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234A -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 - Google Patents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234A
KR20160076234A KR1020140186187A KR20140186187A KR20160076234A KR 20160076234 A KR20160076234 A KR 20160076234A KR 1020140186187 A KR1020140186187 A KR 1020140186187A KR 20140186187 A KR20140186187 A KR 20140186187A KR 20160076234 A KR20160076234 A KR 20160076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yarn
collecting
fixed
ne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5771B1 (ko
Inventor
정진욱
Original Assignee
정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욱 filed Critical 정진욱
Priority to KR1020140186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7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05Net structures, e.g. structural arrangements of net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고정사(11)에 의해 해수순환공(13)이 형성되는 고정망부(10); 상기 고정망부(10)에 필름사를 포함하는 광폭사(21)를 위입하여 형성되는 채집망부(20); 상기 고정망부(10)와 채집망부(20)는 교대로 반복 배치되어, 광폭사(21)에 의해 고정망부(10)와 채집망부(20) 간의 해수이동속도가 상이하게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해수순환공이 형성되는 고정망부와 광폭사로 이루어진 채집망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조수의 순환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고, 해수순환공을 지나는 조수의 압력에 의해 망 표면에 유착되어 순환효율을 저하시키는 이물질이 자연세척되므로 기능저하나 파손, 유실의 우려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Net for Shellfish gatherers}
본 발명은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개류 유생의 채집 과정에서 뻘을 포함하는 이물질 유착 및 조수(潮水)와의 마찰저항으로 인한 처짐, 파손이 방지되어 수명이 장구히 유지되면서 유생 채집효율이 향상되는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에 관한 것이다.
조개류의 양식은 채집된 조개 유생을 양식에 적합한 장소에 뿌려 성장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개 유생은 조개류의 산란이 이루어지는 바닷물에 설치되는 그물망을 사이에 두고 조수가 반복 순환되는 과정에서 바닷물 속의 부유 유생이 그물망에 달라붙어 채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조개의 유생 채집을 위한 그물망은 일반적으로 원사를 꼬거나 엮은 통상의 망형조직으로 제작되어 왔으나 표면적이 작아 유생이 쉽게 달라붙지 못하고, 달라붙은 유생도 조수의 교차과정에서 물살에 휩쓸려 쉽게 유실되므로 수확량을 늘리기 위한 구조개선의 요구가 있어 왔다.
이에 종래의 등록실용신안 제20-0453311호에서, 다수개의 세로줄과 가로줄로 편직되어 형성되어지되, 상기 세로줄은 세로실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줄은 2~6㎜의 폭을 갖는 가로편으로 형성되며, 양단에 고정부가 편직되며, 세로실은 다수개의 극세사 묶음으로 형성되며, 공극률이 30~70%로 하여 새꼬막 유생 포착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가로줄이 2~6㎜ 폭으로 형성되는 특성상 그물 공극률을 30~70%로 편직하기 위해서는 가로줄의 가로방향 사용길이 증가 및 가로줄의 경사방향 간격이 확장되어 그물 내구성이 전체적으로 저하됨에 따라 현실적으로 공극률 확장에 한계가 따랐고, 이로 인해 협소한 공극사이즈로 인해 조수 순환에 방해가 되어 마찰저항 증가로 그물이 쉽게 손상되거나 유실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뿐만 아니라, 유생 채취가 주로 갯뻘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유기물이 다량 함유된 점성이 강한 개흙질 성분이 가로줄에 유착시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붕괴됨은 물론 유생 흡착면이 축소되어 채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 조개류 유생의 채집 과정에서 뻘을 포함하는 이물질 유착 및 조수와의 마찰저항으로 인한 처짐, 파손이 방지되어 수명이 장구히 유지되면서 유생 채집효율이 향상되는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정사(11)에 의해 해수순환공(13)이 형성되는 고정망부(10); 상기 고정망부(10)에 필름사를 포함하는 광폭사(21)를 위입하여 형성되는 채집망부(20); 상기 고정망부(10)와 채집망부(20)는 교대로 반복 배치되고, 광폭사(21)에 의해 고정망부(10)와 채집망부(20) 간의 해수이동속도가 상이하게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광폭사(21)는 고정망부(10)에 위사 및 경사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형상의 통공(23)을 갖는 채집망부(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고정사(11)에 의해 해수순환공(13)이 형성되는 고정망부(10); 상기 고정망부(10)에 필름사를 포함하는 광폭사(21)를 위입하여 형성되는 채집망부(20); 상기 광폭사(21)는 고정망부(10)에 위사 및 경사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형상의 통공(23)을 갖는 채집망부(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채집망부(20)의 광폭사(21)는 위사와 경사방향에서 위입되거나, 방형파 구조 또는 계단형구조로 제직되어 격자형상의 배치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채집망부(20)는 광폭사(21)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지지사(30)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고정망부와 채집망부에 의해 해수 순환이 원활하여 조수와의 마찰저항으로 인한 처짐, 파손이 방지되어 수명이 장구히 유지되고, 특히 광폭사에 의해 고정망부와 채집망부 간의 해수이동속도가 상이하게 유지되어 유속차이로 인해 광폭사에 흡착된 뻘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자연세척되어 유생 채집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을 확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의 채집망부를 확대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의 채집망부를 형성하는 광폭사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의 지지망을 확대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에 관련되며, 그물망을 지나는 조수(潮水)의 순환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고, 표면에 유착되는 뻘과 같은 이물질도 자연세척되어 그물망의 파손이나 유실이 방지되어 수명이 연장되도록 고정망부(10)와 채집망부(2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의 고정망부(10)는 고정사(11)에 의해 해수순환공(1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사(11)는 서로 교차되는 위사(11a)와 경사(13a)로 이루어지며, 도 1 이나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인접한 각각의 위사 또는 경사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반복 배치되어 고정망부(10)의 표면에 그물망 형상으로 해수순환공(13)이 편직 가공된다.
