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734A -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 Google Patents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734A
KR20160070734A KR1020160066254A KR20160066254A KR20160070734A KR 20160070734 A KR20160070734 A KR 20160070734A KR 1020160066254 A KR1020160066254 A KR 1020160066254A KR 20160066254 A KR20160066254 A KR 20160066254A KR 20160070734 A KR20160070734 A KR 20160070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eaves
avoiding
natural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두
강인규
이목형
최철
김창길
이경열
정희영
윤해근
한증술
Original Assignee
(주)에코팜
선진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팜, 선진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에코팜
Priority to KR1020160066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0734A/ko
Publication of KR20160070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6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mahogany, langsat or ne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0Insect repellent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해충 중 특히 노린재류에 대해 방제는 물론 노린재류를 기피하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의 작황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특히 화학 성분의 살충제가 아니라 천연성분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토양 및 환경오염도 예방할 수 있는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다육식물인 캉캉 또는 엘레강스, 멀구슬나무의 잎과 줄기, 등골나무 아재비의 잎과 줄기, 깻잎을 각각 세척한 다음 1 내지 3cm의 크기로 잘게 절단 및 세척하는 절단/세척단계(S100)와,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의 전체 중량 중 상기 절단/세척한 다육식물의 캉캉 또는 엘레강스 10 내지 20 중량%, 멀구슬나무의 잎과 줄기 10 내지 20 중량 %, 등골나무 아재비의 잎과 줄기 10 내지 20 중량%, 깻잎 10 내지 20 중량 %, 알코올 함량 30 내지 40%의 소주 30 내지 35 중량% 를 진공 저온 농축기에서 72 내지 80시간 동안 농축을 시키는 농축단계(S200)와, 상기 농축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거름망에 통과시켜 잎과 줄기를 포함하는 각종 이물질과 농축액을 분리시킨 후 그 농축액을 추출하는 농축액추출단계(S300)와, 상기 농축액 추출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숙성용기에 투입한 다음, 20 내지 35℃ 조건에서 10 내지 12일 동안 숙성을 시키는 숙성단계(S400)와, 상기 숙성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미세 망에 통과시켜 미립자 상태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미립자 제거단계(S500)와, 상기 미립자 제거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검사 후 중량 단위별로 포장하는 검사/포장단계(S6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Natur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mposition avoiding and/or controling the Hemiptera}
본 발명은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해충 중 특히 노린재류에 대해 방제는 물론 노린재류를 기피하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의 작황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특히 화학 성분의 살충제가 아니라 천연성분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토양 및 환경오염도 예방할 수 있는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생산량 증감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원인으로는 크게 태풍이나 우박, 동해 등과 같은 기후적인 영향과, 토양의 종류 및 관배수 관리, 비배 관리 등 수체 생리와 재배 전반적인 영향 그리고 응애류, 굴나방류, 진딧물류, 심식충류, 노린재 및 나무좀 등의 각종 해충에 따른 피해를 들 수 있다.
상기 해충 중 노린재는 반시류라고 하기도 하며, 지상생활을 하는 것과, 수서생활을 하는 것, 물속에서 사는 진수서성, 물 위에서 사는 반수서성, 물가에서 사는 육수성과, 해수성 등으로 구분되며, 지표 또는 표토 속에서 생활하는 것도 있다.
또한 그 종류로는 갈색날개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등이 있으며, 노린재 중에서도 갈색날개노린재의 피해가 가장 심하다.
성충으로 낙엽 밑이나 상록수의 숲에서 월동하며 4월 중순부터 활동을 개시하고 전 생육기간을 통해 가해하며, 특히 7 ~ 8월에는 사과 및 대부분의 과실류에 큰 피해를 준다.
노린재 약충과 성충 두 종류 모두 그들이 선호하는 식물체(콩밭)에 붙어서 식물체의 과실이나 꽃봉오리, 꽃 그리고 종자의 수액을 빨아 먹는다.
노린재에 의한 피해 정도는 노린재가 해당 식물에 피해를 입힐 당시의 발육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벼에서는 이삭을 흡즙하여 반점미를 유발하여 품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7 ~ 8월에 피해를 받은 과실의 저장 중 연화부패를 유발하거나,
주로 과실 윗부분이나 몸통부분을 흡즙하기 때문에 피해 과실을 보면 구침에 찔린 흔적이 있어 과실의 상품성이 현저히 낮아진다.
