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848B1 -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848B1
KR101407848B1 KR1020120127879A KR20120127879A KR101407848B1 KR 101407848 B1 KR101407848 B1 KR 101407848B1 KR 1020120127879 A KR1020120127879 A KR 1020120127879A KR 20120127879 A KR20120127879 A KR 20120127879A KR 101407848 B1 KR101407848 B1 KR 101407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extract
weight
parts
plant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921A (ko
Inventor
박매호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과 미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과 미래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과 미래
Priority to KR1020120127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84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0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6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mahogany, langsat or neem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은 식물추출물,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식물을 유기용매에 투입하여 식물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는 농축단계, 상기 농축단계를 거친 식물추출물에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를 투입하고 교반하는 교반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은 살충성능이 우수한 마트린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우수한 살충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 {INSECTICIDE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살충성능이 우수한 마트린 성분이 함유된 식물추출물이 함유되어 우수한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살충성능이 우수한 마트린 성분이 함유된 식물추출물이 함유되어 우수한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벼 애멸구, 혹명나방 및 이화명나방 등과 같은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화학 살충제가 사용되었다.
벼 애멸구는 애멸구는 묘판기부터 벼의 생육기간 중 벼의 양분을 직접 흡즙하여 벼의 영양성분 함량을 저해하며, 벼에 줄무늬잎마름병 및 검은줄오갈병을 매개하며, 옥수수에 검은줄오갈병을 매개하는 해충이다.
또한, 혹명나방이나 이화명나방은 잎 색이 진한 논과 해안지대 논에서 많이 발생하며, 벼 잎을 한 잎씩 세로로 말고 잎을 갉아먹기 때문에 수확 후에는 쌀에 금이 가는 현상을 발생시키는 해충이다.
상기와 같이 벼 애멸구나 혹명나방 및 이화명나방의 방제를 위해 그간 주로 화학 살충제를 사용하여 왔으나, 화학살충제는 토양의 산성화 및 오염 문제, 인축에의 독성문제, 농약성분의 잔류로 인한 환경문제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와 소비자들의 친환경식품 선호현상으로 인해 화학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농자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그 사용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화학살충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농자재로는,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물 살충제의 사용 및 천적을 활용한 생물적 방제 인자의 사용이 있다. 이중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나방 방제의 경우 대부분 효과가 객관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농민 개개인의 민간요법 차원인 경우가 많다.
또한, 몇몇 제조사에 의해 상용화가 시도된 제품들도 있으나 방제효과의 한계, 제조방법의 까다로움, 제한된 유통기간 등의 문제로 화학 살충제를 대체하여 상용화되기에는 아직까지 해결해야 할 문제를 많이 갖고 있다. 특히, 방제효과가 떨어지는 제품의 경우 천적 개체수 증가에 따른 2차적인 문제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양오염, 토양의 산성화, 인축에의 독성문제 및 농약성분의 잔류 등이 발생하지 않는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과정이 단순하며, 유통기한이 길고 방제효과가 우수한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추출물,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은 식물추출물 91 중량부, 목초액 7.5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식물추출물은 회화나무, 멀구슬나무 및 양명아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에서 추출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식물추출물은 마트린을 함유하며, 상기 마트린의 함유량이 0.5 내지 1%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리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에는 살충제 조성물 전체 대비 0.2%의 전착제 및 0.001%의 거품제거제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을 유기용매에 투입하여 식물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는 농축단계, 상기 농축단계를 거친 식물추출물에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를 투입하고 교반하는 교반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추출단계는 식물 100 중량부를 유기용매 500 내지 1500 중량부에 투입하고 햇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40 내지 50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교반단계는 식물추출물 