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701A - 반도체 패키지, 모듈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 모듈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701A
KR20160071701A KR1020140179185A KR20140179185A KR20160071701A KR 20160071701 A KR20160071701 A KR 20160071701A KR 1020140179185 A KR1020140179185 A KR 1020140179185A KR 20140179185 A KR20140179185 A KR 20140179185A KR 20160071701 A KR20160071701 A KR 20160071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
connection terminals
substrat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9899B1 (ko
Inventor
김진경
김용훈
신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9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899B1/ko
Priority to US14/746,247 priority patent/US9570383B2/en
Publication of KR20160071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11Additional leads joined to the metallisation on the insulating substrate, e.g. pins, bumps, wires, flat leads
    • H01L23/49816Spherical bumps on the substrate for external connection, e.g. ball grid arrays [BG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1Internal lead connections, e.g. via connections, feedthrough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38Geometry or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2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07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 H01L23/312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a substrate forming part of the encapsulation
    • H01L23/31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a substrate forming part of the encapsulation the substrate having spherical bumps for extern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ball array, e.g. BG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78Interpos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734Ball grid array [BGA]; Bump grid arr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볼 그리드 어레이 타입의 반도체 패키지, 모듈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모듈은 상면에 복수 개의 신호선을 포함하는 모듈 기판; 모듈 기판 상에 배치되고, 일면과 상기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을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일면 상에 배치된 반도체 칩; 및 타면 상에 배치되어, 반도체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타면은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영역과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영역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는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영역 내에 일대일로 배치되어, 복수 개의 신호선과 일대일로 접속하여 고속 신호를 입출력하고,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패키지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주기적으로 배치되고, 패키지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주기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 사이에는,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 영역의 일부가 배치되고,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 상에는 복수 개의 신호선 중 적어도 두 개가 통과한다.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 모듈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SEMICONDUCTOR PACKAGE, MODULE SUBSTRATE AND SEMICONDUCTOR PACKAGE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 모듈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볼 그리드 어레이 타입의 반도체 패키지, 모듈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에 대한 것이다.
전자기기들의 경박단소화 추세에 따라 그의 핵심 소자인 패키지의 고밀도, 고실장화가 중요한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개발된 패키지 중의 하나가 볼 그리드 어레이(Ball Grid Array; BGA) 패키지이다. BGA 패키지는 통상적인 플라스틱 패키지에 비하여, 모듈 기판(module board)에 대한 실장 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고,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는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BGA 패키지는 통상적인 플라스틱 패키지와 달리 리드 프레임(lead frame) 대신에 인쇄 회로 기판을 사용한다. 인쇄 회로 기판은 반도체 칩이 실장 되는 면의 반대쪽 전면을 외부 접속단자인 솔더 볼(solder ball)들의 형성 영역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듈 기판에 대한 실장 밀도 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반도체 패키지가 고밀도, 고실장화됨에 따라, 이를 지원하기 위한 모듈 기판 역시 배선 패턴 등의 미세 설계가 요구되므로, 제작 비용의 상승이 문제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듈 기판의 배선 패턴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미세 공정이 요구되지 않는 모듈 기판을 포함하여, 상대적으로 제작 비용이 저렴한 반도체 패키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외부 신호 입출력을 위한 외부단자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모듈은 상면에 복수 개의 신호선을 포함하는 모듈 기판; 상기 모듈 기판 상에 배치되고, 일면과 상기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을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된 반도체 칩; 및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타면은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영역과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는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영역 내에 일대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신호선과 일대일로 접속하여 고속 신호를 입출력하고,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패키지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주기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패키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주기적으로 배치된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 사이에는,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 영역의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 상에는 상기 복수 개의 신호선 중 적어도 두 개가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속 신호는 차동 신호이고,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영역과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영역은 배열을 형성하고, 상기 배열 중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3열이 포함하는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가, 상기 차동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속 