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502A -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502A
KR20160070502A KR1020140177531A KR20140177531A KR20160070502A KR 20160070502 A KR20160070502 A KR 20160070502A KR 1020140177531 A KR1020140177531 A KR 1020140177531A KR 20140177531 A KR20140177531 A KR 20140177531A KR 20160070502 A KR20160070502 A KR 20160070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terlocking
shaft
plate link
lin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9137B1 (ko
Inventor
박권식
Original Assignee
박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권식 filed Critical 박권식
Priority to KR1020140177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1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6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 F16G13/07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the links being of identical shape, e.g. crank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2003/080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with countershafts coaxial with input or output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측과 외측으로 교번하여 연결되는 내, 외판링크플레이트의 각 연결부 내측에 상호 연이어 맞물리는 기어가 구비됨으로써 구동축과 연동축을 상호 연동 회전토록 연결하되, 구동축과 연동축의 거리에 대한 변위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롤러와 연동롤러가 밀착되도록 구동 및 연동시키는 구동롤러축과 연동롤러축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구동롤러축에 대하여 연동롤러축이 선택적으로 근접, 복귀되어 가변되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는 구동축과 연동축을 선택적으로 축간거리에 대한 변위가 가능하게 상호 연동 회전토록 연결하거나,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롤러와 연동롤러가 밀착되도록 구동 및 연동시키는 구동롤러축과 연동롤러축을 상호 연동 회전토록 연결하되, 연결하는 축간거리에 대한 변위가 가능하도록, 체인타입으로 제공되어, 내측과 외측으로 교번하여 연결되는 내, 외판링크플레이트의 각 연결부 내측에 상호 연이어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displacement gear assembly having multiple joint structure}
본 발명은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과 외측으로 교번하여 연결되는 내, 외판링크플레이트의 각 연결부 내측에 상호 연이어 맞물리는 기어가 구비됨으로써 구동축과 연동축을 상호 연동 회전토록 연결하되, 구동축과 연동축의 거리에 대한 변위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롤러와 연동롤러가 밀착되도록 구동 및 연동시키는 구동롤러축과 연동롤러축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구동롤러축에 대하여 연동롤러축이 선택적으로 근접, 복귀되어 가변되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어는 회전축에 고정시켜 체인을 감아 걸고 중량물을 끌어올리는데 사용되는 호이스트(Hoist)나 셔터(shutter)를 열고 닫는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물론, 기어는 자전거 등에서와 같이 구동축과 연동축을 체인으로 연결할 때에도 사용되기도 하며, 이외 다양한 장치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어는 주형에 의해 철 주물로 된 형상물을 연삭기 등에 의해 마무리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두꺼운 평판으로 된 강판(鋼鈑)을 필요한 크기에 따라 고압의 프레스를 이용하여 원판상(圓板狀)으로 재단할 때 함께 원판 상의 원주 면에 선택적으로 체인이 걸리도록 톱니를 형성시키고 상기 원주 면에 형성되는 톱니의 양면을 절삭하고 연마하여 경사지게 형성하고 마무리 공정을 거쳐 제조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어는 구동축과 연동축에 적용될 경우, 구동축 상에 하나의 기어가 고정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기어는 연동축 상에 고정설치되며, 이와 같은 한 쌍의 기어를 체인으로 연결하여 상기 구동축과 연동축이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적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구동축과 연동축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하여 적용되는 종래의 기어는 통상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구동축과 연동축의 각 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체인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에 따라 구동축과 연동축의 거리가 변동되면서 상호 연동하여 구동축과 연동축이 연동 회전되도록 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구동축과 연동축을 상호 연동 회전토록 연결하되, 구동축과 연동축의 거리에 대한 변위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롤러와 연동롤러가 밀착되도록 구동 및 연동시키는 구동롤러축과 연동롤러축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구동롤러축과 연동롤러축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근접, 복귀되어 가변되도록 적용설치할 수 있도록 한 기어 조립체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48856호 2012.05.16.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과 외측으로 교번하여 연결되는 내, 외판링크플레이트의 각 연결부 내측에 상호 연이어 맞물리는 기어가 구비됨으로써 구동축과 연동축을 상호 연동 회전토록 연결하되, 구동축과 연동축의 거리에 대한 변위가 가능하도록 한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내측과 외측으로 교번하여 연결되는 내, 외판링크플레이트의 각 연결부 내측에 상호 연이어 맞물리는 기어가 구비됨으로써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롤러와 연동롤러가 밀착되도록 구동 및 연동시키는 구동롤러축과 연동롤러축을 연결하는 경우에, 구동롤러축에 대하여 연동롤러축이 선택적으로 근접, 복귀되어 가변되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는 구동축과 연동축을 선택적으로 축간거리에 대한 변위가 가능하게 상호 연동 회전토록 연결하거나,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롤러와 연동롤러가 밀착되도록 구동 및 연동시키는 구동롤러축과 연동롤러축을 상호 연동 회전토록 연결하되, 연결하는 축간거리에 대한 변위가 가능하도록, 체인타입으로 제공되어, 내측과 외측으로 교번하여 연결되는 내, 외판링크플레이트의 각 연결부 내측에 상호 연이어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 외판링크플레이트는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기어는,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의 각 연결부 내측에 회전가능하면서 상호 연이어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내부연동기어와,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측 타측 내부에 