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667A - 상피성장인자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신규 항암제 - Google Patents

상피성장인자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신규 항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667A
KR20160069667A KR1020140175516A KR20140175516A KR20160069667A KR 20160069667 A KR20160069667 A KR 20160069667A KR 1020140175516 A KR1020140175516 A KR 1020140175516A KR 20140175516 A KR20140175516 A KR 20140175516A KR 20160069667 A KR20160069667 A KR 20160069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fr
cancer
protein
group
lipi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2380B1 (ko
Inventor
민정준
김학성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75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38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0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i.e. characterised by the agent or material covalently linked or complexing the radioactive nucleus
    • A61K51/04Organic compounds
    • A61K51/08Peptides, e.g. proteins, carriers being peptides, polyamino acids, proteins
    • A61K51/10Antibodies or immunoglobulins; Fragments thereof, the carrier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 camelised human single domain antibody or the Fc fragment of an antibody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함암치료를 위하여, 항-EGFR 리피바디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EGFR의 과발현 또는 비정상적인 활성화를 특징으로 갖고 있는 암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상피성장인자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신규 항암제{A novel anticancer agent targeting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본 발명은 항암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상피성장인자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신규 항암제에 관한 것입니다.
상피성장인자 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이하, 'EGFR'로 약칭함)는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 타이로신 키아나제(receptor tyrosine kinase, 이하, 'RTK'로 약칭함)의 일원인 수용체 단백질로서 상피성장인자(epdermal growth factor, 이하, 'EGF'로 약칭함) 및 형질전환 성장인자 α(transforming growth factor α, 이하, 'TGFα')를 포함하는 특이적 리간드의 결합에 의해 활성화가 된다. EGFR는 리간드의 결합에 의해 일단 활성화가 되면, 비활성화된 형태인 단량체에서 활성화 형태인 이량체로 변환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량체가 된 EGRF은 세포질내 존재하는 인산화 도메인(cytoplasmic kinase domain)에 의한 자가인산화 과정을 거쳐, PI3K, MAPK 등 하위 신호전달과정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의 성장, 증식, 분화 등 다양한 생물학적 변화를 야기한다. EGFR의 과발현 또는 비정상적인 활성화가 악성종양의 발생 및 발달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EGFR의 과잉발현은, 예컨대 특정 암인, 폐암, 유방암, 대장암, 위암, 뇌암, 방광암, 두경부암, 난소암 및 전립선암에서 관찰되었고, 상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이하 'EGF'로 약칭함)는 EGFR에 결합하여 세포증식과 종양성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EGFR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EGFR을 과잉 발현하는 종양세포에 EGF가 결합하는 것을 저해하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여 암을 치료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다양한 EGFR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이를 억제할 수 있는 다양한 항체 치료제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EGFR에 대한 특이적 항체 치료제의 예로는 대장암 및 두경부암에 대한 치료제로 판매되고 있는 cetuximab(US6,217,866B1), 대장암에 대한 치료제로 판매되고 있는 panitumumab(US6,235,883B1), 두경부암의 일종인 편평세포암종(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이하, 'SCHHN'로 약칭함)의 치료를 위해 개발된 Genmab사의 zalutumumab(Rivera, F. et al., Acta Oncol. 47(1):9-19, 2008, US7,247,301B1), SCHHN의 치료를 위해 개발된 CIMYM BioSciences 사의 nimotuzumab(US5,891,996A1) 및 Merck사의 matuzumab(US5,558,864A1)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항체기반의 치료제는 항체가 갖고 있는 큰 분자량으로 인한 낮은 조직 침투력, 하이브리도마세포의 제조 등 복잡한 생산 공정으로 인한 높은 제품단가 등의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항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단백질 골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김학성 교수 연구실에서 리피바디(Repebody)라는 단백질이 개발된 바 있다. 상기 리피바디LRR(Leucine-rich repeat)의 구조를 갖는 인터날린 B의 N-말단과 VLR의 구조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융합하여 컨센시스 디자인으로 최적화시킨 폴리펩타이드를 의미하는데, 이는 대장균에서 수용성 단량체 형태로 대량 발현되기 때문에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높은 물리화학적 안정성을 지니고 있어 단백질의 변형이 용이하다. 