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785A -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785A
KR20160069785A KR1020140175828A KR20140175828A KR20160069785A KR 20160069785 A KR20160069785 A KR 20160069785A KR 1020140175828 A KR1020140175828 A KR 1020140175828A KR 20140175828 A KR20140175828 A KR 20140175828A KR 20160069785 A KR20160069785 A KR 20160069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button
vehicle
unit
lattic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4038B1 (ko
Inventor
주시현
신동수
오종민
민정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5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038B1/ko
Priority to US14/720,793 priority patent/US10126915B2/en
Priority to CN201510397661.7A priority patent/CN105677163B/zh
Publication of KR20160069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Abstract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은, 메뉴부 및 제1 메뉴 제공부를 포함한다. 메뉴부는 회전하는 것에 의해 차량에 포함된 장치에 관한 메뉴 모드(menu mode)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메뉴 제공부는 메뉴 모드들 중 활성화 메뉴에 포함되고 상기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메뉴 버튼(button)을 제1 방향으로 이동(scroll)시켜 상기 이동된 메뉴 버튼을 메뉴부의 내부에 표시(display)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Concentration manipulation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관련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큐브 구조(cube structure)를 가지며 차량에 포함된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미래형 멀티미디어 인공지능 차량은 차량에 전기, 전자 및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차량을 보다 안전하고 안락한 첨단 이동공간으로 실현하는 융합 기술, 차량을 첨단 정보기기로 진화시키는 정보 통신 기술 및 이에 상응하는 유무형 멀티미디어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실현한다.
안전 및 보안 영역의 기술과 지능형 기술은 차량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멀티미디어 기술이 진화하여 보다 편리하게 운전자에게 최종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를 제공하는 편안한 차량 및 편리한 차량으로 진화할 것이다. 이와 같은 차량의 진화는 필연적으로 운전자에 대한 정보 전달 기술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는 TV의 영상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차량 상태 및 편의 장치 제어, 내비게이션과 텔레매틱스 등 운전자에게 차량 운행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의 핵심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차량의 복잡성과 다양한 운행 패턴으로 인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운전 중 많은 조작이 필요하고, 차량 내외부로부터 많은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정보의 종류는 음성, 데이터, 영상, 또는 그래픽 등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디스플레이 화면, 키보드, 마우스, 라이트펜(light pen), 데스크톱 형태, 채색된 글씨, 및 도움말 등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모든 정보관련 장치들을 포함하여 응용프로그램이나 웹사이트 등이 상호 작용하거나 그것에 반응하는 방법 등을 의미한다.
한편, 자동차 문이 제대로 잠겨있는지 확인하고 싶으면 전화로도 체크가 가능한 차량의 전기전자 시스템을 휴대 전화로 통제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제공하는 운전자 정보 시스템(Driver Information System; DIS)이 있다. 이러한 운전자 정보 시스템은 차량용 네트워크 기술을 집약한 것으로 각종 멀티미디어 기기(오디오,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DVD 등)와 전자 제어 장치(공조장치, 시트, 스티어링 휠 등)를 디지털기술로 연결하는 기술이다.
또한, 운전자 정보 시스템은 모니터 하나로 각종 멀티미디어 기기 통제는 물론 온도 조절, 시트 및 스티어링 휠 등을 체형에 맞게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휴대전화로 차량의 각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운전자 정보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간소화를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던 다수의 버튼을 조그 다이얼(jog-dial)로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조그 다이얼은 복수 방향 조이스틱(joystick)과 회전 다이얼, 누름 버튼이 복합된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메뉴가 점점 증가하고, 문자 입력, 화면별 옵션 등 많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입력 단추들이 필요하게 되어 이의 효과적인 배치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목적)는, 큐브 구조(cube structure)를 가지며 차량에 포함된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와 같은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차량에 포함된 장치에 관한 메뉴 모드(menu mode)들을 제공하는 메뉴 부; 및 상기 메뉴 모드들 중 활성화 메뉴에 포함된 상기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메뉴 버튼(button)을 제1 방향으로 이동(scroll)시켜 상기 이동된 메뉴 버튼을 상기 메뉴 부의 내부에 표시(display)시키는 제1 메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은, 상기 활성화 메뉴를 표시하는 기준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은, 상기 활성화 메뉴에 포함되고 상기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메뉴 버튼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된 메뉴 버튼을 상기 메뉴부의 내부에 표시(display)시키는 제2 메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뉴 제공부는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을제공하는 터치 패드 형태의 스크롤 버튼, 물리적인 구조를 가지는 스크롤 휠(scroll wheel), 터치 패드 형태의 스크롤 버튼, 또는 트랙 볼(track ball) 형태의 스크롤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메뉴 제공부는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을제공하는 터치 패드 형태의 스크롤 버튼, 물리적인 구조를 가지는 스크롤 휠(scroll wheel), 터치 패드 형태의 스크롤 버튼, 또는 트랙 볼(track ball) 형태의 스크롤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 부는 네비게이션 메뉴부, 폰(phone) 메뉴부, 라디오 메뉴부, 및 공조 메뉴부 중 적어도 두 개의 메뉴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 버튼은 적어도 두 개의 기능 버튼들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메뉴 버튼은 적어도 두 개의 메뉴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 버튼은 푸쉬(push)가 가능하고 물리적 버튼인 디스플레이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버튼일 수 있다.
