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188A -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188A
KR20160068188A KR1020140173570A KR20140173570A KR20160068188A KR 20160068188 A KR20160068188 A KR 20160068188A KR 1020140173570 A KR1020140173570 A KR 1020140173570A KR 20140173570 A KR20140173570 A KR 20140173570A KR 20160068188 A KR20160068188 A KR 20160068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path
belt
conveying path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1750B1 (ko
Inventor
임용일
Original Assignee
임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일 filed Critical 임용일
Priority to KR102014017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7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8Crossing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종의 육묘를 위하여, 육묘판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건 발명은, 온실에서 키워진 모종이 온실에서 연결로를 통해, 육묘장 좌우 양단에 형성된 제1 컨베이어 이송로나 제2 컨베이어 이송로 이송되고, 이 후 육묘장 내측으로 정확하게 이송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방향전환유닛을 통해서 트렌스 구조체의 내측 제3 컨베이어 이송로를 타고 이동하며, 정확한 착지점에 이르러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서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transfer device of flate to rise seed}
본 발명은 모종의 육묘를 위하여, 육묘판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건 발명은, 온실에서 키워진 모종이 온실에서 연결로를 통해, 육묘장 좌우 양단에 형성된 제1 컨베이어 이송로나 제2 컨베이어 이송로 이송되고, 이 후 육묘장 내측으로 정확하게 이송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방향전환유닛을 통해서 트렌스 구조체의 내측 제3 컨베이어 이송로를 타고 이동하며, 정확한 착지점에 이르러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서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판은 육묘를 위한 배지를 칭하는 것으로, 모의 이앙 작업시 반드시 필요한 모종을 기르는 배지이다.
모내기 작업은 수작업이 많은 작업의 일종인데, 논에 모를 심는 봄철에는 모종을 논에 심는 파종의 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즉, 일정한 크기로 모종을 자라게 하고, 어느 정도 육성되어 자생능력을 기른 상태의 모종만을 논에 이앙하는 방식으로 농사는 시작된다.
즉, 논에 모를 이앙하기 위해서는, 육묘장이라는 모종을 일정한 기간동안 키우는 장소에서 정해진 방식에 따라 키워진다. 이 건 발명은 바로 이 모종에 자생력을 키우는 기간동안 키우는 육묘장에 설치된 모판의 이송장치, 모판의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간단하게 육묘장의 작업방식을 살펴보면, 도시된 도 1에서처럼(국내특허 제10-2000-0040895호; 벼의 상토절약형 상자육묘방법과 육묘상자) 모판에 모종을 심고나서, 이를 온실에 넣어 불빛이 차단된 환경으로 약 8일을 키우게 된다. 온도조건은 약 36-40℃이다. 기간이 지나면, 모종은 노란색으로 색깔이 변화되고, 이 상태에서 차폐된 공간, 차광방으로 빼내여 상온으로 물만을 투입하며 3-6일을 키우게 된다. 이후에는 다소 녹색 빛이 도는 새싹으로 모종이 변화되고, 이후 육묘장으로 빼내어 태양광 속에서 약 4-8일간의 자생 기간을 지내고 모는 보다 건강하게 자라게 된다. 태양광을 받은 모는 도시된 도 1의 모판 내측에 안착된 상태로 육묘장에 깔리게 되는데, 육묘장은 사실상 논 바닥과 동일하다. 차곡차곡 일렬로 깔린 모판 위에 모종은 태양광을 통해서 보다 건강하게 자라고, 이 후 각각의 농가는 이를 구매하여 자신의 논에 이앙하여, 한해를 키우며 벼로 성장시키고, 이후 쌀을 생산한다.