해수순환공(13)이 형성됨에 따라 바닷물 속에 잠겨진 상태에서 표면저항이 감소되어, 조수의 자유로이 순환이 이루어지므로 그물망이 물살에 휩쓸리지 않고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조수의 수압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거나 유실되는 문제가 해소된다.
이때 상기 고정망부(10)를 형성하는 고정사(11)는 물속이나 갯벌에 장시간 잠겨진 상태로 사용되는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의 특성상 부식이나 변질이 일어나지 않도록 화학적성질이 우수한 합성수지 원사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망부(10)를 형성하는 각각의 고정사(11)는 신축성과 내구성이 확보되도록, 도 3과 같이 다수의 원사가 꼬이거나 교차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채집망부(20)는 상기 고정망부(10)에 필름사를 포함하는 광폭사(21)를 위입하여 형성된다. 상기 광폭사(21)는 상술한 필름사나 리본끈과 같이 폭이 넓은 원사가 적용되며, 고정망부(10)와 일체로 제직되어 바닷물속을 부유하는 조개류의 유생이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채집구간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광폭사(21)는 장시간 물속에 잠긴 상태에서 조수의 흐름과 표면에 부착된 조개 유생의 무게에 의해 변형되거나 끊어지지 않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사 원단을 가공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채집망부(20)는 설치장소의 유속이나 유생의 분포량과 같은 환경에 따라 광폭사(21)의 제직형태를 달리 할 수 있다. 유속이 빠른 곳에 적용할 경우 광폭사(21)의 제직간격을 고정망부(10)의 해수순환공(13)이 노출되도록 넓게 형성하여 표면저항을 줄임으로써 그물망의 유실이나 파손의 우려를 감소시켜주는 반면, 유속이 느린 곳에서는 광폭사(21)를 고정망부(10)의 표면을 덮어 해수순환공(13)이 가려지는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유생이 부착될 수 있는 표면적을 넓혀 채집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정망부(10)와 채집망부(20)는 교대로 반복 배치되어, 하나의 유생 채집용 그물망 표면에 유생의 채집을 위한 구간과 조수의 순환을 위한 구간이 분할형성됨으로써 유생의 채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조수의 수압에 밀려 설치된 유생 채집용 그물망이 파손 또는 유실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고정망부(10)와 채집망부(20)는 폭이 넓은 광폭사(21)에 의해 해수이동속도가 상이하게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채집망부(20)를 사이에 두고 반복배치되는 고정망부(10)는 표면에 해수순환공(13)이 관통 형성됨에 따라, 광폭사(21)로 제직되는 채집망부(20)에 비해 표면저항이 낮아지게 되므로 조수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해수의 순환이 집중되고, 인접한 채집망부(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속이 빠르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채집망부(20) 표면에 접한 바닷물은 조수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고정망부(10) 측으로 흘러 순환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채집망부(20) 표면에 유착된 뻘이나 해초와 같은 이물질이 자연스럽게 쓸려 배출되므로 표면이 유착되는 잔류 이물질량이 감소되는 자연세척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채집망부(20) 표면의 이물질량이 자연제거되어 감소되면, 조개유생의 부착면적이 좀더 효과적으로 확보되며 이물질의 중량에 의해 채집망부(20)가 늘어나 기능저하나 파손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해소되므로 유생 채집용 그물망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광폭사(21)는 고정망부(10)에 위사 및 경사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형상의 통공(23)을 갖는 채집망부(20)를 형성한다. 광폭사(21)가 고정망부(10)의 제직형상과 대응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조수의 순환되는 통공(23)이 채집망부(20)상에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효과가 나타나므로 수압의 부분적인 집중 현상이 해소되어 그물망의 유실이나 파손우려가 줄어들게 된다.
