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441A - 광전센서 리테이너 및 이를 구비한 광전 맥파 계측기 - Google Patents

광전센서 리테이너 및 이를 구비한 광전 맥파 계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441A
KR20160069441A KR1020150012311A KR20150012311A KR20160069441A KR 20160069441 A KR20160069441 A KR 20160069441A KR 1020150012311 A KR1020150012311 A KR 1020150012311A KR 20150012311 A KR20150012311 A KR 20150012311A KR 20160069441 A KR20160069441 A KR 20160069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hotoelectric sensor
seat
mounting portion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1849B1 (ko
Inventor
원시 천
타케시 나가히로
요스케 아오야기
나오유키 타카다
타카히로 토크미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959,111 priority Critical patent/US9772222B2/en
Publication of KR20160069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08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광전센서 리테이너 및 이를 구비한 광전맥파 계측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광전센서 리테이너는 수광면을 가지는 광전센서가 착탈되는 센서 설치부와, 센서 설치부의 상면을 누르면서 가압하는 가압기와, 상기 가압기를 지지하는 좌판을 포함하는 대좌를 포함한다. 센서 설치부에는 상기 수광면이 측정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광전센서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가압기는 상기 대좌에 대해서 상기 측정방향으로 상기 센서 설치부를 누르면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좌판의 주평면은 상기 가압기의 가압 방향과 직교 하는 평면과 평행하다.

Description

광전센서 리테이너 및 이를 구비한 광전 맥파 계측기{Retainer for photoelectric sensor and photoelectric pulse wave masu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전센서를 지지하는 광전센서 리테이너(retainer)와, 이를 포함하는 광전 맥파 계측기에 구비된 것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광전맥파 계측기의 일 예로서 맥파 계측장치를 개시한다. 맥파 계측장치는 발광기 및 광전센서를 구비한다. 발광기는 혈관에 예를 들면 근적외선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근적외선광은 혈관에서 반사되어 반사광이 된다. 광전센서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맥파 계측장치는 특허문헌 1 제6쪽 12~27행에서 보듯이, 오로지 맥박수의 계측을 위해서 이용된다. 또, 경량으로 휴대에 적절하므로 운동 중에 맥박수를 확인할 수 있다.
발명자 등은 종래기술을 한층 더 발전시켜, 맥파의 파형으로부터 생체지표를 추정할 수 있는 정도까지, 맥파의 파형을 정확하게 계측하는 것을 시도했다. 이하에서 발명자에 의한 과제 발견의 경위를 설명한다.
도 1은 과제에 관한 광전센서 리테이너(14)를 보여준다. 리테이너(14)는 광전센서의 대좌(19) 및 이에 결합하는 밴드(90)를 포함한다. 대좌(19)에는 광전센서(75)가 장착된다. 밴드(90)는 손목시계에 이용되는 수지(resin)로 만든 밴드 또는 벨트이다.
리테이너(14)는 전완(forearm)(95)의 주위에 장착된다. 도 1은 특히 전완(95)의 손목 주변을 보여준다. 밴드(90)를 조이면, 광전센서(75)는 전완(95)의 피부 표면(96)에 접촉한다.
도 1에 나타낸 광전센서(75)로 계측을 정확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조사광 및 산란광의 경로가 어긋나지 않는 상태를 만들어 낼 필요가 있다. 상기 상태는 맥파를 계측하는 일정한 시간 동안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맥파를 계측시 발광기(80)및 광전센서(75)를 표면(96)에 밀착시킬 필요가 있다. 또, 억누르는 힘은 조사광의 광축이 어긋나지 않는 정도의 힘이어야 한다.
이 때문에, 광전센서(75)의 수광면(77)은 전완(95)의 요골동맥(97)의 근방에서, 표면(96)에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광면(77)은 소정의 측정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측정 방향은 표면(96)의 법선과 평행한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표면(96)의 형상은 피검자의 연령, 성별, 체격에 의해 크게 다르다. 이 때문에 밴드(90)를 단순하게 조이는 것 만으로는 광전센서(75)를 요골동맥(97)의 근방에서 소정의 측정 방향을 향하여 가압하는 것이 어렵다.
이는, 밴드(90)를 단단히 조이는 것 만으로는 광전센서에 가하는 힘의 크기와 힘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어려운 것에 기인한다. 즉, 밴드(90) 상의 광전센서 위치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밴드(90)가 주는 힘이 작용 반작용 법칙에 의해 분산하는 것에 기인한다.
도 1에 나타낸 리테이너(14)를 대형화해 전동 가압 장비를 부가하는 것으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리테이너(14)를 경량으로 휴대하기에 적절한 크기로 하는 것이 어렵다.
1. 일본 특허 공개 2005-040259호 공보
본 발명은 광전센서 리테이너에 광전센서를 장착한 경우 맥파의 파형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전센서 리테이너는:
수광면을 가진 광전센서가 착탈되는 센서 설치부;
상기 센서 설치부의 상면을 누르면서 가압하는 가압기; 및
상기 가압기를 지지하는 좌판을 포함하는 대좌;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 설치부에는 상기 수광면이 측정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광전센서의 설치가 가능하며,
상기 가압기는 상기 대좌에 대해서 상기 측정 방향으로 상기 센서 설치부를 누르면서 가압하며,
상기 좌판의 주평면은 상기 가압기의 가압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과 평행하다.
상기 가압기는 상기 좌판과 나사결합하며, 그 단부는 상기 가압기의상기 회전에 의해 센서 설치부의 상면을 밀어서 상기 좌판 및 상기 상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상기 센서 설치부를 지지하는 현가기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현가기구는 상기 좌판에 대해서 상기 센서 설치부와 마주보게 배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상기 센서 설치부를 고정연결하며 상기 좌판을 관통하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좌판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링크를 감싸는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측정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여 상기 센서 설치부를 반발시킨다.
상기 복수의 링크는 3개 이상이며, 상기 가압기를 둘러싼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대좌와 연결되는 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 방향은 상기 밴드 및 상기 대좌로부터 형성되는 환의 내측을 향하며,
상기 대좌는 상기 좌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는 상기 날개에 연결되는 일단부 및 타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좌는 상기 각 날개에서 상기 밴드에 대해 각각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좌판의 상기 주평면과 상기 회동축을 포함하는 평면의 경사를 조정하는 조절기구를 더 구비한다.
상기 조절기구는 상기 각 날개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과 상기 주평면과의 거리를 조절한다.
상기 각 날개에서, 상기 회동축을 구성하는 핀을 더 구비하며,
상기 날개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구는 상기 주평면과의 거리가 다른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핀은 각각 상기 복수의 홀에 착탈한다.