신호는 차동 신호이고, 기 배열 중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3열이 포함하는 영역은,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중 8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 영역과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 중 1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차동 신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차동 신호 영역 각각은 3x3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중 상기 8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는 4개의 차동 쌍(differential pair)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4개의 차동 쌍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중 서로 이격된 외부 접속단자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열 중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3열은 격자형 배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열 중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3열은 지그재그형 배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는 솔더 볼(solder bal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 기판 및 상기 패키지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일면과 상기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을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상기 일면 상에 실장되어,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 상기 타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는 규칙적인 배열을 형성하되, 상기 배열 중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3열이 포함하는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중 적어도 4쌍은 차동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신호 제어부로 입력하고, 상기 반도체 칩이 포함하는 신호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차동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4쌍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중 서로 이격된 외부 접속단자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타면은,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중 차동 신호를 입력받는 4쌍이 배치된 8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 영역과 1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을 가지는 복수 개의 차동 신호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1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은 상기 3열 중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8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 영역과 1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은, 3x3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는 솔더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일면과 상기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을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된 반도체 칩; 및 상기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는, 상기 패키지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1 및 제2 외부 접속단자 그룹을 포함하되, 상기 각외부 접속단자 그룹은, 제1 내지 제8 외부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접속단자는 제1 행에 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 내지 제5 외부 접속단자는 제2 행에 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6 내지 제8 외부 접속단자는 제3 행에 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6 외부 접속단자는 제1 열에 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제4 및 제7 외부 접속단자는 제2 열에 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제5 및 제8 외부 접속단자는 제3 열에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반도체 칩은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8 외부 접속단자는 4개의 차동 쌍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차동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차동 신호는 상기 반도체 칩이 포함하는 신호 제어부에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4개의 차동 쌍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내지 제8 외부 접속단자 중 서로 이격된 2개의 외부 접속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는 솔더 볼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기판은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신호선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신호선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기판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신호선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각 신호선 그룹은 제1 내지 제8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일면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기판의 내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내지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신호선은 상기 제1 영역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3 내지 제5 신호선은 상기 제2 영역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6 내지 제8 신호선은 상기 제3 영역까지 연장되되, 상기 제1 내지 제8 신호선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1 영역의 사이 영역에서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바라본 상기 반도체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가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가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5의 반도체 패키지 모듈에서, 반도체 패키지 모듈이 포함하는 모듈 기판과 반도체 패키지가 포함하는 외부 접속단자들과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및 반도체 패키지 모듈의 고속 신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접속단자와 신호선 간의 배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또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또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을 적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반도체 시스템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A-A선을 따라 바라본 상기 반도체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100)는 패키지 기판(10), 외부 접속단자 (20), 외부 패드(22), 내부 패드(30), 반도체 칩(40), 본딩 패드(50), 페이스트부(60), 와이어(70) 및 몰딩부(80)를 포함한다.
반도체 칩(40)은 패키지 기판(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패드(30)은 패키지 기판(1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외부 패드(22)는 패키지 기판(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패드(22)의 하부 면에 외부 접속단자 (20)가 배치될 수 있다.