도 3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의 제직형태를 확대도시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고정망부(10)와 채집망부(20)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수의 원사가 꼬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사(11)가 위사(11a)와 경사(11b) 형태로 서로 교차되어 그물망 형상의 고정망부(10)를 형성하게 되며, 각각의 고정사(11)는 꼬여진 원사들이 인접한 다른 고정사(11)의 원사들과 서로 엮이며 하나의 조직으로 긴밀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사(11)는 광폭사(21)가 사각형태로 배치된 채집망부(20)로 연장형성되며 광폭사(21)를 사이에 두고 서로 꼬이며 채집망부(20)를 구속하여 형상을 고정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채집망부(20)는 도 4와 같이 고정망부(10)에 전체에 걸쳐 광폭사(21)가 배치되는 것으로 조개 유생의 채집을 위한 표면적이 최대한 확보되는 형태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채집망부(20)는 조수의 순환이 자유로이 이루어지도록 광폭사(21)가 상술한 사각형상으로 배치되어 고정망부(10)에 형성된 해수순환공(13)이 노출되도록 표면에 통공(23)을 형성되는 구조로 제직된다.
이처럼 채집망부(20)를 형성하는 광폭사(21)가 고정망부(10) 상에 배치되면 채집망부(20)가 고정망부(10)에 지지되는 형태로 제직이 이루어지므로 그물망의 공극률이 70% 이상(도시된 실시예는 광폭사의 폭이 1mm로 형성되고, 통공이 10mm2의 크기로 형성되어 약 83%의 공극이 확보되며, 광폭사의 폭을 2mm로 변경하더라도 약 76%의 공극이 확보됨) 확보되는 형태로 편직가공되더라도 고정망부(10)가 그물망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어 내구성저하로 인한 문제가 해소되므로 조수 순환이 자유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극률로 광폭사(21)의 배치를 선택하여 채집망부(20)를 제직 가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채집망부(20)를 형성하는 광폭사(21)가 사각형상으로 배치되면 유생이 부착될 수 있는 광폭사(21)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게 되므로 해수순환공(23)이 노출되도록 통공(23)의 크기가 커져 채집망부(20)의 표면적이 감소되더라도 유생의 수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상기 광폭사(21)는 통공(23)을 사이에 두고 이격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조개유생이 성장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확보되므로 한정된 광폭사(21) 표면에 조개 유생이 조밀하게 모여 서로 성장을 방해하거나 인접한 유생이 서로 부딪히며 채집망부(20)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감소되는 부가적인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한편, 상기 채집망부(20)의 광폭사(21)는 위사와 경사방향에서 위입되거나, 방형파 구조 또는 계단형구조로 제직되어 격자형상의 배치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사각형상으로 제직된 채집망부(20)는 망을 형성하는 광폭사(21)를 위사측과 경사측으로 구분하여 교차제직되도록 별도 투입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나,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광폭사(21)를 사각형의 패턴을 그리며 반복되는 방형파(方形波, 사각의 진폭 곡선을 갖는 파형의 한 종류로 구형파라고도 불리움)형상으로 투입하거나, 계단형으로 반복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위사 또는 경사측으로 투입되는 어느 하나의 광폭사(21)만으로도 격자형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때 반복되는 광폭사(21)는 인접한 광폭사(21)와의 교차접점이 함께 제직되는 상기 고정망부(10)의 고정사(11)에 의해 고정된다. 광폭사(21)를 고정하는 고정사(11)는 상술한 것 처럼 다수의 원사가 꼬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원사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것 처럼 광폭사(21)간의 교차접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꼬이며 형상을 구속해주게 되므로 채집망부(20)의 형상이 흐트러지지 않고 사각형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처럼, 광폭사(21)로 이루어진 채집망부(20)는 고정사(11)에 의해 형상고정됨에 따라 추가적인 원사의 투입없이 제직이 가능해지므로 제직구조가 간소화되면서도 견고한 조직이 형성되며, 이때 광폭사(21)의 투입간격이나 패턴 폭을 조절하는 것으로 통상의 사각형 외에도 직사각형이나 사다리꼴, 마름모형태와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채집망부(20)는 광폭사(21)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지지사(30)에 의해 위치고정된다. 상기 지지사(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가는 원사를 이용해 제직되며 고정사(11)와 서로 엮이며 채집망부(20)을 형성하는 광폭사(21)를 받쳐주게 되어 내구성을 개선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지지사(30)는 별도의 원사를 이용해 개별적으로 직조할 수도 있으나 고정망부(10)을 형성하는 고정사(11)의 위사(11a)또는 경사(11b)조직을 풀어 광폭사를 지지하는 형태로 제직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 고정망부 11 : 고정사
13 : 해수순환공 20 : 채집망부
21 : 광폭사

