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220A - 압연 소재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압연 소재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220A
KR20160068220A KR1020140173633A KR20140173633A KR20160068220A KR 20160068220 A KR20160068220 A KR 20160068220A KR 1020140173633 A KR1020140173633 A KR 1020140173633A KR 20140173633 A KR20140173633 A KR 20140173633A KR 20160068220 A KR20160068220 A KR 20160068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rising
roller table
contact
rolle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1116B1 (ko
Inventor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73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1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치대 상에 적치된 압연 소재를 롤러 테이블 상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롤러 테이블에 대하여 왕복이동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일면에 위치되어 상기 롤러 테이블을 향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승부; 상기 헤드부와 상기 상승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승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상승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상승부의 일면에 위치되고, 상기 헤드부가 왕복이동할 때 상기 압연 소재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압연 소재 이송 장치는 압연 소재를 이송하기 위하여 압연 소재에 접촉될 때의 충격을 감소시키고 압연 소재의 이송 이후에 안정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연 소재 이송 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ROLLING MATERIALS}
본 발명은 압연 소재를 롤러 테이블로 이송시키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연 소재의 이송 및 이송 이후 복귀에 따른 압연 소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에서 가열로(reheating furnace)는 통상 연주공정을 통해 생산된 슬래브 등과 같은 압연 소재를 후공정인 열간압연에 투입되기 전에 압연 공정에 적합한 온도로 소재를 가열하는 설비이다.
또한, 슬래브 등과 같은 압연 소재는 가열로로 장입되기 이전에 적당한 크기, 즉, 폭과 길이로 절단된다. 이렇게 절단된 상태로 압연 소재는 처리 장치에 의해 롤러 테이블로 추출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압연 소재 이송 장치(10)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압연 소재 이송 장치(10)는 헤드부(11) 및 구동부(12)로 이루어진다. 적치대(20) 상에 압연 소재(S)가 적치된다. 이때, 압연 소재 이송 장치(10)에서 헤드부(11)가 구동부(12)의 작동으로 압연 소재(S)와 접촉하도록 롤러 테이블(30)을 향하여 이동하면, 적치대(20) 상부에 안착된 압연 소재(S)는 이동하는 헤드부(11)에 접촉된 상태로 롤러 테이블(30) 상으로 유도된다. 롤러 테이블(30) 상에 위치된 압연 소재(S)는 롤러 테이블(30)에 의한 이송 방향을 따라 가열로(40)로 장입될 수 있다.
한편, 압연 소재 이송 장치가 압연 소재를 이송하기 위하여, 압연 소재 이송 장치의 헤드부가 압연 소재에 접촉될 때, 충격이 압연 소재에 가해져 압연 소재의 손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압연 소재가 롤러 테이블 상에 유도된 이후에, 압연 소재 이송 장치에서 헤드부가 구동부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때, 헤드부가 적치대 상에 위치된 압연 소재에 걸려 압연 소재를 하측으로 낙하시키기도 한다. 이로 인해, 압연 소재 이송 장치에 따른 설비의 손상 및 안전 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설비의 손상 및 안전 사고로 인한 공정이 지연되기도 한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34866호(발명의 명칭: 슬라브 이송장치) 등을 통해 다양한 압연 소재 이송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압연 소재의 이송 및 이후 복귀에 따른 위험을 해소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은 압연 소재를 이송하기 위하여 압연 소재에 접촉될 때의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연 소재의 이송 이후에 안정적으로 복귀할 수 있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적치대 상에 적치된 압연 소재를 롤러 테이블 상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롤러 테이블에 대하여 왕복이동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일면에 위치되어 상기 롤러 테이블을 향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승부; 상기 헤드부와 상기 상승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승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상승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상승부의 일면에 위치되고, 상기 헤드부가 왕복이동할 때 상기 압연 소재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의 하면은 상기 롤러 테이블을 향할수록 점점 하측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헤드부의 하면 및 상기 상승부의 하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가 상기 압연 소재를 상기 롤러 테이블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롤러 테이블을 향하여 이송할 때, 상기 접촉부의 일면이 상기 압연 소재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압연 소재가 롤러 테이블에 이송된 이후에 상기 헤드부가 상기 롤러 테이블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때, 상기 접촉부의 하면이 상기 압연 소재에 접촉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상승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롤이 상기 헤드부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롤러 테이블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왕복이동하는 헤드 몸체부; 및 상기 헤드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 