91 중량부에 목초액 7.5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1.5 중량부를 투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교반단계 이후에는 상기 교반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전체에 대비 0.2%의 전착제 및 0.001%의 거품제거제를 혼합하는 첨가제투입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토양오염, 토양의 산성화, 인축에의 독성문제 및 농약성분의 잔류 등이 발생하지 않는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조과정이 단순하며, 유통기한이 길고 방제효과가 우수한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추추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은 마트린(Matrine)이 함유된 식물추출물,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며, 식물추출물 91 중량부, 목초액 7.5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추출물은 식물에서 얻어지는데, 마트린 성분이 추출될 수 있는 회화나무, 멀구슬나무 및 양명아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에서 추출되며, 상기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식물 100 중량부를 에탄올 500 내지 1500 중량부의 에탄올에 투입하고 햇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약 40 내지 50시간 동안 추출과정을 진행하고, 상기의 추출과정을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 농축하여 마트린 성분이 함유된 상태로 추출되는데, 마트린의 함량이 0.5 내지 1%인 상태로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트린의 함량이 0.5% 미만이면 후술하는 마트린의 유용한 살충 성분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아 살충제로서의 효능 및 품질이 저하되며, 1% 초과이면 제조과정, 시간 및 비용이 현저히 증가되어 생산성 및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때, 농축기를 통해 농축된 추출물에 함유된 마트린의 함량은 HPLC를 통해 확인 가능하며, 표준용액(순도 99%)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트린은 사람이나 가축에 대한 무해하며, 상기 식물추출물을 벼와 같은 농작물에 적용하면 해충이나 진드기를 죽이고, 곰팡이(眞菌)를 억제 또는 살균하는 효과가 10 내지 15일간 지속되며, 특히, 채소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배추흰나비 따위의 애벌레, 담배거세미밤나방, 파밤나방, 진딧물, 총채벌레류, 소녹엽선(小綠葉蟬 Empoasca fomosana Paoli) 및 가루이 등에 대해서도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회화나무는 영문명으로 Chinese scholar tree라고도 하며, 높이가 25m에 달한다. 가지가 퍼지고 작은 가지는 녹색이며 자르면 냄새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17개씩이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뒷면에는 작은잎자루와 더불어 누운털이 있다. 꽃은 8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고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꼬투리는 길이 5∼8cm이고 종자가 들어 있는 사이가 잘록하게 들어가며 밑으로 처진다.
꽃봉오리를 괴화(槐花) 또는 괴미(槐米)라고 하며 열매를 괴실(槐實)이라 하는데, 모두 약용으로 한다. 열매는 협과로 원기둥 또는 염주 모양이다. 괴화는 동맥경화 및 고혈압에 쓰고 맥주와 종이를 황색으로 만드는 데 쓴다. 괴실은 가지 및 나무껍질과 더불어 치질치료에 쓴다.
또한, 이러한 회화나무에는 상기 마트린과 같은 알카로이드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알카로이드 물질은 약리 활성이 크고 염기성 함 질소 화합물로 질소가 함유되어 있으면 독성이 크고 강해지기 때문에, 농약 등에 많이 사용된다.
상기 멀구슬나무는 학명이 Melia azedarah var. japonica이며, 구주목이라고도 한다. 잎은 어긋나고 기수 2∼3회 깃꼴겹잎(羽狀複葉)으로 잎자루의 밑부분이 굵다. 작은잎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 또는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缺刻)이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5개씩의 꽃잎과 꽃받침조각, 10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는 핵과로 넓은 타원형이고 9월에 황색으로 익으며 겨울에도 달려 있다. 열매는 이뇨 ·하열 및 구충제로 사용한다. 가로수 ·정원수로도 이용된다. 한국(전남 ·전북 ·경남 ·경북) ·일본 ·타이완 ·서남 아시아에 분포한다.
특히, 상기 멀구슬나무에는 마트린과 투센다닌(toosendanin) 성분이 다량함유되어 있어 우수한 살충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양명아주는 학명이 Chenopodium ambrosioides L.이며, 명아주과의 일년초로, 남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써 들이나 공터 등에서 볼 수 있는데, 줄기는 가지를 많이 치고 위쪽에 성긴 털이 있으며, 높이는 30-80cm이다. 잎은 장 타원상 파침형으로 어긋나고 가장자리에 크기 다른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짧고 뒷면은 담황색 선점이 있다. 맥위에 다세포털이 있으며 위쪽 잎은 톱니가 없고 선형이다.
특히, 상기 양명아주는 ascaridole이라는 에센셜 오일과 limonene, p-cymene 등 다양한 테르핀계열의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마트린과 ascaridole이 주성분인데, 마트린은 우수한 살충효과를 나타내고, ascaridole은 자연계에서 흔치않은 성분으로 고유의 방향을 가지고 있어, 정제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목초액은 살충제 조성물 전체 대비 최적으로 7.5 중량부가 첨가되며, 본 발명에 따른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의 살충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목초액은 나무로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연기를 액화시켜 채취한 뒤, 6개월 이상 숙성시켜 독성과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제조된다.
