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9692A -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 Google Patents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9692A
KR20150099692A KR1020150109287A KR20150109287A KR20150099692A KR 20150099692 A KR20150099692 A KR 20150099692A KR 1020150109287 A KR1020150109287 A KR 1020150109287A KR 20150109287 A KR20150109287 A KR 20150109287A KR 20150099692 A KR20150099692 A KR 20150099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inger
leaves
mixture obtained
avo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규
김창길
이경열
이목형
윤해근
정희영
최철
한증술
조재두
윤환상
Original Assignee
(주)에코팜
윤환상
(주)에그리바이오텍
선진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팜, 윤환상, (주)에그리바이오텍, 선진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에코팜
Priority to KR1020150109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9692A/ko
Publication of KR20150099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01N63/0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해충 중 특히 노린재류에 대해 방제는 물론 노린재류를 기피하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의 작황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특히 화학 성분의 살충제가 아니라 천연성분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토양 및 환경 오염도 예방할 수 있는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코스모스의 잎과, 줄기, 꽃잎 및 제충국의 잎과 줄기, 꽃, 할미꽃의 뿌리, 은행나무의 잎, 육계 나무의 껍질, 고추나물의 열매와 잎, 그라비올라의 잎, 줄기, 껍질, 뿌리 및 양파, 야동나무, 잣나무를 각각 세척한 다음 1 내지 3cm의 크기로 잘게 절단 및 세척하는 절단/세척단계(S100)와,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의 전체 중량 중 상기 절단/세척한 잎과 줄기, 꽃잎을 포함하는 코스모스 8 내지 12 중량%, 제충국의 잎과 줄기, 꽃 8 내지 12 중량%, 할미꽃의 뿌리 18 내지 22 중량%, 은행나무의 잎 8 내지 12 중량%, 육계 나무의 껍질 8 내지 12 중량%, 고추나물의 열매와 잎 8 내지 12 중량%, 그라비올라의 잎, 줄기, 껍질, 뿌리 9 내지 11중량%, 양파 8 내지 12 중량%, 야동나무 4 내지 6 중량%, 잣나무 4 내지 6 중량%를 전용교반기에 투입하여 슬러쉬 또는 입자 상태가 될 때까지 교반을 하는 교반단계(S200)와, 상기 교반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진공 저온 농축기에서 180 내지 210분 동안 농축을 시키는 농축단계(S300)와, 상기 농축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거름망에 통과시켜 이물질과 농축액을 분리시킨 후 그 농축액을 추출하는 농축액추출단계(S400)와, 상기 농축액 추출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반응기에 투입한 다음, 그 농축액과 혐기성 미생물을 8:2의 비율(g)로 혼합 후 20 내지 35℃ 조건에서 10 내지 15일 동안 숙성을 시키는 숙성단계(S500)와, 상기 숙성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미세 망에 통과시켜 미립자 상태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미립자 제거단계(S600)와, 상기 미립자 제거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검사 후 중량 단위별로 포장하는 검사/포장단계(S7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Natur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mposition avoiding and/or controling the Hemiptera}
본 발명은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해충 중 특히 노린재류에 대해 방제는 물론 노린재류를 기피하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의 작황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특히 화학 성분의 살충제가 아니라 천연성분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토양 및 환경 오염도 예방할 수 있는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생산량 증감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원인으로는 크게 태풍이나 우박, 동해 등과 같은 기후적인 영향과, 토양의 종류 및 관배수 관리, 비배 관리 등 수체 생리와 재배 전반적인 영향 그리고 응애류, 굴나방류, 진딧물류, 심식충류, 노린재 및 나무좀 등의 각종 해충에 따른 피해를 들 수 있다.
상기 해충 중 노린재는 반시류라고 하기도 하며, 지상생활을 하는 것과, 수서생활을 하는 것, 물속에서 사는 진수서성, 물 위에서 사는 반수서성, 물가에서 사는 육수성과, 해수성 등으로 구분되며, 지표 또는 표토 속에서 생활하는 것도 있다.
