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255A -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255A
KR20160069255A KR1020140174998A KR20140174998A KR20160069255A KR 20160069255 A KR20160069255 A KR 20160069255A KR 1020140174998 A KR1020140174998 A KR 1020140174998A KR 20140174998 A KR20140174998 A KR 20140174998A KR 20160069255 A KR20160069255 A KR 20160069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new
existing
replaced
new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2234B1 (ko
Inventor
김호수
김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74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23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6Arrangements using end-cell swit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별도의 외부 전류제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교체되는 배터리 팩의 ID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기술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은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경우, 신규 배터리 팩을 제외한 기존 배터리 팩들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계속 운영하는 단계; 신규 배터리 팩과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를 센싱하는 단계; 및 신규 배터리 팩과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가 기 설정 범위 이내인 경우, 신규 배터리 팩이 기존 배터리 팩들과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EXCHANGING BATTERY PACK OF ENERG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별도의 외부 전류제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교체되는 배터리 팩의 ID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재생 에너지와 전력 계통이 서로 연계되어 부하(load)에 전력을 공급하고, 남은 잉여 전력을 이차 전지에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서는 복수개의 배터리 팩이 병렬 연결되어 운영된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이 충전되어 있는 특정 배터리 팩 교체 시, 병렬 연결된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충전된 배터리 팩들에서 교체될 특정 배터리 팩으로 돌입 전류가 발생한다. 이 때, 교체될 특정 배터리 팩과 주변 다른 배터리 팩과의 전압의 차가 클수록 돌입전류의 양이 커진다. 이러한 돌입전류로 인한 고장을 막기 위하여, 교체될 특정 배터리 팩과 주변 다른 배터리 팩의 사이에 외부 전류제한 장치를 추가로 구성할 수 밖에 없었다.
더불어, 병렬 연결된 기존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서는 ID 부여를 외부 물리적인 스위치를 통해서 수동 부여하여 왔기 때문에, 교체된 특정 배터리 팩의 ID를 반드시 외부에서 확인하고 이후 물리적인 스위치로 해당 ID를 신규 배터리 팩에 설정 후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실정이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1367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교체되는 신규 배터리 팩으로 돌입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별도의 외부전류제한 장치를 구성할 필요가 없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교체가 필요한 배터리 팩의 ID를 자동 저장하여 교체되는 배터리 팩의 ID로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은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상기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경우, 상기 신규 배터리 팩을 제외한 기존 배터리 팩들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계속 운영하는 단계; 상기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가 기 설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신규 배터리 팩이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과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에서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의 ID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상기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신규 배터리 팩에 상기 ID 정보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의 ID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ID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의 ID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ID 정보는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 중 마스터 배터리 팩의 저장장치로 수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은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 중 마스터 배터리 팩에 위치하는 배터리 팩 교환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상기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경우, 상기 신규 배터리 팩 내부의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과 연결되는 스위칭부를 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가 기 설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온하여 상기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이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장치는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교체 감지부; 상기 교체 감지부에서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상기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신규 배터리 팩을 제외한 기존 배터리 팩들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계속 운영되도록 제어하는 운영 제어부; 상기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를 센싱하는 전압 센싱부; 및 상기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가 기 설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신규 배터리 팩이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과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연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에서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의 ID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교체 감지부에서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상기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신규 배터리 팩에 상기 ID 정보를 부여하는 ID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신부는,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ID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신부 및 상기 관리부는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 중 마스터 배터리 팩에 위치하며,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ID 정보는 상기 ID 관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교체 감지부, 상기 운영 제어부, 상기 전압 센싱부 및 상기 연결 제어부는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 중 마스터 배터리 팩에 위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 제어부는,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상기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경우, 상기 신규 배터리 팩 내부의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과 연결되는 스위칭부를 오프하고, 상기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가 기 설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온하여 상기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이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체되는 신규 배터리 팩으로 돌입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별도의 외부전류제한 장치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체가 필요한 배터리 팩의 ID를 자동 저장하여 교체되는 배터리 팩의 ID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 및 도 3은 신규 배터리 팩에 ID 정보를 부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신규 배터리 팩과 기존 배터리 팩의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은 먼저,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의 전원을 오프한다(S110).
그리고, 교체 대상 배터리 팩에서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의 ID 정보를 수신한다(S120). S120 단계에서는 전원이 오프된 배터리 팩을 교체 대상 배터리 팩으로 감지하여 해당 배터리 팩의 ID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ID 정보는 기존 배터리 팩들 중 마스터 배터리 팩의 저장장치로 수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후,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되었는지 감지한다(S130).
S130 단계에서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신규 배터리 팩에 S120 단계에서 수신한 ID 정보를 부여한다(S140).
그리고, 신규 배터리 팩을 제외한 기존 배터리 팩들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계속 운용한다(S150). 즉, S130 단계에서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신규 배터리 팩 내부의 기존 배터리 팩들과 연결되는 스위칭부를 오프한 후 기존 배터리 팩들로만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계속 운용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를 센싱하여, 신규 배터리 팩과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가 기 설정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S160).
