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236A - 전극 산화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로 - Google Patents

전극 산화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236A
KR20160069236A KR1020140174957A KR20140174957A KR20160069236A KR 20160069236 A KR20160069236 A KR 20160069236A KR 1020140174957 A KR1020140174957 A KR 1020140174957A KR 20140174957 A KR20140174957 A KR 20140174957A KR 20160069236 A KR20160069236 A KR 20160069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oxidation
oxidation preventing
electric furnac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2189B1 (ko
Inventor
류재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74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1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1/00Arrangement of elements for electric heating in or on furnaces
    • F27D11/08Heating by electric discharge, e.g. arc discharge
    • F27D11/10Disposition of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전극이 삽입되게 설치되는 산화 방지부; 및 상기 산화 방지부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을 통하여 이송된 기체는 상기 전극과 상기 산화 방지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충진되어 상기 전극을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산화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전극의 작업 대기시 전극을 포위하도록 기체를 분사하여 전극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주변 설비의 열화를 방지한다.

Description

전극 산화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로{Antioxidant Device for preventing oxidation of electrode and Electric furna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극 산화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로의 작업공정에 있어서, 전극의 작업 대기시간에 전극 자연 산화에 의한 원단위 상승과 고열에 의한 설비의 열화 방지가 가능한 전극 산화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로에 관한 것이다.
전기로를 이용한 작업공정은 스크랩과 같은 철원을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용융시킨 후, 목표한 성분 및 온도까지 정련시키는 제강 공정으로서, 전로 제강법에 비해 고로, 원료처리설비, 소결설비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초기 투자비가 저렴하고, 탄소강은 물론이고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한 스테인리스강이나 특수강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제강 과정에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고로 대비 1/4 수준으로 아주 낮으며 동시에 세계적으로 스크랩 발생량이 증가하며 스크랩이라는 쓰레기를 해소해 줄 수 있는 친환경 설비라는 점에서 미래 철강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여기서, 전기로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금속이나 합금을 가열, 용해하는 노를 말하는 것으로, 노 내부로 스크랩을 장입한 후 전극과 스크랩 사이로 아크 형태의 전류를 발생시켜 가열하여 스크랩을 용해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전기로를 이용하여 용강을 제조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06503호(2014.06.13)인 '고정형 전기로 및 용강 제조 방법'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종래의 전기로를 이용한 작업 공정의 경우, 전기로 아킹(Arcing)용 전원이 공급되어 스크랩(Scrap)과의 아크(Arc) 발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용해 매체인 전극(50)과 스크랩(Scrap)과의 아크열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탄소봉인 전극(50)은 수 천도까지 올라간다.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10은 전기로 변압기, 20은 2차 버스(Bus), 30은 수냉케이블, 40은 전극 암, 50은 전극, 60은 전극홀더, 70은 루프, 80은 전기로, 90은 리프팅 장치를 지칭한다.
전기로 조업 특성상 1일 약 3~4 시간의 공정대기시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공정대기시간이 발생되면 전기로(80)의 루프(7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Open)시킨 상태에서 전극(50)을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작업처리가 있을 때까지 대기를 한다. 도 2에 있어서, 도면부호 91은 전극 암(40)을 승강시키는 전극 리프팅 장치를 지칭하며, 전극 리프팅 장치(91)는 루프(70)에 대하여 전극(50)을 승강시킨다.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전기로를 이용한 작업 공정에서, 상기 작업 위치에서 아킹(Acking) 작업이 완료되면 루프(70)를 상기 작업 위치에서 대기 위치로 회전시켜 작업 대기를 한다. 그에 따라, 전기로 공정 대기 시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루프(7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전극 리프팅 장치(91)를 이용하여 루프(70)를 탑(Top) 위치로 상승시킨 다음 상기 대기 위치로 전극(50)이 위치할 수 있도록 리프팅 장치(90)를 이용하여 루프(70)를 회전시킨다.
스크랩과의 아크열로 수 천도까지 달구어진 전극(50)은 작업 대기 중 자연산화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작업 대기 중 발생하는 전극(50)의 자연산화는 전극원단위 상승의 문제점을 발생시킴과 더불어,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한 전극(50)은 주변 설비를 열화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는 장시간의 대기가 발생하면 전극(50)을 인출하여 전극 보관 장소로 운반하여 자연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상의 전극(50)을 인출하고 다시 전극(50)을 장착하게 되면 많은 작업 시간을 소요하게 되고, 대기 시간이 발생하더라도 전극(50)을 인출하고 다시 설치하는 작업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여기서, 전극(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50)을 이용하여 용해 작업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 위치와 용해 공정의 수행 전에 대기하기 위한 대기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즉, 전극(50)은 루프 리프팅 장치(90)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작업 위치와 상기 대기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종합해보면, 