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960A -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960A
KR20160070960A KR1020140178072A KR20140178072A KR20160070960A KR 20160070960 A KR20160070960 A KR 20160070960A KR 1020140178072 A KR1020140178072 A KR 1020140178072A KR 20140178072 A KR20140178072 A KR 20140178072A KR 20160070960 A KR20160070960 A KR 20160070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t air
drying
drying tank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0361B1 (ko
Inventor
김성무
Original Assignee
김성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무 filed Critical 김성무
Priority to KR1020140178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36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1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1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 F26B3/1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in the form of a spray, i.e. sprayed or dispersed emulsions or susp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를 손쉽게 가변시켜 피건조물을 선택적으로 미립화와 조립화 및 분말화할 수 있는 구조의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건조물(액상 또는 건조분말 또는 습윤(濕潤)분말)의 상태에 따라 상향 열풍건조 또는 하향 열풍건조 방식으로 장치를 손쉽게 가변시켜 피건조물을 선택적으로 미립화와 조립화 및 분말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A HOT AIR DRYING SYSTEM FOR VARIABLE}
본 발명은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건조물(액상 또는 건조분말 또는 습윤(濕潤)분말)의 상태에 따라 상향 열풍건조 또는 하향 열풍건조 방식으로 장치를 손쉽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풍 건조장치는 내부에 열풍을 유입시켜 피건조물을 건조한 후 사이클론을 통해 건조된 피건조물을 배출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종래의 건조장치는 다공판으로 된 판 위에 입자상 피건조물을 놓고 다공판 밑에서 수직 상승 열풍을 보내어 입자상 피건조물을 선회 건조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건조장치로써, 열풍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등록번호:제10-0826252호)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열풍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을 분무-무화(噴霧-霧化)시켜, 열풍속에서 선회 건조시키는 장치로, 피건조물이 액상 건조분말 또는 습윤(濕潤)분말 상태일 경우, 건조시키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건조장치는 상향 건조방식으로 구성된 것으로, 피건조물의 상태에 따라 하향 건조방식으로 가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피건조물(액상 혹은 건조분말 또는 습윤분말)의 상태에 따라 상향 열풍건조 또는 하향 열풍건조 방식으로 장치를 손쉽게 가변시킬 수 있는 건조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피건조물(액상 또는 건조분말 또는 습윤(濕潤)분말)의 상태에 따라 상향 열풍건조 또는 하향 열풍건조 방식으로 장치를 손쉽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장치를 손쉽게 가변시켜 피건조물을 선택적으로 미립화와 조립화 및 분말화할 수 있는 구조의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장치를 가변시켜 피건조물을 분무건조 또는 유동건조 또는 조립건조할 수 있는 구조의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가열시킨 후 열풍으로 전환하고, 2개로 분기되는 분기관(12)을 통해 선택적으로 내부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챔버(10);와, 상기 열풍챔버(10)의 분기관(12)과 연결되고, 투입된 피건조물을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탱크(20); 및 상기 건조탱크(20)와는 제 1연결관(40)을 통해 연결되고 건조탱크(20)에 유입되는 습공기는 배기관(31)을 통해 배출시키며 건조된 피건조물은 포집부(70)로 포집시키는 사이클론 집진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기관(12)은 선택적으로 건조탱크(20)의 하단 또는 제 2연결관(50)을 통해 건조탱크(20)의 상단에 연결시켜 피건조물을 상향 열풍건조 또는 하향 열풍건조 방식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건조탱크(20)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관(21)이 더 포함하고, 상단에는 상기 연장관(21)을 감싸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 1연결관(40) 또는 제 2연결관(5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회전되게 연결되는 제 1연결부(22)를 더 포함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열풍챔버(10)의 내부에는 단열재(111)가 외장되고 히터(112)가 내장된 가열부(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11)는 분기관(12)과 