패키지 기판(10)은 일면, 상기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 및 상기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칩(40)은 패키지 기판(1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칩(40)은 패키지 기판(10)의 중앙부 상면에 페이스트부(40)을 형성한 다음, 반도체 칩(40)의 하부면을 페이스트부(40)에 접촉시킴으로써, 패키지 기판(1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페이스트부(40)는 접착 필름 또는 접착 페이스트(past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반도체 패키지가 하나의 반도체 칩(40)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반도체 칩(40)들 또는 동일 평면 상에 이격되어 배치된 반도체 칩(40)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패키지 기판(10)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테이프 배선 기판, 세라믹 기판 또는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키지 기판(10)은 일종의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패키지 기판(10)은 인터포저(interposer) 기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패키지 기판(1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 형태의 절연 몸체, 상기 절연 몸체의 양면에 사진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금속 배선층들, 상기 절연 몸체를 관통하는 비아(via)로 금속 배선층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비아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키지 기판(10)는 반도체 칩(40)에 파워를 공급하고, 반도체 칩(40)에 신호를 입력하며, 또한, 반도체 칩(40)으로부터 신호를 출력 받을 수 있다. 즉, 패키지 기판(10)은 반도체 칩(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패키지 기판(10)은 내부 패드(30) 및 외부 패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 패드(30)는 패키지 기판(10)의 상부 영역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패드(22)는 패키지 기판(10)의 하부 영역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 패드(22)는 패키지 기판(10)의 하부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내부 패드(30) 및 외부 패드(22)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내부 패드 및 외부 패드(30, 22)들은 도전성 물질, 예를 들어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패드(30)의 하부면에 외부 접속단자(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접속단자(20)는 솔더 볼(solder ball)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든 외부 접속단자(20)가 반도체 칩(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외부 접속단자(20)는 물리적 연결을 위해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서술하는 외부 접속단자(20)들은 모두 반도체 칩(40)과 전기적 연결을 위해 배치되는 외부 접속단자(20)로 간주하여 설명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외부 접속단자(20)은 차동 신호 영역 내의 외부 접속단자(20a, 20c)와 차동 신호 영역 외의 외부 접속단자(20b)로 구분될 수 있다. 차동 신호 영역이란, 반도체 패키지(100)가 고속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외부 접속단자(20a, 20c)가 배치된 영역을 의미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반도체 칩(40)은 상부에 복수 개로 형성된 본딩 패드(50)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딩 패드(50)들 각각의 상면은 반도체 칩(4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딩 패드(50)들은 도전성 물질, 예를 들어 구리(Cu)와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70)는 반도체 칩(40)의 본딩 패드(50)들 각각과 패키지 기판(10)의 내부 패드(30)들 각각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도체 칩(40)의 각 신호는, 본딩 패드(50)들로부터, 와이어(70) 및 내부 패드(30)들과 외부 패드(22)들을 거쳐 외부 접속단자(20)로 출력될 수 있고, 외부 신호는 이와 반대의 과정을 통해 반도체 칩(40)으로 입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반도체 칩(40)과 내부 패드(30)들과의 전기적 연결이 와이어(70)를 통해 이루어 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반도체 칩(40)과 내부 패드(30)들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제한 없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몰딩부(80)는 패키지 기판(10) 상에 반도체 칩(40)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몰딩부(80)는 예컨데, 에폭시 몰딩 컴파운드(Epoxy Molding Compound: EMC)를 포함할 수 있다. 몰딩부(80)는 반도체 칩(40) 및 와이어(70)를 밀봉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몰딩부(80)는 반도체 칩(40)을 외부환경의 물리적 또는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몰딩부(80)은 반도체 칩(40) 및 와이어(70)를 패키지 기판(1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볼 그리드 어레이(Ball Grid Array; BGA) 타입의 반도체 패키지일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패드(22)들 및 외부 패드(22)들 하부에 배치된 외부 접속단자(20)들은, 패키지 기판(20)의 타면에 복수 개의 행들과 열들을 이루어 규칙적인 배열(array)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접속단자(20)들은 솔더 볼(solder ball)일 수 있다. 