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498A - 차량용 범퍼 스태이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퍼 스태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68498A KR20160068498A KR1020140174330A KR20140174330A KR20160068498A KR 20160068498 A KR20160068498 A KR 20160068498A KR 1020140174330 A KR1020140174330 A KR 1020140174330A KR 20140174330 A KR20140174330 A KR 20140174330A KR 20160068498 A KR20160068498 A KR 201600684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wall portions
- portions
- vertical
- wall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1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metal
- B60R2019/182—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metal of light metal, e.g. extrud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2019/242—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on two vertical sleeves, e.g. on energy absorber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범퍼 스태이가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범퍼 스태이는 ⅰ)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후측 외벽부와, 전,후측 외벽부의 각 상단부와 각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하측 외벽부를 포함하는 외벽체와, ⅱ)상,하측 외벽부 사이에서 전측 외벽부의 상측과 하측에 전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상,하측 내벽부와, 상,하측 내벽부의 각 후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직 내벽부를 포함하는 내벽체를 포함하며, 내벽체의 수직 내벽부는 외벽체의 후측 외벽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하측 내벽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며, 전측 외벽부는 상하방향 단면 폭이 후측 외벽부의 상하방향 단면 폭보다 작게 구비되고, 상,하측 외벽부는 전방 측보다 후방 측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에 절곡 형상의 단차부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용 범퍼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범퍼빔과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범퍼유닛은 차량의 저/중속 충돌 시,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차체의 물리적인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자동차나 고정체와의 충돌 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자의 안전을 도모하게 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완충장치이다.
이러한 범퍼유닛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전방 범퍼유닛의 예), 차량의 전방에서 차폭방향으로 장착되는 범퍼 빔(105), 범퍼 빔(105)의 전방에 배치되어 충격력을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107), 그리고 범퍼 빔(105)과 에너지 업소버(107)를 감싸는 범퍼커버(109), 범퍼 빔(105)과 프런트 사이드 멤버(111)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범퍼 스태이(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범퍼 스태이(113)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런트 사이드 멤버(111)에 고정되는 사각의 스태이 플레이트(115)가 구비되고, 스태이 플레이트(115)의 전면에는 4개의 분리된 스태이 지지부(117)가 스태이 플레이트(115)와 범퍼 빔(105)을 연결하여 용접된다.
스태이 지지부(117)는 상,하부 스태이 지지부(121,123) 및 좌우 측부 스태이 지지부(125,127)로 나누어지는데, 스태이 지지부(117)들은 각각이 상호 분리된 상태로 스태이 플레이트(115)와 범퍼 빔(105) 사이에 용접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범퍼 스태이(113)는 차량의 고속 충돌에 대응하도록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스틸소재를 적용함에 따라 중량이 많이 나가며, 스태이 플레이트(115)에 대하여 각각의 스태이 지지부(117)를 다수의 용접작업을 통하여 조립함으로써 조립공정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범퍼 스태이(113)는 전방 충돌 시, 범퍼 빔(105)을 통하여 전달되는 충돌에너지에 의해 스태이 지지부(117)가 붕괴되면서 그 충돌에너지가 프론트 사이드 멤버(111)로 바로 전달되는 구조로, 충돌 변형 시의 방향성이 불규칙적이고, 이로 인해 충돌에너지의 흡수 및 분산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87983호 (2011. 11. 23 등록)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의 붕괴 패턴을 순차적으로 유도하여 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범퍼 스태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는, ⅰ)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후측 외벽부와, 상기 전,후측 외벽부의 각 상단부와 각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하측 외벽부를 포함하는 외벽체와, ⅱ)상기 상,하측 외벽부 사이에서 상기 전측 외벽부의 상측과 하측에 전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상,하측 내벽부와, 상기 상,하측 내벽부의 각 후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직 내벽부를 포함하는 내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내벽체의 수직 내벽부는 상기 외벽체의 후측 외벽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상,하측 내벽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전측 외벽부는 상하방향 단면 폭이 상기 후측 외벽부의 상하방향 단면 폭보다 작게 구비되고, 상기 상,하측 외벽부는 전방 측보다 후방 측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에 절곡 형상의 단차부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 스태이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내벽부는 상기 전측 외벽부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 스태이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내벽부는 상기 전측 외벽부의 상측과 하측에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전방 측보다 후방 측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고, 중앙부 일측에 절곡 형상의 단차부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 스태이에 있어서, 상기 전,후측 외벽부는 각 상하방향 단부에 연장하여 일체로 압출 성형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 스태이에 있어서, 상기 수직 내벽부는 상하방향 단부에 연장하여 일체로 압출 