노린재류는 산림의 낙엽송, 상록수 등의 나뭇가지와 조피사이, 농작물의 잔재물 속에서 성충으로 월동하며, 주로 이듬해 4월경부터 월동에서 깨어나 봄철에 열매를 맺는 화본과, 유류 및 두류작물과 유실수 등에서 필요한 영양분을 섭취하고 개체군의 밀도를 증식시킨다. 주로 7월 이후에는 주변의 두류, 참깨 및 과수 등으로 이동하여 작물 수확기까지 개체군 증식과 더불어 작물에 지속적인 피해를 준다.
노린재류는 1990년대까지는 개체군의 발생량이 적어 농작물의 주요 해충으로 인식되지 않았으나, 2000년 이후부터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여 노린재류를 관리하지 않을 경우 농작물의 정상적인 수확이 어려울 지경에 이르렀다.
사과원에서 노린재류에 의한 과실 피해 역시 2000년 이전까지는 문제되지 않았으나, 2000년 이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일부 사과원에서는 심각한 피해를 받는 경우도 있다.
2001년 이후부터는 노린재발생 과원율이 20%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사과원에서 피해가 확인되었으며, 2013년에는 발생 과원율이 50% 이상을 차지하여 사과원의 주요 해충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노린재의 다발생 원인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노린재류의 월동 및 월동 후 증식의 유리한 조건, 산림생태계의 변화에 의한 노린재류의 기주 및 월동에 유리한 조건, 다양한 재배 및 작부양식, 화학 성분(고독성)의 약제 관리 증가 등의 농업생태계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노린재류의 발생량 증가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과 미국, 유럽 등 전세계적으로 유사한 경향이다.
상기와 같이 농작물에 피해를 끼치는 노린재를 방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과실에 봉지를 씌우거나, 화학적 성분이 함유된 살충제를 살포하거나, 유아등과 집합 페르몬 트랩을 이용하거나, 천적을 이용한 것으로 노린재 알에 기생하는 기생벌에 의한 생물적 방제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제 방법은 주로 지속적으로 발생 예찰을 관찰하는 것이며, 일손이 부족한 농가현실을 감안할 때 비교적 효율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화학 성분이 포함된 살충제의 경우 토양과 환경오염은 물론, 인체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천적을 이용한 방법은 과거 미국, 일본, 브라질, 유럽 등의 많은 국가에서 실시되었으나, 노린재가 주로 노지 작물에서 발생 되는 경우가 많고, 공장에서 증식된 천적들은 야외 방사 시에 환경 적응성이 떨어지며, 증식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 문제 등의 단점이 있어 국내에서는 현실적으로 적용이 어려운 경우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 화학 성분이 함유된 농약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미생물, 천적, 또는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천연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방제용 약제로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74793호에는 대회향, 양고추냉이, 마늘 및 겨자 등으로부터 추출된 살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5218호에는 살충제 및 항균제로 이용되는 은행잎 추출물이 개시되어 있다.
제주에 흔히 자라는 멀구슬나무가 친환경농자재로 활용할 수 있는 살충물질 구명과 추출물 제조법을 정립해 친환경 재배 농업인에게 쉽게 사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강성근)은 최근 멀구슬나무를 친환경 병해충 방제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이용부위와 채취시기, 추출물 제조방법, 효과검증 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지금까지 제주지역 부존자원인 멀구슬나무를 친환경 병해충 방제자원으로 일부 이용하고 있으나 원료의 채취 부위와 시기, 추출방법이 정립되지 않아 사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 연구결과 멀구슬나무의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아자디락틴(Azadirachtin), 살라닌(Salannin), 님빈(Nimbin) 성분의 부위 및 시기에 따른 함량 변화를 구명했다.
특히 멀구슬나무의 지표물질이며 대표적인 살충물질인 아자디락틴 성분은 7월에서 9월에 채취한 멀구슬나무 열매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매우 떨어진다는 특성을 처음으로 구명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살충효과를 높이는 멀구슬나무 열매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7~9월시기의 미숙한 열매를 채취하여 건조한 다음 에탄올 원액(주정 원액)을 건조한 원료 대비 20배량을 첨가 후 상온에서 30일간 침출하는 ‘상온 침출법’을 사용하면 된다.