회전가능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내부연동기어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측 타측 내부에 회전가능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내부연동기어 중 다른 하나와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연동기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와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가 마주하는 사이와,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와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가 마주하는 사이에 각각 중간플레이트가 더 개재되는 한편, 상기 중간플레이트는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와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 상에 각각 고정볼트를 통해 고정설치됨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내부연동기어는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의 각 연결부 내측에 회전가능하면서 상호 맞물려 설치될 수 있도록, 중실의 내부연동회전축이 양측으로 단이 지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내부연동회전축은 단이 진 부분은 중간베어링에 의해 상기 중간플레이트 상에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며, 단이 진 부분 일측 단부는 외부베어링과 고정편으로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에 회전가능토록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는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축이나 구동롤러축이 연결고정되어,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측 타측 내부에 회전가능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내부연동기어와 맞물려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의 구동회전축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구동회전축은 단부가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측 타측에 구동베어링과 스냅링을 통하여 회전가능토록 고정설치됨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구동회전축은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축이나 구동롤러축이 연결고정될 수 있도록, 내면에 키홈이 함몰 형성되며,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고정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동기어는 선택적으로 상기 연동축이나 연동롤러축이 연결고정되어,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측 타측 내부에 회전가능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내부연동기어와 맞물려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의 연동회전축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동회전축은 단부가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측 타측에 연동베어링과 스냅링을 통하여 회전가능토록 고정설치됨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연동회전축은 선택적으로 상기 연동축이나 연동롤러축이 연결고정될 수 있도록, 내면에 키홈이 함몰 형성되며,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고정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마주하는 사이가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일단부에 상기 구동축 또는 구동롤러축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 타단부의 상호 마주하는 측 반대인 외측으로 일단부가 밀착 연결되며,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 타단부의 상호 마주하는 측인 내측으로 일단부가 밀착 연결됨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측과 외측으로 교번하여 연결되는 내, 외판링크플레이트의 각 연결부 내측에 상호 연이어 맞물리는 기어가 구비됨으로써 구동축과 연동축을 상호 연동 회전토록 연결하되, 구동축과 연동축의 거리에 대한 변위가 가능하도록 한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내측과 외측으로 교번하여 연결되는 내, 외판링크플레이트의 각 연결부 내측에 상호 연이어 맞물리는 기어가 구비됨으로써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롤러와 연동롤러가 밀착되도록 구동 및 연동시키는 구동롤러축과 연동롤러축을 연결하는 경우에, 구동롤러축에 대하여 연동롤러축이 선택적으로 근접, 복귀되어 가변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를 구동롤러축과 연동롤로축의 연결을 위해 적용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평면예시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를 구동롤러축과 연동롤로축의 연결을 위해 적용한 사용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사용상태 정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가 내측과 외측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결합 사시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를 구동롤러축과 연동롤로축의 연결을 위해 적용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평면예시도이며,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를 구동롤러축과 연동롤로축의 연결을 위해 적용한 사용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사용상태 정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1)는 구동축과 연동축을 선택적으로 축간거리에 대한 변위가 가능하게 상호 연동 회전토록 연결하거나,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롤러(811)와 연동롤러(821)가 밀착되도록 구동 및 연동시키는 구동롤러축(810)과 연동롤러축(820)을 상호 연동 회전토록 연결하되, 연결하는 축간거리에 대한 변위가 가능하도록, 체인타입으로 제공되어, 내측과 외측으로 교번하여 연결되는 내, 외판링크플레이트의 각 연결부 내측에 상호 연이어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1)에 대하여, 이하에서는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롤러(811)와 연동롤러(821)가 밀착되도록 구동 및 연동시키는 구동롤러축(810)과 연동롤러축(820)을 상호 연동 회전토록 연결하되, 연결하는 축간거리에 대한 변위가 가능하도록 연결하는데 적용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상기 연동롤러축(820)은 왕복실린더(8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롤러축(810) 측으로 일정거리 이동 및 복귀되는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1)를 설명하면, 먼저 상기 내, 외판링크플레이트는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마주하는 사이가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일단부에 상기 구동축 또는 구동롤러축(810)이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 타단부의 상호 마주하는 측 반대인 외측으로 일단부가 밀착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 타단부의 상호 마주하는 측인 내측으로 일단부가 밀착 연결된다.