성형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는, ⅰ)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후측 외벽부와, 상기 전,후측 외벽부의 각 상단부와 각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하측 외벽부를 포함하는 외벽체와, ⅱ)상기 상,하측 외벽부 사이에서 상기 전측 외벽부의 중앙부 측에 전단부가 연결되는 수평 내벽부와, 상기 수평 내벽부의 중앙부 측에 형성되는 원형 내벽부와, 상기 수평 내벽부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수직 내벽부를 포함하는 내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내벽체의 수직 내벽부는 상기 외벽체의 후측 외벽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수평 내벽부와 동일한 두께로서 형성되며, 상기 전측 외벽부는 상하방향 단면 폭이 상기 후측 외벽부의 상하방향 단면 폭보다 작게 구비되고, 상기 상,하측 외벽부는 전방 측보다 후방 측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에 절곡 형상의 단차부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 스태이에 있어서, 상기 전,후측 외벽부는 각 상하방향 단부에 연장하여 일체로 압출 성형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는, ⅰ)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후측 외벽부와, 상기 전,후측 외벽부의 각 상단부와 각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하측 외벽부를 포함하는 외벽체와, ⅱ)상기 상,하측 외벽부 사이에서 상기 전,후측 외벽부의 각 상측과 각 하측을 상호 연결하는 상,하측 내벽부와, 상기 상,하측 내벽부의 각 전방 측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수직 격벽부와, 상기 제1 수직 격벽부의 중앙부 측에 전단부가 연결되는 수평 내벽부와, 상기 수평 내벽부의 중앙부 측에 형성되는 원형 내벽부와, 상기 수평 내벽부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수직 내벽부를 포함하는 내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내벽체의 수직 내벽부는 상기 외벽체의 후측 외벽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수평 내벽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전측 외벽부는 상하방향 단면 폭이 상기 후측 외벽부의 상하방향 단면 폭보다 작게 구비되고, 상기 상,하측 외벽부는 전방 측보다 후방 측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에 절곡 형상의 단차부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상,하측 내벽부는 전방 측보다 후방 측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에 절곡 형상의 단차부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 스태이에 있어서, 상기 내벽체는 상기 상,하측 내벽부와 상기 상,하측 외벽부의 중앙부 측을 각각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직 격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 스태이에 있어서, 상기 외벽체 및 내벽체는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여 압출 성형되는 압출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격력에 의해 외벽체와 내벽체가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등의 순차적인 붕괴 패턴을 구현함에 따라 충돌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여 양단부에 플랜지부를 일체로 성형한 압출재로 구성하여 범퍼빔과 사이드 멤버 사이에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경량화가 가능하며, 조립을 위한 별도의 용접작업이 필요하지 않다는 이점도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충돌 에너지에 의한 외벽체와 내벽체의 붕괴 시, 그 방향성을 안정적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전방으로부터의 순차적인 붕괴를 유도하여 이상적인 충돌에너지의 흡수 및 분산작동을 이룸으로써 충격흡수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범퍼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용 범퍼 스태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충돌 에너지에 의한 변형 패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충돌 에너지에 의한 변형 패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충돌 에너지에 의한 변형 패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충돌 에너지에 의한 변형 패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충돌 에너지에 의한 변형 패턴도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범퍼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용 범퍼 스태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충돌 에너지에 의한 변형 패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충돌 에너지에 의한 변형 패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충돌 에너지에 의한 변형 패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충돌 에너지에 의한 변형 패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충돌 에너지에 의한 변형 패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100)는 차체의 사이드 멤버와 범퍼빔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 측이 범퍼빔의 양측 후면에 조립되고, 후방 측이 사이드 멤버에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범퍼 스태이(100)는 차량의 충돌 시 범퍼빔에서 전달되는 힘을 사이드 맴버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범퍼 스태이(100)는 알루미늄을 소재로 한 압출재를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파트들을 조립하여 구성되는 바, 외벽체(10)와 내벽체(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외벽체(10)는 전방 측이 범퍼빔의 양측 후면에 조립되고, 후방 측이 사이드 멤버에 조립되는 바,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며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외벽체(10)는 전,후 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후측 외벽부(11, 12)와, 그 전,후측 외벽부(11, 12)의 각 상단부와 각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하측 외벽부(13, 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측 외벽부(11)는 범퍼빔의 양측 후면에 조립되고, 후측 외벽부(12)는 사이드 멤버에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전측 외벽부(11)는 상하방향 단면 폭(W1)이 후측 외벽부(12)의 상하방향 단면 폭(W2)보다 작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후측 외벽부(11, 12)는 각 상하방향 단부에 연장하여 일체로 압출 성형되는 플랜지부(F1, F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플랜지부(F1, F2)는 전,후측 외벽부(11, 12)의 각 상하 단부에 동일 평면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하 전측 외벽부(11)의 플랜지부와 후측 외벽부(12)의 플랜지부를 전방 플랜지부(F1)와 후방 플랜지부(F2)로 명명한다.