멀구슬나무 열매 추출물로 살충활성을 조사한 결과, 파밤나방의 경우 약 60%의 살충률을 보이고 있어 초기 방제할 경우 활용 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업기술원은 이번 연구결과가 살충물질을 많게 하는 멀구슬나무 추출물 제조법을 새롭게 정립하여 농업인이 직접 제조 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 친환경 실천농가의 현장애로기술이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도현 기자 dhlee@newsfarm.co.kr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벼, 보리 및 각종 과실류의 생산량 증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노린재류에 대해 화학 성분의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노린재류가 기피 및 방제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의 작황 증대와 동시에 토양 및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은,
다육식물인 캉캉 또는 엘레강스, 양파, 멀구슬나무의 잎과 줄기, 등골나무 아재비의 잎과 줄기, 깻잎을 각각 세척한 다음 1 내지 3cm의 크기로 잘게 절단 및 세척하는 절단/세척단계(S100)와,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의 전체 중량 중 상기 절단/세척한 다육식물의 캉캉 또는 엘레강스 5 내지 10 중량%, 양파 5 내지 10 중량%, 멀구슬나무의 잎과 줄기 10 내지 20 중량 %, 등골나무 아재비의 잎과 줄기 10 내지 20 중량%, 깻잎 10 내지 20 중량 %, 알코올 함량 30 내지 40%의 소주 30 내지 35 중량% 를 진공 저온 농축기에서 72 내지 80시간 동안 농축을 시키는 농축단계(S200)와,
상기 농축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거름망에 통과시켜 잎과 줄기를 포함하는 각종 이물질과 농축액을 분리시킨 후 그 농축액을 추출하는 농축액추출단계(S300)와,
상기 농축액 추출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숙성용기에 투입한 다음, 20 내지 35℃ 조건에서 10 내지 12일 동안 숙성을 시키는 숙성단계(S400)와, 상기 숙성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미세 망에 통과시켜 미립자 상태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미립자 제거단계(S500)와, 상기 미립자 제거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검사 후 중량 단위별로 포장하는 검사/포장단계(S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은 농작물의 작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노린재류를 화학 성분의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 성분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피 내지는 방제가 되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의 작황 증대는 물론, 토양과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제조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다육식물인 캉캉 또는 엘레강스, 양파, 멀구슬나무의 잎과 줄기, 등골나무 아재비의 잎과 줄기, 깻잎을 각각 세척한 다음 1 내지 3cm의 크기로 잘게 절단 및 세척을 한다(S100).
이때 상기 식물들은 모두 건초가 아닌 생초 상태의 것을 사용한다.
또한,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의 전체 중량 중 상기 절단/세척한 다육식물의 캉캉 또는 엘레강스 5 내지 10 중량%, 양파 5 내지 10 중량%, 멀구슬나무의 잎과 줄기 10 내지 20 중량 %, 등골나무 아재비의 잎과 줄기 10 내지 20 중량%, 깻잎 10 내지 20 중량 %, 알코올 함량 30 내지 40%의 소주 30 내지 35 중량% 를 진공 저온 농축기에서 72 내지 80시간 동안 농축을 시킨다(S200).
또한, 상기 농축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거름망에 통과시켜 잎과 줄기를 포함하는 각종 이물질과 농축액을 분리시킨 후 그 농축액을 추출한다(S300).
또한, 상기 농축액 추출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숙성용기에 투입한 다음, 20 내지 35℃ 조건에서 10 내지 12일 동안 숙성을 시킨다(S400).
또한, 상기 숙성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미세 망에 통과시켜 미립자 상태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한다(S500).
또한, 상기 미립자 제거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검사 후 중량 단위별로 포장을 함으로써 본원 발명의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의 제조과정은 완료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캉캉 또는 엘레강스의 다육식물>
본 발명에 따른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캉캉 또는 엘레강스는 다육식물로서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고, 어느 한 종류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육식물은 내부에 물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식물에 비해 통통한 외관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다른 식물처럼 공기 청정·산소 배출·전자파 차단의 효과도 있지만, 물을 충분히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점액질의 물질을 지니고 있어, 농작물에 살포시 점액에 의해 도막층이 형성되어 장시간의 살포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바, 본원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의 5 내지 10 중량%가 투입된다.
<양파>
본 발명에 따른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양파는 주로 비늘줄기를 식용으로 하며, 비늘줄기에서 나는 독특한 냄새는 이황화프로필황화알릴 등의 화합물 때문인데, 이것은 생리적으로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고 흥분 발한이뇨 등의 효과가 있으며, 비늘줄기에는 각종 비타민과 함께 칼슘인산 등의 무기질이 들어 있어 혈액 중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다.