몸체부를 왕복이동시키는 헤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헤드 몸체부의 일면으로부터 헤드 연결부가 연장되고 상기 헤드 연결부 상에는 제 1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승부의 타면에는 상기 헤드 연결부와 대응되는 상승 연결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승 연결부 상에는 제 2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연결홀 및 상기 제 2 연결홀은 체결부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와 상기 상승 연결부는 상호 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홀 및 상기 제 2 연결홀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좌우 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더 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 1 연결홀의 좌우 방향 크기 또는 상기 제 2 연결홀의 좌우 방향 크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헤드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롤러 테이블을 향하여 일부분이 구부러진 상승 지지부; 및 상기 상승 지지부의 구부러진 부분과 상기 상승부를 연결하여, 상기 상승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승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압연 소재 이송장치는, 상기 접촉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압연 소재에 직접 접촉되고, 상기 얍연소재에 접촉될 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는 완충 샤프트부; 상기 완충 샤프트부의 일종단이 삽입되고, 상기 완충 샤프부의 일종단부 상에 이동가능하며, 상기 압연 소재에 접촉되는 완충 몸체부; 및 상기 완충 샤프트부 상에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완충 몸체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완충 몸체부가 상기 압연 소재에 접촉되어 상기 접촉부를 향하여 이동할 때 압축되는 완충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 소재 이송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에 따른 압연 소재 이송 장치는 헤드부, 상승부, 구동부 및 접촉부를 포함하여, 적치대 상에 적치된 압연 소재를 롤러 테이블 상으로 유도한다. 헤드부는 롤러 테이블에 대하여 왕복이동가능한 구성이고, 헤드부의 일면에는 상승부가 설치된다. 또한, 접촉부는 상승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상승부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승부와 함께 구동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헤드부가 롤러 테이블을 향하여 이동하여 접촉부가 적치대 상의 압연 소재에 접촉되고 계속해서 롤러 테이블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압연 소재를 롤러 테이블 상으로 유도된다. 한편, 압연 소재가 롤러 테이블 상에 유도된 이후에, 헤드부는 롤러 테이블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이때, 상승부는 구동부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접촉부의 하면은 롤러 테이블을 향할수록 점점 하측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유도롤을 갖는다. 헤드부는 롤러 테이블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때, 적치대 상의 압연 소재는 접촉부의 하면과 접촉되더라도, 접촉부는 상승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한다. 이로 인해, 헤드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때, 압연 소재는 압연 소재의 이송 장치, 특히 접촉부와 접촉되더라도 적치대로부터 낙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압연 소재 이송 장치는 안전하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안정적으로 적치대 상의 압연 소재 이송을 구현하는 효과를 갖는다.
(2) 본 발명에 따른 압연 소재 이송 장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한다. 완충부는 접촉부의 일면에 형성된다. 헤드부가 롤러 테이블을 향하여 이동할 때, 완충부는 접촉부와 압연 소재 사이에 위치되고 압연 소재에 직접 접촉된다. 이때, 압연 소재의 이송을 위한 접촉부와 압연 소재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이 완충부에 의해 흡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압연 소재 이송 장치는 완충부에 의해 접촉부와 압연 소재의 접촉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압연 소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원활한 공정을 구현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압연 소재 이송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연 소재 이송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압연 소재 이송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압연 소재 이송 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연 소재 이송 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압연 소재 이송 장치(100)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압연 소재 이송 장치(100)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또한, 도 4에서 (a)는 압연 소재(S)를 롤러 테이블(30)로 이송할 때 압연 소재 이송 장치(100)의 작동 모습이고, (b)는 압연 소재(S)를 롤러 테이블(30)로 이송한 이후에 복귀할 때 압연 소재 이송 장치(100)의 작동 모습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연 소재 이송 장치(100)는 헤드부(101), 상승부(102), 구동부(103) 및 접촉부(104)를 포함하여, 적치대(20) 상에 위치된 압연 소재(S)를 롤러 테이블(30) 상으로 이송하는 데에 이용된다. 이때, 적치대(20)는 롤러 테이블(3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헤드부(101)는 롤러 테이블(21)에 대하여 왕복이동하여, 롤러 테이블(30)을 향하여 이동하기도 하고(도 4의 (a) 참조), 롤러 테이블(3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기도 한다(도 4의 (b) 참조). 특히, 헤드부(101)는 롤러 테이블(30)을 향하여 이동할 때 적치대(20) 상에 적치된 압연 소재(S)를 롤러 테이블(30) 상으로 유도한다. 또한, 헤드부(101)는 헤드 몸체부(111) 및 헤드 구동부(113)를 포함한다.