또한 그 종류로는 갈색날개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등이 있으며, 노린재 중에서도 갈색날개노린재의 피해가 가장 심하다.
성충으로 낙엽 밑이나 상록수의 숲에서 월동하며 4월 중순부터 활동을 개시하고 전 생육기간을 통해 가해하며, 특히 7 ~ 8월에는 사과 및 대부분의 과실류에 큰 피해를 준다.
노린재 약충과 성충 두 종류 모두 그들이 선호하는 식물체(콩밭)에 붙어서 식물체의 과실이나 꽃봉오리, 꽃 그리고 종자의 수액을 빨아 먹는다.
노린재에 의한 피해 정도는 노린재가 해당 식물에 피해를 입힐 당시의 발육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벼에서는 이삭을 흡즙하여 반점미를 유발하여 품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7 ~ 8월에 피해를 받은 과실의 저장 중 연화부패를 유발하거나,
주로 과실 윗부분이나 몸통부분을 흡즙하기 때문에 피해 과실을 보면 구침에 찔린 흔적이 있어 과실의 상품성이 현저히 낮아진다.
노린재류는 산림의 낙엽송, 상록수 등의 나뭇가지와 조피사이, 농작물의 잔재물 속에서 성충으로 월동하며, 주로 이듬해 4월경부터 월동에서 깨어나 봄철에 열매를 맺는 화본과, 유류 및 두류작물과 유실수 등에서 필요한 영양분을 섭취하고 개체군의 밀도를 증식시킨다. 주로 7월 이후에는 주변의 두류, 참깨 및 과수 등으로 이동하여 작물 수확기까지 개체군 증식과 더불어 작물에 지속적인 피해를 준다.
노린재류는 1990년대까지는 개체군의 발생량이 적어 농작물의 주요 해충으로 인식되지 않았으나, 2000년 이후부터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여 노린재류를 관리하지 않을 경우 농작물의 정상적인 수확이 어려울 지경에 이르렀다.
사과원에서 노린재류에 의한 과실 피해 역시 2000년 이전까지는 문제되지 않았으나, 2000년 이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일부 사과원에서는 심각한 피해를 받는 경우도 있다.
2001년 이후부터는 노린재발생 과원율이 20%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사과원에서 피해가 확인되었으며, 2013년에는 발생 과원율이 50% 이상을 차지하여 사과원의 주요 해충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노린재의 다발생 원인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노린재류의 월동 및 월동 후 증식의 유리한 조건, 산림생태계의 변화에 의한 노린재류의 기주 및 월동에 유리한 조건, 다양한 재배 및 작부양식, 화학 성분(고독성)의 약제 관리 증가 등의 농업생태계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노린재류의 발생량 증가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과 미국, 유럽 등 전세계적으로 유사한 경향이다.
