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128A - 지폐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지폐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128A
KR20160073128A KR1020140181537A KR20140181537A KR20160073128A KR 20160073128 A KR20160073128 A KR 20160073128A KR 1020140181537 A KR1020140181537 A KR 1020140181537A KR 20140181537 A KR20140181537 A KR 20140181537A KR 20160073128 A KR20160073128 A KR 20160073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guide
bills
unit
incr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희
박성수
이경건
김학수
Original Assignee
(주)비티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티비코리아 filed Critical (주)비티비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181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3128A/ko
Publication of KR20160073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장치는 처리하고자 하는 복수의 지폐들이 적재되는 투입부; 투입부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적재된 지폐들 중 가장 밑장과 접촉되며 밑장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이용하여 적재된 지폐들을 한장 씩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키커 롤러; 투입부의 바닥면 중 키커 롤러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적재된 지폐들을 지지하는 높이 가이드; 투입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적재된 지폐들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인써트 가이드; 지폐들에 의해 상기 높이 가이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센싱부; 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하중에 기초하여 높이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하고 조절되는 높이 가이드의 높이에 연동하여 인써트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폐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Currency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계수 및 위폐 검출 기능을 가지는 지폐 처리 장치에서 투입되는 지폐들을 장치 내부로 이송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수기 등과 같은 지폐 처리 장치는 투입되는 복수의 지폐들을 기계적/전자적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계수하고 위폐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지폐뿐만 아니라 수표 등과 같은 유가증권을 처리하는데에도 사용된다.
위와 같은 계수기는 통상 마찰식 계수기가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마찰식 계수기는 사용자를 위한 표시부와 조작부를 갖는 본체의 상부 측에 복수의 지폐들이 적재되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하부 측에는 계수된 지폐들이 방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며, 투입부와 배출부 사이에는 기어와 벨트의 전동으로 구동되는 다수의 롤러들 구비되어 롤러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서 투입부에 적재된 지폐들이 한 장 씩 계수기의 내부로 이송되어 최종적으로는 배출부 측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계수기 내부로 한장 씩 순차적으로 이송된 지폐들은 내부의 인식부에서 인식되어 권종이 인식되거나 위폐 여부가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투입부에 적재된 지폐들이 한장 씩 균일한 간격을 가지고 장치의 내부로 이송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2~3장의 지폐들 겹쳐진 상태로 한꺼번에 이송되는 등의 경우에 있어서, 이후 인식부에 의한 지폐 인식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투입되는 복수의 지폐들이 한장 씩 균일한 간격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계수 및 위폐 검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폐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는, 처리하고자 하는 복수의 지폐들이 적재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상기 적재된 지폐들 중 가장 밑장과 접촉되며, 상기 밑장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적재된 지폐들을 한장 씩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키커 롤러(kicker roller); 상기 투입부의 바닥면 중 상기 키커 롤러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적재된 지폐들을 지지하는 높이 가이드; 상기 투입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적재된 지폐들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인써트 가이드; 상기 지폐들에 의해 상기 높이 가이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하중에 기초하여 상기 높이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되는 높이 가이드의 높이에 연동하여 상기 인써트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은, 상기 지폐 처리 장치의 투입부에 적재된 복수의 지폐들에 의해 상기 높이 가이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하중에 기초하여 상기 높이 가이드의 높이에 대한 보상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보상 값만큼 상기 높이 가이드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높이 가이드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인써트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지폐 처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중 적어도 일부 단계는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적재된 