이하, 도 3의 실시예를 통해, 본 실시예의 패키지 기판(20)에 배치된 외부 접속단자(20)들의 배열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가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패키지 기판(10)의 외부 접속단자(20)들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반도체 패키지(100)가 상하 반전된 형상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패키지 기판(10)은 A 영역(Ra), B 영역(Rb) 및 C 영역(Rc)을 포함할 수 있다. A 영역(Ra), B 영역(Rb) 및 C 영역(Rc)은 외부 접속단자(20)들 및 외부 패드(22)들의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단자(20) 및 외부 패드(22)들은 격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접속단자(20)는 외부 패드(22)들로 인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므로, 이하 후술되는 외부 접속단자(20)는 외부 패드(22)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한편, A 영역(Ra) 및 C 영역(Rc) 각각은 외부 접속단자(20)를 배치할 수 있는 외부 접속단자 형성 영역과, 외부 접속단자(20)가 형성되지 않는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2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키지 기판(10)의 타면에 전체적으로 외부 접속단자(20)들이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시된 것과 달리, 패키지 기판(10)은 패키지 기판(10)의 내측에도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2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A 영역(Ra) 및/또는 C 영역(Rc)은 고속 신호를 입출력 하기 위한 외부 접속단자(20) 및 외부 패드(22)가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역을 외부 접속단자 형성 영역으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고속 신호는 차동 신호 모드(differential signal mode)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키지 좌측과 우측의 3열의 외부 접속단자(20)들을 고속 신호를 입출력 하기 위한 외부 접속단자(20)들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좌측 또는 우측의 3열의 외부 접속단자(20)들만이 외부로부터 고속 신호를 입출력 하기 위한 외부 접속단자(20)들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상측 및/또는 하측의 3행의 외부 접속단자(20)들이 외부로부터 고속 신호를 입출력 하기 위한 외부 접속단자(20)들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가 고속으로 동작함에 따라 공통 모드 노이즈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클럭 신호(clock signal) 또는 데이터 스트로브(data strobe)를 차동 모드 신호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있다.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란 두 개의 신호선 위에 위상이 서로 반대로 흐르는 신호를 말한다. 즉, 차동 신호는 2개의 신호선을 한 쌍으로 사용하여, 각각의 신호선에는 의도적으로 위상을 180도 늦춘 신호를 준다. 즉, 차동 신호는 포지티브(positive) 차동 모드 신호와 상기 포지티브 차동 모드 신호보다 지연된 위상을 가지는 네거티브(negative) 차동 모드 신호를 한 쌍으로 하여, 하나의 차동 쌍(differential pair)를 형성할 수 있다.
차동 신호 모드에서 정확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차동 쌍을 형성시키는 한쌍의 신호선들을 서로 평행하고, 인접하게 배치한다. 이를 통해, 포지티브 차동 모드 신호와 네거티브 차동 모드 신호 간의 시간 오차를 줄이고, 노이즈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차동 신호가 입력되는 한 쌍의 외부 접속단자(20)들은,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신호선을 통해 외부 신호를 입력 받음으로써, 차동 신호 모드에서 차동 쌍(differential pair)을 형성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반도체 패키지(100)는 패키지 기판(10)에 형성된 외부 접속단자(20)들의 배열 외측의 3열이 포함하는 외부 접속단자(20)들을 통해 차동 쌍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3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영역(Ra) 및 C 영역(Rc) 각각은 차동 신호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점선으로 형성된 영역은 하나의 차동 신호 영역(A)을 의미한다. 즉, A 영역(Ra)은 4개의 차동 신호 영역(A)을 포함한다. C 영역(Rc) 역시 4개의 차동 신호 영역(A)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점선으로 표시된 차동 신호 영역(A) 내의 외부 접속단자(20a)들 및 외부 접속단자(20a)가 배치되는 외부 접속단자 형성 영역은 3x3 배열을 형성할 수 있다. 차동 신호 영역(A) 내에서, 상측 행의 두 개의 외부 접속단자(20a)들, 순차적으로 그 아래 행의 세 개의 외부 접속단자(20a)들, 또 그 아래 행의 세 개의 외부 접속단자(20a)들, 즉, 8개의 외부 접속단자(20a)들을 통해 하나의 차동 신호 영역(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동 신호 영역(A)은 외측의 상측에는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21) 하나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동 신호 영역(A)은 제1 내지 제8 외부 접속단자(20a)를 포함하는 외부 접속단자 그룹을 포함할 수 있있다. 이러한, 차동 신호 영역(A) 내에서, 상측 행의 좌에서 우로, 제1 외부 접속단자와 제2 외부 접속단자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중간 행의 좌에서 우로, 제3 외부 접속단자, 제4 외부 접속단자 및 제5 외부 접속단자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하측 행의 좌에서 우로, 제6 외부 접속단자, 제7 외부 접속단자 및 제8 외부 접속단자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자면, 차동 신호 영역(A) 내에서, 좌측 열의 위에서 아래로 제3 및 제6 외부 접속단자는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중간 열의 위에서 아래로 제1, 제4 및 제7 외부 접속단자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우측 열의 위에서 아래로 제2, 제5 및 제8 외부 접속단자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동 신호 영역(A)은 외측의 상측에는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21)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동 신호 영역(A)은 최외측에 배치된 외부 접속단자(20)들 중 하나가 제거된 영역, 즉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21)을 하나씩 주기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21)에 외부 접속단자(20)에 외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선들이 