현재까지 MD-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55682호) 및 IL-6(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56075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94837호)를 각각 표적으로 한 리피바디는 개발되었으나, 아직까지 EGFR을 표적으로 한 리피바디는 아직까지 개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EGFR을 표적으로 하는 항암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항-EGFR 리피바디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EGFR의 과발현 또는 과활성화를 특징으로 갖고 있는 암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항-EGFR 리피바디에 항암 화합물이 공유결합 또는 비공유결합에 의해 결합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EGFR의 과발현 또는 비정상적인 활성화를 특징으로 갖고 있는 암의 치료제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EGFR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리피바디는 인터날린 단백질의 N-말단, VRL(variable lyphocyte receptor) 단백질의 변형된 반복모듈 및 VRL 단백질의 C-말단이 융합된 단백질일 수 있고, 상기 인터날린 단백질은 인터날린 A, 인터날린 B, 인터날린 C, 인터날린 H 또는 인터날린 J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EGFR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리피바디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치료적 유효량의 항-EGFR 리피바디 또는 상기 항-EGFR 리피바디에 항암 화합물이 공유 또는 비공유결합에 의해 결합된 복합체를 EGFR의 과발현 또는 비정상적인 활성화를 특징으로 갖고 있는 암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암의 치료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EGF"는 상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의 약어로, 수용체인 EGFR에 결합하여 세포의 성장, 증식 및 분화를 촉진하는 EGF-계열 단백질(EGF-familiy protein)의 일원인 성장인자로서 인간 EGF는 53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6,045 Da 크기의 단백질로 세 곳의 분자내 이황화 결합이 존재한다(Carpenter et al., J. Biol. Chem., 265(14):7709-7712, 1990).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EGFR"은 상피성장인자 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의 약어로서 상기 EGF 또는 형질전환성장인자-α(transforming growth factor α, TNFα)를 리간드로 하는 수용체 타이로신 키나아제(receptor tyrosine kinase)의 일원인 세포막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 단백질이다(Herbst, R.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9(2 Suppl): 21-26, 2004).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리피바디(repebody)"는 LRR 구조를 갖는 상기 인터날린의 N-말단과 가변 임파구 수용체(vairable lymphocyte receptor, VLR)의 구조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융합하여 컨센서스 디자인으로 최적화시켜 제조된 폴리펩타이드로서, 본 발명자의 일원인 김학성 교수에 의해 개발된 스캐폴드 단백질의 일종이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19628호). 상기 리피바디 단백질은 구조상 오목한 지역(Concave)와 볼록한 지역(Convex)으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여기서 오목한 지역은 서열의 다양성이 높으며 단백질 상호작용에 중요한 부위로 알려져 있다. 이와 반대로 볼록한 지역은 보존성이 높은 서열을 바탕으로 단백질의 전체구조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리피바디 단백질은 상기 VLR 외에도 반복 모듈을 갖는 LRR 패밀리에 속하는 모든 단백질을 상기 방법으로 수용성 발현 및 단백질의 생물리학적 성질을 향상 시킨 모든 융합 LRR 패밀리 단백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항-EGFR 리피바디"는 EGFR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EGFR의 하위 신호전달을 억제할 수 있는 리피바디를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인터날린(internalin)"은 리스테리아(Listeria) 균주에서 발현되는 LRR(Leucin-rich repeat) 패밀리 단백질의 일종으로 소수성 코어가 전 분자에 걸쳐서 일정하게 분포되어 있는 LRR 패밀리 단백질들과는 다른 유형의 N-말단 구조 때문에 미생물에서도 안정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터날린 단백질의 N-말단은 반복모듈의 접힘(folding)에 가장 중요한 N-말단 부위가 미생물 유래일 뿐 아니라 그 형태가 알파 나선을 포함하는 더욱 안정적인 모양을 가졌기 때문에 미생물에서 안정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인터날린 단백질의 N-말단"은 단백질의 수용성 발현 및 접힘에 있어서 필요한 인터날린 단백질의 N-말단을 의미하며 알파 나선형 캡핑 모티프(capping motif) 및 인터날린 B 단백질의 반복 모듈을 의미한다. 인터날린 B 단백질의 N-말단은 단백질의 수용성 발현 및 접힘에 있어서 필요한 인터날린 단백질의 N-말단은 제한 없이 포함되나, 그 예로 알파 나선형 캡핑 모티프인 "ETITVSTPIKQIFPDDAFAETIKANLKKKSVTDAVTQNE" 및 반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반복 모듈 패턴은 "LxxLxxLxLxx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복 모듈 패턴 중 L은 알라닌, 글리신, 페닐알라닌, 티로신, 루이신, 이소루이신, 발린 또는 트립토판; N은 아스파라진, 글루타민, 세린, 시스테인 또는 트레오닌, x는 임의의 아미노산을 의미한다. 인터날린 단백질의 N-말단은 융합될 수 있는 LRR 패밀리 단백질의 종류에 따라 높은 구조 유사도를 갖는 N-말단이 선택될 수 있으며 결합 에너지 등의 계산을 통해 가장 안정적인 아미노산을 선택하여 해당 모듈의 아미노산의 변이가 가능하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LRR(leucin-rich repeat)"는 루이신이 일정한 위치에 반복되는 모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단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i) 하나 이상의 LRR 반복 모듈을 갖고 있고, (ii) 상기 LRR 반복 모듈은 20 내지 3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고, (iii) LRR 반복 모듈은 보존 패턴으로 "LxxLxxLxLxxN"을 갖고 있으며, 여기서 L은 알라닌, 글리신, 페닐알라닌, 티로신, 루이신, 이소루이신, 발린 및 트립토판과 같은 소수성 아미노산을, N은 아스파라진, 글루타민, 세린, 시스테인 또는 트레오닌을, x는 임의의 아미노산을 의미하며, (iv) LRR 패밀리 단백질은 말발굽과 같은 삼차원 구조를 갖고 있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LRR 패밀리 단백질은 이미 그 서열이 알려져 있거나, 생체에서 새로 유도된 mRNA나 cDNA를 이용하여 찾아낸 것 뿐 아니라, 컨센서스 디자인(Consensus design) 등의 설계를 통하여 자연계에 알려지지 않은 서열을 가지면서 반복모듈의 골격 구조가 있는 변이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VLR(variable lymphocyte receptor)"은 먹장어, 칠성장어 등의 무악어류에서 발현되는 LRR 패밀리 단백질의 일종으로, 먹장어와 칠성장어에서 획득 면역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항원 물질에 결합할 수 있는 골격으로 유용하게 주목받고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치료적 유효량"이란 연구자 또는 임상의가 추구하는 조직, 기관, 동물 또는 사람의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게 될 약물 또는 약제의 양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EGFR의 과발현"은 EGFR의 전사, 번역 수준에서의 발현양의 증가 또는 EGFR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체세포 내 복제수의 증가 등에 기인하는 EGFR 단백질 자체의 정상 수준 보다 높은 수준의 발현을 의미한다. 