지폐들에 의한 하중에 따라 지폐들을 지지하는 높이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지폐와 키커 롤러 사이의 마찰력을 일정 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투입되는 지폐들의 수량에 관계없이 한장 씩 균일한 간격으로 지폐가 내부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투입되는 지폐들의 수량에 관계없이 한장 씩 균일한 간격으로 지폐가 내부로 이송되도록 함에 따라, 장치 내부에서 수행되는 권종 식별 및 위폐 검출 등의 동작이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된 지폐들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인써트 가이드의 높이를 높이 가이드의 높이에 연동하여 조절함으로써, 적재된 지폐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복수의 지폐들이 적재되는 투입부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적재되는 지폐들에 의한 하중의 변화가 키커 롤러의 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센싱부와 높이 조절부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지폐 하중과 높이 가이드의 높이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인써트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투입되는 하나 이상의 지폐들에 대해 계수 및 위폐 검출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폐 처리 장치(10)는 투입부(140)에 적재되는 복수의 지폐들이 순차적으로 한장 씩 투입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롤러들(110)과, 상기 지폐들의 이송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이송 센서들(120) 및 상기 이송되는 지폐의 이송 경로(T)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지폐의 권종을 인식하고 위조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인식 센서들(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롤러들(110)은 지폐를 이송시키기 위한 메인-피드(main-feed) 롤러, 적재된 지폐들을 낱장으로 분리하여 상기 메인-피드 롤러까지 전달하기 위한 키커(kicker) 롤러 및 푸시(push) 롤러, 두장 이상의 지폐들이 함께 이송되는 경우 윗장을 반대방향으로 밀어내어 낱장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리버스(reverse) 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 센서들(120)은 낱장으로 분리되어 이송되는 지폐의 투입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투입 센서와 이송 경로(T) 중간에 지폐들의 잼(jam)을 검출하기 위한 잼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식 센서들(130)은 CIS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되는 각 지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 내의 지폐 특성 정보를 추출하여 권종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인식 센서들(130)은 지폐에 형성된 다양한 위폐 요소들을 검출하기 위한 적외선(IR) 센서, 자외선(UV) 센서, 마그네틱(MG) 센서, 초음파(US) 센서, CIS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하여, 지폐 처리 장치(10)는, 위폐 검출을 위하여, 지폐의 특정 영역에 형성된 안티 스토크스(Anti-Stoke's) 발광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안티 스토크스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안티 스토크스 발광 물질은 적외선(IR)으로 여기되는 경우 가시광선 범위에서 발광할 수 있는 발광 물질로서, 라만 스펙트럼의 회전선을 라만선이라 하고, 입사광보다 긴 파장쪽에 나타나는 선을 스토크스선, 짧은 파장쪽에 나타나는 선을 안티 스토크스선이라 한다.
상기 라만 스펙트럼은 라만 효과에 의한 산란광의 스펙트럼으로서, 입사 광자와 분자 사이에 분자의 바닥 상태의 진동 준위간 에너지차의 주고 받음이 일어나는 경우의 스펙트럼을 진동 라만 스펙트럼이라 한다.
이 경우, 회전 준위간의 전이도 관계되기 때문에 라만 회전 진동 밴드라고도 하며, 진동 양자수가 1만큼 변화하는 것이 강하게 나타난다. 한편 바닥 상태의 최저 진동 준위 내의 회전 준위간 에너지차의 주고 받음이 일어나는 경우의 스펙트럼을 회전 라만 스펙트럼이라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위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정상 지폐들은 스택커(stacker, 150)에 적재되며, 위폐로 판단되거나 권종을 확인할 수 없는 등의 비정상 지폐는 리젝트 포켓(reject pocket, 16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복수의 지폐들이 적재되는 투입부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투입부(14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폐 처리 장치(10) 상측에 위치한 투입부(140)의 바닥면(180)에는, 한 쌍의 키커 롤러(111)와 한 쌍의 푸시 롤러(113)가 일부 돌출된 형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투입부(140)의 바닥면(180)에는 계수 또는 위폐 검출 등의 처리를 위해 적재되는 지폐들(A)을 지지하기 위한 이 가이드(171)가 형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키커 롤러들(111)의 양 측 외곽 영역들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부(140)의 일측에는 상기 적재된 지폐들의 측면을 지지하여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인써트 가이드(17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투입부(140)에 복수의 지폐들이 적재되면, 상기 적재된 지폐들 중 가장 밑장과 키커 롤러(111)가 접촉되며, 상기 키커 롤러(11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밑장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적재된 지폐들이 한장 씩 푸쉬 롤러(113)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쉬 롤러(113)는 키커 롤러(111)로부터 한장 씩 이송되어 오는 지폐들을 메인-피드 롤러에 밀착시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투입부(140)에 적재되는 지폐들의 수량에 따라 키커 롤러(111)에 가해지는 하중이 변화하게 되며, 상기 하중의 변화에 의해 마찰력이 변화하여 키커 롤러(111)에 의한 지폐의 피딩이 불규칙하게 동작될 수 있다.