상기와 같이 농작물에 피해를 끼치는 노린재를 방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과실에 봉지를 씌우거나, 화학적 성분이 함유된 살충제를 살포하거나, 유아등과 집합 페르몬 트랩을 이용하거나, 천적을 이용한 것으로 노린재 알에 기생하는 기생벌에 의한 생물적 방제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제 방법은 주로 지속적으로 발생 예찰을 관찰하는 것이며, 일손이 부족한 농가현실을 감안할 때 비교적 효율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화학 성분이 포함된 살충제의 경우 토양과 환경오염은 물론, 인체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천적을 이용한 방법은 과거 미국, 일본, 브라질, 유럽 등의 많은 국가에서 실시되었으나, 노린재가 주로 노지 작물에서 발생 되는 경우가 많고, 공장에서 증식된 천적들은 야외 방사 시에 환경 적응성이 떨어지며, 증식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 문제 등의 단점이 있어 국내에서는 현실적으로 적용이 어려운 경우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 화학 성분이 함유된 농약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미생물, 천적, 또는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천연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방제용 약제로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74793호에는 대회향, 양고추냉이, 마늘 및 겨자 등으로부터 추출된 살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5218호에는 살충제 및 항균제로 이용되는 은행잎 추출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벼, 보리 및 각종 과실류의 생산량 증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노린재류에 대해 화학 성분의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노린재류가 기피 및 방제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의 작황 증대와 동시에 토양 및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은
코스모스의 잎과, 줄기, 꽃잎 및 제충국의 잎과 줄기, 꽃, 할미꽃의 뿌리, 생강, 은행나무의 잎, 육계 나무의 껍질, 고추나물의 열매와 잎, 그라비올라의 잎, 줄기, 껍질, 뿌리 및 양파, 야동나무, 잣나무를 각각 세척한 다음 1 내지 3cm의 크기로 잘게 절단 및 세척하는 절단/세척단계(S100)와,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의 전체 중량 중 상기 절단/세척한 잎과 줄기, 꽃잎을 포함하는 코스모스 8 내지 12 중량%, 제충국의 잎과 줄기, 꽃 8 내지 12 중량%, 할미꽃의 뿌리 9 내지 11 중량%, 생강 9 내지 11 중량%, 은행나무의 잎 8 내지 12 중량%, 육계 나무의 껍질 8 내지 12 중량%, 고추나물의 열매와 잎 8 내지 12 중량%, 그라비올라의 잎, 줄기, 껍질, 뿌리 9 내지 11중량%, 양파 8 내지 12 중량%, 야동나무 4 내지 6 중량%, 잣나무 4 내지 6 중량%를 전용교반기에 투입하여 슬러쉬 또는 입자 상태가 될 때까지 교반을 하는 교반단계(S200)와, 상기 교반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진공 저온 농축기에서 180 내지 210분 동안 농축을 시키는 농축단계(S300)와, 상기 농축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거름망에 통과시켜 이물질과 농축액을 분리시킨 후 그 농축액을 추출하는 농축액추출단계(S400)와, 상기 농축액 추출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반응기에 투입한 다음, 그 농축액과 혐기성 미생물을 8:2의 비율(g)로 혼합 후 20 내지 35℃ 조건에서 10 내지 15일 동안 숙성을 시키는 숙성단계(S500)와, 상기 숙성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미세 망에 통과시켜 미립자 상태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미립자 제거단계(S600)와, 상기 미립자 제거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검사 후 중량 단위별로 포장하는 검사/포장단계(S7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은 농작물의 작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노린재류를 화학 성분의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 성분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피 내지는 방제가 되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의 작황 증대는 물론, 토양과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제조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코스모스의 잎과, 줄기, 꽃잎 및 제충국의 잎과 줄기, 꽃, 할미꽃의 뿌리, 생강, 은행나무의 잎, 육계 나무의 껍질, 고추나물의 열매와 잎, 그라비올라의 잎, 줄기, 껍질, 뿌리 및 양파, 야동나무, 잣나무를 각각 세척한 다음 1 내지 3cm의 크기로 잘게 절단 및 세척을 한다(S100).
이때 상기 식물들은 모두 생초 상태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의 전체 중량 중 상기 절단/세척한 잎과 줄기, 꽃잎을 포함하는 코스모스 8 내지 12 중량%, 제충국의 잎과 줄기, 꽃 8 내지 12 중량%, 할미꽃의 뿌리 9 내지 11 중량%, 생강 9 내지 11 중량%, 은행나무의 잎 8 내지 12 중량%, 육계 나무의 껍질 8 내지 12 중량%, 고추나물의 열매와 잎 8 내지 12 중량%, 그라비올라의 잎, 줄기, 껍질, 뿌리 9 내지 11 중량%, 양파 8 내지 12 중량%, 야동나무 4 내지 6 중량%, 잣나무 4 내지 6 중량%를 전용교반기에 투입하여 슬러쉬 또는 입자 상태가 될 때까지 교반을 실시한다(S200).
또한 상기 교반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진공 저온 농축기에서 180 내지 210분 동안 농축을 시킨다(S300).