상기 메뉴 부는 사각형 형태, 오각형 형태, 또는 육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메뉴 제공부, 상기 제2 메뉴 제공부, 및 상기 메뉴 버튼에 의해 형성되는 배치(layout) 구조는NXN 격자 구조(lattice structure) 또는 MXN 격자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메뉴 버튼이 터치 스크린 형태의 버튼들을 포함할 때, 상기 메뉴부의 메뉴 모드에 따라 상기 NXN 격자 구조는 (N+1)X(N+1) 격자 구조로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NXN 격자 구조와 상기 MXN 격자 구조 사이의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메뉴부, 상기 제1 메뉴 제공부, 상기 제2 메뉴 제공부, 및 상기 메뉴 버튼이 각각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때, 상기 제1 메뉴 제공부, 상기 제2 메뉴 제공부, 및 상기 메뉴 버튼에 의해 형성되는 배치(layout) 구조는 NXN 비대칭 격자 구조 또는 MXN 비대칭 격자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메뉴부의 메뉴 모드에 따라 상기 NXN 비대칭 격자 구조는 (N+1)X(N+1) 비대칭 격자 구조로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NXN 비대칭 격자 구조와 상기 MXN 비대칭 격자 구조 사이의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은, 차량에 포함된 장치에 관한 메뉴 모드(menu mode)들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회전시켜 상기 메뉴 모드들 중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메뉴부; 및 상기 메뉴부에 의해 상기 활성화된 메뉴 모드가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에 포함된 메뉴 버튼부를 회전시켜, 상기 메뉴 모드들 중 활성화 메뉴에 포함되고 상기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메뉴 버튼(button)을 상기 메뉴 모드들 내부에 표시(display)시키는 메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 제공부는, 상기 메뉴부가 회전할 때, 회전하여 상기 메뉴 버튼을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부 아래에 상기 메뉴 제공부 및 상기 메뉴부가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뉴 버튼은 상기 메뉴 모드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제1 기능 버튼 및 상기 메뉴 모드에서 즉시 사용될 필요가 있는 제2 기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능 버튼은, 상기 제1 기능 버튼이 눌러질 때 나타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뉴 버튼에 포함되는 추가 기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은, 상기 활성화된 메뉴 모드를 표시하는 기준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또는 차량의 집중 조작 장치)은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집중 조작계이므로, 기존 집중 조작계에 비하여 참신성과 차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은 다이얼 노브나 터치 패드형 구조를 가지는 조작계와 비교할 때 메뉴 이동 및 선택이 용이한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메뉴 이동 및 선택의 용이함은 운전자의 편의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운전자의 시선과 주의 분산을 줄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손 글씩 인식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형태의 장치(버튼)를 포함하므로, 다이얼 노브와 버튼이 결합한 방식의 조작계의 문제점인 문자입력의 불편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의 시스템이므로, 크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사용을 위한 운전자의 손 이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위치의 버튼(메뉴 버튼)을 활성화 메뉴 또는 활성화 모드(mode)에 따라 다른 기능의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버튼의 개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집중 조작 시스템의 부피는 소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차량의 중앙집중조작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의 구조와 유사한 큐브(cube)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의 구조와 유사한 격자무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되고세로 휠을 포함하는 제1 메뉴 제공부의 실시예 또는 가로 휠을 포함하는 제2 메뉴 제공부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메뉴 버튼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메뉴 버튼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메뉴 제공부에 의해 표시되는 메뉴 버튼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이 참조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운전자의 운전 중 주의 분산 방지와 안정성 확보는 예전부터 자동차(차량)의 중요한 문제로 늘 인식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기술과 시스템들이 개발되어 왔다.
상기 시스템 중 하나는 자동차의 암 레스트(armrest)와 기어 노브(gear knob) 주위에 설치되어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공조(air conditioning) 장치 등을 간접적으로 컨트롤(control)할 수 있게 하는 중앙집중조작계일 수 있다. 중앙집중조작계는 센터패시아(center-facia)에 위치한 AVN 및 공조 제어 버튼을 직접 컨트롤하는 것 보다 비직관적이기에 운전 초기 사용자들에게는 더 어렵고 힘들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어느 정도 숙지될 경우, AVN 및 공조 버튼들을 직접 제어하는 것보다 중앙집중조작계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것이 운전자의 주의 분산이 적고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것은 여러 실험 결과를 통해 증명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현재 BENZ, BMW, Toyota(LEXUS), 또는 HYUNDAI 등 많은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사(社) 들이 중앙집중조작계 시스템을 차량에 탑재하고 있다.
하지만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BMW iDrive와 같은 대부분의 중앙집중조작계가 메뉴 이동 및 볼륨 조절을 위한 다이얼 노브(dial knob)와 기능 선택을 위한 버튼(button)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은 카테고리 선정 및 항목(item) 선택을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른 OEM사들은 상기 조작계의 조작성(operability)을 내포(포함)하면서 차별적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다른 형태의 중앙집중조작계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중앙집중조작계의 선두주자들과의 차별화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상기 조작계 구조를 탈피하기 위해) 소개된 것에는 도 1(c)에 도시된 마우스 형태의 조작계인Lexus Remote Touch와 도 1(d)에 도시된 Opel사(社)의 터치패드(Touch Pad)가 있다. Opel사(社)의 터치패드(Touch Pad)는 터치 패드와 3개 내외의 최소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현재까지 소개된 중앙집중조작계 중에서 조작편의성과 그 구조가 직관적인 것은 다이얼 노브와 버튼이 결합된 형태의 조작계이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조작계들은 너무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상기 Lexus Remote Touch나 Opel사(社)의 Touch Pad는 기존 중앙집중조작계의 구조와 차별성은 있으나 조작 편의성 측면에서 다이얼 노브와 버튼이 결합된 형태의 조작계보다 부족한 단점이 있을 수 있다.
Lexus Remote Touch의 경우, 운전 중 다이얼 노브의 틸팅(tilting) 기능을 이용하거나 버튼을 이용해서 메뉴를 이동하는 것 보다 불안정하고 부정확할 수 있다.