높이 가이드(171)가 적재된 지폐들에 의해 키커 롤러(111)에 가해지는 하중을 양쪽 끝 외곽에서 분산시켜 지폐의 피딩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위와 같은 역할도 지폐의 수량이 일정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한하여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투입부(140)에 적재된 지폐들(A)의 수량이 일정 범위로 적절한 경우(예를 들어, 200장 이하)에는, 한 쌍의 높이 가이드들(171, 172)이 키커 롤러들(111, 112)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지폐들(A)의 밑장이 평평하게 유지되며, 그에 따라 지폐 밑장과 키커 롤러들(111, 112) 사이의 마찰력이 일정 범위 내에서 균등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들(A)의 밑장과 키커 롤러들(111, 112) 사이의 마찰력이 일정 범위 내에서 균등하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의도한 바와 같이 키커 롤러들(111, 112)의 회전에 의해 적재된 지폐들(A)이 한장 씩 균일한 간격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140)에 적재된 지폐들(A)의 수량이 과도한 경우(예를 들어, 350장 초과)에는, 지폐들(A)에 의한 하중이 높이 가이드들(171, 172)에 의해 균일하게 분산되기 어려우며, 그에 따라 지폐 밑장과 키커 롤러들(111, 112) 사이의 마찰력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들(A)의 밑장과 키커 롤러들(111, 112) 사이의 마찰력이 크게 증가되는 경우에는, 키커 롤러들(111, 112)의 회전에 의해 적재된 지폐들(A)이 한장 씩 균일한 간격으로 이송되지 않는(예를 들어, 2~3 장씩 이송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적재된 지폐들에 의한 하중에 따라 높이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지폐와 키커 롤러 사이의 마찰력을 일정 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투입되는 지폐들의 수량에 관계없이 한장 씩 균일한 간격으로 지폐가 내부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투입되는 지폐들의 수량에 관계없이 한장 씩 균일한 간격으로 지폐가 내부로 이송되도록 함에 따라, 장치 내부의 인식 센서들(130)을 이용해 수행되는 권종 식별 및 위폐 검출 등의 동작이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된 지폐들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인써트 가이드의 높이를 상기와 같이 조절되는 높이 가이드의 높이와 연동하여 조절함으로써, 지폐들이 안정적으로 측면에서 지지되어 지폐 처리 장치(10)의 동작 중에 적재된 지폐들이 넘어지거나 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지폐 처리 장치의 구성 중 높이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일부 구성들만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폐 처리 장치는 센싱부(510), 높이 조절부(520), 높이 가이드(530) 및 인써트 가이드(5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지폐 처리 장치의 구성들 중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센싱부(510)는 투입부(140)에 적재된 지폐들에 의해 높이 가이드(5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센싱부(510)는 높이 가이드(530)의 하측에 위치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지폐들에 의한 하중을 측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지폐들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이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또는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높이 조절부(520)는 상기 센싱부(510)를 통해 측정된 하중에 기초하여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 조절부(520)는 상기 측정된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가 증가되도록 하고, 반대로 상기 측정된 하중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가 감소되도록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를 위해, 높이 조절부(520)는 상기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투입부(140)에 적재된 지폐들의 장수가 증가함에 따라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가 증가되고, 상기 적재된 지폐들의 장수가 감소함에 따라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가 감소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적재된 지폐들 중 가장 밑장과 키커 롤러(111) 사이의 마찰력이 소정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부(520)는 상기와 같이 조절되는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에 연동하여 인써트 가이드(540)의 높이도 함께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입부(140)에 적재된 지폐들의 장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폐의 하중이 증가하여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가 증가되고, 그와 함께 인써트 가이드(540)의 높이도 증가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적재된 지폐들의 장수가 감소함에 따라 지폐의 하중이 감소하여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가 감소되며, 그와 함께 인써트 가이드(540)의 높이도 함께 감소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지폐 처리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동작 제어 방법을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구성들 중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지폐 처리 장치(10)의 센싱부(510)는 투입부(140)에 적재된 복수의 지폐들에 의해 높이 가이드(5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한다(S600 단계).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센서(511)가 높이 가이드(530)의 하측에 부착되어 투입부(140)에 적재된 지폐들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520)에 구비된 보상값 결정부(미도시)는 상기 S600 단계에서 측정된 하중에 기초하여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에 대한 보상 값을 결정한다(S610 단계).