양파의 일반성분으로는 수분 약 88~90%, 탄수화물 6.8~10.0%이며, 그 조성은 과당(fructose)이 많고, 포도당(glucose)과 설탕(sucrose)은 거의 같은 양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당류도 많다. 양파의 특수성분으로는 양파의 정유(onion oil: 양파의 종자에서 얻음) 중에는 allylpropyl disulfide, S-(1-propyl)cysteine sulfoxide, 1-propenylsulfenic acid, propanethiol S-oxide 등 휘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매운맛과 냄새를 주며 눈에 들어가면 최루성 자극을 준다.
양파의 독특한 냄새는 L-cysteine sulfoxide의 S-alkyl 유도체가 alliinase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pyruvic acid, ammonia와 함께 불안정한 sulfenic acid 유도체가 생성된다. Sulfenic acid는 분해되고 재배열하여 보다 안정한 thiopropanal S-oxide를 만들고 이것이 최루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화합물과 반응하여 제품의 특성을 결정하는 복잡한 di- 또는 trisulfides 혼합물을 생성한다.
양파의 이러한 최루성 자극은 충과 균에 대해 기피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의 5 내지 10 중량%가 투입된다.
<멀구슬나무>
본 발명에 따른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멀구슬나무는 살충, 해열, 이뇨의 효능이 있으며 피부의 습기를 제거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약재이며, 이미 친환경 살충제로 상품화돼 있는 아자디락틴(Azadirachtin)은 인도의 님(Neem) 나무에 함유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같은 종인 우리나라의 멀구슬나무에서도 발견되고 있어 본원 발명에서는 이를 응용하는 것이다.
상기 아자디락틴은 지금까지 합성된 가장 강력한 성장 억제물로서 실제로 소량의 아자디락틴으로도 해충의 나무 접촉을 방지할 정도로 강력하며, 님(neem)은 인도, 네팔, 미얀마가 원산지이며, 오래전부터 해충을 쫓아버리거나 갉아먹는 것을 멈추게 하거나 성장을 방해하는 등 해충을 무력화시키는 광범위한 살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의 10 내지 20 중량%가 투입된다.
<등골나무 아재비>
본 발명에 따른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등골나무 아재비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인 아게라툼 코니조이데스(Ageratum conyzoides)이며, 동남아시아에서는 민간요법으로 살충제나 선충구제, 제초제용 등 각종 질병에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물 유기산들은 잡초의 발아억제 효과가 뛰어나 친환경 제초성분으로 주목받고 있는바, 본원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의 10 내지 20 중량%가 투입된다.
<깻잎>
본 발명에 따른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깻잎은, 특한 향기를 내는 페릴라알 데히드(perilla aldehyde), 리모넨(limonen), 페릴케톤(perilla ketone)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페릴라알 데히드(perilla aldehyde)와, 페릴케톤(perilla ketone) 은 방부작용 및 향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의 10 내지 20 중량%가 투입된다.
<소주>
본 발명에 따른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소주는 알코올 함량 30 내지 40%가 함유된 것을 사용하며 각 조성물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의 30 내지 35 중량%가 투입된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들은 모두 충과 균에 대해 예방 및 기피효과가 있으며, 본원에서는 이들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노린재 방제용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1
다육식물인 캉캉 또는 엘레강스, 양파, 멀구슬나무의 잎과 줄기, 등골나무 아재비의 잎과 줄기, 깻잎을 각각 세척한 다음 1 내지 3cm의 크기로 잘게 절단 및 세척을 하였으며, 세척한 다육식물인 캉캉 또는 엘레강스 80kg, 양파 80kg, 멀구슬나무의 잎과 줄기 180kg, 등골나무 아재비의 잎과 줄기 180kg, 깻잎 150kg, 소주 330kg을 저온 진공 농축기에 투입하여 75시간 동안 농축을 하였으며, 농축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거름망에 통과시켜 이물질과 농축액을 분리시킨 후 그 농축액을 추출하였다.
또한 상기 농축액 추출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숙성용기기에 투입한 다음, 20 내지 35℃ 조건에서 12일 동안 숙성을 한 후 미세 망을 이용하여 미립자 상태의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상기와 같이 미립자 상태의 이물질을 제거한 이후에는 육안 식별 검사를 하였으며, 검사 후에는 중량(g) 단위별로 포장을 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원 발명의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은 벼, 보리, 과수 등의 각종 농작물에 살포를 함으로써 노린재가 기피 및 방제 되는 효과가 있었다.