여기서, 상기 전측 외벽부(11)의 플랜지부(F1)와 후측 외벽부(12)의 플랜지부(F2)는 범퍼빔 및 사이드 맴버에 대한 전측 외벽부(11)과 후측 외벽부(12)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며, 범퍼빔 및 사이드 맴버에 대한 전측 외벽부(11)과 후측 외벽부(12)의 장착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하측 외벽부(13, 14)는 전,후측 외벽부(12) 사이에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전방 측의 두께(t1) 보다 후방 측의 두께(t2)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 외벽부(13, 14)는 중앙부 일측에 절곡 형상의 단차부(P)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내벽체(50)는 외벽체(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벽체(10)의 상,하측 외벽부(13, 14) 사이에서 전측 외벽부(11)의 상측과 하측에 전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상,하측 내벽부(51, 52)와, 그 상,하측 내벽부(51, 52)의 각 후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직 내벽부(5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하측 내벽부(51, 52)는 전측 외벽부(11)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바, 상측 내벽부(51)는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하측 내벽부(52)는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내벽부(55)는 상,하측 내벽부(51, 52)의 각 후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며, 외벽체(10)의 후측 외벽부(12)와 일정 간격(L)을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내벽부(55)는 상,하측 내벽부(51, 52)의 두께(t3)보다 더 두꺼운 두께(t4)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외벽체(10)의 전,후측 외벽부(11, 12) 및 상,하측 외벽부(13, 14)와, 내벽체(50)의 상,하측 내벽부(51, 52) 및 수직 내벽부(55)는 언급한 바 있듯이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여 일체로 압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10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전방 충돌에 의한 충격력(F)이 범퍼빔을 통하여 외벽체(10)의 전측 외벽부(11)로 전달되면(S1), 상,하측 외벽부(13, 14)의 중앙부 일측에 형성된 단차부(P)를 기준으로 외벽체(10)의 전방부가 먼저 붕괴된다(S2).
여기서, 상기 상,하측 외벽부(13, 14)는 중앙부 일측에 단차부(P)를 형성하며, 전방 측의 두께(t1) 보다 후방 측의 두께(t2)가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측 외벽부(13, 14)에 대한 상하 외측으로의 안정적인 붕괴 패턴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벽체(10)의 전방부가 먼저 붕괴되면서 충격력(F)을 1차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한편, 계속해서 외벽체(10)의 전방 측으로 충격력(F)이 입력되면, 상,하측 외벽부(13, 14)는 그 충격력(F)에 의해 더욱더 상하 외측으로 붕괴되고, 내벽체(50)의 수직 내벽부(55)는 후방으로 밀리며 외벽체(10)의 후측 외벽부(12)에 접촉된다(S3).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벽체(50)의 수직 내벽부(55)가 외벽체(10)의 후측 외벽부(12)에 접촉됨에 따라, 전방으로 입력되는 충격력(F)을 더욱 완화시키며 2차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충격력(F)이 외벽체(10)의 전방 측으로 계속해서 입력되면, 상,하측 외벽부(13, 14)는 그 충격력(F)에 의해 더욱더 상하 외측으로 붕괴되고, 내벽체(50)의 상,하측 내벽부(51, 52)는 수직 내벽부(55)가 후측 외벽부(12)에 접촉된 상태로 충격력(F)에 의해 상하 내측으로 붕괴된다(S4).