헤드 몸체부(111)는 롤러 테이블(30)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왕복이동한다.
헤드 구동부(113)는 헤드 몸체부(111)에 연결되어 헤드 몸체부(111)를 왕복 이동시킨다. 즉, 헤드 몸체부(111)는 헤드 구동부(113)에 의해 이동한다. 또한, 헤드 구동부(113)는 구동 래크기어부(113a), 구동 피니언기어부(113b) 및 구동 동력부(113c)를 포함한다.
구동 래크기어부(113a)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헤드 몸체부(111)에 연결된다. 구동 래크기어부(113a)에는 헤드 몸체부(111)의 이동방향에 따라 기어톱니들이 형성된다. 즉, 구동 래크기어부(113a)는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구동 피니언기어부(113b)는 외주면에 기어 톱니들이 형성된 원통 형상이고, 구동 래크기어부(113a)의 일부와 맞물린다. 구동 피니언기어부(113a)는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구동 래크기어부(113b)를 롤러 테이블(30)에 대하여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즉, 구동 피니언기어부(113b)의 회전운동은 구동 래크기어부(113a)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이때, 헤드 몸체부(111)는 구동 래크기어부(113a)와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구동 동력부(113c)는 구동 피니언기어부(113b)에 연결되어 동력을 구동 피니언기어부(113b)에 공급한다. 구동 동력부(113c)는 구동 피니언기어부(113b)의 회전축을 제공하고, 구동 피니언기어부(113b)를 회전시킨다. 구동 피니언기어부(113b)는 구동 동력부(113c)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구동 래크기어부(113a)를 이동시켜, 헤드 몸체부(111)를 왕복 이동시킨다. 이때, 구동 동력부(113c)는 모터 형태로 이루어져 동력을 공급한다.
상승부(102)는 헤드부(101), 특히 헤드 몸체부(111)의 일면에 위치되어 롤러 테이블(30)을 향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한편, 헤드부(101), 특히 헤드 몸체부(111)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연결부(101a)가 형성되고, 헤드 연결부(101a) 상에는 제 1 연결홀(101b)이 형성된다. 또한, 상승부(102)에는 헤드 연결부(101a)에 상응하도록 상승 연결부(102a)가 형성되고, 상승 연결부(102a) 상에는 제 2 연결홀(102b)이 형성된다. 제 2 연결홀(102b)은 제 1 연결홀(101b)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체결부(110)는 제 1 연결홀(101b) 및 제 2 연결홀(102b)을 동시에 관통하여 헤드 연결부(101a) 및 상승 연결부(102a)는 상호 간에 연결된다. 이때, 제 1 연결홀(101b) 및 제 2 연결홀(102b)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좌우방향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더 크고, 체결부(110)는 제 1 연결홀(101b)의 좌우방향 크기 및 제 2 연결홀(102b)의 좌우 방향 크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헤드부(101)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승부(10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헤드부(101) 및 상승부(102)는 분리되지 아니한다.
구동부(103)는 헤드부(101)와 상승부(102)를 연결하고, 상승부(10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구동부(103)는 상승 지지부(131) 및 상승 구동부(133)를 포함한다.
상승 지지부(131)는 헤드부(101)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롤러 테이블(30)을 향하여 구부러진다.
상승 구동부(133)는 상승 지지부(131)의 구부러진 부분과 상승부(102)를 연결하고, 상승부(10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승 구동부(133)는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져, 상승 지지부(131)에 고정된 상태로 상승부(102)의 상하 방향 이동을 구현한다.