살포를 할 때는 상기 조성물과 물을 1 : 8 내지 9의 비율(g)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살포 시기는 이른 봄부터 주기적으로 살포할 수 있으며, 화학 성분이 전혀 없어 인체는 물론, 토양이나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노린재의 기피 및 방제에 따라 농작물의 작황이 증대될 수 있다.
S100: 세척/절단단계 S200: 농축단계
S300: 농축액 추출단계
S400: 숙성 단계 S500: 미립자 제거단계
S600: 검사/포장단계

Claims (2)

  1. 다육식물인 캉캉 또는 엘레강스, 양파, 멀구슬나무의 잎과 줄기, 등골나무 아재비의 잎과 줄기, 깻잎을 각각 세척한 다음 1 내지 3cm의 크기로 잘게 절단 및 세척하는 절단/세척단계(S100);와,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의 전체 중량 중 상기 절단/세척한 다육식물의 캉캉 또는 엘레강스 5 내지 10 중량%, 양파 5 내지 10 중량%, 멀구슬나무의 잎과 줄기 10 내지 20 중량 %, 등골나무 아재비의 잎과 줄기 10 내지 20 중량%, 깻잎 10 내지 20 중량 %, 알코올 함량 30 내지 40%의 소주 30 내지 35 중량% 를 진공 저온 농축기에서 72 내지 80시간 동안 농축을 시키는 농축단계(S200);와,
    상기 농축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거름망에 통과시켜 잎과 줄기를 포함하는 각종 이물질과 농축액을 분리시킨 후 그 농축액을 추출하는 농축액 추출단계(S300);와,
    상기 농축액 추출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숙성용기에 투입한 다음, 20 내지 35℃ 조건에서 10 내지 12일 동안 숙성을 시키는 숙성단계(S400);와,
    상기 숙성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미세 망에 통과시켜 미립자 상태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미립자 제거단계(S500);와,
    상기 미립자 제거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검사 후 중량 단위별로 포장하는 검사/포장단계(S6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2. 제1항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KR1020160066254A 2016-05-30 2016-05-30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KR20160070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254A KR20160070734A (ko) 2016-05-30 2016-05-30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254A KR20160070734A (ko) 2016-05-30 2016-05-30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734A true KR20160070734A (ko) 2016-06-20

Family

ID=5635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254A KR20160070734A (ko) 2016-05-30 2016-05-30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07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5367C2 (ru) Растительные экстракты, используемые в качестве фитохимических препаратов
Dwiastuti et al. Citrus stem rot disease (Lasiodiplodia theobromae (Pat.) Griff. & Maubl) problem and their control strategy in Indonesia
KR100852398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유해동물 방제용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식물유해동물 방제방법
Yusoff et al. Gynura procumbens: Agronomic Practices and Future Prospects in Malaysia.
KR101464335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JP2001302426A (ja) 抗菌性植物活性剤
KR101407848B1 (ko)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
KR20170021931A (ko) 친환경 식물 바이러스 방제제
Verma et al. Potentials and cultivation of bubble bush (Jatropha curcas Linn.) in human welfare: A review
KR102228911B1 (ko) 천연 비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767918A (zh) 一种防治芋艿烂芋皮病的方法
KR20160070734A (ko)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KR101749123B1 (ko)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KR20170070851A (ko)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KR20170070850A (ko)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KR101802249B1 (ko)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JP2010235506A (ja) 植物の生育促進剤及び害虫忌避剤
CN108130091A (zh) 一种设施专用砂质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50099692A (ko)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KR20190011069A (ko) 수단그라스 및 한련초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기생선충 방제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제방법
Banful et al. Effect of seed drying on germination behavior and seedling growth of sweetsop (Annona squamosa)
Martini Mohammad Yusoff et al. Gynura procumbens: agronomic practices and future prospects in Malaysia.
Aminah et al. The Potential of Cigarette Butt Extract Against Bemisia Tabaci in Tomato
CN1582671A (zh) 一种高效生态植物农药
TR2022008614A2 (tr) TESBİH AĞACI (Melia azedarach) ÖZÜTLÜ BİYOHERBİS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