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810A -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 - Google Patents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810A
KR20160073810A KR1020140182600A KR20140182600A KR20160073810A KR 20160073810 A KR20160073810 A KR 20160073810A KR 1020140182600 A KR1020140182600 A KR 1020140182600A KR 20140182600 A KR20140182600 A KR 20140182600A KR 20160073810 A KR20160073810 A KR 20160073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anic
latch
bolt
dea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3781B1 (ko
Inventor
김정석
정강현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7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3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설치된 모티스 본체; 상기 모티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데드볼트를 인입시키는 패닉레버; 상기 래치볼트를 인입시키는 래치레버; 및 상기 패닉레버와 상기 래치레버를 연동시키는 핸들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레버에는 상기 래치레버와 연동되는 제1 연결단과, 상기 패닉레버와 연동되는 제2 연결단이 구비되고, 상기 패닉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래치레버보다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모티스 본체로 먼저 인입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연결단에 맞닿는 방향으로 돌출연장된 돌출구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Mortise assembly for anti-panic door lock}
본 발명은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티패닉 도어락의 개방시 데드볼트가 래치볼트보다 늦게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이중잠금기능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이중잠금이란 도어의 기구적인 개폐기능과 전자적인 개폐기능을 동시에 정지시킴에 따라 도어 내부의 특정 버튼(또는 레버)을 눌러서 이중잠금을 해제하지 않는 한 외부나 내부에서 도어를 열 수 없는 상태가 되도록 한 방범 강화기능이다.
이와 더불어 실내손잡이를 조작하면 특정 버튼을 조작하지 않고도 이중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이른바 안티패닉 기능을 갖고 있어서 실내 측에서는 이중잠금의 해제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패닉 기능을 갖춘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를 나타낸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모티스(mortice)는 실내손잡이(1)와, 내측 래치레버(5)가 상호 연결되어 연동가능한 상태에 있으며, 실외 손잡이와 연결축(9), 외측 래치레버(11)가 상호 연결되어 연동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데드볼트(13)가 도면상 우측으로 전진하여 잠금된 상태에서 이중잠금기능을 실행하게 되면 실외측에서는 전자키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도 데드볼트(13)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또한 실외손잡이를 회전조작하게 되면 상기 연결축(9)과 이와 결합된 외측 래치레버(11) 만이 회전되기 때문에 외측 래치레버와 접선되고 있는 래치볼트(14) 만이 조작될 뿐 데드볼트(13)의 조작에 관여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어의 외부에서는 어떠한 조작을 하여도 데드볼트(13)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반면 도어의 내측에서는 실내손잡이(1)의 회전조작으로 데드볼트(13)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실내손잡이(1)를 회전조작하게 되면 이와 연결된 연결핀, 내측 래치레버(5)가 함께 연동회전되며, 회전되는 내측 래치레버(5)는 래치볼트(14)와 접선되면서 래치볼트(14)를 후퇴시킴과 동시에, 데드레버(17)와 접선되면서 데드레버를 강제 회전시킴에 따라 결국 데드레버와 연결되어 있는 데드볼트(13)는모티스의 내부로 후퇴되면서 이중잠금이 해제되는 패닉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패닉 기능을 갖춘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락의 해정시 데드볼트(13)와 래치볼트(14)가 동시에 인입된다고는 하나 구조상, 실제적으로는 데드볼트(13)는 래치볼트의 인입 이후에 모티스 본체로의 인입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패닉 기능으로서 실내 손잡이(1)를 회동시키는 경우, 래치볼트(14)보다 늦게 인입되는 데드볼트(13)가 문 열림이나 닫힘 찰나에 문틀 등에 부딪혀, 데드볼트 동작부(내부 기어연결부)에 충격이 가해져, 데드볼트 동작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543831호(2008.08.2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안티패닉 도어락의 개방시 데드볼트가 래치볼트보다 늦게 인입되어 동작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설치된 모티스 본체; 상기 모티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데드볼트를 인입시키는 패닉레버; 상기 래치볼트를 인입시키는 래치레버; 및 상기 패닉레버와 상기 래치레버를 연동시키는 핸들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레버에는 상기 래치레버와 연동되는 제1 연결단과, 상기 패닉레버와 연동되는 제2 연결단이 구비되고, 상기 패닉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래치레버보다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모티스 본체로 먼저 인입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연결단에 맞닿는 방향으로 돌출연장된 돌출구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패닉레버의 상기 돌출구간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오목하게 슬립구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단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모티스 본체의 내부로 인입 완료된 상태에서도 상기 핸들레버의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래치레버는 상기 래치볼트와 연결된 제1 단부와, 상기 핸들레버의 제1 연결단과 맞닿은 제2 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닉레버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중간 이하에 선회축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패닉레버의 상기 돌출구간과 상기 슬립구간은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개방시 모티스의 데드볼트가 래치볼트보다 먼저 완전 인입됨으로써 데드볼트가 문틀 등에 부딪혀 구동 연결부의 손상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락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데드볼트의 작동부하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패닉 기능을 갖춘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해정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데드볼트가 완전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및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래치볼트가 완전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해정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데드볼트가 완전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래치볼트가 완전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모티스 본체(10)에서 데드볼트(70)와 래치볼트(20)가 동시에 인입이 가능하도록 패닉레버(30)가 구비된 모티스를 전제로 한다.