통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차동 신호 영역(A)의 가장 우측의 열까지 차동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신호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패키지 모듈의 신호선 배치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지므로, 반도체 패키지 모듈의 제작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가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은 외부 접속단자(20)들의 배열 형태를 제외하고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의 실시예에 다른 패키지 기판이 포함하는 A 영역(Ra)과 C 영역(Rc)이 포함하는 외부 접속단자(20a, 20c)들이 형성하는 배열은 격자형 배열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이 포함하는 차동 신호 영역 내의 외부 접속단자(20a, 20c)들이 형성하는 배열은 지그재그 배열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 모듈에서, 반도체 패키지 모듈이 포함하는 모듈 기판과 반도체 패키지가 포함하는 외부 접속단자들과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모듈은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 모듈(200)은 기판(110), 신호선(130) 및 반도체 패키지(100)를 포함한다. 신호선(130)은 신호선 그룹(LS)을 형성할 수 있다. 기판(110) 및 신호선(130)은 모듈 기판을 형성할 수 있다. 기판(110) 상에 신호선(130)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신호선(130)은 도전성 물질, 예를 들어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선(130)은 배선 패턴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신호선(130)들은 외부 접속단자(20), 외부 패드(22) 및 내부 패드(30)를 통해 반도체 칩(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선(130)을 통해, 외부 신호가 반도체 칩(40)으로 입력되거나, 반도체 칩(40)의 내부 신호가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들은 차동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외부 접속단자(20a)들은 하나의 차동 신호 영역(A)에서, 외부 접속단자 형성 영역 내에 배치된 8개의 외부 접속단자(20a)와 1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21)을 포함할 수 있다.
차동 신호 영역(A)에서, 외부 접속단자(20a)들은 제1 외부 접속단자쌍(Dp1), 제2 외부 접속단자쌍(Dp2), 제3 외부 접속단자쌍(Dp3) 및 제4 외부 접속단자쌍(Dp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외부 접속단자쌍(Dp1, Dp2, Dp3, Dp4)들은 모두 상술한 차동 신호 모드의 차동 쌍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외부 접속단자쌍(Dp1, Dp2, Dp3, Dp4)들 각각과 연결된 신호 선(130)들은 서로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동 신호 영역(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최외측에 외부 접속단자(20a)가 형성되지 않은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21)을 포함한다. 신호선(130)들은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21)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외부 접속단자(20a)들 중 내측에 배치된 외부 접속단자(20a)들까지 차동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모듈(200)은, 모듈 기판이 포함하는 기판(110) 상에 미세 공정을 통해 미세 신호선 또는 미세 배선 패턴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기판(110)이 포함하는 신호선(130)들을 통해, 패키지 기판(10)의 내측에 배치된 외부 접속단자(20)들까지 충분히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가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일 수 있다. 즉, 차동 신호 영역들 내에 배치된 외부 접속단자(20a)들이 형성하는 배열이 지그재그 배열일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와 모듈 기판과의 연결 관계는, 외부 접속단자(20a)들의 배열 형태를 제외하고는 도 6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및 반도체 패키지 모듈의 고속 신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신호 입출력부(24)는 차동 신호 영역(A)을 포함할 수 있고, 차동 신호 영역(A)은 신호선(130)으로 접속된 외부 접속단자(2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칩(40)은 신호 제어부(41)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41)는 연산부일 수 있으며, 차동 신호를 제어 또는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동 신호(D1)는 제1 외부 접속단자쌍(Dp1)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일 수 있고, 제2 차동 신호(D2)는 제2 외부 접속단자쌍(Dp2)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일 수 있고, 제3 차동 신호(D3)는 제3 외부 접속단자쌍(Dp3)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일 수 있고, 제4 차동 신호(D4)는 제4 외부 접속단자쌍(Dp4)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반도체 칩(40)으로 입력된 제1 내지 제4 차동 신호(D1, D2, D3, D4)는 신호 제어부(41)를 통해 제어 또는 처리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접속단자와 신호선 간의 배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의 (a)는 도 6 및 도 7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중간 열에서의 배치 간격을, 도 9의 (b)는 좌측 열에서의 배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개락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a)는 두 개의 외부 접속단자(20a) 사이에 하나의 신호선(130)이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고, (b)는 두 개의 외부 접속단자(20a) 사이에 다섯 개의 신호선(130)이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간격 D는 외부 접속단자(20a)의 반지름을, 간격 W는 신호선의 최대 선폭을, 간격 G는 외부 접속단자(20a)들 사이의 간격 거리를 나타낸다.