이러한 EGRF의 과발현은 다양한 종류의 암의 발생, 성장 및 전이에 있어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Sasaki, T. et al., BioMed Res. Int., Article ID 546318: 8 pages, 2013)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EGFR의 비정상적인 활성화"는 EGRF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 또는 전위(translocation)으로 인하여 리간드와 무관하게 EGFR이 항상 활성화되어 있는 현상을 의미하며, 조절되지 않는 세포분열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Lynch, T.J. et al., N. Engl. J. Med. 350(21): 2129??2139, 2004).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효율적이 경제적인 단백질 의약으로서의 항암제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EGFR 리피바디의 비소세포암 세포(H1650) 및 대장암 세포(HT29)에 대한 특이적 결합을 보여주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EGFR 리피바디를 이용한 FACS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histogram(a) 및 H1650 세포(b) 및 HT29 세포(c)의 수를 계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대장암(HT29) 및 비소세포암(H1650)을 각각 이식하여 발생한 종양 마우스 모델에서 적출된 암조직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EGFR 리피바디를 이용하여 수득한 형광 면역조직화학 분석를 나타내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대장암(HT29) 및 비소세포암(H1650)을 각각 이식하여 발생한 종양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EGFR 리피바디를 이용하여 수득한 생체내 형광 이미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비소세포암(H1650)을 이식하여 발생한 종양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EGFR 리피바디를 이용하여 수득한 생체내 PET 이미징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EGFR 리피바디를 종양 마우스 모델에 투여한 후 종양의 부피의 변화를 기록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EGFR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리피바디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EGFR의 과발현 또는 과활성화를 특징으로 갖고 있는 암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EGFR을 특이적으로 인식할 뿐만 아니라 EGFR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리피바디를 인터날린 B 단백질의 N-말단, VRL의 LRR을 포함하는 가변 부위 및 VRL의 C-말단으로 구성된 리피바디를 암호화하는 리피바디 기본 유전자 컨스트럭트에 대한 무작위 돌연변이 라이브러리를 구축한 후, EGFR에 대한 친화력이 높은 클론들을 선별하여 실제 이들이 시험관내 및 생체내 조건에서 EGRF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한편(도 1 내지 5), EGRF을 과발현하는 암에 대하여 치료효과가 있는지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도 6). 그 결과, 본 발명의 항-EGFR 리피바디는 도 1 내지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항-EGFR 항체 치료제인 cetuximab과 유사하게 EGFR 과발현 암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였을 뿐만 아니라,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EGRF 과발현 암의 성장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EGFR 리피바디는 그 자체로 cetuximab과 같은 항체계열 항암제를 대체할 수 있는 항암제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항-EGFR 리피바디는 항체에 비하여 그 구조가 단단하고 크기가 작으며, 단일쇄로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장균에서 수용성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물세포를 통해 소량으로 생산할 수 밖에 없었던 기존의 항체 치료제에 비해 매우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단백질 계열 항암제 시장 자체를 폭발적으로 확대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항-EGFR 리피바디에 항암 화합물 또는 치료용 방사성 핵종(radionuclide)이 공유결합 또는 비공유결합에 의해 결합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EGFR의 과발현 또는 비정상적인 활성화를 특징으로 갖고 있는 암의 치료제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는 상기 항-EGFR 리피바디와 상기 항암 화합물이 분리되거나, 생리학적 pH에서 암조직 특유의 환경(낮은 pH, 높은 글루타티온 및 아스코르브산 농도 등)에 의해 활성화되는 전구 약물(prodrug)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리학적 pH 조건에서는 비활성이다가 암조직에서 활성화되는 전구 약물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Xiao et al., Chem. Commun., 48: 10730-10732, 2012).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항-EGFR 리피바디는 EGFR을 과발현하는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다른 항암 화합물 또는 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가 공유결합 또는 비공유결합에 의해 결합된 복합체의 형태로 제형화되거나, 이들 항암 화합물의 효능을 극대화하거나 부작용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항-리피바디와 상기 항암 화합물의 상승작용을 도모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암 화합물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ⅰ) 아스파라기나제(asparaginase);
(ⅱ)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ⅲ) 피리미딘 유사체(pyrimidine analogs)
예: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시트라빈(cytrabine), 젬시타빈(gemcitabine) 및 아라비노실시토신(arabinosylcytosine);
