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756A - 콜라겐과 유황을 함유하여 보습력과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비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콜라겐과 유황을 함유하여 보습력과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비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756A
KR20160071756A KR1020140179304A KR20140179304A KR20160071756A KR 20160071756 A KR20160071756 A KR 20160071756A KR 1020140179304 A KR1020140179304 A KR 1020140179304A KR 20140179304 A KR20140179304 A KR 20140179304A KR 20160071756 A KR20160071756 A KR 20160071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oil
soap
sulfur
glycer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진
Original Assignee
김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진 filed Critical 김이진
Priority to KR1020140179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1756A/ko
Publication of KR20160071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6Animal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안, 세수 및 목욕용으로 사용되는 비누에 관한 것인바, 비누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콜라겐 워터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콜라겐 워터는 증류수와 콜라겐 및 식물성 유황을 혼합한 것으로, 비누로 사용시 보습력과 세척력이 크게 향상되는 비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콜라겐과 유황을 함유하여 보습력과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비누 제조방법{Soap production method by collagen, sulfur-containing and improving the hydration and washing}
본 발명은 세안, 세수 및 목욕용으로 사용되는 비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콜라겐과 유황을 첨가하여 보습력과 세척력을 향상시킨 비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누는 기본적으로 거품이 잘 일고 세척에 사용되는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그 중에서도 세안, 세수, 목욕 등 미용에 사용되는 비누는 세척력은 물론이고 보습과 향 등이 중요한 기능으로 대두되는 현실이라 할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비누에서 부족한 기능으로 본 발명이 특히 중요시하는 기능은 보습력과 세척력이다.
피부가 건조하게 되면 건성습진, 건선, 가려움증, 각질, 아토피의 악화 등 각종 피부관련 질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보습을 위하여 별도의 보습기능을 갖는 화장품 류를 사용하고 있는 현실이며, 이러한 보습을 위한 화장품이나 보조용구 등에 의한 비용과 시간이 많이 낭비된다 할 수 있다.
일반적인 비누의 과다사용은 도리어 피부건조증을 불러 올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비누의 보습과 관련하여 주목하는 성분은 콜라겐이다.
콜라겐은 동물의 뼈와 피부에 주로 존재하며 연골, 장기 막, 머리카락 등에도 분포되어 있는 경단백질(硬蛋白質)로서, 섬유상 고체로 존재하며, 피부에 도포하거나 직접 먹기도 하며 직접 주사로 피부에 채우기도 한다.
이러한 콜라겐은 인체에 작용하여 피부를 노화방지와 탄력을 증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누의 세척력과 관련하여 식물성 유황을 주목하였다.
식물성 유황 역시 무좀, 아토피, 비듬 등 만성 피부질환에 좋고 피부의 노폐물 제거에 탁월하며, 미백과 주름개선에도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특허공개공보 10-2006-0111928(2006.10.31)
본 발명은 콜라겐의 성분이 피부에 접촉하였을 때 보습력이 강화된다는 점과 유황이 피부의 세척력을 향상시킨다는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기 콜라겐과 유황을 적절한 방법과 적절한 비율로 비누를 제조하는 과정에 투여하여 보습력과 세척력이 최대한 향상되는 비누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비누베이스에 허브 류와 피마자오일, 글리세린, 아로마 오일을 포함하여 몰드에서 성형하는 방법으로 비누를 제조함에 있어서, 비누베이스의 중량 대비 0.035% 내지 0.040%의 콜라겐 워터를 혼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콜라겐 워터는 증류수 100g에 콜라겐 3g 내지 6g, 식물성 유황 4g 내지 7g을 녹이고 숙성하여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은 세안이나 세수 및 목욕 등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콜라겐의 성분이 피부에 적용되어 피부에 보습력을 향상시키게 되고, 특히 겨울철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부의 건조에 따르는 각종 피부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식물성 유황 성분에 의해 또한 세척력이 강화되므로 비누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피부에 쌓인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등 피부에 매우 유용한 비누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 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준비하여야 할 성분들과 그 비율을 살펴본다.(함유율: 중량비)
비누베이스를 일정량 준비하고 이러한 비누베이스의 중량을 1로 하여,
허브분말, 허브잎, 연꽃오일, 시어버터, 피마자오일, 아르간 오일: 각각 0.002 ~ 0.005
글리세린0.02
꿀:0.015
병풀 추출물, 식물(꽃) 추출물: 각 0.01
콜라겐 워터(증류수+유황+콜라겐): 0.035~0.040
아로마오일: 0.015
상기와 같은 성분들을 준비한 후 제조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살펴본다.
미리 콜라겐 워터를 만들어 두는데, 콜라겐 워터는 증류수 100g에 콜라겐 3~6g, 그리고 식물성 유황 4~7g을 넣어 녹이고 숙성시킨 것이다.
먼저 비누베이스 1kg을 녹인다.
녹은 비누베이스에 카렌듈라 허브분말 3g과 카렌듈라 허브잎 2g을 넣어 저어주고 우려낸다.
연꽃오일(또는 카렌듈라 오일) 5g, 시어버터 3g, 피마자오일 5g을 넣고 잘 젓는다.
글리세린 20g, 꿀 15g, 식물(꽃)추출물 10g을 넣는다.
상기 준비된 콜라겐 워터 37g을 넣는다.
상기와 같이 성분들이 포함된 비누베이스의 온도가 점차 낮아져 65℃가 되면 아로마오일 15g을 넣는다. 이러한 온도에서 아로마가 적절하게 혼합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향이 적절하게 나올 수 있다.
몰드에 붓는다.
비누가 굳으면 몰드에서 분리시켜 제조를 완성한다.
상기 콜라겐 워터를 만드는 공정에서 콜라겐과 유황의 함유량은 상당히 중요한데, 이는 반복된 실험을 통하여 보습 정도와 단단함, 향, 세척력 정도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입증된 것이다.
콜라겐 함유량에 따른 보습력 만족도 조사
만족도
/
콜라겐의 양