Opel사의 Touch Pad의 경우, 한 번에 메뉴의 여러 칸을 이동해야 하는 경우, 플리킹 제스처(flicking gesture)를 여러 번 해야 한다든지 하는 반복성 측면과 기능에 접근하기 위한 시간적 측면에서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100)은 차량용 큐브형(cube type)(또는 큐브식) 중앙 집중 조작 시스템으로도 언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또는 차량의 집중 조작 장치)(100)은, MMI(Man Machine Interface) 시스템으로서, 내비게이션 메뉴부(105)와, 라디오(radio) 메뉴부(115)와, 폰(PHONE, 전화) 메뉴부(120)와, 공조(air conditioning) 메뉴부(125)를 포함하는 메뉴부(menu unit 또는 menu portion), 기준 표시부(기준 표시기(indicator))(105), 세로 스크롤 휠(wheel)(155)을 포함하는 제1 메뉴 제공부, 및 가로 스크롤 휠(150)을 포함하는 제2 메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메뉴부(115)는 오디오(audio) 메뉴부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 표시부(105), 세로 스크롤 휠(155), 또는 가로 스크롤 휠(150) 은 생략(제거)될 수 있고, 상기 메뉴부는 내비게이션 메뉴부(105), 라디오 메뉴부(115), 폰(PHONE) 메뉴부(120), 및 공조(air conditioning) 메뉴부(125) 중 적어도 두 개의 메뉴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100)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큐브(cube)의 구조와 유사할 수 있다. 하지만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100)은 큐브처럼 정육면체 구조에 각 부분들이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구조가 아닌, 윗 판(plate)(윗면)만 회전되는 구조(단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100)은, 도 3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무늬 구조의 판이 존재하고 좌우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회전이 가능한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100)의 무늬(pattern)는 격자 무늬가 아닌 다른 다양한 무늬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100)의 조작 방식이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10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격자무늬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기 격자무늬 구조 위에 배치되는 각각의 메뉴부가 최상위 메뉴를 나타내고, 판 전체(메뉴부 또는 메뉴판)를 회전하여 최상위 메뉴 선택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여 형성된 문양(pattern) 또는 마크(mark) 등을 표시하는 기준 표시부(105)가 제공되어 기준이 되는 메뉴를 사용자 또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집중 조작 시스템(100)의 중앙 가로와 세로에는 스크롤 휠(150 및 155)이 탑재되어 세로 휠은 세로 메뉴 또는 세로 목록(item)의 이동에 사용되고, 가로 휠은 가로 메뉴나 목록 이동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뉴부 내의 상하좌우 모서리(edge) 부근에 배치된 버튼(메뉴 버튼)은 다용도 버튼(다용도 기능 버튼)으로 활용되며, 버튼은 집중 조작 시스템(100)이 회전되더라도 버튼 내의 글자 모양이 회전되면 안되므로, 디스플레이가 되는 형태(form 또는 type)의 버튼일 수 있다.
상기 메뉴부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에 의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차량에 포함된 장치에 관련된 메뉴 모드(menu mode)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 내부 장치는 내비게이션 장치, 라디오 장치, 오디오 장치, 전화(phone) 장치, 공조 장치(공기조화설비), 또는 헬스케어(health care)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뉴부의 회전 상태에 따라 상위 메뉴가 결정될 수 있다.
메뉴부는 상위메뉴의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방식(표시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명, 그림(picture), 또는 아이콘(icon) 등을 사용한 표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기준 표시부(105)는 상기 메뉴 모드들 중 활성화 메뉴를 표시(display)할 수 있다. 기준 표시부(105)는 기준이 되는 활성화 메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표시 부분(portion)으로서,LED를 이용하여 문양(pattern) 또는 그림(picture) 등으로 활성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메뉴 제공부(메뉴 선택부 또는 스크롤 장치)에 포함된 세로 스크롤 휠(wheel)(155)은 상기 활성화 메뉴에 포함되고 상기 차량 내부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메뉴 버튼(button)(버튼 1(130), 버튼 2(135), 버튼 3(140), 또는 버튼 4(145))을 제1 방향(예, 세로 방향)으로 이동(scroll)시켜 상기 이동된 메뉴 버튼을 상기 메뉴부의 내부에 표시(display)시킬 수 있다. 세로 스크롤 휠(155)는 세로 방향으로 메뉴 버튼(목록(list) 버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뉴 버튼은 적어도 두 개의 메뉴 버튼들(예, 버튼 1(130) 및 버튼 2(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 버튼은 최상위 메뉴가 선택되면, 해당 기능(최상위 메뉴에 포함된 차량 내부 장치에 관한 기능)을 컨트롤(control)하기 위한 버튼(스위치)일 수 있다. 메뉴부의 회전 시, 버튼에 표시되는 글자(메뉴명)의 모양이 회전되지 않고, 메뉴부의 활성화 메뉴마다 버튼의 기능이 달라지므로, 버튼은 버튼 이름을 바꿀 수 있는 디스플레이 형태의 버튼일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메뉴 버튼은 차량 내부 장치의 기능 설정용 키(key)로서 메뉴부의 모서리(edge)에 배치되고, 세부 메뉴 선택이나 기능 실행을 위한 키로 사용될 수 있다. 메뉴 버튼은 집중 조작 시스템(100)이 회전되더라도 메뉴 버튼의 글자는 회전되면 안되므로, 메뉴 버튼은 푸쉬(push)가 가능하고 물리적 버튼인 디스플레이 버튼, 또는 사용자 또는 차량 운전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버튼(터치 스크린 형태의 버튼)일 수 있다.