(ⅳ) 히드록시우레아(hydroxy urea);
(ⅴ) 퓨린 유사체(purine analogs)
펜토스타틴(pentostatin), 머캅토퓨린(mercaptopurine) 및 티오구아닌(thioguanine);
(ⅵ) 알킬화제(alkylating agents)
니트로겐 머스타드(nitrogen mustad), 사이클로스포라미드(cyclosporamide), 백금착화물(platinum),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보플라틴(carboplatin) 및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ⅶ) 항생제(antibiotics)
안트라사이클린(anthracycline), 독소루비신(doxorubi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이다루비신(idarubicin) 및 악티노마이신 D(actinomycin D);
(ⅷ) 유사분열 억제제(mitotic inhibitors)
빈블라스틴(vinblastine), 도세탁셀(docetaxel), 빈크리스틴(vincristine), 및 파클리탁셀(paclitaxel);
(ⅸ) 항혈관생성제(anti-angiogenesis agents)
VEGF에 특이적인 항체, 콤브레타스타틴 A4(combretastatin A4), 푸마길린(Fumagillin), 허비마이신 A(herbimycin A), 2-메톡시에스트라디올(2-methoxyestradiol), OGT 2115, TNP 470, 트라닐라스트(tranilast), XRP44X, 탈리도마이드(thalidomide), 엔도스타틴(endostatin), 살모신(salmosin), 안지오스타틴(angiostatin) 또는 플라스미노겐(plasminogen) 또는 아포리포단백질(apolipoprotein)의 크링글 도메인(kringle domain);
(ⅹ) 삽입성 물질(interchelating agents);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트리리메트렉세이트(trimetrexate);
(xi) 토포이소머라제 Ⅰ 저해제(topoisomerase Ⅰ inhibitors)
SN-38(7-ethyl-10-hydroxycamptothecin), 이리노테칸(irinotecan), 토포테칸(topotecan), 캄포테신(camptothecin) 또는 라멜라린 D(lamellarin D); 및
(xii) 토포이소모라제 Ⅱ 저해제(topoisomerase Ⅱ inhibitors);
에토포사이드(etoposide), 테니포사이드(teniposide), 독소루비신(doxorubi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미톡산트론(mitoxantrone), 암사크린(amsacrine), 엘립티사인(ellipticines), 오린트리카복실산(aurintricarboxylic acid) 또는 HU-331.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치료용 방사성 핵종(radionuclides)은 18F, 32P, 89Sr, 90Y, 99Tc, 125I, 131I, 153Sm, 165Dy, 166Ho, 177Lu, 186Re, 188Re 또는 198Au일 수 있다.
상기 항암 화합물 중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가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항암 복합체는 상기 항-EGFR 리피바디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상기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가 연결된 융합단백질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간단한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항-EGFR 리피바디와 상기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사이에 입체장애(steric hindrance)를 방지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의 링커 펩타이드가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링커 펩타이드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데, 예컨대, -(G2S)n-, -(G3S)n-, 및 -(G4S)n-와 같은 불활성 유연 링커(flexible linker)가 사용될 수 있다(여기서, n은 1이상의 정수임). 선택적으로 상기 링커는 특정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절단될 수 있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있어서, 암세포가 분비하는 효소에 의해 절단됨으로써 상기 항암 화합물이 활성화되어 암세포에 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EGFR 리피바디-항암 화합물의 복합체는 복합체 상태에서는 불활성이다가 암세포에 이르러서 연결이 해제되면서 비로고 항암 화합물의 고유의 활성이 나타나는 전구약물(prodrug)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전구약물의 다른 양태로는 링커의 절단 없이 생리학적 pH 조건에서는 비활성이다 암조직 특유의 조건(낮은 pH, 높은 글루타티온 및 아스코르브산 농도)에서 비로소 활성화되어 약효를 나타내는 항암 화합물 또는 약물전달체를 사용하는 것이다(Xiao et al., Chem. Commun., 48: 10730-10732, 2012). 상기 Xiao 등에 따르면, DCA-cisPt(IV)-COOH 복합체를 포함하는 M(P1) 미셀은 암세포로 내부화한 후, DA 및 시스플라틴(II)를 방출하는데, 이는 암세포 내의 환경이 Pt(IV)의 환원 및 리간드의 가수분해에 충분한 정도로 산성 또는 환원적이기 때문이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프로드러그는 암조직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약효를 나타내기 때문에 기존의 무차별적으로 작용하는 항암제에 비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약효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는 상기 항암 화합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구조체(microstructure)일 수 있고, 상기 마이크로구조체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미세구체(microsphere)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구조체의 쉘은 암세포가 분비하는 매트릭스 금속성 프로테아제(matrix metalloprotease)와 같은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마이크로구조체 코어에 포함된 상기 항암 화합물이 암세포에 이르러 방출될 수 있는 일종의 프로드러그로 작용이 가능하다. 상기 마이크로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박테리아가 방향성을 갖게 선택적으로 부착된 박테리오봇일 수 있다. 