또한 상기 농축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거름망에 통과시켜 이물질과 농축액을 분리시킨 후 그 농축액을 추출한다(S400).
또한 상기 농축액 추출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반응기에 투입한 다음, 그 농축액과 혐기성 미생물을 8:2의 비율(g)로 혼합 후 20 내지 35℃ 조건에서 10 내지 15일 동안 숙성을 시킨다(S500).
이때 상기 혐기성 미생물은 젖산균(Lactobacillus, ~酸[桿]菌)으로 이루어지며, 미생물에 의해 숙성이 잘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숙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생산량의 증대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숙성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미세 망에 통과시켜 미립자 상태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한다(S600).
또한 상기 미립자 제거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검사 후 중량(g) 단위별로 포장하는 검사/포장단계(S700)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코스모스>
본 발명에 따른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코스모스는 잎이나 줄기를 비벼 코에 대어보면 특유의 향과 냄새가 나는데, 코스모스는 여타 다른 국화과 식물에 비해 총 폴리페놀(polyphenols)과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함량이 많은 편이며, 이들 성분은 산화를 방지하는 작용, 즉 항산화 기능이 있다.
플라보노이드는 노란색 계통의 식물 색소로, 항산화 기능 외에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을 지니며, 독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코스모스가 충과 균에 대해 기피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의 8 내지 12 중량%가 투입된다.
<제충국>
본 발명에 따른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제충국은 다년초로 줄기는 곧추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분백색이고 높이 30~60㎝이며 기부에 전년도의 잎이 흔적적으로 남아 비늘 조각을 이루고 있으며, 잎은 호생하고 우상으로 완전히 갈라지고,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중렬 또는 천열하고 최종열편은 선형으로 끝이 둔하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많다.
꽃은 5 ~ 6월 경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두화(頭花)의 지름은 3㎝ 정도인데, 두화를 채취하여 말려 분말을 만들어 구충제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줄기와 잎도 해충 구제용으로 쓰인다
특히, 꽃 부분에 피레트린이라는 담적황색의 기름과 같은 물질이 있는데, 이물질은 냉혈동물 중 곤충에 대하여 독성이 강하여 충과 균에 대해 기피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의 8 내지 12 중량%가 투입된다.
<할미꽃>
본 발명에 따른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할미꽃은 뿌리에 항균성 물질인 아네모닌(Anemonin)을 함유하며 잎에는 강심작용을 하는 오키날린(Okinalin)이 함유되어 있다. 해열, 수렴, 소염, 살균 등의 효능이 있으며 뜨거운 피를 식혀 주는 작용을 하는데, 이러한 할미꽃은 충과 균에 대해 기피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의 9 내지 11 중량%가 투입된다.
<생강>
본 발명에 따른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생강은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써 뿌리는 주로 식용과 약용으로 쓰이며, 매운맛과 향기가 강하기 때문에 이러한 생강은 충과 균에 대해 기피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의 9 내지 11 중량%가 투입된다.
<은행나무>
본 발명에 따른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은행나무의 잎은 플라보노이드라는 성분이 있어 살균 살충 성분이 있을 뿐 아니라 병충해에도 저항력이 강해 병들거나 벌레 먹는 일이 없고 공해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나서 여러 독성분을 정화하는 능력이 있으며, 이러한 은행나무의 잎은 충과 균에 대해 기피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의 8 내지 12 중량%가 투입된다.
<육계나무>
본 발명에 따른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육계나무는 계피 나무라고 알려져 있으며, 높이 약 8m까지 자란다. 작은 가지는 녹색이며 털이 없고,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긴 타원형이며 길이 약 10cm이며,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밑부분에 뚜렷한 3개의 맥이 있다.
꽃은 6월에 피고 연한 노란빛을 띤 녹색이며 새 가지 끝 잎겨드랑이에 산형 꽃차례로 달리며, 껍질에는 계피알데히드가 들어 있어 향기가 나는데, 줄기와 뿌리의 껍질은 맵고 향기가 있으므로 약용하거나 과자의 향료로 사용한다.