매우 불만족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
1g 51 20 8 10 11
2g 45 19 6 15 20
3g 4 5 12 20 59
4g 1 3 6 26 64
5g 0 2 1 10 87
6g 6 4 2 17 75
7g 11 12 4 19 61
8g 21 7 8 16 48
상기 실험 결과는 비누를 사용한 후 피부에서 느껴지는 건조함을 보완하고 보습력을 강화하고자 콜라겐을 다양한 함유량으로 넣어 비누를 제조한 다음 사용자들에게 만족도를 조사한 것이다.
증류수 100g을 기준으로 1~8g의 범위에서 1g 단위로 콜라겐을 넣어 콜라겐 워터를 만들고 이러한 콜라켄 워터를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한 후, 사용자들에게 평가를 받은 결과, 콜라겐 1g으로부터 점차 만족과 매우 만족 선택 수가 상승하고 6g이 넘을 때는 미끌거리는 느낌이 난다는 평가가 있었다.
이러한 실험에 따라 증류수 100g당 3 내지 6g의 콜라겐 함유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고, 최적의 함유량은 5g는 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콜라겐 함유량에 따른 비누의 단단함 만족도 조사
만족도
/
콜라겐의 양

매우 불만족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
1g 1 2 4 26 67
2g 1 2 9 24 64
3g 3 4 17 19 57
4g 7 9 8 20 56
5g 6 8 7 22 57
6g 9 14 14 16 47
7g 14 25 25 12 39
8g 22 6 6 13 30
상기 실험에서는 증류수 100g당 콜라겐 6g 이상이 되면 비누가 과도하게 무르다는 평가가 많아졌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도 콜라겐은 5g이 적당하다고 판단되었다.
콜라겐 함유량에 따른 비누의 향 만족도 조사
만족도
/
콜라겐의 양

매우 불만족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
1g 2 2 5 28 63
2g 2 2 4 27 64
3g 1 2 3 28 66
4g 2 3 5 25 65
5g 2 3 3 28 64
6g 1 4 5 24 66
7g 2 2 5 26 65
8g 1 5 5 25 66
상기 비누의 향에 관한 실험에서는 콜라겐의 함유량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식물성 유황 함유량에 따른 비누의 세척력 만족도 조사
만족도
/
식물성 유황의 양