이러한 박테리봇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9332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49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34879호 등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항-EGFR 리피바디는 상기 벡티리아의 표면에 제시되는 표면 단백질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항-EGFR 리피바디는 상기 항암 화합물과 결합된 형태의 복합체로 투여되는 대신에 통상의 병용 투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EGFR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리피바디는 인터날린 단백질의 N-말단, VRL(variable lyphocyte receptor) 단백질의 변형된 반복모듈 및 VRL 단백질의 C-말단이 융합된 단백질일 수 있고, 상기 인터날린 단백질은 인터날린 A, 인터날린 B, 인터날린 C, 인터날린 H 또는 인터날린 J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EGFR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리피바디는 서열번호 1 또는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치료적 유효량의 항-EGFR 리피바디 또는 상기 항-EGFR 리피바디에 항암 화합물이 공유 또는 비공유결합에 의해 결합된 복합체를 EGFR의 과발현 또는 비정상적인 활성화를 특징으로 갖고 있는 암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암의 치료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약학적 조성물 기준으로는 0.0001 내지 100 mg/kg(체중)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거나 이틀 내지 한 달 간격으로 복수로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항-EGFR 리피바디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항-EGFR 리피바디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56075호에 개시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19628호에서 구축한 리피바디 기본골격 컨스트럭트에 대한 무작위 돌연변이 라이브러리를 구축한 후, 이를 파지 디스플레이용 벡터에 삽입한 후 EGFR과의 결합 친화도가 높은 후보 리피바디를 선별한 후, 결합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컴퓨터 분석을 통해 예측된 아미노산을 대상으로 표적 돌연변이화를 통해 두 번째 항-EGFR 리피바디(rAC1 repe)를 선별하였으며, 이에 대한 추가 돌연변이를 통해 세 번째 항-EGFR 리피바디(rEgA repe) 및 네 번째 항-EGFR 리피바디 클론(rEgH9 repe) 클론을 확보하였다. 상기 세 번째 항-EGFR 리피바디 및 네 번째 항-EGFR 리피바디는 각각 서열번호 1 및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다. 상기 특허문헌들은 본 문서에 참조로 삽입된다.
실시예 2: 항-EGFR 리피바디-FITC 컨주게이트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항-EGFR 리피바디(rEgH9 repe)-FITC 컨주게이트는 FITC의 NHS를 이용하여 항-EGFR 리피바디의 N-말단의 아민기와 FITC 사이에 아마이드 결합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항-EGFR 리피바디-Cy5.5 컨주게이트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항-EGFR 리피바디(rEgH9 repe)-Cy5.5 컨주게이트는 Cy5.5의 NHS를 이용하여 항-EGFR 리피바디의 N-말단의 아민기와 Cy5.5의 사이에 아마이드 결합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치료용 방사성핵종-NOTA-항-EGFR 리피바디 컨주게이트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된 64Cu-NOTA-항-EGFR 리피바디 컨주게이트는 항-EGFR 리피바디의 N-말단의 아민기와 NOTA와의 아마이드 결합을 형성시키고, 64Cu를 킬레이션 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시험관내 EGFR 결합 확인
본 발명자들은 EGFR 발현 비소세포페암 세포(H1650)와 대장암(HT29) 세포에서 EGFR 리피바디의 특이결합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항-EGFR 리피바디-FITC를 이용하여 면역형광염색과 FACS 분석을 실시하였다.
1-1: 면역형광염색 분석
먼저 본 발명자들은 EGFR을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진 비소세포페암 세포(H1650)와 대장암(HT29)의 배양중인 세포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항-EGFR 리피바디-FITC 컨쥬게이트를 0.1 μM 처리하고 세척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H1650 및 HT29 세포 모두에서 항-EGFR 항체에서와 유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도 1).
1-2: FACS 분석
이어 본 발명자들은 상기 항-EGFR 리피바디-FITC 컨쥬게이트를 이용하여 형광 활성화 세포 정렬(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FACS)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최종적으로 사용된 항-EGFR 리피바디(rEgH9 repe) 외에 개발과정에서 단계별로 친화도가 증가된 두 번째 및 세 번째 클론에 대하여도 분석을 수행하였다(도 2). 그 결과,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EGFR 과발현 세포와 EGFR 리피바디의 결합력은 친화도의 증가에 따라 결합력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T29세포와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항-EGFR 리피바디(rEgH9 repe) 사이의 결합특이성은 두 번째 클론(rAC1)에 비해 8.8배 증가하였고, 세 번째 클론(rEgA repe)에 비해서는 1.1배 증가하였으며, 항-EGFR 항체와 비교할 경우 0.8배 정도의 결합특이성을 나타내어 항체와 유사한 정도의 결합특이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H1650세포와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항-EGFR 리피바디((rEgH9 repe) 사이의 결합특이성은 두 번째 클론에 비해 23.4배 증가하였고, 세 번째 클론에 비해서는 3.1배 증가하였다. 이는 EGFR 항체에 비해서도 4.3배 높은 결합특이성으로서, 항체 이상의 결합특이성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2: 면역조직화학에 의한 EGFR 결합 확인
본 발명자들은 상기 in vitro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항-EGFR 리피바디가 배양중인 세포 뿐만 아니라 암조직 절편에서의 EGFR 발현을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에서 형성된 암조직을 절취하여 이의 절편에 대하여 면역조직화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에서 형성된 비소세포폐암(H1650)과 대장암(HT29) 조직을 조직절편기(vibratome)을 이용하여 절편화한 후, 4% 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한 다음, 1% BSA/PBST로 차단하고, 항-EGFR 리피바디-FITC 콘주게이트를 3 μg/ml을 처리한 후, PBST로 3차례 세척한 다음, 형광현미경으로 형광패턴을 관찰하였다(도 3). 그 결과,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H1650 및 HT29 세포 모두 EGFR에 의한 형광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항-EGFR 리피바디가 암조직에서 발현된 EGFR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실험예 3: 생체내 EGFR의 영상화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항-EGFR 리피바디가 실제 생체 내 투여시, EGFR을 발현하는 암조직에 생체 내 영상화에 적용될 수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항-EGFR 리피바디-Cy5.5 및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64Cu-NOTA-항-EGFR 리피바디를 암을 유발시킨 동물 모델 각각 투여한 후 각각 생체 내 형광 이미징 및 PET 이미징을 통해 분석하였다.