계피는 시나몬(cinnamon)이라고 하며, 계피의 유지놀 성분이 살충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살충 작용 또한 뛰어나기 때문에 모기와 같은 벌레를 퇴치하는데에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향기의 성분이 항생제 작용으로 세균을 방지하며 향균 효과가 있고 향기에 들어 있는 성분은 곰팡이가 가장 싫어하는 성분으로 곰팡이 제거에도 특효가 있으며, 계피 가루를 태우면 모기를 없앨 수 있고 잔벌레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진드기도 제거할 수 있는바, 이러한 할미꽃은 충과 균에 대해 기피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의 8 내지 12 중량%가 투입된다.
<고추나물>
본 발명에 따른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고추나물은 물레 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는 20-60㎝ 정도이고, 우리나라의 산이나 들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잎은 마주나며 길이 2-5㎝의 타원형으로 작은 흑점이 흩어져 있다.
여름이 되면 몇 개의 황색 꽃이 줄기나 가지 끝에 꽃이삭의 축(軸)이 몇 차례 가지를 나누어 최종의 가지가 총상 꽃차례가 되며, 전체가 원뿔 모양을 이루고 있는 원추꽃차례를 이루면서 달리며, 고추나물의 어린순은 식용으로 사용하며, 성숙한 순은 지혈제나 해독제로 사용하는데, 개화 때에 줄기와 잎을 찧은 즙을 타박상에 바르면 효능이 있고, 류머티즘과 신경통에도 효과적이다.
이러한 고추나물은 충과 균에 대해 기피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의 8 내지 12 중량%가 투입된다.
<양파>
본 발명에 따른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양파는 주로 비늘줄기를 식용으로 하며, 비늘줄기에서 나는 독특한 냄새는 이황화프로필황화알릴 등의 화합물 때문인데, 이것은 생리적으로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고 흥분 발한이뇨 등의 효과가 있으며, 비늘줄기에는 각종 비타민과 함께 칼슘인산 등의 무기질이 들어 있어 혈액 중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다.
양파의 일반성분으로는 수분 약 88~90%, 탄수화물 6.8~10.0%이며, 그 조성은 과당(fructose)이 많고, 포도당(glucose)과 설탕(sucrose)은 거의 같은 양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당류도 많다. 양파의 특수성분으로는 양파의 정유(onion oil: 양파의 종자에서 얻음) 중에는 allylpropyl disulfide, S-(1-propyl)cysteine sulfoxide, 1-propenylsulfenic acid, propanethiol S-oxide 등 휘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매운맛과 냄새를 주며 눈에 들어가면 최루성 자극을 준다.
양파의 독특한 냄새는 L-cysteine sulfoxide의 S-alkyl 유도체가 alliinase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pyruvic acid, ammonia와 함께 불안정한 sulfenic acid 유도체가 생성된다. Sulfenic acid는 분해되고 재배열하여 보다 안정한 thiopropanal S-oxide를 만들고 이것이 최루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화합물과 반응하여 제품의 특성을 결정하는 복잡한 di- 또는 trisulfides 혼합물을 생성한다.
양파의 이러한 최루성 자극은 충과 균에 대해 기피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의 8 내지 12 중량%가 투입된다.
<그라비올라>
본 발명에 따른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라비올라에는 항산화 물질 그리고 항암물질인 파이토 케이컬이 풍부한데 항암작용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혈압을 강화하는 작용을 하여 고혈압 환자에게도 유용하다. 세포손상을 막고 염증을 줄여주며 독소로부터 몸을 보호한다. 더불어 항생물질인 아드리아마이신보다 아세토개닌이 약 일만 배의 높은 효과가 있다. 섬유질, 단백질, 비타민 B와 C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있고 뿌리의 경우는 굉장히 강한 독성이 있어 벌레 등을 퇴치하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벌레가 근접을 못하고 병충해를 모르기 때문에 농약과는 거리가 먼 식물이다.