종래의 대다수의 육묘장은 온실에서, 육묘를 하는 작업을 위해서 물을 공급하는 작업과 빛을 차단하는 작업이 주요하게 이루어지며, 태양광을 쏘이기 위해서는 온실 내측의 육묘판을 외부 육묘장으로 빼내는 작업이 주요하게 이루어진다. 이 작업은 상당히 고되다. 일일이 육묘판을 빼내어 하나씩 펼쳐 육묘장에 깔아야 한다. 사실 겹쳐서 이동시키기엔 모종이 죽고, 겹쳐서 깔 수 없기에 모든 육묘판을 나르는데에는 사람의 수작업만이 사용된다. 기존의 자동화된 시설이 있기는 하지만 이송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된다. 이송 중에 하나만 자신의 속도를 잃게되면, 연속되어 부딪치고, 다른 육묘판의 이송을 방해하여 마치 도미노처럼 적체되고 파손된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 건 발명이 창안되었다.
국내특허 제10-2000-0040895호
본 발명은 모종의 육묘를 위하여, 육묘판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이 건 발명은, 온실에서 키워진 모종이 온실에서 연결로를 통해, 육묘장 좌우 양단에 형성된 제1 컨베이어 이송로나 제2 컨베이어 이송로 이송되고, 이 후 육묘장 내측으로 정확하게 이송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방향전환유닛을 통해서 트렌스 구조체의 내측 제3 컨베이어 이송로를 타고 이동하며, 정확한 착지점에 이르러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서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는, 모종(6)을 이앙하기 위한 육묘장(8)의 논의 좌우 양단 논두렁에 레일의 형태로 장착되는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와 제2 컨베이어 이송로(20); 상기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의 하단 즉, 육묘장(8)의 지면(7-1) 하단에 설치되는 레일(19); 상기 육묘장(8)의 좌우 양단에 장착된 레일(19)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하되, 상기 상기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와 제2 컨베이어 이송로(20)를 연결하는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를 내부에 설치하고, 육묘장(8)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모판(7) 이송, 전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렌스 구조체(T); 상기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와 연결되어, 온실(H)의 내측의 1차 육묘된 육묘판(5)을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로 전달하는 연결로(80);로 이루어져, 온실 내측의 1차 육묘된 육묘판(5)을 컨베이어 벨트(12)로 이송시켜, 육묘장(8)의 내측에서 3차 육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는, 컨베이어 벨트(12)를 통해서 육묘판(5)을 이송시키기 위한 제1, 2,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와 연결로(80)는, 좌우 양단에 길게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한 라인 형상으로 설치되는 레일프레임(15); 상기 레일프레임(15) 내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는 벨트롤(11); 상기 벨트롤(11)의 외주면을 돌아 레일프레임(15)과 같은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벨트롤(11)을 감싸고 도는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12); 레일프레임(15)의 길이에 따라 일정한 조합을 통해서 컨베이어 벨트(12)가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구동모터(M), 체인 및 스프로켓(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M)가 일측의 벨트롤(11)을 회전시키면, 일측의 벨트롤(11)은 회전하며, 외주면에 감긴 컨베이어 벨트(12)를 연동하여 상단에 안착되는 육묘판(5)을 소망하는 장소로 이동시키고 : 내측에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가 안착되는 트렌스 구조체(T)는, 다수의 수직프레임(22)과 수평프레임(21)으로 연결되어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를 연결하는 다리로 설치하되, 좌우 양단의 하단 다리프레임(25)에 일체화된 대차(26) 이송롤(38)이 레일(19)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하여; 동력발생부(KT)가 회동모터(31)를 작동시키면, 이송롤(38)이 회전하여 레일(19)을 타고 트렌스 구조체(T)가 육묘장 내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 동력발생부(KT)는, 트렌스 구조체(T)에 장착되는 회동모터(31)의 축에 일체된 제1 스프로켓(32)과; 트렌스 구조체(T)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다수의 베어링(35)에 끼인 상태로 결합된 회전 샤프트(36); 상기 회전 샤프트(36)의 중심부 모터 하단에서 회전 샤프트(36)에 체결된 제2 스프로켓(33)과 양측단에서 샤프트를 감싸며 일체로 체결된 끝단스프로켓(32-1)과 이에 대응하는 