상기 제1 메뉴 제공부는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을 제공하는 터치 패드 형태의 스크롤 버튼(scroll button), 물리적 구조를 가지는 스크롤 휠(scroll wheel), 터치 패드 형태의 스크롤 버튼, 또는 트랙 볼(track ball) 형태의 스크롤 휠(또는 스크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뉴 제공부에 포함된 가로 스크롤 휠(150)은 상기 활성화 메뉴에 포함되고 상기 차량 내부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메뉴 버튼을 제2 방향(예,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된 메뉴 버튼을 상기 메뉴 부의 내부에 표시(display)시킬 수 있다. 가로 스크롤 휠(150)은 가로 방향으로 메뉴 버튼(목록(list) 버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메뉴 제공부는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을 제공하는 터치 패드 형태의 스크롤 버튼(scroll button), 물리적 구조를 가지는 스크롤 휠(scroll wheel), 터치 패드 형태의 스크롤 버튼, 또는 트랙 볼(track ball) 형태의 스크롤 휠(스크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 스크롤 휠(wheel)(155)과 가로 스크롤 휠(150)은 크로스(cross)되는 형태로 사용자가 집중 조작 시스템(100)를 손으로 품었을 때 검지나 중지를 이용하여 두 스크롤 휠들(155, 150)을 모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설계)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되고 세로 휠을 포함하는 제1 메뉴 제공부의 실시예 또는 가로 휠을 포함하는 제2 메뉴 제공부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4가지 종류의 메뉴 제공부(메뉴 선택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메뉴 제공부인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을 제공하는 터치 패드 형태의 스크롤 버튼(scroll button)은, 도 4에 도시된 제1 메뉴 제공부 및 제2 메뉴 제공부의 교차(cross) 부분이 스크롤 터치 패드 기능을 하면서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을 통해 사용자에게 스크롤 정도와 이동 단위를 감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메뉴 제공부인 스크롤 휠(scroll wheel)은, 물리적인 구조를 가지는 스크롤 장치일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메뉴 제공부는 도 5(a)에 도시된 터치 패드 형태의 스크롤 버튼을 포함하지만, 헵틱 피드백(haptic feedback)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터치 패드형 스크롤 버튼에서는 도 5(b)에 도시된 스크롤 휠과 같이 휠이 몇 칸 또는 몇 도(degree) 회전했는지를 가지고 이동 정도를 파악하지 않고, 가로 스크롤 스피드(speed), 세로 스크롤 스피드, 및 터치 시간 등을 이용해 이동 속도와 이동 단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된 메뉴 제공부는 트랙볼 타입의 장치를 이용하지만, 트랙볼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게 만들어 스크롤 입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도 1에 도시된 버튼 및 다이얼 노브(Knob) 대신 스크롤 휠을 포함하는 메뉴 제공부를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버튼의 경우, 여러 메뉴 이동 시, 반복적 작업이 많고, 계속 이동을 위한 롱 푸쉬(long-push)를 할 경우에는 어느 정도 이동했는지에 대한 정확한 피드백(feedback)을 받기 힘들고 디자인적으로도 차별성을 제공하기도 어렵다.
다이얼 노브(Knob)은 많은 손가락과 손목 전체를 이용해 조절하고, 가로 및 세로 이동 컨트롤을 동시에 수행하기 힘들다.
반면에, 본 발명의 세로 스크롤부(155)은 최소한의 움직임만으로도(한 손가락의 상하 움직임만으로도) 정확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메뉴 또는 목록을 이동시킬 수 있다. 가로 스크롤부(150)도 다이얼 노브(knob) 보다 적은 움직임으로 쉽게 메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롤 장치는 크기가 작아 가로 스크롤부와 세로 스크롤부를 일체화하여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손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동시에 가로 및 세로 이동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100)은 3X3격자무늬 구조(lattice structure)를 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4X4 또는 5X5 격자무늬 구조와 같은 NXN격자무늬 구조, 또는 3X4, 3X5, 또는 4X3 격자무늬 구조와 같은 MXN 격자무늬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100)는 사각형 형태의 메뉴부를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는 3각형, 5각형, 또는 6각형 형태의 메뉴부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은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므로 빠르게 세부 메뉴 선택이 가능하고, 상황(차량 내부 장치의 기능)에 따라 버튼의 용도 변경이 가능하여 버튼 개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조작계와 다른 형태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차별화된 이미지(image)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메뉴 버튼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내비게이션 모드(navigation mode)로 활성화되는 도 4의 메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모드의 메뉴 버튼은 즐겨찾기 버튼(131), 볼륨 업(volume up) 버튼(136), 경로(route) 재탐색 버튼(141), 및 볼륨 다운(volume down) 버튼(14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폰 모드(phone mode)로 활성화되는 도 4의 메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폰 모드의 메뉴 버튼은 번호 검색 버튼(132), 볼륨 업 버튼(137), 미러 링크(mirror link) 버튼(142), 및 볼륨 다운 버튼(1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러 링크는 스마트폰과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연결하는 국제 표준 기술일 수 있다.
도 8은 폰 모드(phone mode)로 활성화되는 도 4의 메뉴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폰 모드의 메뉴 버튼은 번호 찾기 버튼(133), 볼륨 업 버튼(138), 볼륨 다운 버튼(139), 미러 링크(mirror link) 버튼(142), 및 손 글씨 입력패드(148)을 포함할 수 있다. 번호 찾기 버튼(133)의 기능은 도 7에 도시된 번호 검색 버튼(132)의 기능과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모드에 따라 같은 위치의 버튼(예, 도 6의 즐겨찾기 버튼 및 도 7의 번호 검색 버튼)이 서로 다른 기능을 할 수도 있고, 같은 기능을 하더라도 버튼의 위치(예, 도 6 및 도 7의 볼륨 업 버튼의 위치)가 다르므로 디스플레이를 다시 해야 한다.