접촉부(104)는 상승부(10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승부(102)의 일면에 위치된다. 헤드부(101)가 왕복이동할 때 접촉부(104)는 압연 소재(S)에 접촉된다. 예를 들어, 헤드부(101)가 롤러 테이블(30)을 향하여 이동할 때, 접촉부(104)의 일면이 압연 소재(S)에 접촉된다. 또한, 헤드부(101)가 롤러 테이블(3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때, 접촉부(104)의 하면이 적치대(20)에 접촉된다. 이때, 접촉부(104)는 상승부(102)의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승부(102)의 상단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접촉부(104)의 하면은 롤러 테이블(30)을 향할수록 점점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헤드부(101)의 하면 및 상승부(102)의 하면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헤드부(101)가 압연 소재(S)를 롤러 테이블(30)로 이송하기 위하여 이동할 때, 접촉부(104)의 하면, 특히 최하단은 적치대(20)의 상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촉부(104)의 일면은 적치대(20) 상에 위치된 압연 소재(S)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헤드부(101)는 롤러 테이블(21)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압연 소재(S)에 접촉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압연 소재(S)를 롤러 테이블(21)을 향하여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압연 소재(S)가 롤러 테이블(30)로 유도된 이후에, 헤드부(101)가 롤러 테이블(3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때, 접촉부(104)의 하면은 적치대(20) 상의 이송될 압연 재료(S)에 접촉되지 않도록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구동부(103)는 상승부(102)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접촉부(104)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한다.
하지만, 접촉부(104)의 하면이 적치대(20) 상의 이송될 압연 재료(S)에 접촉되기도 한다. 이때, 접촉부(104)는 헤드부(101)의 이동 방향과 반대로 상승부(102)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한다. 이로 인해, 적치대(20) 상의 이송될 압연 재료(S)는 헤드부(101)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하지 않고 적치대(20) 상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압연 재료 이송 장치(100)에서 헤드부(101)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할 때, 압연 재료(S)가 접촉부(104)와의 접촉으로 인해 헤드부(10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적치대(20)로부터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04)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롤(141)이 설치된다. 유도롤(141)은 헤드부(101)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된다. 또한, 복수 개의 유도롤(141)들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유도롤(141)들이 직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압연 소재(S)와 접촉부(104)의 하면의 접촉이 이루어질 때, 유도롤(141)은 압연 소재(S)와 접촉부(104)의 하면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마찰로 인한 압연 소재(S) 또는 접촉부(104)의 마모가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압연 소재 이송 장치(100)는 완충부(105)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완충부(105)는 접촉부(104)의 일면에 형성된다. 헤드부(101)가 롤러 테이블(30)을 향하여 이동할 때, 완충부(105)는 접촉부(104)와 압연 소재(S) 사이에 위치되고 압연 소재(S)에 직접 접촉된다. 이때, 접촉부(104)와 압연 소재(S)의 접촉으로 인해 생성되는 충격이 완충부(105)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완충부(105)는 완충 샤프트부(151), 완충 몸체부(153) 및 완충 탄성부(155)를 포함한다.
완충 샤프트부(151)는 접촉부(104)로부터 연장되고, 바아(bar)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완충 몸체부(153)는 완충 샤프트부(151)의 일종단이 삽입되고, 완충 샤프트부(151)의 일단부 상에서 이동가능하다. 완충 샤프트부(151)의 일종단은 완충 몸체부(153)를 통해 돌출되지 아니한다. 완충 몸체부(153)는 압연 소재(S)에 접촉되고, 연성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완충 탄성부(155)는 완충 샤프트부(151) 상에서 접촉부(104)와 완충 몸체부(153)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완충 탄성부(155)의 양종단은 각각 접촉부(104) 및 완충 몸체부(153)에 지지된다. 몸체부(101)가 롤러 테이블(30)을 향하여 이동하고, 완충 몸체부(153)가 압연 소재(S)에 접촉되면 완충 탄성부(155)는 압축된다. 이로 인해, 압연 소재(S)와 완충 몸체부(153)의 접촉에 있어, 완충 탄성부(155)는 완충 몸체부(153)와 조합하여 접촉에 따른 충격을 흡수한다. 이로 인해, 압연 소재 이송 장치(100)를 이용하여 압연 소재(S)가 롤러 테이블(30)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압연 소재(S)가 압연 소재 이송 장치(100)와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충격으로 인해 헤드부(101), 특히 헤드 구동부(113)의 손상이 방지되어 안정적이면서 지속적인 압연 소재(S)의 이송이 구현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압연 소재 이송 장치
101: 헤드부
111: 헤드 몸체부
113: 헤드 구동부
102: 상승부
103: 구동부
131: 상승 지지부
133: 상승 구동부
104: 접촉부
105: 완충부
151: 완충 샤프트부
153: 완충 몸체부
155: 완충 탄성부

Claims (10)

  1. 적치대 상에 적치된 압연 소재를 롤러 테이블 상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롤러 테이블에 대하여 왕복이동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일면에 위치되어 상기 롤러 테이블을 향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승부;