상기 센서 설치부는:
기초부;
상기 기초부에 대해서 측정방향 측에 위치한 센서 지지부;
상기 기초부 및 상기 센서 지지부 사이의 압전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기초부는 상기 현가기구와 결합하며,
상기 센서 지지부는 상기 측정 방향을 향하는 센서 지지면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대좌를 지지하는 스테이지;
상기 센서 설치부에 대해 상기 측정방향 측에 위치하는 전완 지지대;
상기 스테이지를 지지하며, 상기 전완 지지대와 연결된 한 쌍의 지지기둥;을 구비하며,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지지기둥에 대해서, 상기 측정 방향 및 상기 측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전완 지지대는 전완의 요골동맥이 상기 센서 설치부를 향하도록 전완을 지지한다.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전완 지지대의 길이방향 및 상기 측정방향과 평행한 평면과 직교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한 쌍의 지지기둥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동축과 나란하게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기둥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장 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기둥에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기둥에서의 위치와,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회전된 위치가 고정된다.
실시예에 따른 광전맥파 계측기는:
상기 광전센서 리테이너;
수광면 및 상기 수광면의 반대측의 기판면을 가지며 상기 센서 지지면에 장착된 상기 광전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면은 상기 센서 지지면을 대향하며,
상기 수광면은 상기 환 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전센서 리테이너에 광전센서를 장착할 경우 맥파의 파형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다.
도 1은 관계된 기술(related art)의 광전센서 리테이너의 사용도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광전센서 리테이너의 사시도다.
도 3은 제2 실시예의 광전센서 리테이너의 사시도다.
도 4는 제2 실시예의 광전센서 리테이너의 사용도다.
도 5는 제2 실시예의 광전센서 리테이너의 정면도다.
도 6은 제2 실시예의 조절기구의 사용도다.
도 7은 제2 실시예의 조절기구의 사용도다.
도 8은 제3 실시예의 광전센서 리테이너의 사시도다.
도 9는 제3 실시예의 광전센서 리테이너의 부분 확대도다.
도 10은 제3 실시예의 광전센서 리테이너의 부분 확대 평면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동등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한다. 또, 동질의 구성요소이며, 위치 관계 또는 배치 위치만 다른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부호 말미의 알파벳으로 이들을 구별한다. 이에 따라, 동등의 구성요소 또는 동질의 구성요소에 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광전센서 리테이너(15)의 사시도다. 리테이너(15)는 설치부(60)와 가압기(30)와 좌판(24)을 가지는 대좌를 포함한다. 설치부(60)는 센서 설치부다. 설치부(60)에 광전센서가 착탈된다. 광전센서는 수광면을 가지는 수광기다. 리테이너(15)에 광전센서 및 발광기를 설치하여 광전맥파 계측기로 사용할 수 있다.
설치부(60)는 좌판(24)의 하부에 위치한다. 설치부(60)는 기초부(61) 및 지지부(66)를 포함한다. 지지부(66)는 기초부(61)에 대해 측정방향(74) 측에 있는 센서 지지부다. 기초부(61)는 상면(62)을 가진다.
도 2의 가압기(30)는 머리부(31)및 축부(35)를 포함한다. 머리부(31) 및 축부(35)는 일체로 형성된 볼트일 수 있다. 축부(35)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홈이 형성된 방향은 오른쪽 나사방향일 수 있다. 축부(35)는 좌판(24)에 형성된 홀에 나사결합된다.
도 2에 나타낸 방향(32)은 가압기(30)를 평면시 했을 때, 축부(35)의 중심 축에 대해서 시계회전방향이다. 머리부(31)를 방향(32)으로 회동시, 축부(35)는 방향(32)으로 회동하며, 가압기(30)는 좌판(24)에 대해서 측정방향(74)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아간다.
도 2에서 보듯이, 머리부(31)를 방향(32)으로 회동하면, 가압기(30)가 상면(62)을 압압한다. 좌판(24)은 가압기(30)를 지지한다. 가압기(30)는 좌판(24)을 관통하고 있는 위치에서 좌판(24)과 접촉한다.
도 2에 도시된 설치부(60)에는, 광전센서의 수광면이 측정방향(74)을 향하도록 광전센서를 장착할 수 있다. 측정방향(74)의 전방에는 전완 피부의 표면이 위치할 수 있다. 측정방향(74)은 피부의 표면의 법선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가압기(30)는 측정방향(74)과 동일 방향으로 설치부(60)를 눌러서 가압한다. 좌판(24)은 주평면(主平面)(18)을 가진다. 주평면(18)은 가압기(30)가 설치부(60)를 가압하는 방향, 즉 가압방향과 직교하는 평면과 평행이다. 설치부(60)를 측정방향(74)과 동일한 방향으로 평면시 했을 때, 설치부(60)의 면적은 가압기(30)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기초부(61)는 현가기구(40)와 결합된다. 따라서, 현가기구(40)는 설치부(60)를 지지한다. 현가기구(40)는 측정방향(74)과 반대 방향을 향해서, 설치부(60)를 반발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압기(30)에 의한 가압력과는 반대방향의 반발력을 설치부(60)에 대해서 작용한다. 상기 수단은 도 4에 도시된 완충기(70a, 70b)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설치부(60)의 면적은 가압기(30)의 면적 보다 크기 때문에, 수광면의 적절한 방향을 유지한 채로, 가압기(30)가 설치부(60)를 가압하는 것이 어렵다. 여기서, 수광면의 적절한 방향을 유지한다는 것은, 광전센서의 수광면과 측정방향(74)에 수직인 평면, 또는 피부의 표면과 평행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도 1에 도시된 것 처럼, 수광면(77)을 적절한 방향으로 유지할 수 없는 경우, 피부의 표면(96)으로부터 광전센서(75)에 대해 일하는 응력에 의해, 설치부(60)는 비스듬하게 된 채로 가압될 수 있다. 이 경우, 수광면(77) 및 표면(96) 사이의 밀착이 손상된다.
도 1에 나타낸 경우에 있어서, 혈관으로부터의 반사광은 수광면(77) 및 표면(96) 사이의 틈새로 빠져나가 수광면(77)에 도달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시그널/노이즈 비가 감소할 수 있다. 또, 수광면(77) 및 표면(96) 사이의 틈새로부터 외란광이 침입할 수 있다. 외란광이 광전변환되면 맥파의 시그널에 대한 노이즈가 새롭게 발생한다.
이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 2의 현가기구(40)는 설치부(60)를 3점 또는 4점 이상의 지점에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가기구(40)는 가압기(30)를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현가기구(40)는 프레임(41), 링크(50a, 50b, 50c, 50d)를 포함한다. 프레임(41)은 좌판(24)의 상방에 위치한다. 링크(50a, 50b, 50c, 50d)는 프레임(41)의 하방에 위치한다.
도 2의 링크(50a, 50b, 50c, 50d)는 프레임(41) 및 설치부(60) 사이에 위치한다. 링크(50a, 50b, 50c, 50d)는 각각 프레임(41) 및 설치부(60)에 결합되어 있다. 링크(50a, 50b, 50c, 50d)는 가압기(30)를 둘러싸고 있다. 링크(50a, 50b, 50c, 50d)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의 리테이너(15)에서는, 가압기(30)가 설치부(60)를 눌러서 가압한다. 이 때문에, 가압기(30)가 없는 경우에 비해, 설치부(60)에 장착된 광전센서의 수광면을 전완의 피부의 표면에 보다 밀착시킬 수 있다.