메뉴 버튼(기능성 버튼)은 메뉴부가 회전이 되더라도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버튼에 표시되는 글자는 회전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그대로 보여야 하므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버튼이 되어야 한다. 또한 최상위 메뉴가 바뀌면 특정 버튼의 기능이 다른 기능으로 대체될 수도 있어야 하고 하나의 버튼이 다기능 역할을 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 형태의 버튼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도 6의 내비게이션 모드(mode)에서의 즐겨찾기 버튼이, 도 7의“폰” 모드(phone mode)에서의 번호 검색 버튼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메뉴부가 회전하면, 가로 스크롤부과 세로 스크롤부에 의해 제공되는 메뉴 버튼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
만약 메뉴 버튼이 터치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또는 터치 패드(touch pad) 형태로 구현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버튼(볼륨 업 버튼(138) 및 볼륨 다운 버튼(139))으로 더욱 세분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메뉴 버튼은 적어도 두 개의 기능 버튼들로 분할될 수 있다. 도 8에서 볼륨 업 버튼(138) 및 볼륨 다운 버튼(139) 사이의 경계부분(boundary portion)은 물리적 경계가 아닌 디스플레이 상 경계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분리하여 인식될 수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만 가능하고 푸쉬 형태로 선택하는 버튼(푸쉬형 디스플레이 버튼)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의 구조를 세분화할 경우, 회전에 따라 구조의 변경이 복잡해지므로, 사용자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도 8에 도시된 기능 버튼(메뉴 버튼)의 세분화는 터치패드나 터치 스크린 형태의 버튼을 사용할 경우로 한정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메뉴 버튼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내비게이션 모드(navigation mode)로 활성화되는 도 4의 메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내비게이션 모드의 메뉴 버튼은 최근 목적지 버튼, 손 글씨 인식 버튼, 내 위치 버튼(내 위치 검색 버튼), 경로 재탐색 버튼, 볼륨 업 버튼, 및 볼륨 다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폰 모드(phone mode)로 활성화되는 도 4의 메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폰 모드의 메뉴 버튼은 번호 검색 버튼, 손 글씨 인식 버튼, 미러 링크(mirror link) 버튼, 볼륨 업 버튼, 및 볼륨 다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메뉴 버튼으로, 디스플레이가 되면서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버튼이 사용될 경우, 메뉴 모드 또는 메뉴 모드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버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륨 업 버튼 및 볼륨 다운 버튼은 모드에 상관없이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해야 하므로 특정 위치에서 세분화하여 제공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반대로 내비게이션 모드에서는 버튼 수보다 바로 접근해야 하는 기능이 많아서 내 위치 버튼과 경로 재탐색 버튼이 버튼 세분화를 통해 기능을 제공하였지만, 해당 부분(대응 부분)의 버튼이 폰(Phone) 모드에서는 “미러 링크”라는 하나의 기능 버튼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현재 활성화 모드에 따라 동일한 위치의 버튼이 세분화되어 기능을 제공하기도 하고, 하나의 버튼으로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어떤 버튼은 모드에 상관없이 늘 동일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능의 특성, 종류, 또는 모드 상황에 따라 어느 모드에서나 접근 가능한 버튼도 있고, 모드에 따라 하나의 버튼을 세분화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하나로 사용하는 버튼이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중앙집중조작계와 다른 형태 및 구조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차별화된 이미지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메뉴를 이동하고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동일한 위치의 버튼을 상황에 따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대한의 기능을 가지는 최소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3X3 구조, 4X4 구조, 또는5X5 구조와 같은 NXN격자구조(대칭 격자구조), 또는 3X4 구조와 같은 MXN 격자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XN격자구조 및 MXN 격자 구조 각각은 상기 3X3 구조에 포함된 메뉴부와 제1 메뉴 제공부와 제2 메뉴 제공부와 메모 버튼의 기능과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뉴 제공부, 상기 제2 메뉴 제공부, 및 상기 메뉴 버튼에 의해 형성되는 배치(layout) 구조는 N행(row) X N열(column) 격자 구조(lattice structure) (NXN 대칭 격자 구조) 또는 MXN 격자 구조(MXN 대칭 격자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뉴 버튼으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경우, 상황에 따라 3X3구조를 제공하다가 4X5 구조 또는 5X5 구조로 변경하는 등 NXN 구조와 MXN 구조 사이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상황에 따라(모드 또는 기능에 따라) 격자 무늬 구조가 변경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메뉴 버튼이 터치 스크린 형태의 버튼들을 포함할 때, 상기 메뉴부의 메뉴 모드에 따라 상기 NXN 격자 구조는 (N+1)X(N+1) 격자 구조로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NXN 격자 구조와 상기 MXN 격자 구조 사이의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메뉴부의 형태가 4각형 형태가 아닌 5각형 구조 또는 6각형 구조와 같은 다양한 다각형 구조로도 제작(구현)될 수 있다. 상기 5각형 구조는 내비게이션 메뉴부, 라디오 메뉴부, 오디오 메뉴부, 폰(PHONE) 메뉴부, 및 공조 메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6각형 구조는 내비게이션 메뉴부, 라디오 메뉴부, 오디오 메뉴부, 폰(PHONE) 메뉴부, 공조 메뉴부, 및 헬스케어(health care) 메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각형 구조는 상기 4각형 형태에 포함된 메뉴부와 제1 메뉴 제공부와 제2 메뉴 제공부와 메모 버튼의 기능과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4각형 이외 다각형 형태에서는 상기 메뉴부의 회전 시, 가로 휠(405 또는 410) 또는 세로 휠의 각도가 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4각형 형태 이외의 다각형 형태로 제작될 때에는 가로 휠(405 또는 410) 및 세로 휠은 도 5(b)에 도시된 물리적인 스크롤 휠이 아닌 터치패드 형의 스크롤 버튼 또는 트랙 볼 타입(type)의 스크롤 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3X3 비대칭형 구조 또는 4X4 비대칭형 구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격자 구조(비대칭 격자 무늬 구조)를 가지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비대칭형 격자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메뉴부와 제1 메뉴 제공부와 제2 메뉴 제공부와 메모 버튼의 기능과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부, 상기 제1 메뉴 제공부, 상기 제2 메뉴 제공부, 및 상기 메뉴 버튼이 각각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로 구현되어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때, 상기 제1 메뉴 제공부, 상기 제2 메뉴 제공부, 및 상기 메뉴 버튼에 의해 형성되는 배치(layout) 구조는 NXN 비대칭 격자 구조 또는 MXN 비대칭 격자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메뉴부, 상기 제1 메뉴 제공부, 상기 제2 메뉴 제공부, 및 상기 메뉴 버튼은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차량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비대칭형 격자 구조에서, 집중 조작 시스템의 판 전체를 터치가 인식되는 디스플레이 모듈(module)로 만들면 상기 메뉴부가 회전이 되더라도 회전되기 전과 동일한 비대칭 구조의 집중 조작 시스템이 형성(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비대칭형 격자 구조가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로 제작될 때, 사용자의 터치 손가락을 각각 인식할 수 있는 메뉴부와 제1 메뉴 제공부와 제2 메뉴 제공부와 메모 버튼은 디스플레이 그래픽으로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또는 방법)이 사용되면, 도 13에 도시된 비대칭 구조에서 예를 들어 모드가 내비게이션 모드에서 폰 모드로 모드 이동 시, 다시 도 13에 도시된 비대칭 구조로 디스플레이가 수행되고 메뉴 버튼의 버튼 명은 폰 모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비대칭 구조를 터치 디스플레이에서 그래픽 작업으로 구현하면, 상기 메뉴부의 메뉴 모드에 따라 상기 NXN 비대칭 격자 구조는 (N+1)X(N+1) 비대칭 격자 구조로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NXN 비대칭 격자 구조와 상기 MXN 비대칭 격자 구조 사이의 변경이 쉽게 수행(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비대칭 구조에 따른 집중 조작 시스템의 회전 시, 비대칭 구조의 회전에 따른 사용자의 혼란(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비대칭 구조의 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또는 processor)의 기능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구성 요소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 조작 시스템에 의한 비대칭 구조의 표시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200)은 입체 구조의 조작계 또는 다중면 구조의 조작계로서, 기준 표시부(205), 표시부(210), 메뉴 제공부(220), 및 메뉴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 표시부(205)는 생략(제거)될 수 있다.