연통되고, 상기 분기관(12)은 열풍챔버(10)의 상부 및 하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건조탱크(20)의 하부에는 선택적으로 제 1연결관(40) 또는 분기관(12)과 연결되는 제 2연결부(23)를 더 포함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제 2연결부(23)는 측방향으로 선회되는 힌지관(231)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관(231)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메쉬망(232)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제 1연결부(22)의 상부에는 노즐(222)이 건조탱크(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향 결합되어 노즐관(221)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관(221)은 압축공기를 일정압력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분사공기압조절기(60)와, 용기(80)에 담겨진 피건조물원액 또는 조립액을 펌핑할 수 있는 펌프(61)가 더 연결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배기관(31)은 사이클론 집진기(30) 내부의 습공기를 흡입하거나, 열풍챔버(10)가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송풍기(311)가 더 연결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열풍챔버(10)는 외부공기를 필터링하여 유입시킬 수 있도록 공기필터(13)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발명은 제 6발명에서, 상기 연장관(21)의 내주면에는 상기 노즐관(221)과 일정 간격을 갖는 제 1베플(211)이 연결되고, 상기 노즐관(2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베플(211)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상기 연장관(21)의 내주면과 일정 간격을 갖는 제 2베플(223)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에 따르면, 단일 장치로 피건조물(액상 또는 건조분말 또는 습윤(濕潤)분말)의 상태에 따라 상향 열풍건조 또는 하향 열풍건조 방식으로 장치를 손쉽게 가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장치를 연결관계를 손쉽게 가변시켜 피건조물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미립화와 조립화 및 분말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 장치로 연결관계와 건조방식을 가변시켜 피건조물을 분무건조 또는 유동건조 또는 조립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의 제 1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의 제 1구성도,
도 3은 도 1의 작동도
도 4는 도 2의 제 1작동도,
도 5는 도 2의 제 2작동도,
도 6은 도 1에서 건조탱크의 연장관의 내주면과 노즐관의 외주면에 베플을 결합한 구성도,
도 7은 베플이 없는 건조탱크와, 베플이 있는 건조탱크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도 7에서 열풍기류의 시뮬레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된다",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의 제 1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의 제 1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건조물(액상 또는 건조분말 또는 습윤(濕潤)분말)의 상태에 따라 상향 열풍건조 또는 하향 열풍건조 방식으로 장치를 손쉽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열풍챔버(10)와, 건조탱크(20) 및 사이클론 집진기(30)로 구성된다.
상기 열풍챔버(10)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가열시킨 후 열풍으로 전환하고, 2개로 분기되는 분기관(12)을 통해 선택적으로 건조탱크의 하부 및 상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열풍챔버(10)는 단열을 위한 단열재(111)가 외장되고 히터(112)가 구비된 가열부(11)가 내장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가열부(11)는 분기관(12)과 연통되는 구성이고, 상기 분기관(12)은 열풍챔버(10)의 상부 및 하부까지 연장되는 구성이다.
또한 열풍챔버(10)의 면상에는 외부공기를 필터링하여 유입시킬 수 있도록 공기필터(13)가 장착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탱크(20)는 상기 열풍챔버(10)의 분기관(12)과 연결되고, 투입된 피건조물을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30)는 상기 건조탱크(20)와 제 1연결관(40)을 통해 연결되고 건조탱크(20)에 유입되는 습공기는 배기관(31)을 통해 배출시키고 건조된 피건조물은 포집부(70)로 포집시키는 기능한다.
이 때 배기관(31)에는 사이클론 집진기(30) 내의 습공기를 흡입하거나, 열풍챔버(10)가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송풍기(311)가 더 연결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열풍챔버(10) 내의 분기관(12)은 선택적으로 건조탱크(20)의 하단 또는 제 2연결관(50)을 통해 건조탱크(20)의 상단에 연결시켜 피건조물을 상향 열풍건조 또는 하향 열풍건조 방식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분기관(12)이 건조탱크(20)의 하단에 연결될 경우에는 제 1연결관(40)은 건조탱크(20)의 상단에 연결되어 피건조물을 상향 열풍건조시킬 수 있으며, 도 1과 같이, 분기관(12)이 제 2연결관(50)을 통해 건조탱크(20)의 상단에 연결될 경우에는 제 1연결관(40)이 피건조물의 건조탱크(20)의 하단에 연결되어 피건조물을 하향 열풍건조시킬 수 있게 장치의 연결구조가 가변된다.