도 2의 리테이너(15)에서는, 현가기구(40)가 가압기(30)의 가압방향과 측정방향(74)의 차이를 보정한다. 이 때문에, 현가기구(40)가 없는 경우에 비해, 전완의 피부의 표면에 대해, 광전센서를 그 법선방향과 평행에 가까운 방향을 따라서 누를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리테이너(15)에 있어서, 수광면의 적절한 방향을 유지한 채로, 가압기(30)가 설치부(60)를 압압할 수 있다. 현가기구(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동일한 현가기구(40)를 이용하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광전센서 리테이너(16)의 사시도다. 리테이너(16)는 도 2에 나타낸 리테이너(15)와 비교하여, 밴드(90)와 날개(26, 27)를 더 포함하는 점이 다르다.
도 3에 나타낸 리테이너(16)는 대좌(20)를 포함한다. 대좌(20)는 좌판(24)의 일단에 설치된 날개(26) 및 타단에 설치된 날개(27)를 포함한다. 밴드(90)는 날개(26, 27)에서 대좌(20)에 연결된다. 각 날개(26, 27)는 소정의 갭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날개를 포함한다.
도 3의 밴드(90)는 일단부(91) 및 타단부(92)를 가진다. 일단부(91)는 날개(26)에 연결된다. 일단부(92)는 날개(27)에 연결된다. 날개(26, 27)의 두 날개 형상 사이로 일단부(91) 및 타단부( 9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리테이너(16)는 핀(36)을 포함한다. 핀(36)은 회동축을 구성한다. 대좌(20)는 밴드(90)에 대해서 핀(3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도 3의 리테이너(16)는 핀(37)을 포함한다. 핀(37)은 회동축을 구성한다. 대좌(20)는 밴드(90)에 대해서 핀(37)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도 3의 리테이너(16)는 조절기구(28, 29)를 포함한다. 조절기구(28, 29)는 각각 날개(26, 27)에 위치한다. 핀(36, 37)은 각각 조절기구(28, 29)가 가지는 홀에 착탈이 가능하다. 핀(36, 37)은 착탈이 용이하며 조절기구(28, 29)에 의한 기울기의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도 4는 리테이너(16)의 정면도다. 리테이너(16)의 일부 부재는 도 4에서 생략되었다.
도 4의 현가기구(40)는 프레임(41), 링크(50a, 50b) 및 완충기(70a, 70b)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링크(50c, 50d)는 도 4에서는 링크(50a, 50b)에 의해 가려져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링크(50c, 50d)도 도 4의 완충기(70a, 70b)와 동등한 완충기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링크(50a, 50b) 및 이들과 관련된 부재, 부위를 설명한다. 다만, 링크(50c, 50d) 및 이들과 관련된 부재, 부위도, 링크(50a, 50b)와 관련되는 것과 동등의 구성을 가진다.
도 4의 대좌(20)가 포함하는 좌판(24)은 상면(21a), 하면(21b)을 포함한다. 좌판(24)은 복수의 홀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홀은 좌판(24)을 관통한다. 복수의 홀에는 각각 홀면(23) 및 홀면(25a, 25b)이 형성된다. 홀면(23) 및 홀면(25a, 25b)에는 각각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홈의 방향은 오른 나사방향일 수 있다.
도 4의 대좌(20)의 날개(26)는 좌판(24)의 일단(22a)에 접촉한다. 대좌(20)의 날개(27)는 좌판(24)의 타단(22b)에 접촉한다.
도 4의 프레임(41)은 측정방향(74)의 반대측의 상면(46) 및 측정방향(74) 측의 하면(47)을 포함한다. 프레임(41)은 복수의 홀을 가진다. 상기 복수의 홀은 프레임(41)을 관통한다. 상기 복수의 홀에는 각각 홀면(43) 및 홀면(45a, 45b)이 형성된다. 홀면(43) 및 홀면(45a, 45b)에는 각각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홈의 방향은 오른 나사방향일 수 있다.
도 4의 기초부(61)는 하면(63)을 포함한다. 기초부(61)는 복수의 홀을 가진다. 상기 복수의 홀은 기초부(61)를 관통한다. 복수의 홀은 기초부(61)를 관통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복수의 홀에는 각각 홀면(65a, 65b)이 형성된다. 홀면(65a, 65b)에는 각각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지지부(66)는 하면인 지지면(68)을 포함한다. 지지면(68)은 측정방향(74)을 향하는 센서 지지면이다. 지지부(66)는 지지면(68)의 반대 측에 상면(67)을 포함한다.
도 4의 가압기(30)의 축부(35)는 머리부(31)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축면(33a, 33b, 33c, 33d, 33e) 및 단면(34)을 포함한다. 축면(33a, 33b, 33c, 33d, 33e)은 동일한 축면이다. 각 알파벳은 상기 축면과 프레임(41), 좌판(24), 기초부(61)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편의적인 구별에 지나지 않는다.
도 4의 축면(33a)은 프레임(41)의 상면(46)의 위쪽에 위치한다. 축부(35)는 축면(33a)이 형성된 부위를 포함하며, 프레임(41)으로부터 머리부(31)를 이격시킨다. 머리부(31)는 리테이너(16)의 조작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잡게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축면(33b)은 프레임(41)의 홀면(43) 또는 홀면(43)으로 구성되는 홀의 안쪽에 위치한다. 축면(33b) 및 홀면(43)은 접촉하고 있지 않다. 또는 축면(33b) 및 홀면(43)이 접촉하여도, 프레임(41)에 대한 가압기(30)의 위치의 변화를 방해할 정도의 마찰이 생기지 않는다.
도 4의 축면(33c)은 프레임(41)의 하면(47)의 아래쪽, 좌판(24)의 상면(21a)의 위쪽에 위치한다. 축면(33c)은 완충기(70a, 70b) 및 링크(50c, 50d)와 관련되는 다른 완충기(미도시)에 포위되어 있다.
도 4의 축면(33d)은 좌판(24)의 홀면(23) 또는 홀면(23)으로 구성되는 홀의 안쪽에 위치한다. 적어도 축면(33d)과, 축면(33d)에 근접하는 영역의 축면(33c, 33e)에 나사홈이 형성된다.
도 4의 축면(33d) 및 홀면(23)은 상술한 대로 나사결합되어 있다. 축면(33d) 및 홀면(23) 사이에는 마찰력이 있다. 상기 마찰력은 리테이너(16)의 조작자가 머리부(31)를 회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으로 상기 마찰력은 가압기(30)를 측정방향(74)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작동시킨 후에 가압기(30)의 위치를 유지한다.