표시부(210)는 차량에 포함된 장치에 관한 메뉴 모드(menu mode)들을 표시할 수 있다. 메뉴 모드(menu mode)들은,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모드, 라디오 모드, 폰(phone) 모드, 및 공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 내부 장치는 내비게이션 장치, 라디오 장치, 전화(phone) 장치, 또는 공조 장치(공기조화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메뉴부(225)는 메인(main) 메뉴 조절면으로서, 표시부(210)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켜 상기 메뉴 모드들 중 하나(메뉴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큐브 구조를 가지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200)에 있어서, 메인 메뉴 조절면이 회전되면 내비게이션 모드, 폰 모드, 라디오 모드, 또는 공조 모드와 같은 최상위 메뉴가 선택될 수 있다.
메뉴 제공부(220)는 세부 메뉴 조절면으로서, 메뉴부(225)에 의해 상기 활성화된 메뉴 모드가 결정된 상태에서 표시부(210)에 포함된 메뉴 버튼부(215)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켜, 상기 메뉴 모드들 중 활성화 메뉴에 포함되고 상기 차량 내부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메뉴 버튼(button)을 상기 메뉴 모드들 내부(215)에 표시(display)시킬 수 있다. 즉, 메인 메뉴 조절면에 의해 최상위 메뉴가 선정되면, 세부 메뉴 조절면을 이용하여 메뉴 모드의 세부 기능이 선택될 수 있다.
메뉴 제공부(220)는, 메뉴부(225)가 회전할 때, 회전하여 상기 메뉴 버튼(예, 내비게이션 모드 중 목적지 검색 버튼(도 15의 230)))을 표시시킬 수 있다. 하판(bottom board 또는 bottom plate)의 메뉴부(225)가 회전될 때 상판(top board)의 세부메뉴 조절면도 함께 회전되는 구조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구조일 수 있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메뉴 제공부에 의해 표시되는 메뉴 버튼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메뉴 버튼의 실시예는 내비게이션 모드에서의 목적지 검색 기능 버튼(230), 최근 목적지 기능 버튼(235), 주변 검색 기능 버튼(240), 및 경로 설정 기능 버튼(245)과 같은 메뉴 모드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제1 기능 버튼, 추가 메뉴 기능 버튼(250)과 같은 메뉴 모드에서 즉시 사용될 필요가 있는 제2 기능 버튼(예, 경로 재탐색 기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능 버튼은 사용 빈도수가 높은 상위 4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메뉴 버튼은 상기 메뉴 모드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제1 기능 버튼 및 상기 메뉴 모드에서 즉시 사용될 필요가 있는 제2 기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능 버튼은, 상기 제1 기능 버튼이 눌러질 때 나타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뉴 버튼에 포함되는 추가 기능 버튼(예, 목적지 검색 기능 버튼(230)이 눌러질 때 표시되는 출발지 지정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목적지 검색 기능 버튼(230), 최근 목적지 기능 버튼(235), 주변 검색 기능 버튼(240), 및 경로 설정 기능 버튼(245)과 같은 메뉴 모드의 세부 메뉴 각각은 큐브 구조의 집중 조작 시스템(200)의 옆면과 대응되며 세부 메뉴의 개수는 4개일 수 있다. 라디오 모드와 같은 다른 메뉴 모드도 상기 내비게이션 모드의 메뉴 버튼과 유사한 구조(구성)의 메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메뉴 제공부(220)는 목적지 검색 기능 버튼(230), 최근 목적지 기능 버튼(235), 주변 검색 기능 버튼(240), 및 경로 설정 기능 버튼(245)과 같은 내비게이션 모드의 하위 세부 메뉴를 GUI(graphical user interface)과 같은 UI(User Interface)로 표시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GUI만 보고 하위 세부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집중 조작 시스템(200)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200)은 메인메뉴 조절면(225), 세부메뉴 조절면(220), 및 디스플레이 형태의 메뉴 버튼(터치 스크린 형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주의 분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적인(organic) 집중 조작계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부(210) 아래에 메뉴 제공부(220) 및 메뉴부(225)가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210) 아래에 메뉴부(225) 및 메뉴 제공부(220)가 순서대로 배치될 수도 있다.