종래의 전기로를 이용한 작업 공정의 경우, 아크열로 인해 수 천도까지 올라간 전극(50)은 대기 중에서 자연산화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극(50)의 자연산화로 인해 전극 원단위 상승의 문제가 발생되며, 특히 루프(70)를 오픈(Open)시킨 상태로 전극(50)을 장시간 외부에 노출시키면 주변 설비가 고열로 인한 열화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전기를 이용한 작업 공정의 경우, 전극(50)의 대기시 전극 자연 산화에 의한 생산원가 상승과 전극(50) 주위의 설비 열화에 의한 고장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로의 작업공정에 있어서, 전극의 작업 대기시간에 전극 자연 산화에 의한 원가 상승과 고열에 의한 주변 설비의 열화 방지가 가능한 전극 산화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로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내부에 전극이 삽입되게 설치되는 산화 방지부; 및 상기 산화 방지부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을 통하여 이송된 기체는 상기 전극과 상기 산화 방지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충진되어 상기 전극을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산화 방지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체는 질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은 상기 산화 방지부의 하부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 방지부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에 설치되는 밸브; 및
상기 온도 검출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화 방지부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로 하락시, 상기 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기체가 상기 산화 방지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화 방지부 내부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송출되는 상기 온도 검출 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이 상기 산화 방지부 내부의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시, 상기 기체가 분사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송출하는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전극; 상기 전극 산화 방지 장치; 전기로 본체; 및 상기 전극을 상기 전기 산화 방지 장치와 상기 전기로 본체 사이로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전극 산화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로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전극이 설치되는 전극 암; 상기 전극 암을 승강시키는 전극 리프팅 장치; 및 상기 전극 리프팅 장치를 상기 전기 산화 방지 장치와 상기 전기로 본체 사이로 이동시키는 리프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산화 방지장치는, 전극의 작업 대기시 전극을 포위하도록 기체를 분사하여 전극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극이 자연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극의 수명을 향상시킴으로써, 전극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은 산화 방지부의 내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전극의 고열에 의하여 주변 설비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 산화 방지장치는 전극의 산화 방지에 따른 생산 원가 절감과 더불어 전기로에 상기 전극 산화 방치를 도입하여 주변 설비의 열화 방지를 통한 생산휴지 방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로를 이용한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전기로를 이용한 작업 공정에 있어서, 작업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전극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산화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산화 방지 장치의 산화 방지부와 전극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산화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산화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로에 있어서, 작업 위치와 장입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전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산화 방지장치(1)는 스크랩과 같은 철원을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용융시킨 후, 목표한 성분 및 온도까지 정련시키는 제강 공정에서 이용되며, 전극(50)이 장시간 공정 대기로 인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자연 산화를 방지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산화 방지장치(1)는 전극(50)이 삽입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 공간이 구비된 산화 방지부(100), 배관(200), 밸브(300), 온도 검출 센서(3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산화 방지부(100)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50)은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게 설치된다.
이때, 전극(50)은 산화 방지부(100)의 내측면 및 바닥면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산화 방지부(100)의 내부 중앙에 전극(50)은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극(50)과 상기 내측면 및 상기 바닥면과의 이격 공간(S)에는 배관(200)을 통하여 이송되는 기체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체는 전극(50)이 외부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극(50)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기체는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된 후 배관(200)을 통하여 이격 공간(S)에 분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는 상기 기체는 전극(50)의 주변에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외부 공기와의 온도차 등의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온도의 상기 기체는 이격 공간(S)에 분사되어 존재하기 때문에, 온도에 의한 전극(50)의 영향을 작업자는 예측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기체 온도에 의하여 전극(50)이 받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부 공기와의 온도차 등의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전극(50)의 산화를 방지하는 상기 기체로는 질소가 바람직하다.