도 9의 (a)를 다시 참조하면, 간격 D는 약 250㎛이고, 간격 W는 약 100㎛이며, 간격 G는 300㎛임을 알 수 있다. 도 9의 (b)를 다시 참조하면, 간격 D는 약 250㎛이고, 간격 W는 약 100㎛이며, 간격 G는 약 1100㎛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b)의 경우, 외부 접속단자(20a)들 사이에 배치된 다섯 개의 신호선(130)들 각각은, 이웃하는 신호선(130) 또는 외부 입력 단자(20a)와 적어도 100㎛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상기 모듈 기판(300)은 기판(110) 및 신호선(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점선 A를 경계로 두 개의 신호선 그룹(LS)이 형성될 수 있다. 각 신호선 그룹(LS)는 제1 신호선(1), 제2 신호선(2), 제3 신호선(3), 제4 신호선(4), 제5 신호선(5), 제6 신호선(6), 제7 신호선(7) 및 제8 신호선(8)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8 신호선(1,2,3,4,5,6,7,8)은 기판(110)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제1 및 제2 신호선(1,2)는 기판(110) 내측의 제1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3 내지 5 신호선(3,4,5)는 기판(110) 내측의 제2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6 내지 제8 신호선(6,7,8)는 기판(110) 내측의 제3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기판(110) 가장자리와 가장 인접하며, 상기 제3 영역은 기판(110) 가장자리와 가장 멀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 영역일 수 있다.
즉, 기판(110)의 가장자리와 제1 및 제2 신호선(1,2)의 말단이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고, 기판(110)의 가장 내측에는 제6 내지 제8 신호선(6,7,8)의 말단이 배치될 수 있으면, 그 사이에는 제3 내지 5 신호선(3,4,5)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기판은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서 연장되는 8개의 신호선(130)을 가지므로, 3x3 형태로 배치된 외부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또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100)은 컨트롤러(1110), 입출력 장치(1120, I/O), 기억 장치(1130, memory device), 인터페이스(1140) 및 버스(1150, bus)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110), 입출력 장치(1120), 기억 장치(1130) 및/또는 인터페이스(1140)는 버스(1150)를 통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버스(1150)는 데이터들이 이동되는 통로(path)에 해당한다.
컨트롤러(1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스,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이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논리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1120)는 키패드(keypad),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 장치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억 장치(1130)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40)는 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40)는 유선 또는 무선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1140)는 안테나 또는 유무선 트랜시버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자 시스템(1100)은 컨트롤러(1110)의 동작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작 메모리로서, 고속의 디램 및/또는 에스램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이러한 동작 메모리로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또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또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은, 기억 장치(1130) 내에 제공되거나, 컨트롤러(1110), 입출력 장치(1120, I/O) 등의 일부로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시스템(1100)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컴퓨터(portable computer),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digital music player), 메모리 카드(memory card), 또는 정보를 무선환경에서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또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을 적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반도체 시스템들이다.
도 12는 태블릿 PC(12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노트북(1300)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스마트폰(1400)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또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이러한 태블릿 PC(1200), 노트북(1300), 스마트폰(1400)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또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은 예시하지 않는 다른 집적 회로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즉, 이상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예로, 태블릿 PC(1200), 노트북(1300), 및 스마트폰(1400)만을 들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의 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반도체 시스템은, 컴퓨터, UMPC (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블랙박스(black box),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3차원 수상기(3-dimensional television),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실험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패키지 기판. 20, 20a, 20b, 20c: 외부 접속단자.