한편, 상기 기어는 내부연동기어(500)와, 구동기어(400) 및 연동기어(600)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내부연동기어(500)는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의 각 연결부 내측에 회전가능하면서 상호 연이어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400)는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와 연결되는 측 타측 내부에 회전가능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내부연동기어(500)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동기어(600)는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와 연결되는 측 타측 내부에 회전가능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내부연동기어(500) 중 다른 하나와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1)에서,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와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가 마주하는 사이와,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와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가 마주하는 사이에 각각 중간플레이트(250)가 더 개재된다.
이때, 상기 중간플레이트(250)는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와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 상에 각각 고정볼트(260)를 통해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1)에서, 상기 내부연동기어(500)는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의 각 연결부 내측에 회전가능하면서 상호 맞물려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내부연동기어(500)는 중실의 내부연동회전축(510)이 양측으로 단이 지게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부연동회전축(510)은 단이 진 부분은 중간베어링(550)에 의해 상기 중간플레이트(250) 상에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며, 단이 진 부분 일측 단부는 외부베어링(570)과 고정편(580)으로 고정부재(590)를 통해 상기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에 회전가능토록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400)는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축이나 구동롤러축(810)이 연결고정되어,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와 연결되는 측 타측 내부에 회전가능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내부연동기어(500)와 맞물려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기어(400)는 중공의 구동회전축(410)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회전축(410)은 단부가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와 연결되는 측 타측에 구동베어링(450)과 스냅링(460)을 통하여 회전가능토록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동기어(600)는 선택적으로 상기 연동축이나 연동롤러축(820)이 연결고정되어,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와 연결되는 측 타측 내부에 회전가능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내부연동기어(500)와 맞물려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연동기어(600)는 중공의 연동회전축(610)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동회전축(610)은 단부가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와 연결되는 측 타측에 연동베어링(650)과 스냅링(660)을 통하여 회전가능토록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연동회전축(610)은 선택적으로 상기 연동축이나 연동롤러축(820)이 연결고정될 수 있도록, 내면에 키홈(611)이 함몰 형성되며,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고정공(612)이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1)가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롤러(811)와 연동롤러(821)가 밀착되도록 구동 및 연동시키는 구동롤러축(810) 및 연동롤러축(820)에 연결 적용되는 경우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의 내측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된 구동기어(400)의 구동회전축(410) 상에 상기 구동롤러축(810)을 연결한다.
그리고 나서,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의 내측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된 연동기어(600)의 연동회전축(610) 상에 상기 연동롤러축(820)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롤러축(810)과 연동롤러축(820)이 연결된 상태에서, 기어 조립체(1)의 최초 상태는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 및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가 일자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이다.
이러한 일자 형상으로 펴진 상태에서, 상기 연동롤러(821)의 외면이 상기 구동롤러(811)의 외면과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왕복실린더(830)를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왕복실린더(830)를 작동시키면, 도 5 및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동롤러축(820)이 일정거리 이동하여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 및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이 역 'U'자에 가까운 형상을 이루면서 절첩된다.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 및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이 역 'U'자에 가까운 형상을 이루면서 절첩될 때, 구동 회전이 되고 있는 상기 구동롤러축(810)과 연결된 구동기어(400)가 회전한다.
