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표시될 문자 또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메인보드(600)는 통상의 PCB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보드(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기판에 복수의 신호공급 커넥터(6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연결 커넥터(520)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공급 커넥터(61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장착시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연결되어 표시 신호 및 전원을 디스플레이 패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전원연결부(620)는 전원연결 커넥터(520)와 연결된다.
전원공급부(5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500)는 전원연결 커넥터(520)를 통해 메인보드(600)와 연결된다. 이때, 전원공급부(500)는 메인보드(6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500)는 충전식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 장치와 연결되어 메인보드(600)에 적용될 수 있는 전력변환장치(예를 들면, 인버터 또는 컨버터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510)는 전원공급부(500)를 메인 프레임(300)에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홀더부(510)는 일측이 메인 프레임(300)에 고정되고, 타측은 오픈 되거나, 중앙 프레임(400)에 연결될 수 있다.
홀더부(510)는 전원공급부(500)를 디스플레이 패널(200) 측 방향으로 탈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홀더부(510)는 2개의 지지바가 구비되며, 각각의 지지바는 전원공급부(500)를 수용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홀더부(510)는 전원공급부(500)의 상부와 하부단을 지지하도록 두 지지바가 평행하게 형성된다.
홀더부(510)는 전원공급부(500)의 장착시 전원공급부(500)의 이탈이 방지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전원공급부(500)가 홀더부(510)에 장착될 때, 홀더부(510)의 안착 후 밀어 넣도록 형성되며, 이때, 홀더부(510)의 입구가 내측으로 돌출되거나,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전원공급부(500)가 장착된 이후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으면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홀더부(510)는 전원공급부(5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300)에 고정된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 홀더부(510)는 전원공급부(500)를 탈착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전원연결 커넥터(520)는 전원공급부(500)와 메인보드(600) 사이를 연결한다. 전원연결 커넥터(520)는 전원공급부(500)의 전원신호를 메인보드(6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연결 커넥터(520)는 전원공급부(500)에서 메인보드(600)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원연결 커넥터(520)는 전원공급부(50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전원연결 커넥터(52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원공급부(500)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메인 프레임(300)과 중앙 프레임(400)에 부착시킨다. 결합부는 메인 프레임(300)과 중앙 프레임(400)의 전면에 부착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자성체(220, 320, 420)와 제1 결합홈(310), 제2 결합홈(410) 및 돌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에 대한 설명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다시 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 메인보드 및 전원공급부(500)를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00), 메인보드(600) 또는 전원공급부(500)의 고장시 교체 또는 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500)는 홀더부(510)에 장착된다. 이때, 전원공급부(500)의 상부에 메인 프레임(300)과 결합된 냉각팬(550)이 구비될 수 있다.
냉각팬(550)은 전원공급부(500)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팬(550)는 내부에 구비된 전원장치 또는 전원공급부(5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결합부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메인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으로, 디스플레이 패널과 중앙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결합부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결합부의 구성요소 및 결합방법은 동일하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구비된 돌기(210)와 제1 자성체(220), 메인 프레임(300)에 구비된 제1 결합홈(310) 및 제2 자성체(320), 중앙 프레임(400)에 구비된 제2 결합홈(410) 및 제3 자성체(420)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측이 메인 프레임(300)에 장착될 때, 돌기(210)는 제1 결합홈(310)에 삽입된다. 이때, 돌기(210)의 끝단에 부착된 제1 자성체(220)는 제1 결합홈(310) 내에 제2 자성체(320)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메인 프레임(300) 사이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자성체(220)와 제2 자성체(320)는 서로 다른 극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타측이 중앙 프레임(400)에 장착될 때, 돌기(210)는 제2 결합홈(410)에 삽입된다. 이때, 돌기(210)의 끝단에 부착된 제2 자성체(320)는 제2 결합홈(410) 내에 제3 자성체(420)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메인 프레임(300) 사이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자성체(220)와 제3 자성체(420)는 서로 다른 극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원공급부를 전면에서 탈착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장 또는 파손과 전원공급부의 교체 등이 상황이 발생되면,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전면에서 설치가 가능하므로, 부속 장치들이 불필요하여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100: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200: 디스플레이 패널
210: 돌기
220: 제1 자성체
300: 메인 프레임
310: 제1 결합홈
320: 제2 자성체
400: 중앙 프레임
410: 제2 결합홈
420: 제3 자성체
430: 노출부
500: 전원공급부
510: 홀더부
520: 전원연결 커넥터
550: 냉각팬
600: 메인보드
610: 신호공급 커넥터
620: 전원연결부

Claims (7)