여기서, 상기 수직 내벽부(55)의 두께(t4)가 상,하측 내벽부(51, 52)의 두께(t3) 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하측 내벽부(51, 52)에 대한 상하 내측으로의 안정적인 붕괴 패턴을 유도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계속해서 외벽체(10)의 전방 측으로 충격력(F)이 입력되면, 상,하측 외벽부(13, 14)는 그 충격력(F)에 의해 더욱더 상하 외측으로 붕괴되고, 내벽체(50)의 상,하측 내벽부(51, 52)는 수직 내벽부(55)가 후측 외벽부(12)에 접촉된 상태로 충격력(F)에 의해 상하 내측으로 더욱 붕괴된다(S5).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하측 내벽부(51, 52)가 충격력(F)에 의해 상하 내측으로 더욱 붕괴됨에 따라, 내벽체(50)의 접촉 발생으로 인하여 충격력(F)을 더욱더 완화시키며 3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100)에 의하면, 충격력(F)에 의해 외벽체(10)와 내벽체(50)가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등의 순차적인 붕괴 패턴을 구현함에 따라 충돌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충돌 에너지에 의한 변형 패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200)는 전,후측 외벽부(11, 12) 및 상,하측 외벽부(13, 14)를 포함하는 외벽체(10)의 구성, 단면폭 및 기본적인 작용은 전기 제1 실시예와 모두 동일하다.
단,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 스태이(200)는 상,하측 내벽부(151, 152)가 전측 외벽부(11)의 상측과 하측에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내벽체(15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하측 내벽부(151, 152)의 전단부는 전측 외벽부(11)의 상측과 하측에 연결되며, 상,하측 내벽부(151, 152)의 후단부에는 수직 내벽부(155)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측 내벽부(151, 152)는 전방 측의 두께(t1)보다 후방 측의 두께(t2)가 더 두껍게 형성되고, 중앙부 일측에 절곡 형상의 단차부(P)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벽체(150)의 수직 내벽부(155)는 상하방향 단부에 연장하여 일체로 압출 성형되는 플랜지부(F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내벽부(155)는 외벽체(10)의 후측 외벽부(12)와 일정 간격(L)을 두고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수직 내벽부(155)는 상하방향 단부에 플랜지부(F3)를 형성하므로, 외벽체(10)의 충돌 변형 시 후측 외벽부(12)에 대한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200)에 의하면, 내벽체(150)의 상,하측 내벽부(151, 152)는 전방 측의 두께(t1)보다 후방 측의 두께(t2)가 더 두껍게 형성되고, 중앙부 일측에 단차부(P)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전방 충돌에 의한 충격력(F)에 의해 상하 내측으로의 안정적인 붕괴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 스태이(2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변형 패턴 등)은 전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충돌 에너지에 의한 변형 패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300)는 전,후측 외벽부(11, 12) 및 상,하측 외벽부(13, 14)를 포함하는 외벽체(10)와, 상,하측 내벽부(151, 152) 및 수직 내벽부(155)를 포함하는 내벽체(150)의 구성, 단면폭 그리고 기본적인 작용은 전기 제2 실시예와 모두 동일하다.
단,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 스태이(300)는 전,후측 외벽부(11, 12)의 상하방향 단부 및 수직 내벽부(155)의 상하방향 단부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 제2 실시예와 다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 스태이(3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변형 패턴 등)은 전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충돌 에너지에 의한 변형 패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400)는 전,후측 외벽부(11, 12) 및 상,하측 외벽부(13, 14)를 포함하는 외벽체(10)의 구성, 단면폭 그리고 기본적인 작용은 전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단,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 스태이(400)는 수평 내벽부(251), 원형 내벽부(252) 및 수직 내벽부(255)를 포함하는 내벽체(25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내벽부(251)는 상,하측 외벽부(13, 14) 사이에서 전측 외벽부(11)의 중앙부 측에 전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원형 내벽부(252)는 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 내벽부(251)의 중앙부 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내벽부(255)는 수평 내벽부(251)의 후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며, 외벽체(10)의 후측 외벽부(12)와 일정 간격(L)을 두고 배치되고, 수평 내벽부(251)의 두께(t1)와 동일한 두께(t2)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체(10)의 전,후측 외벽부(11, 12)는 각 상하방향 단부에 연장하여 일체로 압출 성형되는 플랜지부(F1, F2)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400)에 의하면, 전방 충돌에 의한 충격력(F)에 의해 수직 내벽부(255)가 후측 외벽부(12)에 접촉되면서부터 원형 내벽부(252)는 수평 내벽부(251) 및 수직 내벽부(255)에 의해 서로 접혀지며 맞닿는 변형 패턴으로 붕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범퍼 스태이(4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변형 패턴 등)은 전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충돌 에너지에 의한 변형 패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500)는 기본적으로 전기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후측 외벽부(511, 512)와, 전,후측 외벽부(511, 512)의 각 상단부와 각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하측 외벽부(513, 514)를 포함하는 외벽체(510)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후측 외벽부(511, 512)는 각 상하방향 단부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있지 않다.