이러한 그라비올라가 충과 균에 대해 기피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의 18 내지 22 중량%가 투입된다.
<야동나무>
본 발명에 따른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야동나무는 타닌과 베르게닌(Bergenin)이 함유되어 있어 진통과 염증을 없애는 효능이 있으며 항궤양 작용을 한다. 강력한 해독작용과 진통 소염작용이 있으며 몸에 상처가 났을 때 잎을 비벼 발라주면 덧나지 않고 쉽게 나으며 위암치료에 아주 좋은 효과가 있는데 이러한 야동나무가 충과 균에 대해 기피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의 4 내지 6 중량%가 투입된다.
<잣나무>
본 발명에 따른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잣나무는
재질이 가볍고 향기가 있는데 이러한 향을 가진 잣나무가 충과 균에 대해 기피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의 4 내지 6 중량%가 투입된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들은 모두 충과 균에 대해 예방 및 기피효과가 있으며, 본원에서는 이들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노린재 방제용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1
코스모스의 잎과, 줄기, 꽃잎 및 제충국의 잎과 줄기, 꽃 및 할미꽃의 뿌리, 생강, 은행나무의 잎, 육계 나무의 껍질, 고추나물의 열매와 잎, 그라비올라의 잎, 줄기, 껍질, 뿌리, 양파, 야동나무, 잣나무를 각각 1 내지 3cm의 크기로 잘게 절단 후 세척을 하였으며, 세척한 코스모스의 잎과, 줄기, 꽃잎 100kg 및 제충국의 잎과 줄기, 꽃 100kg, 할미꽃의 뿌리 100kg, 생강 100kg, 은행나무의 잎 100kg, 육계 나무의 껍질 100kg, 고추나물의 열매와 잎 100kg, 그라비올라의 잎, 줄기, 껍질, 뿌리 100kg, 양파 100kg, 야동나무 100kg, 잣나무 100kg을 전용교반기에 투입하여 슬러쉬 또는 입자 상태가 될 때까지 교반을 하였다.
또한 교반 후에는 교반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진공 저온 농축기에서 3시간 동안 농축을 하였으며, 농축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거름망에 통과시켜 이물질과 농축액을 분리시킨 후 그 농축액을 추출하였다.
또한 상기 농축액 추출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반응기에 투입한 다음, 그 농축액과 혐기성 미생물을 8:2의 비율(g)로 혼합 후 20 내지 35℃ 조건에서 10 내지 15일 동안 숙성을 한 후 미세 망을 이용하여 미립자 상태의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상기와 같이 미립자 상태의 이물질을 제거한 이후에는 육안 식별 검사를 하였으며, 검사 후에는 중량(g) 단위별로 포장을 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원 발명의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은 벼, 보리, 과수 등의 각종 농작물에 살포를 함으로써 노린재가 기피 및 방제 되는 효과가 있었다.
살포를 할 때는 상기 조성물과 물을 1 : 2 내지 3의 비율(g)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살포 시기는 이른 봄부터 주기적으로 살포할 수 있으며, 화학 성분이 전혀 없어 인체는 물론, 토양이나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노린재의 기피 및 방제에 따라 농작물의 작황이 증대될 수 있다.