매우 불만족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
1g 33 8 13 16 30
2g 17 9 9 22 43
3g 10 13 13 14 50
4g 2 4 4 27 62
5g 2 4 4 15 76
6g 1 3 3 12 82
7g 12 2 2 15 63
8g 26 8 8 10 44
9g 35 16 6 14 29
식물성 유황은 노폐물 제거에 효과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콜라겐 5g 함께 식물성 유황을 증류수 100g을 기준으로 1~9g의 범위에서 1g 단위로 증가시키면서 넣어 비누를 만들고 사용자들에게 평가를 받은 결과, 1g에서부터 6g까지는 점차 만족도가 상승하였고, 7g에 이르자 만족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보습력이 떨어지거나 피부에 자극이 되는 듯하다는 느낌을 받는다는 평가가 있었다.
따라서 만족스러운 식물성 유황의 함유량은 증류수 100g당 4 내지 7g의 범위이며, 최적의 함유량은 6g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험결과에 의한 콜라겐 및 식물성 유황의 함유량을 갖는 콜라겐워터를 만들고 이러한 콜라겐 워터를 비누제조 과정에서 적정량 포함시켜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피부에 관한 보습력을 향상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피부의 건조에 따르는 각종 피부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되며, 또한 세척력을 강화하여 비누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노폐물을 제거하여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비누베이스에 허브 류와 피마자오일, 글리세린, 아로마 오일을 포함하여 몰드에서 성형하는 방법으로 비누를 제조함에 있어서, 비누베이스의 중량 대비 0.035% 내지 0.040%의 콜라겐 워터를 혼합하며, 상기 콜라겐 워터는 증류수 100g당 콜라겐 3g 내지 6g, 식물성 유황 4g 내지 7g을 혼합하여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과 유황을 함유하여 보습력과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비누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비누베이스의 중량대비 허브분말, 허브잎, 연꽃오일, 시어버터, 피마자오일, 아르간 오일은 각각 0.002 ~ 0.005%,\이고, 글리세린은 0.02%, 꿀은 0.015%, 병풀 추출물 및 식물(꽃) 추출물은 각 0.01%, 글리세린 0.02%, 아로마오일 0.0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과 유황을 함유하여 보습력과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비누 제조방법.
  3. 비누베이스 1kg을 녹이고,
    녹은 비누베이스에 카렌듈라 허브분말 3g과 카렌듈라 허브잎 2g을 넣어 저어주고 우려내며,
    연꽃오일(또는 카렌듈라 오일) 5g, 시어버터 3g, 피마자오일 5g을 넣고 잘 저어 주며,
    글리세린 20g, 꿀 15g, 식물(꽃)추출물 10g을 넣고,
    증류수에 콜라겐과 식물성 유함을 함유한 콜라겐 워터 37g을 넣으며,
    상기와 같이 성분들이 포함된 비누베이스의 온도가 점차 낮아져 65℃가 되면 아로마오일 15g을 넣고,
    몰드에 부어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과 유황을 함유하여 보습력과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비누 제조방법.
KR1020140179304A 2014-12-12 2014-12-12 콜라겐과 유황을 함유하여 보습력과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비누 제조방법 KR20160071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304A KR20160071756A (ko) 2014-12-12 2014-12-12 콜라겐과 유황을 함유하여 보습력과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비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304A KR20160071756A (ko) 2014-12-12 2014-12-12 콜라겐과 유황을 함유하여 보습력과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비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756A true KR20160071756A (ko) 2016-06-22

Family

ID=5636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304A KR20160071756A (ko) 2014-12-12 2014-12-12 콜라겐과 유황을 함유하여 보습력과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비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17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3905A (zh) * 2018-02-08 2018-06-05 重庆菩璞生物科技有限公司 莲花油口红
KR20210037337A (ko) * 2019-09-27 2021-04-06 주식회사 지가미 고기능성 원료의 첨가량을 효과적으로 증대하여 세정 및 미백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비누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928A (ko) 2005-04-25 2006-10-31 주식회사오라월드 파이레이 유황비누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928A (ko) 2005-04-25 2006-10-31 주식회사오라월드 파이레이 유황비누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3905A (zh) * 2018-02-08 2018-06-05 重庆菩璞生物科技有限公司 莲花油口红
KR20210037337A (ko) * 2019-09-27 2021-04-06 주식회사 지가미 고기능성 원료의 첨가량을 효과적으로 증대하여 세정 및 미백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비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661B1 (ko)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827258B1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
KR102460827B1 (ko) 진피-메밀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101723845B1 (ko) 천연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천연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5476950B (zh) 保湿泡沫洁面乳及其制备方法
KR101565716B1 (ko) 천연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2604B1 (ko) 코코넛 추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8431B1 (ko) 천연유래물질을 이용한 발포성 입욕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365641A (zh) 一种植物精油洁肤皂
KR20160071756A (ko) 콜라겐과 유황을 함유하여 보습력과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비누 제조방법
KR101447337B1 (ko) 식물성 오일과 생약추출물을 이용한 세안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18941B1 (ko)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496057B1 (ja) 頭皮、頭髪用ヘアケアセット及び育毛剤
KR101397644B1 (ko)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
KR102227345B1 (ko) 단단함이 향상된 고체샴푸의 제조방법
KR20010008007A (ko) 피부 세정수의 제조방법
KR100889390B1 (ko) 검은콩 분말이 함유된 흑비누의 제조방법
KR102255269B1 (ko) 두피 케어용 비누 제조방법
KR101405314B1 (ko) 스킨로션 제조방법
KR101957428B1 (ko) 노화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101228498B1 (ko) 잣송이 겉껍질 미분을 이용한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85132A (ko) 진주분말과 나노 은이 함유된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방법
JPS61263908A (ja) 樫タンニンを用いた整髪液と化粧水及び化粧クリ−ムの製法
KR100951115B1 (ko) 해초 및 야생화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KR101845308B1 (ko) 염화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전신 세정용 고체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