도 4의 축면(33e)은 좌판(24)의 하면(21b)의 아래 쪽, 기초부(61)의 상면(62)의 위쪽에 위치한다. 축면(33e)은 단면(34)에 인접한다. 축부(35) 중 축면(33e)이 형성된 부위는 축부(35)의 회동에 따라 길이가 변한다. 상기 부위는 좌판(24)의 하면(21b) 및 상면(62) 사이의 거리를 결정한다.
도 4의 단면(34)은 기초부(61)의 상면(62)에 접촉한다. 가압기(30)는 단면(34)에서 상면(62)을 누른다. 단면(34)은 설치부(60)의 중심의 바로 윗쪽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압기(30)는 설치부(60)를 측정방향(74)과 동일한 방향으로 누르기 쉬워진다.
도 4의 링크(50a, 50b)는 각각 머리부(51a, 51b) 및 축부를 포함한다. 링크(50a, 50b)의 축부는 각각 머리부(51a)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축면(52a, 52b), 축면(53a, 53b), 축면(54a, 54b), 축면(55a, 55b), 축면(56a, 56b) 및 단면(57a, 57b)을 포함한다.
링크(50a, 50b)는 각각 머리부(51a, 51b) 및 축부가 일체로 형성된 볼트일 수 있다. 축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홈 방향은 오른 나사방향일 수 있다. 나사홈은 적어도 축면(52a, 52b) 및 축면(56a, 56b)에 형성된다.
도 4의 링크(50a, 50b)에 대해서 축면(52a, 52b), 축면(53a, 53b), 축면(54a, 54b), 축면(55a, 55b) 및 축면(56a, 56b)은 각각 동일한 축면이다. 축면(53a, 53b), 축면(54a, 54b), 축면(55a, 55b)의 각 숫자는 축면과 프레임(41), 좌판(24), 기초부(61)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편의적인 구별에 지나지 않는다.
도 4의 머리부(51a, 51b)는 각각 프레임(41)의 상면(46)에 접한다. 머리부(51a, 51b)는 각각 링크(50a, 50b)를 프레임(41) 및 기초부(61)에 나사결합할 때, 링크(50a, 50b)를 회동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머리부(51a, 51b)는 없어도 된다.
도 4의 축면(52a, 52b)은 각각 홀면(45a, 45b)과 나사결합한다. 축면(52a, 52b) 및 홀면(45a, 45b)의 사이에는 각각 마찰력이 있다. 상기 마찰력은 링크(50a, 50b)를 프레임(41)에 고정한다.
도 4의 축면(52a, 52b)과 홀면(45a, 45b)을 각각 나사결합하는 대신에 링크(50a, 50b)와 프레임(41)을 용접해도 된다. 이 경우, 축면(52a, 52b)과 홀면(45a, 45b)에는 각각 나사홈이 있을 필요가 없다.
도 4의 축면(53a, 53b)은 각각 프레임(41)의 하면(47)보다 아래 쪽, 좌판(24)의 상면(21a)의 위쪽에 위치한다.
도 4의 축면(54a, 54b)은 각각 좌판(24)의 홀면(25a, 25b) 또는 홀면(25a, 25b)으로 구성되는 홀의 안쪽에 위치한다. 축면(54a, 54b) 및 홀면(25a, 25b)은 각각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축면(54a, 54b) 및 홀면(25a, 25b)은 각각 접하고 있어도, 좌판(24)에 대한 프레임(41) 및 설치부(60)의 위치의 변화를 방해할 정도의 마찰이 생기지 않는다.
도 4의 축면(55a, 55b)은 각각 좌판(24)의 하면(21b)의 아래쪽, 기초부(61)의 상면(62)의 위쪽에 위치한다. 축면(55a, 55b)은 각각 단면(57a, 57b)에 인접한다.
도 4의 축면(56a, 56b)은 각각 홀면(65a, 65b)과 나사결합한다. 축면(56a, 56b) 및 홀면(65a, 65b)의 사이에는 각각 마찰력이 있다. 상기 마찰력은 링크(50a, 50b)를 기초부(61)에 각각 고정한다.
도 4의 축면(56a, 56b)과 홀면(65a, 65b)을 각각 나사결합하는 대신에 링크(50a, 50b)와 기초부(61)를 용접하여도 된다. 이 경우, 축면(56a, 56b)과 홀면(65a, 65b)에는 각각 나사홈이 있을 필요가 없다.
도 4의 단면(57a, 57b)은 각각 기초부(61)의 하면(63) 측에 노출된다. 홀면(65a, 65b)과 관련되는 홀이 각각 기초부(61)를 관통하지 않는다면, 단면(57a, 57b)은 각각 기초부(61)의 내부에 있어도 된다. 또한, 축면(56a, 56b) 및 홀면(65a, 65b)은 각각 없어도 된다. 이 경우, 단면(57a, 57b)은 각각 기초부(61)의 상면(62)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완충기(70a, 70b)는 각각 축면(53a, 53b)을 중심으로 나선을 이루는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 스프링은 현가기구(40)중에 설치시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길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은 압축된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완충기(70a, 70b)는 각각 상단(71a, 71b) 및 하단(72a, 72b)을 포함한다. 상단(71a, 71b)은 각각 프레임(41)의 하면(47)에 접촉한다. 상단(71a, 71b)은 각각 하면(47)에 고정되고 있어도 되고, 고정되지 않아도 된다. 하단(72a, 72b)은 각각 기초부(61)의 상면(62)에 접촉한다. 하단(72a, 72b)은 각각 상면(62)에 고정되어도 되고, 고정되지 않아도 된다.
도 4의 조절기구(28)는 주평면(18)과의 거리가 다른 복수의 홀(28a, 28b, 28c)을 가진다. 홀(28a, 28b, 28c)과 주평면(18) 사이의 거리는 홀(28a, 28b, 28c)의 순서에 따라 커진다. 조절기구(29)는 주평면(18)과의 거리가 다른 복수의 홀(29a, 29b, 29c)을 가진다. 홀(29a, 29b, 29c)과 주평면(18) 사이의 거리는 홀(29a, 29b, 29c)의 순서에 따라 커진다. 홀(28a, 28b, 28c) 및 홀(29a, 29b, 29c)은 각각 날개(26, 27)를 관통하거나, 관통하지 않는다.
도 4의 좌판(24) 및 날개(26, 27)로 이루어진 대좌(20)는 크랭크 형상을 가진다. 즉, 리테이너(16)를 정면시 했을 때, 날개(26, 27)의 길이 방향은 좌판(24)의 주평면(18)과 평행한 면과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주평면(18)의 하방으로 날개(26)가, 상방으로 날개(27)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의 날개(26, 27)의 적어도 하나가 주평면(18)의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즉, 좌판(24) 및 날개(26, 27)로 이루어진 대좌(20)는 H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의 홀(28a, 28b, 28c) 및 홀(29a, 29b, 29c)은 각각 날개(26, 27)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즉, 홀(28a, 28b, 28c) 및 홀(29a, 29b, 29c)은 각각 주평면(18)과 평행한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의 날개(26, 27) 각각은 도 3에서 보듯이 두 날개를 가진다. 이 때문에, 두 날개의 양쪽에 홀이 형성된다. 즉, 도 3에 있어서 날개(26, 27)의 각각의 앞쪽과 뒤쪽에 홀이 형성된다.