구체적으로 데드볼트(70)는 말단에 데드레버(40)가 연결되어 데드레버(40)의 선회 작동에 의해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데드볼트(70)의 말단에는 구동 연결부(80)가 구비되어 전자적인 인증에 의해서 자동으로 데드볼트(70)의 인출(잠금상태 설정) 및 인입(해정상태 설정)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래치볼트(20)의 말단은 래치레버(50)의 제1 단부(51)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래치레버(50)를 선회시키는 것으로 래치볼트(20)의 인입(해정상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래치레버(50)의 제2 단부(52)에는 핸들레버(6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핸들레버(60)는 래치레버(50)의 제2단부(52)와 연결되는 제1 연결단(61)과 패닉레버(30)의 말단에 연결된 제2 연결단(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패닉레버(3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주안점은 패닉레버(30)의 구성을 통해 래치볼트(20)보다 데드볼트(70)를 먼저 인입시키도록 구성한 데 주안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해보면, 패닉레버(30)는 하단 쪽으로 치우치도록 선회축(3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패닉레버(30)는 선회축(33)을 중심으로 상단의 선회 크기가 하단의 선회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패닉레버(30)는 상단이 데드볼트(70)와 연결되어 패닉레버(30)가 도면상에서 시계방향으로 선회되는 경우 데드볼트(70)가 모티스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되어 해정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패닉레버(30)의 하단은 대략 'ㄴ'자 형상으로 내측에 슬립구간(32)이 형성되고 슬립구간(32)에서 이어지며 돌출된 형태로 돌출구간(31)이 형성된다.
이때 돌출구간(31)은 핸들레버(60)의 제2 연결단(62)에 맞닿아 핸들레버(60)가 선회되는 경우 제2 연결단(62)이 패닉레버(30)의 돌출구간(31)을 도면상에서 시계방향으로 밀어 패닉레버(30)를 선회축(3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이에 따라 상단에 연결된 데드볼트(7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핸들레버(60)가 회전되면 제2 연결단(62)을 따라 패닉레버(30)의 돌출구간(31)을 따라 이동하여 슬립구간(32)의 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핸들레버(60)가 회전하면 제1 연결단(61)이 래치레버(50)의 제2 단부(52)를 선회시켜, 래치레버(50)가 선회됨으로써 래치레버(50)의 제1 단부(51)에 연결된 래치볼트(20)가 모티스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닉레버(30)는 핸들레버(60)의 선회에 의해 같이 선회되도록 구성되며, 이와 동시에 핸들레버(60)의 회전은 래치레버(50)를 동기화시켜 선회가 이루어짐으로써 래치볼트(20)와 함께 데드볼트(70)를 인입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티스는 잠금상태에서는 데드볼트(70)와 래치볼트(20)가 인출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핸들레버(60)의 제2 연결단(62)이 패닉레버(30)의 돌출구간(31)에 수직으로 맞닿은 상태를 이루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상태에서 핸들레버(60)가 선회되면 핸들레버(60)의 제2 연결단(62)이 패닉레버(30)의 돌출구간(31)을 시계방향으로 밀어 패닉레버(30)가 선회축(33)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된다. 이에 따라 패닉레버(30)의 상단에 연결된 데드볼트(7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핸들레버(60)의 제1 연결단(61)과 맞닿은 래치레버(50)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어 래치볼트(2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상태에서 핸들레버(60)가 보다 회전되면 핸들레버(60)의 제2 연결단(62)은 패닉레버(30)의 돌출구간(31)을 따라 이동하여 슬립구간(32)의 시작 위치에 이르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데드볼트(70)는 모티스 본체(10)의 내부에 완전하게 인입된 상태(즉, 데드볼트의 선단이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핸들레버(60)가 선회되면 데드볼트(70)와 래치볼트(20)는 동시에 인입되지만, 도 4와 같이 데드볼트(70)가 먼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도 래치볼트(20)는 인입 중인 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4와 같이 핸들레버(60)가 선회되면 1차적으로 데드볼트(70)가 완전 인입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반면 이 상태에서는 도 5와 같이 래치볼트(20)가 완전 인입되지 않은 상태를 이룬다. 이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핸들레버(60)를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레버(60)의 제2 연결단(62)은 패닉레버(30)의 돌출구간(31)을 넘어 슬립구간(32)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핸들레버(60)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는 상태로 더욱 회전될 수 있고, 즉 핸들레버(60)의 제2 연결단(62)은 돌출구간(31)을 넘어 스릴구간(32)까지 선회될 수 있고, 이때 데드볼트(70)는 완전 인입된 상태에서 핸들레버(60)의 회전에 의해 래치볼트(20)가 인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핸들레버(60)가 슬립구간(32)을 지나가도록 회전하면 래치볼트(20)의 완전한 인입이 이루어지고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시 모티스의 데드볼트(70)가 래치볼트(20)보다 먼저 완전 인입됨으로써, 데드볼트(70)가 문틀 등에 부딪혀 구동 연결부(80)의 손상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락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데드볼트의 작동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모티스 본체
20: 래치볼트
30: 패닉레버
31: 돌출구간
32: 슬립구간
33: 선회축
40: 데드레버
50: 래치레버
51: 제1 단부
52: 제2 단부
60: 핸들레버
61: 제1 연결단
62: 제2 연결단
70: 데드볼트
80: 구동연결부