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는 상기 압력 센서(511)에 의해 측정된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그와 함께 증가하는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보상 값은 상기 하중에 따라 결정된 높이와 높이 가이드(530)의 현재 높이 사이의 차이(difference)에 따라 구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H)는 압력 센서(511)의 출력(P)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가지도록 결정될 수 있으나, 일부 구간에서는 압력 센서(511)의 출력(P)이 변화하여도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H)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H)가 압력 센서(511)의 출력(P)에 따라 변화하는 기울기는 2 이상의 구간에서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511)의 출력(P)이 증가하여 p1이 될 때가지는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H)가 변화되지 않고, p1에서 p2로 증가함에 따라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H)도 증가하도록 결정되며, p2에서 p3로 증가함에 따라서는 이전 구간보다 더 큰 기울기를 가지고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H)도 증가하도록 결정되고, p3 이상에서는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H)가 유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압력 센서(511)의 출력(P)과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H) 사이의 관계는 일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그 후, 높이 조절부(520)는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S610 단계에서 결정된 보상 값만큼 높이 가이드(53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고(S620 단계), 상기 높이 가이드(53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인써트 가이드(540)의 높이를 조절한다(S630 단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부(520)에 구비되어 높이 가이드(53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미도시)는 높이 가이드(53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521)와, 상기 스테핑 모터(521)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을 높이 가이드(530)에 전달하기 위한 암(Arm, 52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높이 가이드(530)가 상하로 이동되어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그와 연동하여 인써트 가이드(540)의 높이도 조절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인써트 가이드(5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높이 가이드(5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스테핑 모터와 같은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중 적어도 일부 단계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지폐 처리 장치 110 : 롤러
111, 112 : 키커 롤러 113 : 푸시 롤러
120 : 이송 센서 130 : 인식 센서
140 : 투입부 150 : 스택커
160 : 리젝트 포켓 171, 172 : 높이 가이드
173 : 인써트 가이드 180 : 투입부 바닥면
510 : 센싱부 511 : 압력 센서
520 : 높이 조절부 521 : 모터
523 : 암(Arm) 530 : 높이 가이드

Claims (15)

  1. 계수 및 위폐 검출 기능을 가지는 지폐 처리 장치에 있어서,
    처리하고자 하는 복수의 지폐들이 적재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상기 적재된 지폐들 중 가장 밑장과 접촉되며, 상기 밑장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적재된 지폐들을 한장 씩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키커 롤러(kicker roller);
    상기 투입부의 바닥면 중 상기 키커 롤러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적재된 지폐들을 지지하는 높이 가이드;
    상기 투입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적재된 지폐들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인써트 가이드;
    상기 지폐들에 의해 상기 높이 가이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하중에 기초하여 상기 높이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되는 높이 가이드의 높이에 연동하여 상기 인써트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지폐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가이드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인써트 가이드의 높이가 증가되는 지폐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높이 가이드의 하측에 위치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지폐들에 의한 하중을 측정하는 지폐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측정된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높이 가이드의 높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높이 가이드의 높이를 결정하는 지폐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측정된 하중에 기초하여 결정된 높이와 상기 높이 가이드의 현재 높이의 차이에 따라 높이 보상 값을 결정하는 보상값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보상 값만큼 상기 높이 가이드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지폐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높이 가이드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을 상기 높이 가이드에 전달하기 위한 암(arm)을 포함하는 지폐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된 지폐들의 장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높이 가이드의 높이가 증가되는 지폐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된 지폐들의 장수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높이 가이드의 높이가 감소되는 지폐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된 지폐들 중 가장 밑장과 상기 키커 롤러 사이의 마찰력은 소정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폐 처리 장치.