상기에서 상,하측 외벽부(513, 514)는 전방 측의 두께(t1)보다 후방 측의 두께(t2)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에 절곡 형상의 단차부(P1)가 일체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외벽체(510)의 내측에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벽체(550)는 상,하측 내벽부(551, 552), 제1 수직 격벽부(553), 수평 내벽부(554), 원형 내벽부(555), 수직 내벽부(557) 그리고 제2 수직 격벽부(55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하측 내벽부(551, 552)는 상,하측 외벽부(513, 514) 사이에서 전,후측 외벽부(511, 512)의 각 상측과 각 하측을 상호 연결한다. 상기 상,하측 내벽부(551, 552)는 전방 측의 두께(t3)보다 후방 측의 두께(t4)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에 절곡 형상의 단차부(P2)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제1 수직 격벽부(553)는 상,하측 내벽부(551, 552)의 각 전방 측을 상호 연결한다. 상기 수평 내벽부(554)는 상,하측 내벽부(551, 552) 사이에서 제1 수직 격벽부(553)의 중앙부 측에 전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원형 내벽부(555)는 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 내벽부(554)의 중앙부 측에 형성된다.
상기 수직 내벽부(557)는 수평 내벽부(554)의 후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며, 외벽체(510)의 후측 외벽부(512)와 일정 간격(L)을 두고 배치되고, 수평 내벽부(554)의 두께(t5)보다 두꺼운 두께(t6)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수직 격벽부(559)는 상,하측 내벽부(551, 552)와 상,하측 외벽부(513, 514)의 중앙부 측을 각각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500)에 의하면, 전방 충돌에 의한 충격력(F)에 의해 외벽체(510) 및 내벽체(550)가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등의 순차적인 붕괴 패턴을 구현함에 따라 충돌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벽체(550)의 제1 수직 격벽부(553)는 수평 내벽부(554)에 의해 변형되면서 전체 내벽체(550)의 변형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제2 수직 격벽부(559)는 외벽체(510)의 상,하측 외벽부(513, 514)가 상하 외측으로 변형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스태이(100)의 충격 흡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5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붕괴 패턴 등)은 전기 실시예들과 같거나 유사하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외벽체 11, 12... 전,후측 외벽부
13, 14... 상,하측 외벽부 50... 내벽체
51, 52... 상,하측 내벽부 55... 수직 내벽부
251, 554... 수평 내벽부 252, 555... 원형 내벽부
553, 559... 수직 격벽부
13, 14... 상,하측 외벽부 50... 내벽체
51, 52... 상,하측 내벽부 55... 수직 내벽부
251, 554... 수평 내벽부 252, 555... 원형 내벽부
553, 559... 수직 격벽부
Claims (10)
- 차량용 범퍼 스태이에 있어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후측 외벽부와, 상기 전,후측 외벽부의 각 상단부와 각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하측 외벽부를 포함하는 외벽체; 및
상기 상,하측 외벽부 사이에서 상기 전측 외벽부의 상측과 하측에 전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상,하측 내벽부와, 상기 상,하측 내벽부의 각 후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직 내벽부를 포함하는 내벽체;
를 포함하며,
상기 내벽체의 수직 내벽부는 상기 외벽체의 후측 외벽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상,하측 내벽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전측 외벽부는 상하방향 단면 폭이 상기 후측 외벽부의 상하방향 단면 폭보다 작게 구비되고,
상기 상,하측 외벽부는 전방 측보다 후방 측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에 절곡 형상의 단차부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내벽부는,
상기 전측 외벽부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내벽부는,
상기 전측 외벽부의 상측과 하측에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전방 측보다 후방 측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고, 중앙부 일측에 절곡 형상의 단차부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 제1 항 내지 제3 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측 외벽부는,
각 상하방향 단부에 연장하여 일체로 압출 성형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내벽부는,
상하방향 단부에 연장하여 일체로 압출 성형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 차량용 범퍼 스태이에 있어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후측 외벽부와, 상기 전,후측 외벽부의 각 상단부와 각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하측 외벽부를 포함하는 외벽체; 및
상기 상,하측 외벽부 사이에서 상기 전측 외벽부의 중앙부 측에 전단부가 연결되는 수평 내벽부와, 상기 수평 내벽부의 중앙부 측에 형성되는 원형 내벽부와, 상기 수평 내벽부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수직 내벽부를 포함하는 내벽체;