도 4의 설치부(6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압전소자(85)를 포함한다. 압전소자(85)는 기초부(61)및 지지부(66) 사이에 위치한다. 압전소자(85)는 기초부(61)의 하면(63)에 접촉하는 상면(86)을 가진다. 압전소자(85)는 지지부(66)의 상면(67)과 접촉하는 하면(87)을 가진다.
도 4와 같이, 지지부(66)의 지지면(68)에 광전센서(75)와 발광기(80a, 80b)를 설치하여 광전맥파 계측기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광전맥파 계측기는 혈관의 소정 영역의 체적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장착되는 광전센서는 1, 2 또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장착되는 발광기는 1, 2 또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광전센서 및 발광기의 배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광전센서 및 발광기는 하나의 모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에 의해 지지부(66)의 지지면(68)에 광전센서 및 발광기의 착탈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4의 발광기(80a, 80b)가 녹색빛을 방출하는 경우, 광전센서(75) 및 발광기(80a, 80b)의 간격은 예를 들면 2 mm 이상 3 mm 이하일 수 있다. 발광기(80a, 80b)가 적색빛을 발하는 경우, 상기 간격은 5 mm 근방, 또는 4. 5 mm이상 5. 5 mm이하일 수 있다.
도 4와 같이 상술한 광전맥파 계측기는 리테이너(16)와 1개의 광전센서(75)와 2개의 발광기(80a, 80b)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기(80a, 80b)는 파장 피크가 다른 빛을 방출할 수 있다. 광전센서(75)는 다른 파장 피크를 가지는 빛을 수광하여 광전변환할 수 있다.
도 4의 광전센서(75)는 수광면(77)을 가진다. 광전센서(75)는 수광면(77)의 반대 측에 기판면(76)을 가진다. 광전센서(75)는 설치부(60)에 장착된다. 기판면(76)은 지지면(68)을 대향한다.
도 4의 발광기(80a, 80b)는 발광면(82a, 82b)을 가진다. 발광기(80a, 80b)는 발광면(82a, 82b)과 반대 측에 기판면(81a, 81b)을 가진다. 발광기(80a, 80b)는 설치부(60)에 장착된다. 기판면(81a, 81b)은 지지면(68)을 대향한다.
도 4의 발광기(80a, 80b)는 광전맥파 계측기의 경량화에 적절한 것으로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발광기(80a, 80b)는 빛, 예를 들면 단일 파장 또는 단일 파장 피크를 가지는 빛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발광기(80a, 80b)는 빛을 생체 내로 향해서, 구체적으로는 전완의 피부 또는 혈관을 향해서 조사한다. 빛은 생체내에서, 구체적으로는 전완의 피부내 또는 혈관에서 반사된다. 빛은 반사시에 산란한다. 광전센서(75)는 상기 산란한 빛을 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광전맥파 계측기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상기 전기신호로부터 맥파를 계산할 수 있다.
도 4의 가압기(30)는 상면(62)을 소정의 힘으로 눌러서 가압한다. 이 때문에 설치부(60)에 장착된 광전센서(75) 및 발광기(80a, 80b)는 측정방향(74)으로 소정의 힘으로 눌려진다. 소정의 힘은 측정 부위의 혈압과 같은 정도의 압력이 걸리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62)의 면적이 0.5 cm2 정도이면, 0.5 N 이상 1.5 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9 N 이상 1.1 N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N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압전소자(85)는 상기 힘의 크기를 검지한다.
한편, 피부의 표면의 조직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압력을 가하는 면적은 수광면(77) 및 발광면(82a, 82b)의 위치 관계를 저해하지 않는 정도로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한 가압기(30)의 소정의 힘과 관련되는 항목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가압기(30)의 표면 형상 및 상면(62)의 면적을 최적화한 후, 소정의 힘은 경험적으로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압전소자(85)는 맥파 계측시, 혈관에 걸리는 압력의 재현성을 가져올 수 있다. 즉, 가압기(30)의 위치를 조정하여, 맥파의 계측을 여러 차례 실시할 때, 각각의 혈관에 걸리는 압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맥파의 계측 정도가 향상되며, 수집된 데이터 중의 바이어스가 감소된다.
도 5는 리테이너(16)의 사용도다. 리테이너(16)에 포함된 일부 부재는 도 5에서 생략되었다. 밴드(90) 및 대좌(20)는 환을 형성할 수 있다. 측정방향(74)은 밴드(90) 및 대좌(20)로 이루어진 환의 안쪽을 향한다. 수광면(77)은 환보다 안쪽에 위치한다.
도 5의 밴드(90)는 수지로 만든 벨트 또는 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90)는 일정한 탄성 또는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대좌와 전완의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의 가압기(30)에 의한 가압시의 응력에 저항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밴드는 고무의 탄력성을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밴드(90)는 그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하나의 광전센서 리테이너로, 전완의 굵기가 다른 복수의 피검자의 맥파를 측정할 수 있다.
도 5의 밴드(90)는 양단부(91, 92)의 사이에서 두 개의 밴드로 분리되어도 된다. 대좌(20) 및 밴드(90)로 이루어진 환은 상기 두 개의 밴드를 분리 및 결합하여 개환 및 폐환하는 것일 수 있다. 밴드의 분리결합 수단은 버클 및 고정봉의 조합일 수 있고, 파스너(fastener)라도 좋다. 이에 따라 광전센서 리테이너를 전완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도 4에 나타낸 조절기구(28, 29)의 홀(28b, 29b)에 핀(36, 37)을 장착하고 있다. 밴드(90)의 양단부(91, 92)에는 각각 핀(36, 37)이 통과하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핀(36, 37)은 도 4에 보듯이 주평면(18)으로부터 먼 홀(28c, 29c)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을 이용해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조절기구(28, 29)의 사용도다. 조절기구(28, 29)는 각각 좌판(24)의 주평면(18)과 핀(36, 37)과 관련된 회동축을 포함한 평면 사이의 기울기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핀(36, 37)과 관련된 회동축과 도 4에 나타낸 좌판(24)의 주평면(18)과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핀(36, 37)은 상기 기울기를 일시적으로 고정한다. 즉, 핀(36, 37)은 상기 기울기를 맥파의 계측 중 고정한다.
도 6에서는 홀(28b, 29b)에 핀(36, 37)이 장착되어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홀(28b, 29b)은 홀(28c, 29c) 보다 주평면(18)에 가깝고, 홀(28a, 29a) 보다 주평면(18)으로부터 멀다.