아울러 상기 건조탱크(20)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관(21)이 더 포함하고, 상단에는 상기 연장관(21)을 감싸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 1연결관(40) 또는 제 2연결관(5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되게 연결되는 제 1연결부(22)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연결부(22)의 상부에는 노즐(222)이 건조탱크(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향 결합되어 노즐관(22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관(221)은 압축공기를 일정압력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분사공기압조절기(60)와, 용기(80)에 담겨진 피건조물원액 또는 조립액을 펌핑할 수 있는 펌프(61)가 더 연결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노즐관(221)은 하향 열풍건조방식으로 장치를 가변시킬 경우 액상의 피건조물원액을 노즐(222)을 통해 무화-분사(霧化-噴射)시켜 유입되는 열풍으로 입자 상태로 분말화(粉末化)시켜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관(221)은 상향 열풍건조방식으로 장치를 가변시킬 경우, 조립액을 분사시켜 건조탱크(20) 내에서 유동화되고 있는 피건조물의 분체 위로 조립액을 분사하여 입자끼리 서로 접착 조립(組粒)될 수 있도록 하여 굵고 큰 입자로 조립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건조탱크(20)의 하부에는 제 1연결관(40) 또는 분기관(12)과 연결되는 제 2연결부(23)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제 2연결부(23)는 측방향으로 선회되는 힌지관(231)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관(231)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메쉬망(232)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제 2연결부(23)는 도 1와 같이, 피건조물을 하향 열풍건조 시킬 경우에는 하단으로 제 1연결관(40)이 연결되고, 힌지관(231)의 메쉬망(232)을 탈거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2과 같이, 제 2연결부(23)는 피건조물을 상향 열풍건조 시킬 경우에는 측면으로 분기관(12)이 연결되고 힌지관(231)에는 피건조물이 안착된 메쉬망(232)을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작동도이다.
도 3과 같이, 피건조물의 액상(예: 우유)의 상태일 경우, 이를 분말화시키기 위한 하향 열풍건조 방식을 따른다.
이 때 본 발명의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100)는 제 2연결관(50)이 건조탱크(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1연결부(22)와 연통되게 하고, 제 1연결관(40)은 건조탱크(20)의 하단에 연결된 제 2연결부(23)와 연통되게 연결구조를 가변시킨다. 이 때 제 2연결부(23)의 힌지관(231)에 결합된 메쉬망(232)은 탈거시킨다.
이 상태에서 사이클론 집진기(30)의 배기관(31)에 연결된 흡입송풍기(311)를 가동시킨다.
그러면 열풍챔버(10) 내부의 내압이 걸려 외부 공기가 공기필터(13)를 통해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클린 상태의 공기가 가열부(11)로 유입된다.
가열부(11)에는 히터(112)가 외부공기를 고온 열풍으로 전환하고, 이 때 필요에 따라 히터(112)의 온도를 조절하여 열풍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열풍은 분기관(12)과, 제 2연결관(50)과, 제 1연결부(22)와, 연장관(21)을 거쳐 건조탱크(20)의 내부로 하향 공급된다.
동시에 피건조물원액은 펌프(61)를 통해 노즐관(221)으로 펌핑하고, 분사공기압조절기(60)를 통해 압축공기를 조절하여 노즐관(221)의 하단부에 결합된 노즐(222)로 피건조물원액을 무화-분사(霧化-噴射)시킨다.
그러면 무화-분사된 피건조물원액은 하향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탱크(20) 내에서 분말상태로 건조되고, 제 2연결부(23)와, 제 1연결부(22)를 거쳐 사이클론 집진기(30)로 유입된다.
사이클론 집진기(30)로 유입된 분말 상태의 피건조물은 포집부(70)로 포집되고, 습공기는 배기관(3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이에 따라 포집부(70)로는 입자 상태의 분말화된 피건조물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2의 제 1작동도이다.
도 4와 같이, 피건조물이 건조분말 또는 습윤(濕潤)분말의 상태일 경우, 이를 건조 분말화시키기 위한 상향 열풍건조 방식을 따른다.
이 때 본 발명의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100)는 열풍챔버(10)의 분기관(12)을 건조탱크(20)의 제 2연결부(23)와 연통하고, 건조탱크(20)의 상단에 연결된 제 1연결부(22)를 회전시켜 사이클론 집진기(30)와 연결된 제 1연결관(40)과 연통되게 장치의 연결구조를 가변시킨다.
그리고 피건조물을 힌지관(231)의 메쉬망(232)에 안착시킨 후, 힌지관(231)을 제 2연결부(23)와 연통되게 결합시킨다.
이 때 분기관(12)에는 밸브(121)가 결합되어 열풍의 속도 및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장치를 가동하면, 열풍은 분기관(12)을 통해 제 2연결부(23)로 공급되고, 공급되는 열풍은 메쉬망(232)에 안착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그러면 피건조물은 메쉬망(232)에서 유동 건조되고, 아주 작은 미립자는 건조탱크(20)와 사이클론 집진기(30)를 거쳐 포집부(70)로 포집된다.