기준 표시부(205)는 상기 활성화된 메뉴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기준 표시부(205)는 기준이 되는 활성화 메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표시 부분(portion)으로서, LED를 이용하여 문양(pattern) 또는 그림(picture) 등으로 활성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집중 조작 시스템(200)은 메뉴 제공부(220) 및 메뉴부(225)을 포함하는 2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세부 메뉴 조절면인 메뉴 제공부(220)는 두 개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집중 조작 시스템(200)은 사각형 형태의 표시부(210), 메뉴 제공부(220), 및 메뉴부(225)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오각형 형태와 같은 다각형 형태의 표시부, 메뉴 제공부, 및 메뉴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의 큐브 구조를 가지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의 장점이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원형 회전식 다이얼 노브를 가지는 중앙집중조작계는, 한 칸 한 칸 이동에 대한 딸깍딸깍의 청각 피드백 또는 촉각 피드백(haptic feedback)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회전 간격이 세밀하여 사용자가 보지 않고 메뉴를 선택할 때에 메뉴를 몇 칸 이동했는지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형 다이얼 구조에서 메뉴를 선택할 때 다이얼을 돌려 정확한 메뉴에 위치함을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구조를 가지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은 메뉴 조절면을 포함하므로 사용자는 촉각만으로도 조절 면(regulation face)의 회전 정도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UI(User Interface) 또는UX(User Experience)의 평가는, 사용자가 4~5개 정도의 면(face)을 보지 않고 면의 회전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GUI 구조를 처음 숙지하지 못할 때GUI를 주시(gaze) 후 집중 조작 시스템(200)을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GUI 구조에 대해 익숙해지면, 사용자는 GUI를 보지 않고도 메뉴의 이동 단위 및 메뉴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또는 “~부(unit)” 또는 블록 또는 모듈은 메모리 상의 소정 영역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클래스, 서브 루틴, 프로세스, 오브젝트, 실행 쓰레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 또는 '~부' 등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터에 그 일부가 분산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5: 기준 표시부
110: 내비게이션 모드
115: 라디오 모드
120: 폰(phone) 모드
125: 공조 모드
130: 제1 기능 버튼
135: 제2 기능 버튼
140: 제3 기능 버튼
145: 제4 기능 버튼

Claims (20)

  1.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차량에 포함된 장치에 관한 메뉴 모드(menu mode)들을 제공하는 메뉴부; 및
    상기 메뉴 모드들 중 활성화 메뉴에 포함되고 상기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메뉴 버튼(button)을 제1 방향으로 이동(scroll)시켜 상기 이동된 메뉴 버튼을 상기 메뉴부의 내부에 표시(display)시키는 제1 메뉴 제공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은,
    상기 활성화 메뉴를 표시하는 기준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은,
    상기 활성화 메뉴에 포함되고 상기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메뉴 버튼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된 메뉴 버튼을 상기 메뉴부의 내부에 표시(display)시키는 제2 메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 제공부는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을제공하는 터치 패드 형태의 스크롤 버튼, 물리적 구조를 가지는 스크롤 휠(scroll wheel), 터치 패드 형태의 스크롤 버튼, 또는 트랙 볼(track ball) 형태의 스크롤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뉴 제공부는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을제공하는 터치 패드 형태의 스크롤 버튼, 물리적 구조를 가지는 스크롤 휠(scroll wheel), 터치 패드 형태의 스크롤 버튼, 및 트랙 볼(track ball) 형태의 스크롤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부는 네비게이션 메뉴부, 폰(phone) 메뉴부, 라디오 메뉴부, 및 공조 메뉴부 중 적어도 두 개의 메뉴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버튼은 적어도 두 개의 기능 버튼들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버튼은 적어도 두 개의 메뉴 버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버튼은 푸쉬(push)가 가능하고 물리적 버튼인 디스플레이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부는 사각형 형태, 오각형 형태, 또는 육각형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 제공부, 상기 제2 메뉴 제공부, 및 상기 메뉴 버튼에 의해 형성되는 배치(layout) 구조는 NXN 격자 구조(lattice structure) 또는 MXN 격자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버튼이 터치 스크린 형태의 버튼들을 포함할 때, 상기 메뉴부의 메뉴 모드에 따라 상기 NXN 격자 구조는 (N+1)X(N+1) 격자 구조로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NXN 격자 구조와 상기 MXN 격자 구조 사이의 변경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부, 상기 제1 메뉴 제공부, 상기 제2 메뉴 제공부, 및 상기 메뉴 버튼이 각각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때, 상기 제1 메뉴 제공부, 상기 제2 메뉴 제공부, 및 상기 메뉴 버튼에 의해 형성되는 배치(layout) 구조는 NXN 비대칭 격자 구조 또는 MXN 비대칭 격자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부의 메뉴 모드에 따라 상기 NXN 비대칭 격자 구조는 (N+1)X(N+1) 비대칭 격자 구조로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NXN 비대칭 격자 구조와 상기 MXN 비대칭 격자 구조 사이의 변경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15.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에 포함된 장치에 관한 메뉴 모드(menu mode)들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회전시켜 상기 메뉴 모드들 중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메뉴부; 및
    상기 메뉴부에 의해 상기 활성화된 메뉴 모드가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 에 포함된 메뉴 버튼부를 회전시켜, 상기 메뉴 모드들 중 활성화 메뉴에 포함되고 상기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메뉴 버튼(button)을 상기 메뉴 모드들 내부에 표시(display)시키는 메뉴 제공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제공부는, 상기 메뉴부가 회전할 때, 회전하여 상기 메뉴 버튼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아래에 상기 메뉴 제공부 및 상기 메뉴부가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버튼은 상기 메뉴 모드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제1 기능 버튼 및 상기 메뉴 모드에서 즉시 사용될 필요가 있는 제2 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버튼은, 상기 제1 기능 버튼이 눌러질 때 나타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뉴 버튼에 포함되는 추가 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은,
    상기 활성화된 메뉴 모드를 표시하는 기준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KR1020140175828A 2014-12-09 2014-12-09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KR101664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828A KR101664038B1 (ko) 2014-12-09 2014-12-09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US14/720,793 US10126915B2 (en) 2014-12-09 2015-05-24 Concentrated control system for vehicle
CN201510397661.7A CN105677163B (zh) 2014-12-09 2015-07-08 用于车辆的集中控制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828A KR101664038B1 (ko) 2014-12-09 2014-12-09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785A true KR20160069785A (ko) 2016-06-17
KR101664038B1 KR101664038B1 (ko) 2016-10-10

Family

ID=5609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828A KR101664038B1 (ko) 2014-12-09 2014-12-09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26915B2 (ko)
KR (1) KR101664038B1 (ko)
CN (1) CN10567716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544A (ko) * 2018-03-23 2019-10-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컨트롤 기반 스티어링 휠 조작 장치 및 방법
KR20220018162A (ko) * 2020-08-06 2022-02-15 하승민 자동차용 조향 핸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6787B2 (ja) * 2015-02-20 2019-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制御システム