또한, 목초액은 숯가마 굴뚝의 온도가 85 내지 120℃가 되었을 때 채취한 연기를 채취하여 제조된 것이 가장 우수한 살충효과를 나타내며, 연기에서 채취한 액을 6개월 이상 숙성 및 분리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용성과 유용성으로 분리되는데, 수용성의 액체를 채취하여 사용한다.
또한, 목초액은 pH가 3 전후의 산성을 띠며, 성분은 80 내지 90%가 물이며, 아세트산 3%이다. 그 외에 폼산, 지방산 및 메탄올 등과 200여 종에 이르는 소량의 미네랄을 포함한다.
전술한 목초액의 함량이 7.5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의 살충효과가 저하되며, 목초액의 함량이 7.5 중량부 초과이면, 살충 효과는 더 이상 향상되지 않고,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살충제 조성물 전체 대비 최적으로 1.5 중량부가 첨가되며, 전술한 식물추출물 및 목초액이 고르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을 정제수 등에 희석하여 사용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가 고르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식물추출물 및 목초액이 고르게 혼합되지 않아 상 분리가 발생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을 정제수에 희석할 때, 고르게 혼합되지 않아 균일한 성능을 나타내는 살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게 되며,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혼합성은 더 이상 향상되지 않고, 식물추출물이나 목초액의 상대적인 함량이 줄어들어 살충제 조성물의 살충효과가 저하된다.
이때,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리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로 이루어지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식물을 유기용매에 투입하여 식물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S101), 상기 추출단계(S101)를 통해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는 농축단계(S103), 상기 농축단계(S103)를 거친 식물추출물에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를 투입하고 교반하는 교반단계(S105)로 이루어진다.
상기 추출단계(S101)는 식물을 유기용매에 투입하여 식물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로, 식물 100 중량부를 유기용매 500 내지 1500 중량부에 투입하고 햇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추출하여 이루어지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회화나무, 멀구슬나무 및 양명아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 100 중량부를 순도가 95%인 에탄올 500 내지 1500 중량부에 투입하고, 햇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40 내지 50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상기 농축단계(S103)는 추출단계(S101)를 통해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는 단계로, 상기 추출단계(S101)를 통해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30 내지 43℃의 온도에서 농축하여 상기 식물추출물에 함유된 마트린의 함량을 0.5 내지 1%로 조절하는 단계다.
상기 교반단계(S105)는 상기 농축단계(S103)를 거친 식물추출물에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를 투입하고 교반하는 단계로, 식물추출물 91 중량부에 목초액 7.5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1.5 중량부를 투입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식물추출물,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의 역할 및 함량에 따른 효과의 변화는 상기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에 나타낸 바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단계(S105) 이후에는 상기 교반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전체에 대비 최적으로 0.2%의 전착제 및 0.001%의 거품제거제를 추가하는 첨가제투입단계(S107)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전착제는 살충제의 물리적 흡착성을 향상시키는 보조제로서 작물 또는 병해충의 표면에 균일하게 퍼지고, 잘 붙어 풍우에도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성질을 갖게 하며, 침투성을 증대시켜 살충제를 병해충의 조직내에 침투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며, 혼합 비율이 0.2% 미만이면 최종 살충력의 흡착성 및 침투성이 저하되며, 0.2% 초과이면 살충력의 저하 및 영향이 있게 되며, 추가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거품제거제는 보관 및 사용시의 거품을 최대한 저하시키고 혼합액을 안정시키기 위한 보조제로서, 최소한의 기능성 및 생산성면에서 최적으로는 0.001%의 혼합비율로 추가한다.
또한, 상기 전착제 및 거품제거제 대신 또는 상기 첨가제투입단계(107) 이후에 제조 완료된 살충제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편백나무 정유 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는 추가 첨가제투입단계가 더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편백나무 정유는 피톤치드를 다량 방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의 살충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며, 상기 편백나무 정유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편백나무 정유로 인한 살충효과가 미미하며, 편백나무 정유의 함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살충효과의 향상은 미미하며, 제조비용이 증가된다.