를 포함하며,
상기 내벽체의 수직 내벽부는 상기 외벽체의 후측 외벽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수평 내벽부와 동일한 두께로서 형성되며,
상기 전측 외벽부는 상하방향 단면 폭이 상기 후측 외벽부의 상하방향 단면 폭보다 작게 구비되고,
상기 상,하측 외벽부는 전방 측보다 후방 측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에 절곡 형상의 단차부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측 외벽부는,
각 상하방향 단부에 연장하여 일체로 압출 성형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 차량용 범퍼 스태이에 있어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후측 외벽부와, 상기 전,후측 외벽부의 각 상단부와 각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하측 외벽부를 포함하는 외벽체; 및
상기 상,하측 외벽부 사이에서 상기 전,후측 외벽부의 각 상측과 각 하측을 상호 연결하는 상,하측 내벽부와, 상기 상,하측 내벽부의 각 전방 측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수직 격벽부와, 상기 제1 수직 격벽부의 중앙부 측에 전단부가 연결되는 수평 내벽부와, 상기 수평 내벽부의 중앙부 측에 형성되는 원형 내벽부와, 상기 수평 내벽부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수직 내벽부를 포함하는 내벽체;
를 포함하며,
상기 내벽체의 수직 내벽부는 상기 외벽체의 후측 외벽부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수평 내벽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전측 외벽부는 상하방향 단면 폭이 상기 후측 외벽부의 상하방향 단면 폭보다 작게 구비되고,
상기 상,하측 외벽부는 전방 측보다 후방 측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에 절곡 형상의 단차부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상,하측 내벽부는 전방 측보다 후방 측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중앙부 일측에 절곡 형상의 단차부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체는,
상기 상,하측 내벽부와 상기 상,하측 외벽부의 중앙부 측을 각각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직 격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 제1 항, 제6 항 및 제8 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체 및 내벽체는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여 압출 성형되는 압출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4330A KR20160068498A (ko) | 2014-12-05 | 2014-12-05 | 차량용 범퍼 스태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4330A KR20160068498A (ko) | 2014-12-05 | 2014-12-05 | 차량용 범퍼 스태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8498A true KR20160068498A (ko) | 2016-06-15 |
Family
ID=56135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4330A KR20160068498A (ko) | 2014-12-05 | 2014-12-05 | 차량용 범퍼 스태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68498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14793A (ko) | 1991-01-24 | 1992-08-25 | 아더 엠. 킹 | 에틸렌형 불포화 환상 오르토 에스테르 |
-
2014
- 2014-12-05 KR KR1020140174330A patent/KR2016006849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14793A (ko) | 1991-01-24 | 1992-08-25 | 아더 엠. 킹 | 에틸렌형 불포화 환상 오르토 에스테르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8752B1 (ko) | 스몰 오버랩 충돌대응 차체보강구조 | |
KR101713724B1 (ko) | 전방 차체 구조 | |
KR101755461B1 (ko) | 전방 차체 구조 | |
KR102194218B1 (ko) | 자동차용 범퍼 빔 | |
KR20130066349A (ko) | 차량용 튜블러 백빔 | |
KR102691483B1 (ko) | 차량의 전방 지지체 | |
JP2016120875A (ja) | 車両後部構造 | |
JP6134972B2 (ja) | バンパー構造 | |
KR20160068498A (ko) | 차량용 범퍼 스태이 | |
KR101689581B1 (ko) |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 |
KR101435418B1 (ko) | 차량용 범퍼빔 | |
JP2022154504A (ja) | 車両の衝撃吸収構造 | |
KR101057986B1 (ko) | 차량용 범퍼유닛 | |
KR101055770B1 (ko) | 차량용 범퍼빔 유닛 | |
KR101910872B1 (ko) |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 |
KR101594489B1 (ko) |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 |
KR101087983B1 (ko) | 차량용 범퍼 스태이 | |
KR102054508B1 (ko) | 차량용 범퍼 스테이 및 그를 이용한 범퍼빔 유닛 | |
JP2022182904A (ja) | 車両の衝撃吸収構造 | |
JP6178697B2 (ja) | 衝撃吸収部材 | |
KR101198603B1 (ko) | 차량용 크래쉬 박스 | |
KR20130006095A (ko) | 차량용 범퍼 스테이 유닛 | |
KR20200074318A (ko) |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 | |
KR100492633B1 (ko) | 차량용 일체형 범퍼빔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20126427A (ko) | 차량용 범퍼 스테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