Claims (4)

  1. 데드볼트(70)와 래치볼트(20)가 설치된 모티스 본체(10);
    상기 모티스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데드볼트(70)를 인입시키는 패닉레버(30);
    상기 래치볼트(20)를 인입시키는 래치레버(50); 및
    상기 패닉레버(30)와 상기 래치레버(50)를 연동시키는 핸들레버(60)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레버(60)에는 상기 래치레버(50)와 연동되는 제1 연결단(61)과, 상기 패닉레버(30)와 연동되는 제2 연결단(62)이 구비되고,
    상기 패닉레버(30)의 일단에는 상기 래치레버(50)보다 상기 데드볼트(70)를 상기 모티스 본체(10)로 먼저 인입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연결단(62)에 맞닿는 방향으로 돌출연장된 돌출구간(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닉레버(30)의 상기 돌출구간(31)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이며, 내측으로 오목하게 슬립구간(32)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단(62)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데드볼트(70)가 상기 모티스 본체(10)의 내부로 인입 완료된 상태에서도 상기 핸들레버(60)의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레버(50)는 상기 래치볼트(20)와 연결된 제1 단부(51)와,
    상기 핸들레버(60)의 제1 연결단(61)과 맞닿은 제2 단부(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닉레버(30)의 상기 돌출구간(31)과 상기 슬립구간(32)은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

KR1020140182600A 2014-12-17 2014-12-17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 KR101653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600A KR101653781B1 (ko) 2014-12-17 2014-12-17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600A KR101653781B1 (ko) 2014-12-17 2014-12-17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810A true KR20160073810A (ko) 2016-06-27
KR101653781B1 KR101653781B1 (ko) 2016-09-05

Family

ID=5634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600A KR101653781B1 (ko) 2014-12-17 2014-12-17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7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608A (ko) * 2019-01-23 2020-07-31 빌드원 주식회사 도어락용 모티스
KR20220022216A (ko) *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라오나크 모티스 안티패닉 장치
KR20230058563A (ko) * 2021-10-24 2023-05-03 주식회사 라오나크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248B1 (ko) * 2012-04-20 2013-08-28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데드볼트의 우선 이송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KR20140111560A (ko) * 2013-03-11 2014-09-1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락 모티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248B1 (ko) * 2012-04-20 2013-08-28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데드볼트의 우선 이송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KR20140111560A (ko) * 2013-03-11 2014-09-1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락 모티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608A (ko) * 2019-01-23 2020-07-31 빌드원 주식회사 도어락용 모티스
KR20220022216A (ko) *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라오나크 모티스 안티패닉 장치
KR20230058563A (ko) * 2021-10-24 2023-05-03 주식회사 라오나크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781B1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508B1 (ko) 도어락 모티스
US8544302B2 (en) Door cylinder lock
KR101653781B1 (ko) 안티패닉 도어락의 모티스 구조체
GB2556336A (en) Improvements to lock cylinders
KR101436602B1 (ko) 트리거에 의한 록킹볼트의 즉시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잠금 장치
KR102014746B1 (ko) 도어락의 해정 조립체
KR101742220B1 (ko) 데드래치 기능을 가진 도어락 모티스
KR101608820B1 (ko) 복수의 데드볼트가 구동되는 도어락
US20150225981A1 (en) Leaf Spring Lock Cylinder
KR200425532Y1 (ko) 이중잠금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KR20140104167A (ko) 회전형 후크가 구비된 도어락
SE1950590A1 (en) Catch mechanism with a first and a second connector for a bolt and a locking device
KR102453941B1 (ko) 래치 볼트 자동 해정 장치
JP4202501B2 (ja) 安全装置
KR200366984Y1 (ko) 2중 물림 빗장
KR200495519Y1 (ko) 디지털 도어락
KR101452848B1 (ko) 출입문 안전장치
CN210768208U (zh) 一种双快假插芯锁体
KR20150098498A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KR101639733B1 (ko) 이중 잠금장치의 해정조립체
KR102405186B1 (ko) 모티스 안티패닉 장치
JP4035841B2 (ja) 解錠防止機構を持つ錠
KR200484883Y1 (ko) 다수의 걸쇠를 갖는 도어락 모티스의 패닉 구조체
KR20210006190A (ko) 도어가드의 자동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JP4295574B2 (ja) 防犯サムタ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