이때, 전술한 편백나무 정유는 편백나무를 채취하여 가지와 잎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한 후에, 세척된 가지와 잎을 증류 탱크에 넣고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고, 증류 탱크 내부에 공급된 고온의 스팀에 의해 추출된 정유 성분이 함유된 수증기를 냉각기에 공급하여 응축된 정유 성분이 함유된 수증기를 정유 탱크에 공급하여 정유를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의 살충효과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회화나무, 멀구슬나무 및 양명아주로 이루어진 식물 100 중량부를 순도가 95%인 에탄올 1000 중량부에 투입하고 햇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45시간 동안 식물추출물을 추출하고,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감압녹충기에서 40℃로 농축하여 마트린의 함량이 0.5%인 식물추출물을 제조한 후에, 제조된 식물추출물 91 중량부에 목초액 7.5 중량부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리트 1.5 중량부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을 1000배 희석한 후에 벼에 적용하여 벼 애멸구에 대한 살충효과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대상병해 : 벼 애멸구, 시험작물 : 벼(추정벼), 대상병해 발생상황 : 약제처리 전 무처리 평균발생 밀도가 구당 100.3 마리로 약효검토에 적당한 발생밀도를 보였음.
또한, 약효시험은 생충률을 2012년 7월 19일, 7월 24일 및 7월 29일에 걸쳐 3회 조사하였으면 구당 20주 이상에 대한 생충수를 조사하였으며, 약해시험은 2012년 7월 22일, 7월 24일 및 7월 26일에 걸쳐 3회 조사하였으며, 경엽에 나타나는 약해유무를 달관 조사하였다.
또한, 상기 희석된 살충제 조성물은 난괴법을 이용하여 총 3회 반복하여 처리하였다.}
<표 1>
Figure 112012093037133-pat00001
위에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을 1000배 희석한 살충제는 벼 애멸구에 대해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약해 증상은 특별히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을 1000배 희석한 후에 벼에 적용하여 혹명나방에 대한 살충효과를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대상병해 : 혹명나방, 시험작물 : 벼(추정벼), 대상병해 발생상황 : 무처리 피해엽률이 46.1%로 적당한 발생밀도를 보였음.
또한, 약효시험은 생충률을 2012년 9월 8일 및 9월 15일에 걸쳐 2회 조사하였으면 구당 100엽 이상에 대한 피해엽수를 조사하였으며, 약해시험은 2012년 9월 4일, 9월 6일 및 9월 8일에 걸쳐 3회 조사하였으며, 경엽에 나타나는 약해유무를 달관 조사하였다.
또한, 상기 희석된 살충제 조성물은 난괴법을 이용하여 총 3회 반복하여 처리하였다.}
<표 2>
Figure 112012093037133-pat00002
위에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을 1000배 희석한 살충제는 혹명나방에 대해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약해 증상은 특별히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을 1000배 희석한 후에 벼에 적용하여 이화명나방에 대한 살충효과를 측정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단, 대상병해 : 이화명나방, 시험작물 : 벼(추정벼), 대상병해 발생상황 : 무처리 피해경률이 구당 4.3%로 약효검토에 충분하였음.
또한, 약효시험은 생충률을 2012년 9월 2일에 1 조사하였으면 구당 100주 이상에 대한 피해 경수를 조사하였으며, 약해시험은 2012년 8월 5일, 8월 7일 및 8월 9일에 걸쳐 3회 조사하였으며, 경엽에 나타나는 약해유무를 달관 조사하였다.
또한, 상기 희석된 살충제 조성물은 난괴법을 이용하여 총 3회 반복하여 처리하였다.}
<표 3>
Figure 112012093037133-pat00003
위에 표 3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을 1000배 희석한 살충제는 이화명나방에 대해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약해 증상은 특별히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을 1000배 희석한 후에 토마토, 양배추 및 상추에 적용했을 때, 약해 증상은 특별히 발생되지 않았다.