배관(200)은 산화 방지부(100)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산화 방지부(100)와 배관(200) 사이에는 상기 기체가 분사될 수 있도록 토출구(11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소와 같은 기체의 비중, 무게 등의 특성 및 토출 위치에 따른 이격 공간(S)에 채워지는 과정을 고려해볼 때 토출구(110)는 상기 산화 방지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토출구(110)가 산화 방지부(100)의 하부측에 위치함으로써, 질소는 산화 방지부(100) 내부의 하부부터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배관(200)에는 밸브(300)가 설치되어 배관(200)을 따라 이송되는 기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온도 검출 센서(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 방지부(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 검출 센서(300)는 산화 방지부(100)의 내부의 온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로 신호를 송출한다.
예컨데, 온도 검출 센서(300)는 산화 방지부(100)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00)로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기체가 산화 방지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검출 센서(300)는, 산화 방지부(100) 내부로 전극(50)의 삽입시, 산화 방지부(100) 내부 온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어부(400)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400)는 밸브(300)를 오픈하여 상기 기체가 산화 방지부(100) 내부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온도 검출 센서(300)에 의하여 검출된 산화 방지부(100)의 내부의 온도 정보를 기반으로 밸브(300)의 개폐를 조절한다.
즉, 온도 검출 센서(300)에서 검출된 온도를 기반으로 밸브(200)의 개폐를 제어하여 산화 방지부(100)의 내부로 질소와 같은 상기 기체를 분사하게 함으로써, 전극(50)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상기 기체의 분사를 조절하여 산화 방지부(100)의 내부의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게 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전극(50)이 상기 온도에 의하여 받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한편, 전극(50)이, 산화 방지부(100) 내부의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시, 상기 기체가 분사되도록 제어부(500)에 신호를 송출하는 위치 감지 센서(6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 감지 센서(6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50)의 하단부를 감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위치 감지 센서(600)는 산화 방지부(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전극(50)이 산화 방지부(100)의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기체가 분사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산화 방치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로(2)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로를 이용한 작업 공정에서 이용되는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산화 방치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로(2)는 상기 전극 산화 방지장치(1), 전극(50), 전기로 본체(80) 및 이송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 장치는 전극 암(40), 루프(70), 리프팅 장치(90), 및 전극 리프팅 장치(9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루프(70)는 전극 암(4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50)이 설치되는 전극 암(40)은 리프팅 장치(90)에 의하여 이동된다.
상기 이송 장치는 전극(50)을 용해 작업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 위치와 전극(50)이 상기 전극 산화 방지장치(1)의 산화 방지부(100)의 내부로 삽입 되게 설치되는 장입 위치로 이동시킨다.
예컨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산화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로(2)의 리프팅 장치(90)와 전극 리프팅 장치(91)는 전극(50)을 이용하여 용해 작업 공정을 수행하는 상기 작업 위치와 전극(50)이 상기 전극 산화 방지장치(1)의 산화 방지부(100)의 내부로 삽입 되게 설치되는 상기 장입 위치로 전극(50)을 이동되게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산화 방치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로(2)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전기로 본체(80)에서 아킹(Arcing)이 완료되면, 리프팅 장치(90)에 의하여 루프(70)의 회전시 전극(50)이 상기 전극 산화 방지장치(1)의 위에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전극 리프팅 장치(91)는 전극(50)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전극(50)이 리프팅 장치(90)에 의하여 회동하여 상기 전극 산화 방지장치(1)의 위에 이격되게 배치되면 전극 리프팅 장치(91)는 전극(50)을 하강시켜 전극(50)이 상기 전극 산화 방지장치(1)의 산화 방지부(100) 내부로 삽입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전극 산화 방지장치(1)는 토출구(110)를 통하여 질소와 같은 기체를 산화 방지부(100)의 내부로 주입한다. 물론, 온도 검출 센서(400) 또는 위치 감지 센서(600)를 이용하여 전극(50)이 산화 방지부(100) 내부에 상기 기체가 충진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 산화 방지장치(1) 산화 방지부(100)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온도 검출 센서(300)를 통하여 감지하고, 밸브(200)를 이용하여 상기 기체가 산화 방지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작업 대기 시간이 완료되어 다시 아킹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전극 리프팅 장치(91)를 이용하여 전극(50)을 상승시킨 후, 리프팅 장치(90)를 이용하여 루프(70)를 상기 작업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전극(50)을 하강시켜 아킹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종합해보면, 상술 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 산화 방지장치(1)는 상기 전극 산화 방지장치를 구비하는 전기로(2)에 설치되며, 전극(50)의 작업 대기시간에 전극(50)을 포위하도록 상기 기체를 분사하여 전극(50)이 자연 산화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전극 산화 방지장치
2 : 전극 산화 방지장치를 구비하는 전기로
40 : 전극 암 50 : 전극
60 : 전극 홀더 70 : 루프
80 : 전기로 본체 90 : 리프팅 장치
91 : 전극 리프팅 장치
100 : 산화 방지부 200 : 배관
300 : 밸브 400 : 온도 검출 센서
500 : 제어부 600 : 위치 감지 센서