  1.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을 양분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두 변에 양단이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가 안착되는 중앙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분된 일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중앙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중앙 프레임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 신호 및 상기 전원을 전송하는 메인보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일측이 고정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된 방향으로 탈착되도록 형성된 홀더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메인보드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전원연결 커넥터를 포함하는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제1 자성체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제2 자성체를 포함하는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2 자성체가 매립되는 제1 결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1 결합홈에 상응하는 돌출부에 상기 제1 자성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중앙 프레임에 형성된 제3 자성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자성체는 상기 중앙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의 내측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자성체는 동일한 극성이며, 상기 제2 및 제3 자성체는 상기 제1 자성체와 다른 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전원공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각각 연결되는 신호공급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프레임은 상기 신호공급 커넥터를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87232A 2014-12-23 2014-12-23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12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232A KR101712620B1 (ko) 2014-12-23 2014-12-23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232A KR101712620B1 (ko) 2014-12-23 2014-12-23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765A true KR20160076765A (ko) 2016-07-01
KR101712620B1 KR101712620B1 (ko) 2017-03-06

Family

ID=5650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232A KR101712620B1 (ko) 2014-12-23 2014-12-23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62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8875A1 (ko) * 2016-07-07 2018-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51653A1 (en) * 2018-01-31 2019-08-0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O2019168344A1 (en) * 2018-02-28 2019-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20153519A1 (ko) * 2019-01-25 202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43981B1 (ko) * 2019-10-16 2020-08-12 주식회사 유한산업 아이스팩
WO2021107285A1 (ko) * 2019-11-27 2021-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230150044A (ko) * 2022-04-21 2023-10-30 주식회사 임팩트럼 강화된 엘이디 모듈 체결구조를 가지는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14658A1 (ko) * 2022-07-13 2024-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917770B2 (en) 2022-07-13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253B1 (ko) * 2017-12-15 2022-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링 표시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타일링장치
KR102207491B1 (ko) 2018-11-26 2021-01-26 쿠도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멀티 엘이디유닛 설치장치
KR102051604B1 (ko) 2018-12-14 2019-1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타일링 표시 장치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217076B1 (ko) * 2019-06-17 2021-02-17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09285B1 (ko) * 2019-06-19 2021-01-29 쿠도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높이조절식 엘이디 디스플레이장치
KR102268755B1 (ko) * 2019-09-30 2021-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70604A (ko) * 2021-11-15 202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19264A1 (ko) * 2022-07-20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814A (ko) * 2006-09-01 2008-03-06 황병선 멀티비전 설치 시스템
KR20130008838A (ko) * 2011-07-13 2013-01-23 (주)경봉 듀얼 디스플레이형 버스 탑재 멀티미디어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814A (ko) * 2006-09-01 2008-03-06 황병선 멀티비전 설치 시스템
KR20130008838A (ko) * 2011-07-13 2013-01-23 (주)경봉 듀얼 디스플레이형 버스 탑재 멀티미디어 단말기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3195B2 (en) 2016-07-07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KR20180005922A (ko) * 2016-07-07 201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564743A (zh) * 2016-07-07 2019-04-02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WO2018008875A1 (ko) * 2016-07-07 2018-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51653A1 (en) * 2018-01-31 2019-08-0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1184986B2 (en) 2018-01-31 2021-11-2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O2019168344A1 (en) * 2018-02-28 2019-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0853017B2 (en) 2018-02-28 2020-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multiple displays
WO2020153519A1 (ko) * 2019-01-25 202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714305B2 (en) 2019-01-25 2023-08-01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KR102143981B1 (ko) * 2019-10-16 2020-08-12 주식회사 유한산업 아이스팩
WO2021107285A1 (ko) * 2019-11-27 2021-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114651296A (zh) * 2019-11-27 2022-06-21 乐金显示有限公司 用于制造平铺显示装置的安装夹具及使用该安装夹具的平铺显示装置制造方法
KR20230150044A (ko) * 2022-04-21 2023-10-30 주식회사 임팩트럼 강화된 엘이디 모듈 체결구조를 가지는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14658A1 (ko) * 2022-07-13 2024-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917770B2 (en) 2022-07-13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620B1 (ko) 2017-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620B1 (ko)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EP3054369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800549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Modular Multi-Panel Display
US20210005783A1 (en) Modularized Spliced LED Display Screen
US201501872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Modular Multi-Panel Display
CN104777656A (zh) 一种显示屏边框、显示屏模组、拼接屏模组
JP5366180B2 (ja) 表示装置、及び多画面表示装置
KR20140057935A (ko) 표시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US20170075160A1 (en) Surface frame for display module,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JP2010057030A (ja) 表示装置
US10197836B2 (en) Spliced display and display system
KR100940919B1 (ko) 엘이디 표시장치
KR101239081B1 (ko) 엘이디 표시장치
KR20090035877A (ko) 모듈식 엘이디 디스플레이 블록
JP2012150371A (ja) 画像表示装置
KR102410337B1 (ko) 비디오 월 배치를 위한 가이드 핀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 월
KR101042398B1 (ko) Led패널의 프레임 연결구조
WO2015192385A1 (zh) 双面液晶显示装置及其背光模组
KR101138890B1 (ko) 멀티비전의 거치구조
CN210516019U (zh) 一种户外防水led显示屏模组及其组件
KR201800799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180988A (ja) マルチ映像表示装置
KR200458803Y1 (ko) 엘시디 멀티비젼 구조물
JP5201610B2 (ja) 多画面表示装置
WO2008147073A1 (en)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connection apparatus and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