S160 단계의 판단 결과, 신규 배터리 팩과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가 기 설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신규 배터리 팩이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과 연결되도록 제어한다(S170). 즉, S160 단계의 판단 결과, 신규 배터리 팩과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가 기 설정 범위 이내인 경우, 신규 배터리 팩 내부의 스위칭부를 온하여 신규 배터리 팩과 기존 배터리팩들이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기 설정 범위 이내의 전압차는 기존 배터리 팩들로부터 신규 배터리 팩으로의 돌입전류가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의 S110 단계 내지 S170 단계는 교체 대상이 되지 않은 기존 배터리 팩들 중 기 설정된 하나의 마스터 배터리 팩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신규 배터리 팩에 ID 정보를 부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는 도 1의 S110 단계 내지 S140 단계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병렬 연결된 복수개의 배터리 팩(1000) 즉, 제1 배터리 팩(11), 제2 배터리 팩(12), 제3 배터리 팩(13), 제4 배터리 팩(14), 제5 배터리 팩(15), 제6 배터리 팩(16), 제7 배터리 팩(17), 제8 배터리 팩(18), 제9 배터리 팩(19) 및 제10 배터리 팩(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배터리 팩(11)은 마스터 배터리 팩으로 기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6 배터리 팩(16)은 교체 대상 배터리 팩으로 가정한다. 복수개의 배터리 팩 밑에 병기된 #숫자는 각 배터리 팩의 ID 정보를 나타낸다.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인 제6 배터리 팩(16)은 마스터 배터리 팩인 제1 배터리 팩(11)에게 전원 오프 상태와 ID 정보인 #6를 송신한다. 제1 배터리 팩(11)은 제6 배터리 팩(16)의 ID 정보를 저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6 배터리 팩(16)이 신규 배터리 팩(21)으로 교체된 후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배터리 팩(11)은 저장하고 있던 기존의 제6 배터리 팩(16)의 ID 정보인 #6를 신규 배터리 팩(21)에 자동 부여한다.
도 4 및 도 5는 신규 배터리 팩과 기존 배터리 팩의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는 도 1의 S150 단계 내지 S170 단계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 각 배터리 팩 내부의 복수개의 직사각형 상자의 개수는 전압의 레벨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신규 배터리 팩(21)의 스위칭부(21a)를 오프하여 다른 기존 배터리 팩들(11, 12, 13, 14,15, 17, 18, 19, 20)에서 유입전류가 신규 배터리 팩(21)으로 흘러들어 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그 상태로 기존 배터리 팩들(11, 12, 13, 14,15, 17, 18, 19, 20)만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운영하던 중 도 5와 같이 기존 배터리 팩들(11, 12, 13, 14,15, 17, 18, 19, 20)과 신규 배터리 팩(21)의 전압차가 기 설정범위 내로 형성되는 경우, 신규 배터리 팩(21)의 스위칭부(21a)를 온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장치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장치(100)는 교체 감지부(110), 운영 제어부(140), 전압 센싱부(150) 및 연결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장치(100)는 통신부(120) 및 ID 관리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교체 감지부(110)는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되었는지를 감지한다.
통신부(120)는 교체 대상 배터리 팩에서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의 ID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통신부(120)는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ID 정보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ID 관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ID 관리부(130)는 교체 감지부(110)에서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신규 배터리 팩에 상기 ID 정보를 부여한다.
운영 제어부(140)는 교체 감지부(110)에서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신규 배터리 팩을 제외한 기존 배터리 팩들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계속 운영되도록 제어한다.
전압 센싱부(150)는 신규 배터리 팩과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를 센싱한다.
연결 제어부(160)는 신규 배터리 팩과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가 기 설정 범위 이내인 경우, 신규 배터리 팩이 기존 배터리 팩들과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연결 제어부(160)는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경우, 신규 배터리 팩 내부의 기존 배터리 팩들과 연결되는 스위칭부를 오프하고,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가 기 설정 범위 이내인 경우, 스위칭부를 온하여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이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장치(100)는 교체 대상이 되지 않은 기존 배터리 팩들 중 기 설정된 하나의 마스터 배터리 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원리들의 교시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램 저장부 상에서 실재로 구현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임의의 적절한 아키텍쳐를 포함하는 머신에 업로드되고 머신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머신은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들(CPU), 컴퓨터 프로세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입/출력(I/O) 인터페이스들과 같은 하드웨어를 갖는 컴퓨터 플랫폼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플랫폼은 운영 체제 및 마이크로 명령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프로세스들 및 기능들은 마이크로 명령 코드의 일부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고, 이들은 CPU를 포함하는 다양한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추가로, 추가 데이터 저장부 및 프린터와 같은 다양한 다른 주변 장치들이 컴퓨터 플랫폼에 접속될 수 있다.