3-1: 생체 내 형광 이미징 분석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항-EGFR 리피바디-Cy5.5을 1.5 mg/kg의 투여량으로 대장암(HT29) 또는 비소세포암(H1650)이 이식되어 종양이 형성된 xenograft 암 모델 마우스에 꼬리정맥 주사한 후, cooled CCD 광학 카메라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생체 내 형광 이미지를 수득하였다(도 4). 그 결과,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HT29와 H1650 동물모델에서 1일째부터 결합력이 확인되었고, 10일 이후까지 강한 영상신호가 관찰되었다(도 4). 이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항-EGFR 리피바디가 동물모델 생체 내 환경에서도 표적에 대한 특이도가 매우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3-2: PET 영상 분석
생체 내 형광 분석의 경우 소동물에는 적합하나 대동물에서는 자가형광 및 형광의 낮은 침투력 때문에 적합한 방법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대동물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지 확인하기 위해 PET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인간폐암(H1650) 마우스모델에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64Cu-NOTA-항-EGFR 리피바디 컨주게이트를 10 mCi/kg의 투여량으로 정맥 주사한 후 시간별 PET 영상을 획득하였다(도 5). 그 결과,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른 종양 내 영상신호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변 조직이나 타 장기들과의 구분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간, 종양 조직 등의 섭취비율을 나타내는 영상 대조도를 시간에 따라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생체 내 항암 분석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항-EGFR 리피바디가 EGFR 및 EGFR을 과발현하는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확인한데 이어, 이러한 특이적 결합이 EGFR의 기능의 억제로 이어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EGFR 리피바디를 상기 인간폐암(H1650) 모델마우스에 주입한 후 암세포의 크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 항체 치료제인 cetuximab(10mg/kg)과 리피바디(1 mg/kg 및 10mg/kg)를 일주일간 매일 꼬리 정맥 주사하였고, 첫 번째 주사 후 3일 간격으로 종양크기를 측정하였다(도 6). 그 결과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리피바디 단독투여로도 cetuximab과 유사한 종양성장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항-EGFR 리피바디를 매일 투여한 1주일 동안은 암세포가 거의 자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EGFR 리피바디의 항암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이는 다른 항암제의 병용 없이 순수한 항-EGFR 리피바디만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로서, 다른 항암제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EGFR 리피바디에 결합하거나 병용처리할 경우 보다 효율적인 암 치료가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와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20> A novel anticancer agent targeting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130> PD14-5148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4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EGRF repebody clone #3 (rEgA repe) <400> 1 Glu Thr Ile Thr Val Ser Thr Pro Ile Lys Gln Ile Phe Pro Asp Asp 1 5 10 15 Ala Phe Ala Glu Thr Ile Lys Ala Asn Leu Lys Lys Lys Ser Val Thr 20 25 30 Asp Ala Val Thr Gln Asn Glu Leu Asn Ser Ile Asp Gln Ile Ile Ala 35 40 45 Asn Asn Ser Asp Ile Lys Ser Val Gln Gly Ile Gln Tyr Leu Pro Asn 50 55 60 Val Arg Tyr Leu Ala Leu Gly Gly Asn Lys Leu His Asp Ile Ser Ala 65 70 75 80 Leu Lys Glu Leu Thr Asn Leu Thr Tyr Leu Met Leu His Tyr Asn Gln 85 90 95 Leu Gln Ile Leu Pro Asn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Lys 100 105 110 Glu Leu Tyr Leu Ser Glu Asn Gln Leu Gln Ser Leu Pro Asp Gly Val 115 120 125 Phe Asp Lys Leu Thr Asn Leu Thr Glu Leu Asp Leu Ala Arg Asn Gln 130 135 140 Leu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Asp Lys Leu Thr Gln Leu Lys 145 150 155 160 Asp Leu Arg Leu Tyr Glu Asn Gln Leu Lys Ser Val Pro Asp Gly Val 165 170 175 Phe Asp Arg Leu Thr Ser Leu Gln Tyr Ile Trp Leu His Asp Asn Pro 180 185 190 Trp Asp Cys Thr Cys Pro Gly Ile Arg Tyr Leu Ser Glu Trp Ile Asn 195 200 205 Lys His Ser Gly Val Val Arg Asn Ser Ala Gly Ser Val Ala Pro Asp 210 215 220 Ser Ala Lys Cys Ser Gly Ser Gly Lys Pro Val Arg Ser Ile Ile Cys 225 230 235 240 Pro Thr <210> 2 <211> 24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EGRF repebody clone #4 (rEgH9 repe) <400> 2 Glu Thr Ile Thr Val Ser Thr Pro Ile Lys Gln Ile Phe Pro Asp Asp 1 5 10 15 Ala Phe Ala Glu Thr Ile Lys Ala Asn Leu Lys Lys Lys Ser Val Thr 20 25 30 Asp Ala Val Thr Gln Asn Glu Leu Asn Ser Ile Asp Gln Ile Ile Ala 35 40 45 Asn Asn Ser Asp Ile Lys Ser Val Gln Gly Ile Gln Tyr Leu Pro Asn 50 55 60 Val Arg Met Leu His Leu Pro