도 6에 도시된 핀(36, 37)의 장착 위치를 선택하는 것으로, 주평면(18)과 핀(36, 37)과 관련된 회동축을 포함한 평면 사이에 기울기를 줄 수 있다. 상기 기울기는 예로서 0° 보다 크고, 20°이하일 수 있다. 또는 주평면(18)과 핀(36, 37)과 관련된 회동축을 포함한 평면 사이에 단차를 설치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홀(28c, 29c)에 핀(36, 37)이 장착되어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홀(28c, 29c)은 홀(28a, 29a) 및 홀(28b, 29b) 보다 주평면(18)으로부터 멀다. 따라서, 도 7에서 보듯이 핀(36, 37)의 장착 위치를 선택하는 것으로, 주평면(18)과 핀(36, 37)과 관련되는 회동축을 포함한 평면 사이에 도 6에 나타내는 것보다도 큰 기울기를 줄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핀(36, 37)은 대좌(20)의 중심에 대해서 비대칭적인 위치에 장착해도 괜찮다. 예를 들면 핀(36)을 홀(28b)에 장착했을 때, 핀(37)을 홀(29a, 29c)에 장착해도 된다. 핀(37)을 홀(29b)에 장착했을 때, 핀(36)을 홀(28a, 28c)에 장착해도 된다.
또, 도 7에 있어서, 핀(36)을 홀(28c)에 장착했을 때, 핀(37)을 홀(29a)에 장착해도 된다. 핀(37)을 홀(29c)에 장착했을 때, 핀(36)을 홀(28a)에 장착해도 된다. 도 3과 같이, 기울기를 주지 않아도 된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리테이너(16)에서는, 홀(28b, 29b)을 포함하는 조절기구(28, 29)는 수광면(77)을 표면(96)에 대해서 수직으로 누르는데 적합하다. 즉, 조절기구(28, 29)는 요골동맥(97)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해서 수광면(77)을 회동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나타낸 요골동맥(97)은 전완 단면 타원형의 장축 또는 단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다. 조절기구(28, 29)는 상기 요골동맥(97) 근방의 피부의 표면(96)에 대해서 수직으로 광전센서를 누르는데 적합하다.
상기 효과는 도 5에 나타낸 핀(36, 37)과 관련된 회동축을 포함한 평면과 피부의 표면(96)이 평행이 아닌 경우에도 얻을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각 피검자의 전완(95) 마다 수광면(77)의 적절한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서, 조절기구(28, 29)는 상술한 대로 홀(28b, 29b) 이외에도 선택 가능한 홀을 가진다.
도 5와 같이, 리테이너(16)는 요골동맥(97)을 비롯한 손목 동맥에 광전센서(75)를 누르고, 맥파를 계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 리테이너(16)는 현가기구(40) 및 조절기구(28, 29)를 가지고 있으므로, 수광면(77)의 적절한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수광면의 적절한 방향을 유지하는 것의 정의는 상술한 대로이다.
도 5와 같이 수광면(77)이 적절한 방향을 유지하는 상태로 표면(96)과 수광면(77)은 밀착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시그널/노이즈 비의 저하, 또는 새로운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 광전센서 리테이너의 크기를 경량으로 휴대에 적당한 것으로 하면서, 광전센서 리테이너에 광전센서를 달았을 경우에는 맥파의 파형을 정확하게 계측하는 것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광전센서 리테이너(17)의 사시도다. 리테이너(17)는 리테이너(15)를 포함한다. 한편, 리테이너(17)는 도 3의 밴드 및 조절기구(28, 29) 대신에, 스테이지(69), 지지기둥(59a, 59b) 및 전완 지지대(64)를 포함하는 점이 리테이너(16)와 다르다.
도 8에 도시된 리테이너(17)에 대해서, 제2 실시예와 관련된 리테이너(16)(도 3 내지 도 7)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광전센서 및 발광기를 설치하여 광전맥파 계측기로 사용할 수 있는 점도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리테이너(17)는 거치형의 광전맥파 계측기에 이용하는데 적합하다.
도 9는 리테이너(17)의 부분 확대도다. 도 9의 스테이지(69)는 좌판(24)을 포함하는 대좌를 지지한다. 좌판(24)을 포함하는 대좌는, 단부(38a, 38b)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단부(38a, 38b)의 폭은 좌판(24)의 폭보다 크다. 리테이너(15)가 스테이지(69)에 장착되었을 때, 스테이지(69)는 단부(38a, 38b)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15)는 스테이지(69)에 안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리테이너(17)는 커버(49)를 포함한다. 도 9에서 보면, 커버(49)는 스테이지(69)의 상면측에 장착된다. 커버(49)는 홀(79)을 포함한다. 홀(79)은 커버(49)의 상면 및 하면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다. 홀(79)은 커버(49)를 관통한다. 홀(79)의 길이방향은 스테이지(69)에 형성된 홀(39)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 보듯이, 홀(39)은 스테이지(69)를 관통한다. 홀(39)의 길이방향은 도 8에 나타낸 전완 지지대(64)의 길이 방향, 즉 전완의 요골동맥의 연장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60)는 홀(39) 내에, 또는 홀(39)을 빠져 나가 스테이지(69)의 하면 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설치부(60)는 전완 지지대(64) 상에 고정된 전완의 피부의 표면을 대향한다.
한편, 도 8과 같이 가압기(30)는 홀(79)내에, 또는 홀(79)을 빠져 나가 커버(49)의 상면 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압기(30)의 머리부(31)는 커버(49)의 상면 측에 노출된다. 이 때문에, 커버(49)를 스테이지(69)에 단 다음에도 가압기(30)로 설치부(60)를 가압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리테이너(15)는 홀(39) 및 홀(79)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 가능하다. 따라서, 리테이너(17)를 평면시 했을 때, 맥파를 측정하고 싶은 부위와 리테이너(15)에 장착된 광전센서의 위치 관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된 커버(49)는 스테이지(69)에 단부(38a, 38b)를 억누른다. 이 때, 커버(49)는 리테이너(15)가 홀(39) 상에서 슬라이드하는 것을 제한한다. 따라서, 상기한 조정된 위치관계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커버(49) 대신에 나사나 핀 등으로 좌판(24)을 포함하는 대좌를 스테이지(69)에 일시적으로 고정해도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완 지지대(64)는 리테이너(15)가 포함하는 설치부(60, 도 2 참조)에 대해서 측정방향(74) 측에 위치한다. 전완 지지대(64)는 전완의 요골동맥이 설치부(60)를 향하도록 전완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17)를 평면시 했을 때, 맥파를 측정하고 싶은 부위와 리테이너(15)에 장착된 광전센서의 위치 관계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8의 지지기둥(59a, 59b)은 스테이지(69)를 지지한다. 스테이지(69)는 지지기둥(59a, 59b)에 대해서 측정방향(74) 및 측정방향(74)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스테이지(69)는 상하 방향으로 가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17)를 측면시 했을 때, 맥파를 측정하고 싶은 부위와 리테이너(15)에 장착된 광전센서의 위치 관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도 8의 스테이지(69)는 회동축(89)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회동축(89)은 전완 지지대(64)의 길이방향 및 측정방향(74)과 평행한 평면과 직교한다. 도 10에 도시된 것은 도 9에 도시된 리테이너(17)를 평면시한 도면이다. 회동축(89)은 지지기둥(59a) 및 지지기둥(59b)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평행이다.