    상기 헤드부와 상기 상승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승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상승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상승부의 일면에 위치되고, 상기 헤드부가 왕복이동할 때 상기 압연 소재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하면은 상기 롤러 테이블을 향할수록 점점 하측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헤드부의 하면 및 상기 상승부의 하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상기 압연 소재를 상기 롤러 테이블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롤러 테이블을 향하여 이송할 때, 상기 접촉부의 일면이 상기 압연 소재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압연 소재가 롤러 테이블에 이송된 이후에 상기 헤드부가 상기 롤러 테이블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때, 상기 접촉부의 하면이 상기 압연 소재에 접촉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상승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롤이 상기 헤드부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롤러 테이블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왕복이동하는 헤드 몸체부; 및
    상기 헤드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 몸체부를 왕복이동시키는 헤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몸체부의 일면으로부터 헤드 연결부가 연장되고 상기 헤드 연결부 상에는 제 1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승부의 타면에는 상기 헤드 연결부와 대응되는 상승 연결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승 연결부 상에는 제 2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연결홀 및 상기 제 2 연결홀은 체결부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와 상기 상승 연결부는 상호 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홀 및 상기 제 2 연결홀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좌우 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더 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 1 연결홀의 좌우 방향 크기 또는 상기 제 2 연결홀의 좌우 방향 크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헤드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롤러 테이블을 향하여 일부분이 구부러진 상승 지지부; 및
    상기 상승 지지부의 구부러진 부분과 상기 상승부를 연결하여, 상기 상승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승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 소재 이송장치는,
    상기 접촉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압연 소재에 직접 접촉되고, 상기 얍연소재에 접촉될 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는 완충 샤프트부;
    상기 완충 샤프트부의 일종단이 삽입되고, 상기 완충 샤프부의 일종단부 상에 이동가능하며, 상기 압연 소재에 접촉되는 완충 몸체부; 및
    상기 완충 샤프트부 상에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완충 몸체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완충 몸체부가 상기 압연 소재에 접촉되어 상기 접촉부를 향하여 이동할 때 압축되는 완충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소재 이송 장치.
KR1020140173633A 2014-12-05 2014-12-05 압연 소재 이송 장치 KR101651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633A KR101651116B1 (ko) 2014-12-05 2014-12-05 압연 소재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633A KR101651116B1 (ko) 2014-12-05 2014-12-05 압연 소재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220A true KR20160068220A (ko) 2016-06-15
KR101651116B1 KR101651116B1 (ko) 2016-08-25

Family

ID=5613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633A KR101651116B1 (ko) 2014-12-05 2014-12-05 압연 소재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1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026B1 (ko) * 2006-10-12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브 추출기
KR101242957B1 (ko) * 2009-11-10 2013-03-12 주식회사 포스코 판재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026B1 (ko) * 2006-10-12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브 추출기
KR101242957B1 (ko) * 2009-11-10 2013-03-12 주식회사 포스코 판재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116B1 (ko)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4261B2 (ja) ワーク用の搬送装置
US9469486B2 (en) Right angle transfer
CN103754635A (zh) 配合升降机使用的输送线限位装置及使用该装置的输送线
KR101932907B1 (ko) 공급 및 로딩 유닛
CN102730393B (zh) 钢筋输送机构中的托起移送装置
JP7058453B2 (ja) ロボット装置
KR101651116B1 (ko) 압연 소재 이송 장치
KR101708860B1 (ko) 이송 시스템 및 그 이송 방법
CN103964248A (zh) 集装箱角柱生产线的自动翻面装置
CN205293987U (zh) 一种可调节瓦楞纸箱包装输送限位机构
KR100760466B1 (ko) 형강재의 이송 정렬장치
JP2012188269A (ja) 選別装置
CN208683856U (zh) 一种带侧板能升降的输送平台装置
KR20140110143A (ko) 파렛트 크레인
JP6671119B2 (ja) ワーク搬送装置
KR101611719B1 (ko)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단기
KR102540507B1 (ko) 마사지모듈 이송용 이중롤러 가이드장치
KR101622278B1 (ko) 이송물 적재장치
JP5805241B2 (ja) 台枠ローラー浮かせ工具
JP6086073B2 (ja) 搬送装置
JP2016016929A (ja) 搬送装置
JP2011157193A (ja) リフト装置
KR101315828B1 (ko) 실린더방식의 롤러 이격장치가 구비된 롤러기
KR101746989B1 (ko) 소재 이송 장치
JPH02158512A (ja) 棒鋼先端揃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