첨부 도면들에서 도시된 구성 시스템 컴포넌트들 및 방법들의 일부가 바람직하게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므로, 시스템 컴포넌트들 또는 프로세스 기능 블록들 사이의 실제 접속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이 프로그래밍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의 교시들이 주어지면, 관련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이들 및 유사한 구현예들 또는 구성들을 참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및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배터리 팩 교환 장치
110; 교체 감지부
120; 통신부
130; ID 관리부
140; 운영 제어부
150; 전압 센싱부
160; 연결 제어부

Claims (12)

  1.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상기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경우, 상기 신규 배터리 팩을 제외한 기존 배터리 팩들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계속 운영하는 단계;
    상기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가 기 설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신규 배터리 팩이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과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에서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의 ID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상기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신규 배터리 팩에 상기 ID 정보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의 ID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ID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의 ID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ID 정보는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 중 마스터 배터리 팩의 저장장치로 수신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은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 중 마스터 배터리 팩에 위치하는 배터리 팩 교환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상기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경우, 상기 신규 배터리 팩 내부의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과 연결되는 스위칭부를 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가 기 설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온하여 상기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7.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교체 감지부;
    상기 교체 감지부에서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상기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신규 배터리 팩을 제외한 기존 배터리 팩들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계속 운영되도록 제어하는 운영 제어부;
    상기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를 센싱하는 전압 센싱부; 및
    상기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가 기 설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신규 배터리 팩이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과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연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에서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의 ID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교체 감지부에서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상기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신규 배터리 팩에 상기 ID 정보를 부여하는 ID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ID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및 상기 관리부는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 중 마스터 배터리 팩에 위치하며,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ID 정보는 상기 ID 관리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교체 감지부, 상기 운영 제어부, 상기 전압 센싱부 및 상기 연결 제어부는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 중 마스터 배터리 팩에 위치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장치.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제어부는,
    상기 교체 대상 배터리 팩이 상기 신규 배터리 팩으로 교체된 경우, 상기 신규 배터리 팩 내부의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과 연결되는 스위칭부를 오프하고,
    상기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의 전압차가 기 설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온하여 상기 신규 배터리 팩과 상기 기존 배터리 팩들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장치.
KR1020140174998A 2014-12-08 2014-12-08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및 장치 KR101732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998A KR101732234B1 (ko) 2014-12-08 2014-12-08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998A KR101732234B1 (ko) 2014-12-08 2014-12-08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255A true KR20160069255A (ko) 2016-06-16
KR101732234B1 KR101732234B1 (ko) 2017-05-02

Family

ID=56354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998A KR101732234B1 (ko) 2014-12-08 2014-12-08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2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492A (ko) *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의 식별 정보 부여 방법
CN112653211A (zh) * 2020-12-09 2021-04-13 上海深湾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源系统及其控制方法
EP3996233A1 (en) * 2020-11-09 2022-05-11 Hilti Aktiengesellschaft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disabling battery packs
US11831189B2 (en) 2020-12-09 2023-11-28 Shanghai Runhood Power Co., Ltd. Battery quick-change device of portable power st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744A (ko) 2012-06-05 2013-12-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4491B2 (ja) * 2011-08-03 2015-02-04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制御装置
KR101463883B1 (ko) * 2013-06-14 2014-11-20 주식회사 큐아이티 배터리 뱅크의 온라인 수명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744A (ko) 2012-06-05 2013-12-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492A (ko) *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의 식별 정보 부여 방법
EP3996233A1 (en) * 2020-11-09 2022-05-11 Hilti Aktiengesellschaft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disabling battery packs
WO2022096399A3 (en) * 2020-11-09 2022-07-21 Hilti Aktiengesellschaft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disabling battery packs
CN112653211A (zh) * 2020-12-09 2021-04-13 上海深湾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源系统及其控制方法
US11831189B2 (en) 2020-12-09 2023-11-28 Shanghai Runhood Power Co., Ltd. Battery quick-change device of portable power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234B1 (ko)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234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및 장치
KR101661704B1 (ko) 마이크로그리드 에너지관리시스템 및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전력 저장 방법
WO2016062121A1 (zh) 一种电池切换方法、电池管理系统及电源装置
CN106329615B (zh) 在充电器之间具有通信的主从充电器架构
CN104484025A (zh) 设备集群的上电控制系统及方法
CA2911591A1 (en) Transfer switch including a load manage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CN104037835A (zh) 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装置的电池充电方法
KR20160014280A (ko) 이종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 및 그 충전 방법
US10275314B2 (en) Data transfer using backup power supply
KR102030872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사양 설계 장치 및 방법
JP7161271B2 (ja) 電源、バッテリ電圧をブーストするための方法、バッテリ電圧をブースト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4732122A (zh) 权限设置方法及装置
US9263897B2 (en) Power supply control system
KR101725671B1 (ko) 과전압 방지 회로, 그 제어방법 및 배터리 팩
KR101499325B1 (ko)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배터리 충/방전 장치 및 그 방법
KR101726922B1 (ko) 출력 제어를 통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6005367A (ja) 需給管理システム
KR20170049306A (ko) 하이브리드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2080750A5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711705B1 (ko) 접지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6199222A1 (ja) 充電システム
KR101751104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제어 방법
KR102602897B1 (ko) IoT 기반 충전 보관함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240100986A1 (en) Battery swapping station and battery charging method using same electronic device
JP2010055226A (ja) 充電制御装置、充電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金融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