스테이지(69)의 마주보는 양측에는 각각 돌출부(69a)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69a)는 지지기둥(59a, 59b)의 수직홀(59c,59d)에서 지지된다. 돌출부(69a)는 회동축(89)을 따라서 형성되며, 원통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스테이지(69)는 회동축(89)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돌출부(69a) 및 돌출부(69a)와 접촉하는 스테이지(69)의 양측에는 나사홈이 형성된 홀(69c)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69e, 69f)는 홀(89c)에 형성된 나사홈과 결합하여 스테이지(69)를 지지기둥(59a, 59b)에 고정할 수 있다. 볼트(69e, 69f)에 형성된 머리부(69h)를 돌려서 스테이지(69)의 수직 위치를 조정후 다시 볼트(69e, 69f)의 머리부(69h)를 돌려서 스테이지(69)의 위치를 지지기둥(59a, 59b)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의 리테이너(17)는 지지기둥(59a, 59b)과 스테이지(69) 사이에 스페이서(99a, 99b, 99c, 99d)를 포함한다. 도 10에서는 지지기둥(59a)이 스페이서(99a, 99c)를 포함한다. 또 지지기둥(59b)이 스페이서(99b, 99d)를 포함한다. 스페이서(99a, 99c) 및 스페이서(99b, 99d)는 각각 스테이지(69)의 돌출부(69a)와 접촉하며, 돌출부(69a)를 지지한다.
도 10의 도시에 따르면, 의도하지 않게 스테이지(69) 및 리테이너(15)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99a, 99b, 99c, 99d)를 고무 등의 마찰이 큰 재질로 하여, 의도하지 않는 회동을 제한하는 힘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지지기둥(59a, 59b)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전완 지지대(64)에 연결된다. 지지기둥(59a, 59b) 및 전완 지지대(64)의 위치 관계는 일시적으로 또는 항구적으로 고정된다. 또, 스테이지(69)와 지지기둥(59a, 59b)의 위치 관계는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기(30)로 설치부(60) 및 피부의 표면을 누르면서 가압해도, 상기한 대로 조정된 위치 관계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기둥은 직진이거나, 휘어져 있을 수도 있다.
도 8의 전완 지지대(64)는 손목 지지부(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목 지지부(94)는 리테이너(15)가 포함하는 설치부(60)를 대향한다. 이에 따라, 전완 지지대(64)는 요골동맥의 바로 위의 피부의 표면을, 설치부(60)에 장착된 광전센서의 수광면에 대향시킬 수 있다.
도 8의 리테이너(17)는 요골동맥을 비롯한 손목 동맥에 광전센서를 누르고, 맥파를 계측하는 것에 적합하다. 이 때, 리테이너(17)는 현가기구(40)및 전완 지지대(64)를 가지고 있으므로, 수광면(77)의 적절한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수광면의 적절한 방향을 유지하는 것의 정의는 상술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와 관련되는 광전센서 리테이너는 광전센서의 성능을 시험할 때, 또는 광전센서로 수집하는 데이터를 비교할 때에 이용하는 지그(jig)라고 해도 좋다.
도 2에 나타낸 리테이너(15)는 수광면의 적절한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센서 지그로서 이용해도 된다. 도 3 내지 도 9에 나타낸 리테이너(16, 17)는 수광면의 적절한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측정 지그로서 이용해도 된다. 이러한 광전센서 리테이너는 시험 또는 데이터의 비교에 있어, 계측시의 재현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리테이너(16)를 이용해 수집한 데이터와 도 8에 나타낸 리테이너(17)을 이용해 수집한 데이터를 비교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광전센서가 휴대형의 광전맥파 계측기에 장착되었을 때와 거치형의 광전맥파 계측기에 장착되었을 때, 광전센서의 발휘하는 성능의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또, 맥파를 혈압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데이타베이스가 필요하다. 상기 실시예의 광전센서 리테이너를 지그로서 이용하면, 상기 데이타베이스 구축을 위한 데이터 수집의 정도가 향상한다. 이것은 본 실시예의 광전센서 리테이너가 맥파의 계측 중에 혈관에 걸리는 압력과 혈관 방향을 일정하게 하기 때문이다.
도 2의 가압기(30)는 공기를 포함하는 유체로 길이가 변하는 실린더일 수 있다.
도 4의 홀(28a, 28b, 28c) 및 홀(29a, 29b, 29c)은 하나의 긴 홀일 수 있다. 즉, 주평면(18)의 기울기는 무단계로 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핀(36, 37)과 상기 긴 홀에 고정기구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울기의 측정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다.
15: 리테이너 18: 주평면
24: 좌판 30: 가압기
31: 머리부 35: 축부
40: 현가기구 41: 프레임
50a, 50b, 50c, 50d: 링크 60: 설치부
61: 기초부 66: 지지부
74: 측정방향

Claims (13)

  1. 수광면을 가진 광전센서가 착탈되는 센서 설치부;
    상기 센서 설치부의 상면을 누르면서 가압하는 가압기; 및
    상기 가압기를 지지하는 좌판을 포함하는 대좌;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 설치부에는 상기 수광면이 측정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광전센서의 설치가 가능하며,
    상기 가압기는 상기 대좌에 대해서 상기 측정 방향으로 상기 센서 설치부를 누르면서 가압하며,
    상기 좌판의 주평면은 상기 가압기의 가압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과 평행한 광전센서 리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는 상기 좌판과 나사결합하며, 그 단부는 상기 가압기의상기 회전에 의해 센서 설치부의 상면을 밀어서 상기 좌판 및 상기 상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광전센서 리테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설치부를 지지하는 현가기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현가기구는 상기 좌판에 대해서 상기 센서 설치부와 마주보게 배치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센서 설치부를 고정연결하며 상기 좌판을 관통하는 복수의 링크;를 구비하는 광전센서 리테이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링크를 감싸는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측정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여 상기 센서 설치부를 반발시키는 광전센서 리테이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는 3개 이상이며, 상기 가압기를 둘러싸는 광전센서 리테이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와 연결되는 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 방향은 상기 밴드 및 상기 대좌로부터 형성되는 환의 내측을 향하며,
    상기 대좌는 상기 좌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는 상기 날개에 연결되는 일단부 및 타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좌는 상기 각 날개에서 상기 밴드에 대해 각각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좌판의 상기 주평면과 상기 회동축을 포함하는 평면의 경사를 조정하는 조절기구를 더 구비하는 광전센서 리테이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구는 상기 각 날개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과 상기 주평면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광전센서 리테이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에서, 상기 회동축을 구성하는 핀을 더 구비하며,
    상기 날개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구는 상기 주평면과의 거리가 다른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핀은 각각 상기 복수의 홀에 착탈하는 광전센서 리테이너.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설치부는:
    기초부;
    상기 기초부에 대해서 측정방향 측에 위치한 센서 지지부; 및
    상기 기초부 및 상기 센서 지지부 사이의 압전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기초부는 상기 현가기구와 결합하며,
    상기 센서 지지부는 상기 측정 방향을 향하는 센서 지지면을 포함하는 광전센서 리테이너.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를 지지하는 스테이지;
    상기 센서 설치부에 대해 상기 측정방향 측에 위치하는 전완 지지대; 및
    상기 스테이지를 지지하며, 상기 전완 지지대와 연결된 한 쌍의 지지기둥;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지지기둥에 대해서, 상기 측정 방향 및 상기 측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전완 지지대는 전완의 요골동맥이 상기 센서 설치부를 향하도록 전완을 지지하는 광전센서 리테이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전완 지지대의 길이방향 및 상기 측정방향과 평행한 평면과 직교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광전센서 리테이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한 쌍의 지지기둥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동축과 나란하게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기둥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장 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기둥에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기둥에서의 위치와,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회전된 위치가 고정되는 광전센서 리테이너.