22: 외부 패드. 30: 내부 패드.
40: 반도체 칩. 50: 본딩 패드.
60: 페이스트부 70: 와이어
80: 몰딩부 100: 반도체 패키지.
200: 반도체 패키지 모듈.

Claims (10)

  1. 상면에 복수 개의 신호선을 포함하는 모듈 기판;
    상기 모듈 기판 상에 배치되고, 일면과 상기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을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된 반도체 칩; 및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타면은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영역과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는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영역 내에 일대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신호선과 일대일로 접속하여 고속 신호를 입출력하고,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패키지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주기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패키지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주기적으로 배치된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 사이에는,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 영역의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 상에는 상기 복수 개의 신호선 중 적어도 두 개가 통과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신호는 차동 신호이고,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영역과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영역은 배열을 형성하고,
    상기 배열 중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3열이 포함하는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가, 상기 차동 신호를 입출력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신호는 차동 신호이고,
    상기 배열 중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3열이 포함하는 영역은,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중 8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 영역과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 중 1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차동 신호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차동 신호 영역 각각은 3x3 배열을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중 상기 8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는 4개의 차동 쌍(differential pair)를 형성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차동 쌍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중 서로 이격된 외부 접속단자들로 형성된 반도체 패키지 모듈.
  7. 일면과 상기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을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상기 일면 상에 실장되어,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
    상기 타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는 규칙적인 배열을 형성하되,
    상기 배열 중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3열이 포함하는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중 적어도 4쌍은 차동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신호 제어부로 입력하고, 상기 반도체 칩이 포함하는 신호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차동 신호를 처리하는 반도체 패키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타면은,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 중 차동 신호를 입력받는 4쌍이 배치된 8개의 외부 접속단자 형성 영역과 1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을 가지는 복수 개의 차동 신호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1개의 외부 접속단자 미형성 영역은 상기 3열 중 외측에 배치되는 반도체 패키지.
  9. 일면과 상기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을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된 반도체 칩; 및
    상기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접속단자는, 상기 패키지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1 및 제2 외부 접속단자 그룹을 포함하되,
    상기 각외부 접속단자 그룹은, 제1 내지 제8 외부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접속단자는 제1 행에 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 내지 제5 외부 접속단자는 제2 행에 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6 내지 제8 외부 접속단자는 제3 행에 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6 외부 접속단자는 제1 열에 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제4 및 제7 외부 접속단자는 제2 열에 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제5 및 제8 외부 접속단자는 제3 열에 정렬되어 배치되는 반도체 패키지.
  10.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신호선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신호선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기판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신호선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각 신호선 그룹은 제1 내지 제8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일면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기판의 내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내지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신호선은 상기 제1 영역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3 내지 제5 신호선은 상기 제2 영역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6 내지 제8 신호선은 상기 제3 영역까지 연장되되,
    상기 제1 내지 제8 신호선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1 영역의 사이 영역에서는 서로 평행한 모듈 기판.