JP2017047781A (ja) * 2015-09-01 2017-03-0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載情報処理装置
US20180081452A1 (en) * 2016-09-19 2018-03-22 Hyundai Motor Company Touch input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210156126A (ko) * 2020-06-17 2021-12-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노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CN114356177A (zh) * 2021-12-31 2022-04-15 上海洛轲智能科技有限公司 车载系统菜单栏的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221A (ko) * 2009-12-03 2011-06-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운전정보시스템을 구비한 에이치 노브형 다 기능 제어장치
KR20130070477A (ko) * 2011-12-19 2013-06-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7938A (en) * 1998-09-11 2000-11-14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electronic system
US6812942B2 (en) * 2000-12-28 2004-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xt-responsive in-vehicle display system
US7671851B1 (en) * 2001-02-22 2010-03-02 Pryor Timothy R Reconfigurable tactile controls and displays
US7042441B2 (en) * 2002-06-28 2006-05-09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including a scroll wheel assembly for manipulating an image in multiple directions
JP2004050916A (ja) 2002-07-18 2004-02-1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操作装置
US6930959B2 (en) * 2003-05-23 2005-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axis wheel scroller and selector
US20050223340A1 (en) * 2004-03-30 2005-10-06 Mikko Repka Method of navigating in application views, electronic device,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456534B2 (en) * 2004-10-25 2013-06-04 I-Interactive Llc Multi-directional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8842186B2 (en) * 2004-10-25 2014-09-23 I-Interactive Llc Control system and method employing identification of a displayed image
KR101205023B1 (ko) * 2005-01-30 2012-11-26 스위프트포인트 리미티드 컴퓨터 마우스 주변 장치
US20070063995A1 (en) * 2005-09-22 2007-03-22 Bailey Eric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se with a multi-media system
US7742857B2 (en) * 2005-12-07 2010-06-22 Mazda Motor Corporation Automotive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20080101053A1 (en) * 2006-10-27 2008-05-01 Jon Hoffman Multiplexed image displaying wheel assembly
KR100870928B1 (ko) 2007-08-17 2008-11-28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의 인스트러먼트 패널
KR101405998B1 (ko) * 2007-12-17 2014-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와 그 방법
US20090235201A1 (en) * 2008-03-11 2009-09-17 Aaron Baalbergen Methods for controlling display of on-screen menus
EP2331203B1 (en) * 2008-04-29 2016-03-23 Medtronic, Inc. Therapy program modification based on therapy guidelines
US20100026626A1 (en) * 2008-07-30 2010-02-04 Macfarlane Scott Efficient keyboards
CN101644985B (zh) * 2008-08-06 2013-05-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用户界面的显示方法、系统及设备
US8441441B2 (en) * 2009-01-06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JP5393190B2 (ja) * 2009-02-17 2014-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2065259B (zh) * 2009-11-16 2014-09-24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电视菜单的显示方法和系统
US8862992B2 (en) * 2010-11-02 2014-10-14 Turning Point Propellers, Inc.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user selection of a replacement watercraft propeller
DE102011112448A1 (de) 2011-09-03 2013-03-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einer Nutzerschnittstelle, insbesondere in einem Fahrzeug
EP2802476B1 (de) * 2012-01-09 2017-01-11 Aud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r 3d-darstellung einer benutzeroberfläche in einem fahrzeug
US20140009385A1 (en) * 2012-07-05 2014-01-09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system for rotating display image
US9304992B2 (en) * 2012-07-11 2016-04-05 Cellco Partnership Story element indexing and uses thereof
CN103035298B (zh) * 2012-12-14 2015-07-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移位寄存器单元、栅极驱动电路及显示器件
US9268485B2 (en) * 2013-04-30 2016-02-23 Microth, Inc. Lattice keyboards with related devices
US20150081478A1 (en) * 2013-07-09 2015-03-19 Sirv Interactive, Inc. Interactive display system for food and entertainment retail establishments
US9304667B2 (en) * 2013-07-12 2016-04-05 Felix Houston Petitt, JR. System, devices, and platform for education, entertainment
JP6141784B2 (ja) * 2014-03-25 2017-06-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の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221A (ko) * 2009-12-03 2011-06-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운전정보시스템을 구비한 에이치 노브형 다 기능 제어장치
KR20130070477A (ko) * 2011-12-19 2013-06-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544A (ko) * 2018-03-23 2019-10-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컨트롤 기반 스티어링 휠 조작 장치 및 방법
KR20220018162A (ko) * 2020-08-06 2022-02-15 하승민 자동차용 조향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038B1 (ko) 2016-10-10
US20160162126A1 (en) 2016-06-09
US10126915B2 (en) 2018-11-13
CN105677163A (zh) 2016-06-15
CN105677163B (zh)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038B1 (ko)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TWI514234B (zh) 用於手勢識別之方法及裝置
US891008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operating device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8527900B2 (en) Motor vehicle
US20150022465A1 (en) Touchpad for user to vehicle interaction
JP4960127B2 (ja) 操作デバイス
US20140152600A1 (en) Touch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display method applied for the same
JP5452770B2 (ja) 入力装置
KR20160071092A (ko) 차량용 제어 패널
JP2013222214A (ja) 表示操作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JP4548325B2 (ja) 車載用表示装置
KR20160062548A (ko) 집중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4199613A (zh) 利用触摸设备控制车辆中控台显示应用的方法和装置
JP2006347478A (ja) タッチパネルディスプレイを有する車載用機器
CN111032414A (zh) 自动驾驶车辆的主显示器的控制系统
JP2012243073A (ja) 表示システム
US20130201126A1 (en) Input device
JP2018195134A (ja) 車載用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8010472A (ja) 車内電子機器操作装置及び車内電子機器操作方法
JP2015093493A (ja) 車両用操作装置
JP2014182808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ナビゲーション制御
Udovicic et al. In-vehicle infotainment system for android OS: User experience challenges and a proposal
JP2015162361A (ja) 機器操作装置
JP4512999B2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
WO2019146703A1 (ja) 車両用操作メニュー表示制御装置、車載機器操作システム、及びgui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