  13. 제 9 항의 광전센서 리테이너; 및
    수광면 및 상기 수광면의 반대측의 기판면을 가지며 상기 센서 지지면에 장착된 상기 광전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면은 상기 센서 지지면을 대향하며,
    상기 수광면은 상기 환 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광전맥파 계측기.
KR1020150012311A 2014-12-08 2015-01-26 광전센서 리테이너 및 이를 구비한 광전 맥파 계측기 KR102491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59,111 US9772222B2 (en) 2014-12-08 2015-12-04 Retainer for photoelectric sensor and photoelectric pulse wave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48191 2014-12-08
JP2014248191A JP6492602B2 (ja) 2014-12-08 2014-12-08 試料収容セ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441A true KR20160069441A (ko) 2016-06-16
KR102491849B1 KR102491849B1 (ko) 2023-01-26

Family

ID=5612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311A KR102491849B1 (ko) 2014-12-08 2015-01-26 광전센서 리테이너 및 이를 구비한 광전 맥파 계측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492602B2 (ko)
KR (1) KR102491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535A (ko) * 2016-12-28 2018-07-06 한국 한의학 연구원 맥파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3550B1 (ja) 2017-07-19 2018-12-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試料保持機構、及び荷電粒子線装置
KR102204189B1 (ko) 2019-01-25 2021-01-18 한국과학기술원 팽창저항성이 우수한 전자현미경용 액상 칩
KR102400448B1 (ko) 2019-10-17 2022-05-20 한국과학기술원 전극을 포함하는 전자현미경용 액상 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293A (ko) * 2002-08-02 200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신호 측정에 사용되는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생체신호 측정용 시스템
KR20050040259A (ko) 2003-10-28 2005-05-03 정진우 식품의 신선도 유지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48010A (ko) * 2008-04-30 2008-05-30 (주)한별메디텍 비침습적 연속 혈압, 동맥탄성도 측정장치
KR100956171B1 (ko) * 2009-11-24 2010-05-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도 시험용 가압장치, 이를 이용한 압축 시험용 지그 및 굽힘 시험용 지그
JP2010131247A (ja) * 2008-12-05 2010-06-17 Omron Healthcare Co Ltd 血圧測定装置
JP2011200267A (ja) * 2010-03-24 2011-10-13 Seiko Epson Corp センサー装置及び生体情報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76139B (en) * 2005-12-09 2007-03-11 Li Bing Huan Closed observation environment for electron microscope
EP2130086A4 (en) * 2007-03-02 2012-03-14 Protochips Inc MEMBRANE SUPPORTS WITH REINFORCING FUNCTIONS
TWI463128B (zh) * 2011-07-05 2014-12-01 Univ Nat Chiao Tung 一種電子顯微鏡樣品盒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293A (ko) * 2002-08-02 200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신호 측정에 사용되는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생체신호 측정용 시스템
KR20050040259A (ko) 2003-10-28 2005-05-03 정진우 식품의 신선도 유지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48010A (ko) * 2008-04-30 2008-05-30 (주)한별메디텍 비침습적 연속 혈압, 동맥탄성도 측정장치
JP2010131247A (ja) * 2008-12-05 2010-06-17 Omron Healthcare Co Ltd 血圧測定装置
KR100956171B1 (ko) * 2009-11-24 2010-05-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도 시험용 가압장치, 이를 이용한 압축 시험용 지그 및 굽힘 시험용 지그
JP2011200267A (ja) * 2010-03-24 2011-10-13 Seiko Epson Corp センサー装置及び生体情報測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535A (ko) * 2016-12-28 2018-07-06 한국 한의학 연구원 맥파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92602B2 (ja) 2019-04-03
JP2016110877A (ja) 2016-06-20
KR102491849B1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9441A (ko) 광전센서 리테이너 및 이를 구비한 광전 맥파 계측기
CN1596824A (zh) 脉搏波测定装置用手腕固定件及脉搏波测定装置
EP3790458B1 (en) A displacement sensor for use in measuring biological parameters
JP6146475B2 (ja) 脳機能計測装置および脳機能計測装置用プローブホルダ
US20150190065A1 (en) Puls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pulse measurement therewith
US20130116521A1 (en) Holder and light measurement device employing same
US9772222B2 (en) Retainer for photoelectric sensor and photoelectric pulse wave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449636B2 (ja) 光電式脈波計測器
JP2008536591A (ja) 磁気共鳴装置での使用に適したエルゴメータ
WO2016110969A1 (ja) 生体光計測装置
US117376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photoplethysmography
WO1997024976A1 (fr) Appareil de detection de signaux emanant d'organes vivants
KR20130063969A (ko) 근적외선 측정부재 및 이를 이용하는 뇌신호 측정장치
JP2003310578A (ja) 生体信号測定方法及び生体信号測定装置
US11911211B2 (en) Yoke for sensing carotid stenosis
JP2008154873A (ja) 光学測定装置
JPWO2016060150A1 (ja) 分子間粘弾性相互作用測定方法及び分子間粘弾性相互作用測定装置
JP7070650B2 (ja) 脳波測定装置
JP2007000543A (ja) 生体内成分測定用プローブ支持具及びそれを用いた生体内成分測定装置
JP2007044527A (ja) 間質液抽出方法
CN207798673U (zh) 用于全透射光在农产品中探测距离的测量系统
JP3220623U (ja) 人の脈波形の光学センサ
CN1224600A (zh) 调节作用于生物体上的压力的压力调节装置和方法
JP7053990B2 (ja) センサモジュール固定器具
CN217880258U (zh) 一种验光仪测试用的操作界面点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