이 때 피건조물(수분함량 기타)에 따라 열풍 온도를 설정하고(필요에 따라 50 ~ 100 전후로 설정), 열풍 압력을 분체의 유동화 상황에 맞춰 밸브의 개도(開度)를 조정하여 효율적으로 피건조물을 유동화시켜 분말의 건조작업을 행한다.
이에 따라 포집부(70)로는 입자 상태의 미분화된 피건조물을 획득하고, 메쉬망으로는 건조된 굵은 입자상의 피건조물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2의 제 2작동도이다.
도 5는 피건조물이 건조분말 또는 습윤(濕潤)분말의 상태일 경우, 이를 유동 조립 건조하기 위한 상향 열풍건조 방식을 따른다.
제 2작동도는 제 1작동도와는 연결관계 및 작동은 동일하고, 다만 용기(80)에 담겨진 조립분말을 펌프(61)를 통해 노즐관(221)으로 펌핑하고, 분사공기압조절기(60)를 통해 압축공기량을 조절하여 노즐관(221)의 하단부에 결합된 노즐(222)로 조립액을 무화-분사(霧化-噴射)시킨다.
그러면 건조탱크(20) 내에서 유동화되고 있는 피건조물의 분체 위로 조립액이 무화-분사되어 건조분말 또는 습윤(濕潤)분말 입자끼리 서로 접착 조립(組粒)되어, 사이클론 집진기(30)의 포집부(70) 및 메쉬망(232) 위에서 조립 건조된 피건조물을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서 건조탱크의 연장관의 내주면과 노즐관의 외주면에 베플을 결합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베플이 없는 건조탱크와, 베플이 있는 건조탱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열풍기류의 시뮬레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연장관(21)의 내주면에는 상기 노즐관(221)과 일정 간격을 갖는 제 1베플(baffle)(211)이 연결되고, 상기 노즐관(2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베플(211)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상기 연장관(21)의 내주면과 일정 간격을 갖는 제 2베플(223)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술된 제 1베플(211) 및 제 2베플(223)은 열풍기류의 안정화 및 피건조물의 건조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는 시뮬레이션을 나타내는 도 8과 같다.
시뮬레이션에서 열풍을 공급한 결과, 도 8의 A는 열풍유선이 건조탱크(20)의 내벽면으로 치우침을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피건조물의 일부가 내벽면에서 탄화되어 건조탱크(20)에 점착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도 8의 B와 같이, 제 1베플(211)과, 제 2베플(223)이 있는 경우, 열풍유선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가운로 집중되어 열풍기류가 안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피건조물이 건조탱크(20)의 벽면에 점착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피건조물의 건조품질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10: 열풍챔버 11: 가열부 111: 단열재
112: 히터 12: 분기관
121: 밸브 13: 공기필터
20: 건조탱크 21: 연장관 211: 제 1베플
22: 제 1연결부 221: 노즐관
222: 노즐 223: 제 2베플
23: 제 2연결부 231: 힌지관
232: 메쉬망
30: 사이클론 집진기 31: 배기관 311: 흡입송풍기
40: 제 1연결관
50: 제 2연결관
60: 분사공기압조절기 61: 펌프
70: 포집부
80: 용기
100: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

Claims (9)

  1.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가열시킨 후 열풍으로 전환하고, 2개로 분기되는 분기관(12)을 통해 선택적으로 내부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챔버(10);
    상기 열풍챔버(10)의 분기관(12)과 연결되고, 투입된 피건조물을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탱크(20); 및
    상기 건조탱크(20)와는 제 1연결관(40)을 통해 연결되고 건조탱크(20)에 유입되는 습공기는 배기관(31)을 통해 배출시키며 건조된 피건조물은 포집부(70)로 포집시키는 사이클론 집진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기관(12)은 선택적으로 건조탱크(20)의 하단 또는 제 2연결관(50)을 통해 건조탱크(20)의 상단에 연결시켜 피건조물을 상향 열풍건조 또는 하향 열풍건조 방식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탱크(20)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관(21)이 더 포함하고, 상단에는 상기 연장관(21)을 감싸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 1연결관(40) 또는 제 2연결관(5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회전되게 연결되는 제 1연결부(22)를 더 포함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챔버(10)의 내부에는 단열재(111)가 외장되고 히터(112)가 내장된 가열부(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11)는 분기관(12)과 연통되고,