  10. 투입부에 적재된 지폐들을 한장 씩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키커 롤러, 상기 투입부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상기 지폐들을 지지하기 위한 높이 가이드 및 상기 투입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지폐들을 측면에서 지지하기 위한 인써트 가이드를 구비하는 지폐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에 적재된 복수의 지폐들에 의해 상기 높이 가이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하중에 기초하여 상기 높이 가이드의 높이에 대한 보상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보상 값만큼 상기 높이 가이드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높이 가이드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인써트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폐 처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가이드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인써트 가이드의 높이가 증가되는 지폐 처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값 결정 단계는
    상기 측정된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높이 가이드의 높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상 값을 결정하는 지폐 처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된 지폐들의 장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높이 가이드의 높이가 증가되는 지폐 처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된 지폐들의 장수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높이 가이드의 높이가 감소되는 지폐 처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된 지폐들 중 가장 밑장과 상기 키커 롤러 사이의 마찰력은 소정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폐 처리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0140181537A 2014-12-16 2014-12-16 지폐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KR20160073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537A KR20160073128A (ko) 2014-12-16 2014-12-16 지폐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537A KR20160073128A (ko) 2014-12-16 2014-12-16 지폐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128A true KR20160073128A (ko) 2016-06-24

Family

ID=5634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537A KR20160073128A (ko) 2014-12-16 2014-12-16 지폐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31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83268A (zh) * 2016-12-19 2017-05-17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实现控制点钞箱舌片定位运动的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83268A (zh) * 2016-12-19 2017-05-17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实现控制点钞箱舌片定位运动的方法及装置
CN106683268B (zh) * 2016-12-19 2019-04-09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实现控制点钞箱舌片定位运动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4738B2 (ja)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
US7458572B2 (en) Banknote feeding apparatus
TW200831383A (en) Media separating device
JP2009113941A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1660324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KR101573656B1 (ko) 지폐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위폐 검출 방법
US20120072012A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 processing method
JP5187167B2 (ja) 媒体処理装置
KR20160073128A (ko) 지폐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KR20160073122A (ko) 지폐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KR101590635B1 (ko) 매체 겹침 검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408575B1 (ko)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집적부를 갖는 매체집적장치 및 매체집적방법
US20140305846A1 (en) Fluorescence and afterglow detection device and sheet processing apparatus
KR20160073131A (ko) 지폐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KR950011842B1 (ko) 지엽류 퇴적 방법 및 장치
KR20160073123A (ko) 지폐 처리 장치
KR102357061B1 (ko) 지폐처리장치 및 방법
KR20160077671A (ko) 지폐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KR101539604B1 (ko) 현금 자동 입출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위폐 검출 방법
KR20160073135A (ko) 지폐 처리 장치
KR20180014462A (ko) 액티브 편광필터를 이용한 테이프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60077673A (ko) 지폐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KR20180014451A (ko) 지폐 테이프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60073142A (ko) 지폐 처리 장치
KR20160077743A (ko) 지폐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폴리머 지폐의 훼손 여부 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