S100: 세척/절단단계 S200: 교반단계
S300: 농축단계 S400: 농축액 추출단계
S500: 숙성 단계 S600: 미립자 제거단계
S700: 검사/포장단계

Claims (3)

  1. 코스모스의 잎과, 줄기, 꽃잎 및 제충국의 잎과 줄기, 꽃, 할미꽃의 뿌리, 생강, 은행나무의 잎, 육계 나무의 껍질, 고추나물의 열매와 잎, 그라비올라의 잎, 줄기, 껍질, 뿌리 및 양파, 야동나무, 잣나무를 각각 세척한 다음 1 내지 3cm의 크기로 잘게 절단 및 세척하는 절단/세척단계(S100);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의 전체 중량 중 상기 절단/세척한 잎과 줄기, 꽃잎을 포함하는 코스모스 8 내지 12 중량%, 제충국의 잎과 줄기, 꽃 8 내지 12 중량%, 할미꽃의 뿌리 9 내지 11 중량%, 생강 9 내지 11 중량%, 은행나무의 잎 8 내지 12 중량%, 육계 나무의 껍질 8 내지 12 중량%, 고추나물의 열매와 잎 8 내지 12 중량%, 그라비올라의 잎, 줄기, 껍질, 뿌리 9 내지 11중량%, 양파 8 내지 12 중량%, 야동나무 4 내지 6 중량%, 잣나무 4 내지 6 중량%를 전용교반기에 투입하여 슬러쉬 또는 입자 상태가 될 때까지 교반을 하는 교반단계(S200);
    상기 교반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진공 저온 농축기에서 180 내지 210분 동안 농축을 시키는 농축단계(S300);
    상기 농축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거름망에 통과시켜 이물질과 농축액을 분리시킨 후 그 농축액을 추출하는 농축액추출단계(S400);
    상기 농축액 추출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반응기에 투입한 다음, 그 농축액과 혐기성 미생물을 8:2의 비율(g)로 혼합 후 20 내지 35℃ 조건에서 10 내지 15일 동안 숙성을 시키는 숙성단계(S500);
    상기 숙성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미세 망에 통과시켜 미립자 상태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미립자 제거단계(S600);
    상기 미립자 제거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검사 후 중량 단위별로 포장하는 검사/포장단계(S7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성 미생물은 젖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3. 제1항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KR1020150109287A 2015-08-03 2015-08-03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KR20150099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287A KR20150099692A (ko) 2015-08-03 2015-08-03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287A KR20150099692A (ko) 2015-08-03 2015-08-03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692A true KR20150099692A (ko) 2015-09-01

Family

ID=54241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287A KR20150099692A (ko) 2015-08-03 2015-08-03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96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73184B (zh) 一种蔬菜用防虫杀虫剂及其制备方法
Hayatie et al. Aqueous extracts of seed and peel of Carica papaya against Aedes aegypti
KR100852398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유해동물 방제용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식물유해동물 방제방법
Dwiastuti et al. Citrus stem rot disease (Lasiodiplodia theobromae (Pat.) Griff. & Maubl) problem and their control strategy in Indonesia
KR102036480B1 (ko) 닭진드기 퇴치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닭진드기 퇴치용 조성물
KR101371175B1 (ko) 개똥쑥의 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똥쑥 차의 제조방법
KR101225103B1 (ko)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의 살충용도
KR101464335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WO2019033527A1 (zh) 用于防治黄瓜病害及提高黄瓜营养成分含量的植物提取物
CN112106789B (zh) 飞燕草乙酸乙酯提取物在防治小菜蛾上的应用
KR20130080667A (ko) 후추 속 식물과 라반듈라 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살충용 조성물
KR20220086721A (ko) 토양해충방제와 토양개량이 동시에 가능한 기능성 조성물
CN113767918A (zh) 一种防治芋艿烂芋皮病的方法
KR101802249B1 (ko)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KR101749123B1 (ko)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KR20150099692A (ko)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CN105994258B (zh) 一种农用大蒜素乳剂的制备方法
KR20170070850A (ko)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KR20170070851A (ko)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CN112493050B (zh) 一种杨梅肉葱病的生物防治方法
Rahmah et al. Effect of extract euphorbia hirta linn. against leaf and fruit pests on plants cucumber (Cucumis sativus Linn.)
Nawaz et al. Lantana (Lantana camara): A medicinal plant having high therapeutic potentials–A comprehensive review
KR20160070734A (ko)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DAMAL EVALUATION OF CONTRIBUTION OF AZADIRACHTA INDICA AS A BIOPESTICIDES AND ANALYSIS OF GROWTH RATIO IN INDIAN REGIONS
Aminah et al. The Potential of Cigarette Butt Extract Against Bemisia Tabaci in Toma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