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744A -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744A
KR20130136744A KR1020120060398A KR20120060398A KR20130136744A KR 20130136744 A KR20130136744 A KR 20130136744A KR 1020120060398 A KR1020120060398 A KR 1020120060398A KR 20120060398 A KR20120060398 A KR 20120060398A KR 20130136744 A KR20130136744 A KR 20130136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anagement system
battery management
battery pack
rela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063B1 (ko
Inventor
박세호
김태우
이우진
최재현
신욱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0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06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45Multimode batteries, e.g. containing auxiliary cells or electrodes switchable in parallel or serie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tationary device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방법은 탈부착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배터리 모듈의 하위단에 문제 발생 시 계통 유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방법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하위 단 고장 발생 시 계통 전압의 유지가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는 첨단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정보통신 기술)를 활용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쌍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해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을 말한다. 즉, 전력 네트워크와 첨단 ICT(양방향 통신, 센서, 컴퓨팅, S/W)를 활용한 에너지의 생성, 공급, 사용체계의 혁신을 통해 전력망의 효율성, 신뢰성, 안정성을 높이고 분산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또한, 녹색전력 IT기술이란 발전소, 송전탑, 전봇대, 그리고 가전제품에 수많은 센서를 설치하여 다양한 전력정보를 자유자재로 생산하고 유통하는 기술을 말한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전력공급체계는 발전사업자가 대용량 전기를 생산하여 고압~중압~저압전기로 바꾸는 송배전 과정을 거치며, 발전부문의 제어를 통해 전력의 생산(발전)과 소비(수용)의 균형을 제공하는 전력사업자 중심의 일방적 구조(중앙집중형 전력공급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통적인 전력체계는 물리적 스위치나 아날로그방식의 제어기를 사용함에 따른 원거리 송전이나 지역 전력사업자 간 송배전, 풍력 또는 태양광 등 다양한 분산전원 제어 및 조정, 전력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력수요부문의 통제 필요성 등에 있어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수평적, 협력적, 분산적, 유연적 전력 네트워크가 요구되어 기존의 배전망에 컴퓨터와 통신기술을 접목시키는 것으로부터 시작된 전력망의 스마트화가 송전, 변전, 수요관리 등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산업에 통신, 인터넷, 전기전자, 자동차, 소프트웨어 등의 이종산업이 융합된 매우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개념이다. 또한, 해당국가는 물론 세계적으로 표준화가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전력망 및 다양한 연관분야에서의 혁신이 요구되고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스마트 그리드에 대해 세계 각국은 전력사업자와 정부 주도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ESS ; Energy Storage System)는 스마트그리드의 필수요소로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발전원의 간헐적 출력특성을 단기적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발전과 수요의 시차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 기술의 적용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계통 유지와 관련된 기술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에너지 저장 장치에 관한 기술들이 개시되고 있으나, 배터리 셀 하나에 문제가 발생하면 계통 전체가 차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공개특허 20110140535호 (공개일자 2011.06.1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에너지 저장 장치의 하위 단 고장 발생 시 계통 전압이 유지가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적층된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며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 상기 배터리 팩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팩과 부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상기 부하로의 연결을 담당하며 상기 배터리 팩의 출력을 차단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각각의 배터리 팩과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배터리 팩과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배터리를 관리하는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터리 모듈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링 하고 상기 배터리 셀을 제어하는 내장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배터리를 관리하는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상기 배터리 팩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이상상태 발생 시 이상신호를 생성하는 이상신호 생성 단계; 상기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상기 이상신호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이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모듈 판단 단계; 상기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상기 배터리 모듈 판단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에 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이상이 감지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차단하는 명령을 상기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차단명령 전송 단계; 및 상기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상기 차단명령 전송 단계에서 생성된 차단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차단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차단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에 따르면, 에너지 저장 장치의 하위 단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력 공급이 중단되지 않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개발에 대한 비용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고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조에 대한 비용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유지 관리 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용량 에너지 저장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가 있으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는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200) 및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배터리 모듈(200)은 전압 전류 및 온도 정보 및 고장 진단 사항에 대한 정보는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에 전달되어 모듈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200)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200)은 고장 시 계통 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교체 가능한 최소 단위를 의미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230),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220),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2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 팩(230)은 적어도 하나의 적층된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며,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배터리 팩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팩(230)은 상기 배터리 팩(230)의 온도,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링 하고 배터리 팩(230)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230)의 잔존 용량(SOC, State Of Charge)을 추정하여 배터리(112)의 상태가 최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배터리 셀을 제어하는 내장 배터리 관리 시스템(231)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220)는 배터리 모듈(200)에 포함되어 구성되며, 배터리 팩(230)과 계통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변환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배터리 모듈(200)의 출력을 차단하고, 계통에 연결되기 위한 전력 변환 장치와의 초기 연결을 담당한다.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210)은 각각의 배터리 팩(230)과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220)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배터리 팩(230)의 전압, 전류, 온도를 센싱하고,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220)를 제어를 할 수 있다.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210) 과의 통신을 통해 에너지 저장 장치의 진단, SOC 상태 모니터링 등의 전체적인 관리를 한다.