상기와 같은 구동기어(40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기어(400)와 순차적으로 맞물린 2개의 연동기어(500) 및 상기 연동기어(500)와 맞물린 연동기어(500)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400)와 연동기어(500)는 외측단이 상호 일정간극을 가지고 이격되며, 상기와 같이 일정간극을 가지고 이격되는 작동은 상기 왕복실린더(830)의 왕복거리가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기 설정됨에 따라 작동되는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1)는 구동롤러축(810) 및 연동롤러축(820)에 연결 적용되어 상기 구동롤러축(810)에 대하여 상기 연동롤러축(820)이 선택적으로 근접 및 복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롤러(811)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연동롤러(821)가 밀착되어 상기 구동롤러(811)와 연동롤러(821)가 마주하여 외면이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1)에 의하면, 내측과 외측으로 교번하여 연결되는 내, 외판링크플레이트의 각 연결부 내측에 상호 연이어 맞물리는 기어가 구비됨으로써 구동축과 연동축을 상호 연동 회전토록 연결하되, 구동축과 연동축의 거리에 대한 변위가 가능하다.
더욱이, 내측과 외측으로 교번하여 연결되는 내, 외판링크플레이트의 각 연결부 내측에 상호 연이어 맞물리는 기어가 구비됨으로써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롤러(811)와 연동롤러(821)가 밀착되도록 구동 및 연동시키는 구동롤러축(810)과 연동롤러축(820)을 연결하는 경우에, 구동롤러축(810)에 대하여 연동롤러축(820)이 선택적으로 근접, 복귀되어 가변되도록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기어 조립체
100: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
200: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
250: 중간플레이트 260: 고정볼트
300: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
400: 구동기어 410: 구동회전축
411: 키홈 412: 고정공
450: 구동베어링 460: 스냅링
500: 내부연동기어 510: 내부연동회전축
550: 중간베어링 570: 외부베어링
580: 고정편 590: 고정부재
600: 연동기어 610: 연동회전축
611: 키홈 612: 고정공
650: 연동베어링 660: 스냅링
810: 구동롤러축 811: 구동롤러
820: 연동롤러축 821: 연동롤러
830: 왕복실린더

Claims (9)

  1. 구동축과 연동축을 선택적으로 축간거리에 대한 변위가 가능하게 상호 연동 회전토록 연결하거나,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롤러(811)와 연동롤러(821)가 밀착되도록 구동 및 연동시키는 구동롤러축(810)과 연동롤러축(820)을 상호 연동 회전토록 연결하되, 연결하는 축간거리에 대한 변위가 가능하도록,
    체인타입으로 제공되어, 내측과 외측으로 교번하여 연결되는 내, 외판링크플레이트의 각 연결부 내측에 상호 연이어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 외판링크플레이트는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기어는,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의 각 연결부 내측에 회전가능하면서 상호 연이어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내부연동기어(500)와,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와 연결되는 측 타측 내부에 회전가능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내부연동기어(500)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구동기어(400)와,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와 연결되는 측 타측 내부에 회전가능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내부연동기어(500) 중 다른 하나와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연동기어(6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와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가 마주하는 사이와,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와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가 마주하는 사이에 각각 중간플레이트(250)가 더 개재되는 한편,
    상기 중간플레이트(250)는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와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 상에 각각 고정볼트(260)를 통해 고정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연동기어(500)는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의 각 연결부 내측에 회전가능하면서 상호 맞물려 설치될 수 있도록,
    중실의 내부연동회전축(510)이 양측으로 단이 지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내부연동회전축(510)은 단이 진 부분은 중간베어링(550)에 의해 상기 중간플레이트(250) 상에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며, 단이 진 부분 일측 단부는 외부베어링(570)과 고정편(580)으로 고정부재(590)를 통해 상기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에 회전가능토록 고정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400)는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축이나 구동롤러축(810)이 연결고정되어,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와 연결되는 측 타측 내부에 회전가능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내부연동기어(500)와 맞물려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의 구동회전축(410)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구동회전축(410)은 단부가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와 연결되는 측 타측에 구동베어링(450)과 스냅링(460)을 통하여 회전가능토록 고정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전축(410)은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축이나 구동롤러축(810)이 연결고정될 수 있도록,