Ser Asn Lys Leu His Asp Ile Ser Ala 65 70 75 80 Leu Lys Glu Leu Thr Asn Leu Thr Tyr Leu Met Leu His Tyr Asn Gln 85 90 95 Leu Gln Ile Leu Pro Asn Gly Val Phe Asp Lys Leu Thr Asn Leu Lys 100 105 110 Glu Leu Tyr Leu Ser Glu Asn Gln Leu Gln Ser Leu Pro Asp Gly Val 115 120 125 Phe Asp Lys Leu Thr Asn Leu Thr Glu Leu Asp Leu Ala Arg Asn Gln 130 135 140 Leu Gln Ser Leu Pro Lys Gly Val Phe Asp Lys Leu Thr Gln Leu Lys 145 150 155 160 Asp Leu Arg Leu Tyr Glu Asn Gln Leu Lys Ser Val Pro Asp Gly Val 165 170 175 Phe Asp Arg Leu Thr Ser Leu Gln Tyr Ile Trp Leu His Asp Asn Pro 180 185 190 Trp Asp Cys Thr Cys Pro Gly Ile Arg Tyr Leu Ser Glu Trp Ile Asn 195 200 205 Lys His Ser Gly Val Val Arg Asn Ser Ala Gly Ser Val Ala Pro Asp 210 215 220 Ser Ala Lys Cys Ser Gly Ser Gly Lys Pro Val Arg Ser Ile Ile Cys 225 230 235 240 Pro Thr

Claims (9)

  1. 항-EGFR 리피바디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EGFR의 과발현 또는 과활성화를 특징으로 갖고 있는 암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2. 항-EGFR 리피바디에 항암 화합물 또는 치료용 방사성 핵종이 공유결합 또는 비공유결합에 의해 결합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EGFR의 과발현 또는 비정상적인 활성화를 특징으로 갖고 있는 암의 치료제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는 상기 항-EGFR 리피바디와 상기 항암 화합물이 분리되었을 때 활성화되거나 또는 암세포 특유의 낮은 pH에서 활성화되는 전구약물인, 약학적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 화합물은 하기에 기재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합물인, 약학적 조성물:
    (ⅰ) 아스파라기나제(asparaginase); (ⅱ)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ⅲ)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시트라빈(cytrabine), 젬시타빈(gemcitabine) 및 아라비노실시토신(arabinosylcytosin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리미딘 유사체(pyrimidine analogs);
    (ⅳ) 히드록시우레아(hydroxy urea);
    (ⅴ) 펜토스타틴(pentostatin), 머캅토퓨린(mercaptopurine) 및 티오구아닌(thioguanine)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퓨린 유사체(purine analogs);
    (ⅵ) 니트로겐 머스타드(nitrogen mustad), 사이클로스포라미드(cyclosporamide), 백금착화물(platinum),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보플라틴(carboplatin) 및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알킬화제(alkylating agents);
    (ⅶ) 안트라사이클린(anthracycline), 독소루비신(doxorubi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이다루비신(idarubicin) 및 악티노마이신 D(actinomycin D)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항생제(antibiotics);
    (ⅷ) 빈블라스틴(vinblastine), 도세탁셀(docetaxel), 빈크리스틴(vincristine), 및 파클리탁셀(paclitaxel)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사분열 억제제(mitotic inhibitors);
    (ⅸ) VEGF에 특이적인 항체, 콤브레타스타틴 A4(combretastatin A4), 푸마길린(Fumagillin), 허비마이신 A(herbimycin A), 2-메톡시에스트라디올(2-methoxyestradiol), OGT 2115, TNP 470, 트라닐라스트(tranilast), XRP44X, 탈리도마이드(thalidomide), 엔도스타틴(endostatin), 살모신(salmosin), 안지오스타틴(angiostatin), 플라스미노겐(plasminogen) 및 아포리포단백질(apolipoprotein)의 크링글 도메인(kringle domain)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항혈관생성제(anti-angiogenesis agents);
    (ⅹ)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및 트리리메트렉세이트(trimetrexate)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삽입성 물질(interchelating agents);
    (xi) SN-38(7-ethyl-10-hydroxycamptothecin), 이리노테칸(irinotecan), 토포테칸(topotecan), 캄포테신(camptothecin) 및 멜라린 D(lamellarin D)로 구성되는 토포이소머라제 Ⅰ 저해제(topoisomerase Ⅰ inhibitors); 및
    (xii) 에토포사이드(etoposide), 테니포사이드(teniposide), 독소루비신(doxorubi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미톡산트론(mitoxantrone), 암사크린(amsacrine), 엘립티사인(ellipticines), 오린트리카복실산(aurintricarboxylic acid) 및 HU-331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토포이소모라제 Ⅱ 저해제(topoisomerase Ⅱ inhibitors).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용 방사성 핵종은, 18F, 32P, 89Sr, 90Y, 99Tc, 125I, 131I, 153Sm, 165Dy, 166Ho, 177Lu, 186Re, 188Re 또는 198Au인,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GFR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리피바디는 인터날린 단백질의 N-말단, VRL(variable lyphocyte receptor) 단백질의 변형된 반복모듈 및 VRL 단백질의 C-말단이 융합된 단백질인,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날린 단백질은 인터날린 A, 인터날린 B, 인터날린 C, 인터날린 H 또는 인터날린 J인,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EGFR 리피바디는 서열번호 1 또는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약학적 조성물.