다시 말하자면, 각각의 배터리 모듈(200)에 각각의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220)를 연결해 각각의 배터리 모듈(200) 중 어느 한 모듈의 고장이 발생 한경우 해당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220)를 차단하여 전체적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운영이 중지되지 않아 계통에 공급되는 전력이 중단되지 않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 문제가 발생한 배터리 모듈(200)의 배터리 팩(230)을 교체할 때 계통에 공급되는 전력을 유지하면서 교체가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상황에 따라 에너지 저장 장치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용이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유지 관리 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각 배터리 모듈(200)은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적용함으로써 특정 배터리 팩(230)및 배터리 모듈(200)의 고장 발생시 모듈 단위의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220)를 차단함으로써 계통의 전압을 유지할 수 있고,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최대 허용 용량의 감소로 인해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개발에 필요한 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동시에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조에 대한 비용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배터리를 관리하는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이상신호 생성 단계(S10), 배터리 모듈 판단 단계(S20), 차단명령 전송 단계(S30)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차단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신호 생성 단계(S10)는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배터리 팩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이상상태 발생 시 이상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이상상태는 배터리 셀의 수명 초과, 배터리 모듈 내부의 선로 단선, 배터리 모듈 내부의 선로 도통, 배터리 모듈 내부의 선로 누전,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내부의 릴레이 접점 융착,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고장 등이 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 판단 단계(S20)는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이상신호 생성 단계(S10)에서 생성된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이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차단명령 전송 단계(S30)는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배터리 모듈 판단 단계(S20)에서 배터리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에 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이상이 감지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차단하는 명령을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전송한다.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차단 단계(S40)는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차단명령 전송 단계(S30)에서 생성된 차단 명령을 입력받아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차단한다.
다시 말해,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각각의 배터리 모듈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이상이 발생한 배터리 모듈을 차단하는 명령을 해당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전송하여 해당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차단함으로 전체적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운영이 중지되지 않아 계통에 공급되는 전력이 중단되지 않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
200: 배터리 모듈
210: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
220: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230: 배터리 팩
231: 내장 배터리 관리 시스템
S10: 이상신호 생성 단계
S20: 배터리 모듈 판단 단계
S30: 차단명령 전송 단계
S40: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차단 단계

Claims (4)

  1. 적어도 하나의 적층된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며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 상기 배터리 팩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팩과 부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상기 부하로의 연결을 담당하며 상기 배터리 팩의 출력을 차단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각각의 배터리 팩과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배터리 팩과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배터리를 관리하는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팩의 온도,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링 하고 상기 배터리 셀을 제어하는 내장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4.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배터리를 관리하는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상기 배터리 팩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이상상태 발생 시 이상신호를 생성하는 이상신호 생성 단계;
    상기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상기 이상신호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이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모듈 판단 단계;
    상기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상기 배터리 모듈 판단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에 이상이 감지되면 상기 이상이 감지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차단하는 명령을 상기 서브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차단명령 전송 단계; 및