Claims (10)

  1. 내부에 전극이 삽입되게 설치되는 산화 방지부; 및
    상기 산화 방지부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을 통하여 이송된 기체는 상기 전극과 상기 산화 방지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충진되어 상기 전극을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산화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질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산화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상기 산화 방지부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산화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방지부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산화 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 설치되는 밸브; 및
    상기 온도 검출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산화 방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화 방지부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로 하락시, 상기 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기체가 상기 산화 방지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산화 방지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화 방지부 내부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송출되는 상기 온도 검출 센서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산화 방지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상기 산화 방지부 내부의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시, 상기 기체가 분사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송출하는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산화 방지 장치.
  9. 전극;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전극 산화 방지 장치;
    전기로 본체; 및
    상기 전극을 상기 전기 산화 방지 장치와 상기 전기로 본체 사이로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전극 산화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전극이 설치되는 전극 암;
    상기 전극 암을 승강시키는 전극 리프팅 장치; 및
    상기 전극 리프팅 장치를 상기 전기 산화 방지 장치와 상기 전기로 본체 사이로 이동시키는 리프팅 장치를 포함하는 전극 산화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로.
KR1020140174957A 2014-12-08 2014-12-08 전극 산화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로 KR101662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957A KR101662189B1 (ko) 2014-12-08 2014-12-08 전극 산화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957A KR101662189B1 (ko) 2014-12-08 2014-12-08 전극 산화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236A true KR20160069236A (ko) 2016-06-16
KR101662189B1 KR101662189B1 (ko) 2016-10-10

Family

ID=56354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957A KR101662189B1 (ko) 2014-12-08 2014-12-08 전극 산화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1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5342A (ja) * 1991-09-17 1995-03-03 Nippon Steel Corp アーク炉設備
KR20030001717A (ko) * 2001-06-27 2003-01-08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전극의 이동식 냉각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20490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형 박판주조기의 고온산화 방지장치 및 방법
KR101330318B1 (ko) * 2012-08-03 2013-11-20 주식회사 포스코 전극 조립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5342A (ja) * 1991-09-17 1995-03-03 Nippon Steel Corp アーク炉設備
KR20030001717A (ko) * 2001-06-27 2003-01-08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전극의 이동식 냉각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20490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형 박판주조기의 고온산화 방지장치 및 방법
KR101330318B1 (ko) * 2012-08-03 2013-11-20 주식회사 포스코 전극 조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189B1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396848U (zh) 铁水罐运输车载自动加揭盖保温装置
KR101588631B1 (ko) 전기 아크로 및 그 작동 방법
ES2606237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de control para controlar un proceso de fusión
US20020071473A1 (en) Electric furnace for steel making
KR102549296B1 (ko) 모듈화된 일체형 로를 이용한 방사성 금속폐기물 진공 용융 처리 시스템
KR101662189B1 (ko) 전극 산화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로
US8961866B2 (en) Apparatus for melting and refining impure nonferrous metals, particularly scraps of copper and/or impure copper originating from the processing of minerals
KR20170087050A (ko) 하나 이상의 제련로용 전극을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
US6389054B1 (en) Scrap charger
CN104046791B (zh) 一种金属电渣重熔炉及其电极对中方法
CN105612398B (zh) 在熔化设备中熔化金属材料的方法以及相关的熔化设备
US20120193062A1 (en) Metallurgical complex
KR20130072702A (ko) 스크랩 프리히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랩 히팅제어방법
CN209555265U (zh) 一种熔融渣连续供应装置
JP5884189B2 (ja) 溶銑予備処理用浸漬型ランス設備および溶銑予備処理用浸漬型ランスのガス切替方法
KR101482510B1 (ko) 슬래그 유출 방지 장치 및 여기에 사용되는 고압가스 분사 랜스
CN209024583U (zh) 一种双工位电弧炉
KR101276453B1 (ko) 전기로
WO2003095685A9 (en) Scrap charger
CN202630698U (zh) 发黑电控炉
CN109136464A (zh) 一种双工位电弧炉
CN105157422B (zh) 一种感应加热炉
KR101913404B1 (ko) 전기로 및 지금 제거 방법
KR20160073559A (ko) 스크랩 예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랩 예열방법
KR101706570B1 (ko) 전기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