  9. 치료적 유효량의 항-EGFR 리피바디 또는 상기 항-EGFR 리피바디에 항암 화합물이 공유 또는 비공유결합에 의해 결합된 복합체를 EGFR의 과발현 또는 비정상적인 활성화를 특징으로 갖고 있는 암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암의 치료방법.
KR1020140175516A 2014-12-09 2014-12-09 상피성장인자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신규 항암제 KR101732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516A KR101732380B1 (ko) 2014-12-09 2014-12-09 상피성장인자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신규 항암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516A KR101732380B1 (ko) 2014-12-09 2014-12-09 상피성장인자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신규 항암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667A true KR20160069667A (ko) 2016-06-17
KR101732380B1 KR101732380B1 (ko) 2017-05-24

Family

ID=5634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516A KR101732380B1 (ko) 2014-12-09 2014-12-09 상피성장인자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신규 항암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3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809B1 (ko) * 2017-03-24 2018-07-06 한국과학기술원 리피바디-항암 단백질 약물 복합체, 그 제조방법 및 용도
WO2018212540A3 (ko) * 2017-05-18 2019-03-28 한국과학기술원 세포투과능이 향상된 리피바디-항암 단백질 약물 복합체, 그 제조방법 및 용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809B1 (ko) * 2017-03-24 2018-07-06 한국과학기술원 리피바디-항암 단백질 약물 복합체, 그 제조방법 및 용도
WO2018212540A3 (ko) * 2017-05-18 2019-03-28 한국과학기술원 세포투과능이 향상된 리피바디-항암 단백질 약물 복합체, 그 제조방법 및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380B1 (ko)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9567B1 (en) Tumor cell-specific responsive self-assembling drug nanoconjugate
US11273206B2 (en) Targeting of pharmaceutical agents to pathologic areas using bifunctional fusion polypeptides
JP5705118B2 (ja) 薬物送達のためのエトポシドおよびドキソルビシン複合体
CN102369220A (zh) 用于不渗透化合物策略的靶向激活的细胞/组织转位肽及其应用
JP2021509104A (ja) ヒトフェリチンおよびプロテアーゼ切断可能ペプチドに基づく融合タンパク質ならびに化学療法用担体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US9757473B2 (en) Cell-penetrating peptide and conjugate comprising same
CN109563151A (zh) 用于治疗癌症的方法和组合物
KR101286721B1 (ko) 폴리-시스테인 펩티드 융합 재조합 알부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40002547A1 (en) Therapeutic multi-targeting constructs and uses thereof
AU2018301651B2 (en) A peptide saporin conjugat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N112386678B (zh) 多肽或其衍生物的应用
KR101732380B1 (ko) 상피성장인자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신규 항암제
KR20080016798A (ko) 암 치료를 위한 p21 단백질 포함 컨쥬게이트
KR102334899B1 (ko)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펩티드 fnin2 및 이의 용도
KR102400031B1 (ko) 항종양 면역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종양세포 특이적 자가조립 나노입자
US20220177547A1 (en) Ferritin nanocage for multi-displaying trail trimer and cancer-targeting peptide and use thereof as anticancer agent
ES2742856T3 (es) Composiciones farmacéuticas y procedimientos para el tratamiento y prevención del cáncer metastático
KR102584294B1 (ko) 양친매성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304832B1 (ko)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펩티드 fnin3 및 이의 용도
US11833204B2 (en) Visible light-activatable nanoparticles for cancer immunotherapy and use thereof
KR102473666B1 (ko) Hoxa9 단백질 c-말단부위의 hadp 펩티드를 포함하는 폐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30374113A1 (en) Ferritin nanocage fused with pd-l1-binding peptide 1 and use thereof as anticancer immunotherapy agent
CN109311962A (zh) Bcl-2 l10/ip3受体相互作用的抑制剂
KR20220088329A (ko) Pd-l1 결합 펩타이드 2를 융합한 페리틴 나노케이지 및 이의 항암면역치료제로서의 용도
KR20230119663A (ko) 양이온성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