KR1020140179185A 2014-12-12 2014-12-12 반도체 패키지, 모듈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 KR102339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185A KR102339899B1 (ko) 2014-12-12 2014-12-12 반도체 패키지, 모듈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
US14/746,247 US9570383B2 (en) 2014-12-12 2015-06-22 Semiconductor package, module substrate and semiconductor package modu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185A KR102339899B1 (ko) 2014-12-12 2014-12-12 반도체 패키지, 모듈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701A true KR20160071701A (ko) 2016-06-22
KR102339899B1 KR102339899B1 (ko) 2021-12-15

Family

ID=5611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185A KR102339899B1 (ko) 2014-12-12 2014-12-12 반도체 패키지, 모듈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70383B2 (ko)
KR (1) KR102339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5249B2 (ja) * 2013-02-22 2017-12-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パッケー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5783B1 (en) * 1999-01-27 2001-07-24 Sharp Kabushiki Kaisha Resin overmolded type semiconductor device
US20110309515A1 (en) * 2009-06-12 2011-12-22 Panasonic Corporatio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the same
US20130107484A1 (en) * 2010-08-06 2013-05-02 Panasonic Corporation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5184B1 (en) 1998-02-19 2001-04-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ptimized circuit design layout for high performance ball grid array packages
JP3417808B2 (ja) 1997-08-25 2003-06-16 富士通株式会社 Lsiパッケージの配線構造
US7069650B2 (en) * 2000-06-19 2006-07-04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for reducing the number of layers in a multilayer signal routing device
TW532567U (en) * 2002-06-05 2003-05-11 Via Tech Inc Flip chip package substrate and flip chip
JP3657246B2 (ja) * 2002-07-29 2005-06-08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0517608B1 (ko) 2003-03-13 2005-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볼 어레이형 패키지의 배열구조
US7034391B2 (en) * 2003-11-08 2006-04-25 Chippac, Inc. Flip chip interconnection pad layout
JP4025767B2 (ja) 2004-09-21 2007-12-26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パッケージの設計方法
JP4761524B2 (ja) 2004-09-28 2011-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及びプリント回路板
US7391122B1 (en) * 2005-03-04 2008-06-24 Altera Corporation Techniques for flip chip package migration
JP2008182062A (ja) 2007-01-25 2008-08-07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JP2009004628A (ja) 2007-06-22 2009-01-08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JP2009170459A (ja) * 2008-01-10 2009-07-30 Panasonic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設計方法、設計装置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20100148218A1 (en) * 2008-12-10 2010-06-17 Panasonic Corporatio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the same
JP2011082451A (ja) 2009-10-09 2011-04-21 Elpida Memory Inc 半導体用パッケージ基板及びこれを備える半導体装置
US8338948B2 (en) 2010-06-30 2012-1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ll grid array with improved single-ended and differential signal performance
JP6128756B2 (ja) 2012-05-30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パッケージ、積層型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プリント回路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5783B1 (en) * 1999-01-27 2001-07-24 Sharp Kabushiki Kaisha Resin overmolded type semiconductor device
US20110309515A1 (en) * 2009-06-12 2011-12-22 Panasonic Corporatio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the same
US20130107484A1 (en) * 2010-08-06 2013-05-02 Panasonic Corporation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70383B2 (en) 2017-02-14
KR102339899B1 (ko) 2021-12-15
US20160172286A1 (en)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6649B2 (en) Stacked multi-chip integrated circuit package
US8791554B2 (en) Substrat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internal shielding structures and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the substrates
KR101485972B1 (ko) 옵셋 적층된 다이를 구비한 집적회로 패키지 시스템
US9105503B2 (en) Package-on-package device
US10090236B2 (en) Interposer having a pattern of sites for mounting chiplets
CN104885217A (zh) 两个或多个晶元的多晶元堆叠
US8084856B2 (en) Thermal spacer for stacked die package thermal management
US20130037930A1 (en) Semiconductor chip and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the same
KR102216195B1 (ko) 복수 개의 칩을 적층한 반도체 패키지
US11855048B2 (en) Semiconductor packages with pass-through clock tra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20210082030A (ko) 인터포즈 브리지를 포함한 서브 패키지들이 스택된 반도체 패키지
WO2020112504A1 (en) Double side mounted large mcm package with memory channel length reduction
KR20180067695A (ko) 제어된 임피던스 부하를 갖는 고대역폭 메모리 응용
US849376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9728497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472539B2 (en) Semiconductor chip and a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a package on package (POP) structure including the semiconductor chip
US8525319B2 (en) Selecting chips within a stacked semiconductor package using through-electrodes
US20130292833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273411B1 (ko) 반도체 모듈
KR102339899B1 (ko) 반도체 패키지, 모듈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모듈
US9087702B2 (en) Edge coupling of semiconductor dies
US8018052B2 (en) Integrated circuit package system with side substrate having a top layer
JP2015177171A (ja) 半導体装置
KR100990937B1 (ko) 반도체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