S101 ; 추출단계
S103 ; 농축단계
S105 ; 교반단계
S107 ; 첨가제투입단계

Claims (10)

  1. 식물추출물 91 중량부, 목초액 7.5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물추출물,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조성물 전체 대비 0.2%의 전착제 및 0.001%의 거품제거제가 더 함유되고,
    상기 식물추출물은 회화나무 및 양명아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에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은 마트린을 포함하며,
    상기 마트린의 함유량이 식물추출물 전체에 대해 0.5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리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
  6. 삭제
  7. 식물을 유기용매에 투입하여 식물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는 농축단계;
    상기 농축단계를 거친 식물추출물에 목초액 및 계면활성제를 투입하고 교반하는 교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단계 이후에는 상기 교반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전체에 대비 0.2%의 전착제 및 0.001%의 거품제거제를 추가하는 첨가제투입단계가 더 진행되고,
    상기 식물은 회화나무 및 양명아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식물 100 중량부를 유기용매 500 내지 1500 중량부에 투입하고 햇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40 내지 50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교반단계는 식물추출물 91 중량부에 목초액 7.5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1.5 중량부를 투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120127879A 2012-11-13 2012-11-13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 KR101407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879A KR101407848B1 (ko) 2012-11-13 2012-11-13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879A KR101407848B1 (ko) 2012-11-13 2012-11-13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921A KR20140060921A (ko) 2014-05-21
KR101407848B1 true KR101407848B1 (ko) 2014-06-20

Family

ID=5089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879A KR101407848B1 (ko) 2012-11-13 2012-11-13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8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986B1 (ko) * 2014-07-11 2014-09-24 주식회사 포이엔 농업용 약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6309B1 (ko) * 2018-08-08 2019-08-01 김영희 기피제 및 이의 제조 방법
MY198111A (en) * 2019-01-15 2023-08-03 Univ Putra Malaysia New formulation composition for insecticid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0651A (ja) 2002-12-27 2004-07-29 Eco Factory:Kk 植物用防虫・忌避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35610B1 (ko) * 2006-12-14 2008-06-12 화이젠 주식회사 식물성 천연 병해충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07548A (ko) * 2009-07-16 2011-01-24 (주)오비티 나방방제 활성을 나타내는 고삼뿌리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 추출물을 이용한 나방방제제 조성물 및 방제방법
KR20110015311A (ko) * 2009-08-07 2011-02-15 (유)구일과수산업 과실보호용 방충 효과를 갖는 과수봉지용 방충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과수봉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0651A (ja) 2002-12-27 2004-07-29 Eco Factory:Kk 植物用防虫・忌避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35610B1 (ko) * 2006-12-14 2008-06-12 화이젠 주식회사 식물성 천연 병해충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07548A (ko) * 2009-07-16 2011-01-24 (주)오비티 나방방제 활성을 나타내는 고삼뿌리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 추출물을 이용한 나방방제제 조성물 및 방제방법
KR20110015311A (ko) * 2009-08-07 2011-02-15 (유)구일과수산업 과실보호용 방충 효과를 갖는 과수봉지용 방충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과수봉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921A (ko)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lanihe et al. Occurrence, distribution and control of papaya mealybug, Paracoccus marginatus (Hemiptera: Pseudococcidae), an invasive alien pest in Sri Lanka
US10149476B2 (en) Pesticidal plant extract containing loline derivatives
KR101762762B1 (ko) 녹나무 또는 회화나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해충방제가 동시에 가능한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
CN1113605C (zh) 一种天然植物农药杀虫水剂的制备方法
CN106508991A (zh) 一种生物农药及其制备方法
Kamatenesi-Mugisha et al. Oral acute toxicity study of selected botanical pesticide plants used by subsistence farmers around the Lake Victoria Basin
KR101407848B1 (ko)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
KR101545431B1 (ko) 편백 추출물을 이용한 사과 재배방법
Singh et al. Production practices and post-harvest management in Jatropha
KR101464335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KR20110006400A (ko) 족도리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Worsley The insecticidal properties of some East African plants. I
KR20130080667A (ko) 후추 속 식물과 라반듈라 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살충용 조성물
Panthi Small scale coffee farmer’s response towards management of coffee pest through field level techniques
KR100644750B1 (ko) 살충, 살균 및 해충기피 작용을 갖는 천연 추출물의제조방법.
AU2015213375B2 (en) Pesticidal plant extract containing loline derivatives
Pervin et al. Growth and yield performance of mustard under kalokoroi (Albizia lebbeck) based cropland agroforestry system
WO2015093659A1 (ko)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살충제 조성물
US11076601B2 (en) Phytosanitary composition
KR100710054B1 (ko) 점박이응애용 살충 조성물
JP4188893B2 (ja) 害虫忌避剤及び害虫の被害を低減する栽培方法
DAMAL EVALUATION OF CONTRIBUTION OF AZADIRACHTA INDICA AS A BIOPESTICIDES AND ANALYSIS OF GROWTH RATIO IN INDIAN REGIONS
Stan et al. Harvest and quality of hyssop (Hyssopus officinalis L.).
KR100836223B1 (ko) 관중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진딧물용 조성물
Ahuja et al. Learning from farmers–Traditional rice production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