    상기 분기관(12)은 열풍챔버(10)의 상부 및 하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탱크(20)의 하부에는 선택적으로 제 1연결관(40) 또는 분기관(12)과 연결되는 제 2연결부(23)를 더 포함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부(23)는 측방향으로 선회되는 힌지관(231)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관(231)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메쉬망(232)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22)의 상부에는 노즐(222)이 건조탱크(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향 결합되어 노즐관(221)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관(221)은 압축공기를 일정압력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는 분사공기압조절기(60)와, 용기(80)에 담겨진 피건조물원액 또는 조립액을 펌핑할 수 있는 펌프(61)가 더 연결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31)은 사이클론 집진기(30) 내부의 습공기를 흡입하거나, 열풍챔버(10)가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송풍기(311)가 더 연결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챔버(10)는 외부공기를 필터링하여 유입시킬 수 있도록 공기필터(13)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21)의 내주면에는 상기 노즐관(221)과 일정 간격을 갖는 제 1베플(211)이 연결되고,
    상기 노즐관(2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베플(211)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상기 연장관(21)의 내주면과 일정 간격을 갖는 제 2베플(223)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
KR1020140178072A 2014-12-11 2014-12-11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 KR101650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072A KR101650361B1 (ko) 2014-12-11 2014-12-11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072A KR101650361B1 (ko) 2014-12-11 2014-12-11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960A true KR20160070960A (ko) 2016-06-21
KR101650361B1 KR101650361B1 (ko) 2016-08-23

Family

ID=5635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072A KR101650361B1 (ko) 2014-12-11 2014-12-11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3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174B1 (ko) * 2007-10-31 2009-03-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유동건조와 기류건조를 이용한 복합형 건조시스템
KR20120096785A (ko) * 2011-02-23 2012-08-31 주식회사 에이피티 원통형 연속식 유동층 건조기
KR20130118667A (ko) * 2012-04-20 2013-10-30 이선희 상하 순환식 전기 건조기
KR20140104095A (ko) *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에이스디엔씨 히트펌프를 이용한 저온저장 겸용 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174B1 (ko) * 2007-10-31 2009-03-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유동건조와 기류건조를 이용한 복합형 건조시스템
KR20120096785A (ko) * 2011-02-23 2012-08-31 주식회사 에이피티 원통형 연속식 유동층 건조기
KR20130118667A (ko) * 2012-04-20 2013-10-30 이선희 상하 순환식 전기 건조기
KR20140104095A (ko) *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에이스디엔씨 히트펌프를 이용한 저온저장 겸용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361B1 (ko)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073968U (zh) 沸腾制粒机
CN208627230U (zh) 一种可调节温度的制药用沸腾制粒机
CN206295613U (zh) 一种压力式和离心式两用喷雾干燥机
CN211800650U (zh) 一种压力喷雾造粒机
JP6937016B2 (ja) 噴霧乾燥装置
CN203790303U (zh) 一种药品制备用的沸腾制粒机
CN209265301U (zh) 一种流化床温湿度控制系统
CN209108630U (zh) 喷雾干燥装置
KR101650361B1 (ko) 가변형 열풍 건조장치
CN113244643A (zh) 一种猪血蛋白粉的喷雾干燥机
CN202962401U (zh) 沸腾制粒机
CN207247724U (zh) 硫酸锌干燥装置
CN104365998A (zh) 一种猪血球蛋白粉制备装置
CN208599677U (zh) 一种集成式干燥制粒机
CN205627124U (zh) 一种用于猪血球蛋白粉的离心喷雾干燥机
CN207412771U (zh) 制药用防粘壁喷雾干燥机
CN204104721U (zh) 一种具有空气预热功能的猪血球蛋白粉制备装置
CN206479006U (zh) 一种兽药粉剂干燥装置
CN207838336U (zh) 多级干燥机
CN101147840A (zh) 喷雾干燥机
CN204104720U (zh) 一种猪血球蛋白粉制备装置
CN217409754U (zh) 一种猪血蛋白粉的喷雾干燥机
CN204121789U (zh) 一种猪血蛋白粉干燥回收装置
CN104399262B (zh) 一种猪血蛋白粉干燥回收装置
CN104258784A (zh) 一种猪血蛋白粉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