    내면에 키홈(411)이 함몰 형성되며,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고정공(41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어(600)는 선택적으로 상기 연동축이나 연동롤러축(820)이 연결고정되어,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와 연결되는 측 타측 내부에 회전가능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내부연동기어(500)와 맞물려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의 연동회전축(610)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동회전축(610)은 단부가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의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와 연결되는 측 타측에 연동베어링(650)과 스냅링(660)을 통하여 회전가능토록 고정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회전축(610)은 선택적으로 상기 연동축이나 연동롤러축(820)이 연결고정될 수 있도록,
    내면에 키홈(611)이 함몰 형성되며,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고정공(61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마주하는 사이가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일단부에 상기 구동축 또는 구동롤러축(810)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내판링크플레이트(100) 타단부의 상호 마주하는 측 반대인 외측으로 일단부가 밀착 연결되며,
    상기 제2 내판링크플레이트(3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외판링크플레이트(200) 타단부의 상호 마주하는 측인 내측으로 일단부가 밀착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
KR1020140177531A 2014-12-10 2014-12-10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 KR101639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531A KR101639137B1 (ko) 2014-12-10 2014-12-10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531A KR101639137B1 (ko) 2014-12-10 2014-12-10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502A true KR20160070502A (ko) 2016-06-20
KR101639137B1 KR101639137B1 (ko) 2016-07-12

Family

ID=56354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531A KR101639137B1 (ko) 2014-12-10 2014-12-10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2362A1 (ko) * 2017-07-28 2019-01-31 김성수 결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7289A (ja) * 1996-09-18 1998-04-07 Showa:Kk ジャッキ装置
KR20070005479A (ko) * 2005-07-05 2007-01-10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헨 링크 장치 및 반송 로봇
EP1850056A2 (en) * 2006-04-26 2007-10-31 A&C Ltd Camera track and dolly systems
KR101148856B1 (ko) 2009-07-01 2012-05-29 반도체인공업(주) 다중관절 체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7289A (ja) * 1996-09-18 1998-04-07 Showa:Kk ジャッキ装置
KR20070005479A (ko) * 2005-07-05 2007-01-10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헨 링크 장치 및 반송 로봇
EP1850056A2 (en) * 2006-04-26 2007-10-31 A&C Ltd Camera track and dolly systems
KR101148856B1 (ko) 2009-07-01 2012-05-29 반도체인공업(주) 다중관절 체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2362A1 (ko) * 2017-07-28 2019-01-31 김성수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137B1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96387A (ja) 歯車伝動機構
KR101639137B1 (ko) 다중관절 구조를 갖는 변위 기어 조립체
CA2642987A1 (en) An electric motor having an inner rotor and an outer rotor
US2316408A (en) Reciprocating cam mechanism
DE102012104219A1 (de) Synchronisiereinrichtung eines Getriebes
KR20150141983A (ko) 무단변속기의 기계적 작동구조
US1196268A (en) Universal joint.
CN201972150U (zh) 变偏心力矩的振动锤
US8261848B2 (en) Drilling apparatus
US3890885A (en) Actuators
AR040827A1 (es) Acoplamiento para un eje impulsor rotatorio flexible
JP5781204B1 (ja) チェーン給油装置及びチェーン給油装置の製造方法
JP6066618B2 (ja) 駆動軸組立体
US1782605A (en) Transmission mechanism
TWM491324U (zh) 可交替旋轉的雙軸式鉸鏈
US1186132A (en) Clutch.
CN203374695U (zh) 卧式偏心止动块超越离合器
KR200347442Y1 (ko) 모빌랙의 롤러 연결구조
RU2010126848A (ru) Карданный вал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забойного двигателя
CN203730682U (zh) 一种同步传动装置
KR200483732Y1 (ko) 윈치용 동력전달장치
KR102143552B1 (ko) 작업 기계용 회전 링크 구조
US1293053A (en) Clutch mechanism.
KR101515022B1 (ko) 압연기의 작업롤 중심 제어 장치
US2359011A (en) Automatic power release clu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