Claims (5)

  1. 고정사(11)에 의해 해수순환공(13)이 형성되는 고정망부(10);
    상기 고정망부(10)에 필름사를 포함하는 광폭사(21)를 위입하여 형성되는 채집망부(20);
    상기 고정망부(10)와 채집망부(20)는 교대로 반복 배치되어, 광폭사(21)에 의해 고정망부(10)와 채집망부(20) 간의 해수이동속도가 상이하게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사(21)는 고정망부(10)에 위사 및 경사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형상의 통공(23)을 갖는 채집망부(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
  3. 고정사(11)에 의해 해수순환공(13)이 형성되는 고정망부(10);
    상기 고정망부(10)에 필름사를 포함하는 광폭사(21)를 위입하여 형성되는 채집망부(20);
    상기 광폭사(21)는 고정망부(10)에 위사 및 경사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형상의 통공(23)을 갖는 채집망부(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망부(20)의 광폭사(21)는 위사와 경사방향에서 위입되거나, 방형파 구조 또는 계단형구조로 제직되어 격자형상의 배치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망부(20)는 광폭사(21)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지지사(30)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
KR1020140186187A 2014-12-22 2014-12-22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 KR101675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187A KR101675771B1 (ko) 2014-12-22 2014-12-22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187A KR101675771B1 (ko) 2014-12-22 2014-12-22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234A true KR20160076234A (ko) 2016-06-30
KR101675771B1 KR101675771B1 (ko) 2016-11-14

Family

ID=5635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187A KR101675771B1 (ko) 2014-12-22 2014-12-22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7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808A (ko) * 2021-03-17 2022-09-26 박만기 꼬막종패 양식용 그물망
KR102501926B1 (ko) * 2021-09-15 2023-02-20 신용자 굴을 채취 및 보관하기 위한 그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8065U (ko) * 1979-07-19 1981-02-17
KR200230510Y1 (ko) * 2001-02-09 2001-07-03 이왕수 썰망
KR200423137Y1 (ko) * 2006-04-26 2006-08-03 정석구 포장용 망지
KR200453311Y1 (ko) * 2010-10-25 2011-04-20 김점호 새꼬막 유생 포착용 그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8065U (ko) * 1979-07-19 1981-02-17
KR200230510Y1 (ko) * 2001-02-09 2001-07-03 이왕수 썰망
KR200423137Y1 (ko) * 2006-04-26 2006-08-03 정석구 포장용 망지
KR200453311Y1 (ko) * 2010-10-25 2011-04-20 김점호 새꼬막 유생 포착용 그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808A (ko) * 2021-03-17 2022-09-26 박만기 꼬막종패 양식용 그물망
KR102501926B1 (ko) * 2021-09-15 2023-02-20 신용자 굴을 채취 및 보관하기 위한 그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771B1 (ko) 201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47693B2 (ja) 立体構造状ネット
CN205320643U (zh) 一种人造草与天然草混合的景观草坪
EP2483383B1 (en) Basal screen for enhancing algal biomass growth
KR100895537B1 (ko) 포자활착면적을 증대시킨 김양식망
KR101617300B1 (ko) 김 생산이 가능한 갓 줄을 이용한 김 양식망 제조방법
JP3221275U (ja) 人工芝と天然芝を組み合わせた人工芝生
KR101675771B1 (ko) 조개 유생 채집용 그물망
CN106818277B (zh) 滨海潮间带抗风浪种植体系及其构建方法
KR200453311Y1 (ko) 새꼬막 유생 포착용 그물
KR101419509B1 (ko) 김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KR101903325B1 (ko) 해조류 양식용 그물의 제조방법
CN208317927U (zh) 一种黏性卵鱼类人工鱼巢
KR101239060B1 (ko) 식물재배용 부유체
KR101853077B1 (ko) 김 양식을 위한 김발용 그물망
KR100984266B1 (ko) 뿌리엉김 코이어매트 및 이를 이용한 법면 녹화공법
KR102144275B1 (ko) 라셀 편직 그물망
WO2013000736A1 (en) A hybrid structure for cultivating saltwater and freshwater habitats
KR101182591B1 (ko) 수중 부유식 어류 산란장치
KR200356596Y1 (ko) 방충망 원단
CN201857499U (zh) 一种经编网
JP2008184857A (ja) 起毛植生ネット、及び法面緑化保護方法
CN206109652U (zh) 疏密交织面料
JP3174567U (ja) 多角錐形配列立体ネット
KR200442911Y1 (ko) 장식용 원단
CN104532466A (zh) 可变形碳素纤维生态草织品、编织方法和编织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