    상기 메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상기 차단명령 전송 단계에서 생성된 차단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차단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차단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060398A 2012-06-05 2012-06-05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2040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398A KR102040063B1 (ko) 2012-06-05 2012-06-05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398A KR102040063B1 (ko) 2012-06-05 2012-06-05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744A true KR20130136744A (ko) 2013-12-13
KR102040063B1 KR102040063B1 (ko) 2019-11-06

Family

ID=4998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398A KR102040063B1 (ko) 2012-06-05 2012-06-05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0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255A (ko) 2014-12-08 2016-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및 장치
KR20190014183A (ko) 2017-07-27 2019-02-12 주식회사 윌링스 핫 스왑 기능을 갖는 ess용 전력변환시스템
CN113013540A (zh) * 2019-12-18 2021-06-22 株式会社Lg化学 子电池组以及包括该子电池组的电池组和车辆
WO2023243987A1 (ko) * 2022-06-13 2023-12-21 스탠다드에너지 주식회사 Ess 보안 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729B1 (ko) 2021-04-21 2023-04-17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내 배터리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249B1 (ko) * 2006-09-11 2009-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 향상을 위한 전지 시스템의 제어방법
US20110140535A1 (en) 2009-12-16 2011-06-16 Samsung Sdi Co., Ltd. Power converting device for new renewable energy storage system
KR20110132977A (ko) * 2010-06-03 2011-12-09 정윤이 배터리 팩 그리고 배터리 팩의 충전 방법
KR20120038266A (ko) * 2010-10-13 2012-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력 저장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249B1 (ko) * 2006-09-11 2009-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 향상을 위한 전지 시스템의 제어방법
US20110140535A1 (en) 2009-12-16 2011-06-16 Samsung Sdi Co., Ltd. Power converting device for new renewable energy storage system
KR20110132977A (ko) * 2010-06-03 2011-12-09 정윤이 배터리 팩 그리고 배터리 팩의 충전 방법
KR20120038266A (ko) * 2010-10-13 2012-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력 저장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255A (ko) 2014-12-08 2016-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교환 방법 및 장치
KR20190014183A (ko) 2017-07-27 2019-02-12 주식회사 윌링스 핫 스왑 기능을 갖는 ess용 전력변환시스템
CN113013540A (zh) * 2019-12-18 2021-06-22 株式会社Lg化学 子电池组以及包括该子电池组的电池组和车辆
WO2021125476A1 (ko) * 2019-12-18 2021-06-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복수의 단위 모듈과 bms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서브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3013540B (zh) * 2019-12-18 2024-04-12 株式会社Lg新能源 子电池组以及包括该子电池组的电池组和车辆
WO2023243987A1 (ko) * 2022-06-13 2023-12-21 스탠다드에너지 주식회사 Ess 보안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063B1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670B1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79719B1 (ko) 배터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147206B1 (ko)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합 제어기
CN103595063B (zh) 一种储能变流器及其电池储能系统
JP2014212691A (ja) 電池均等化装置及び方法
CN102104263A (zh) 具有多重输入电源的高压直流不断电供电系统
KR20130105616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20017930A (ko) 전력 저장 시스템,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6395849B2 (ja) 電池管理システムを配線するデバイスおよび方法
CN202712873U (zh) 智能型家用太阳能控制逆变器
KR102284483B1 (ko) 배터리 모듈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040063B1 (ko) 에너지 저장 장치 및 방법
KR20140040627A (ko)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2019161706A (ja) 電力融通システム
KR101987805B1 (ko) 에너지 저장 장치
KR20150073505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기동 방법
CN105244918A (zh) 一种光伏储能电站
CN102842936A (zh) 分布式电池供电装置及方法
Ma et al. An overview of energy routers
CN103475031A (zh) 基于无线传感器网络的小型风光蓄互补发电群的控制系统
KR102092088B1 (ko) 전기저장장치 운전모드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916856A (zh) 一种提高液流电池运行可靠性的储能系统及其方法
KR20170074631A (ko)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에너지 분전 시스템
CN103378604A (zh) 智能微电网
Kester et al. A smart MV/LV-station that improves power quality, reliability and substation load prof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