제3 스프로켓(33-1)을 체결한 이송롤축(37);이 결합하되, 상기 제1 스프로켓(32)과 제2 스프로켓(33)의 외주면을 감고 체결된 체인(34)과, 상기 이송롤축(37)에 체결된 제3 스프로켓(33-1)과 끝단스크로켓(32-1)의 외주면을 감고 체결된 체인(34)이 서로 결합하여; 상기 회동모터(31)가 회전하면, 회전 샤프트(36)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은 체인(34)을 통해서 이송롤(38)을 회전시켜, 트렌스 구조체(T)가 레일(19)을 타고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에 따른, 트렌스 구조체(T)에는, 그 좌우 양단 즉,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의 상부로 안착되어 제3 컨베이어 이송로 도입부 상단에 미치는 범위까지(=B지점)에는 모판(7) 운동 변환을 위한 방향전환유닛(K)을 설치하고; 상기 방향전환유닛(K)는, 실질적으로 트렌스 구조체(T)와 일체화되며; "T"자 코스의 이동로를 가져, 방향전환유닛(K)을 타고 이동하는 모판(7)은 3방향의 운동전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 상기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와 제2 컨베이어 이송로(20)의 일측단으로는 지면에서 테이퍼지게 상승하고 수평하게 늘어서는 별도의 레일프레임(15)을 통해 이루어진 테이퍼이송로(70)와 수평이송로(71)를 깔고;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설치되는 벨트롤(11)과, 그 외주면을 돌아 레일프레임(15)과 같은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벨트롤(11)을 감싸고 도는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12)를 형성하여; 모판(7)을 상차시 보다 용이하게 운송될 수 있도록 하며 : 온실(H)의 내측의 1차 육묘된 육묘판(5)을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로 전달하는 연결로(80)의 끝단(=A지점)은, 컨베이어 벨트(12)를 감지 않은 공회전롤(151)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에도, 모판(7)을 수직하게 받는 간격 안에 공회전을 위한 별도의 대응공회전롤(152)과 벨트롤(11)을 같이 형성하며; 모판(7)의 하단 일측에서 컨베이어 벨트(12)가 회동함에 편심되게 회전하던 모판(7)의 일측면을 잡아 90° 각도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롤링바(158)를 형성하며; 연결로(80)에서 90° 각도 전환하여,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를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모종을 육묘하기 위한 모든 작업이 전자동화되어, 사실상 수작업을 없앤 혁신적인 전자동 육묘장 이송장치라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가 이리 저리 연결되어 방향이 전환되는 운동이 발생되어도, 항상 이송 중인 모판의 적체나 밀리는 현상이 없어, 이송이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트렌스 구조체의 내측에 별도로 깔린 제3 컨베이어 벨트이송로를 이용하여 육묘장의 정확한 위치에 육묘판을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질적으로 작업자는 모판을 들고 내려놓는 작업만을 수행하면 될 수 있도록 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트렌스 구조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트렌스 구조체를 정면에서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트렌스 구조체의 세부적인 구성요소를 살피는 요부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트렌스 구조체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연결로의 일부분(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결로에서 이동되는 모판의 이송방식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트렌스 구조체에 결합되는 방향전환유닛의 요부를 확대하여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테이퍼이송로와 수평이송로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육묘장에 설치되는 이송장치,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동의 설명을 도시된 도 2 내지 도 10을 통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도 2에서처럼 본 발명은 모종(6)을 이앙하기 위한 육묘장(8)의 논의 좌우 양단 논두렁에 레일의 형태로 장착되는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와 제2 컨베이어 이송로(20)가 있고, 상기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의 하단 즉, 육묘장(8)의 지면(7-1) 하단에 설치되는 레일(19)이 있으며, 상기 육묘장(8)의 좌우 양단에 장착된 레일(19)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하되, 상기 상기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와 제2 컨베이어 이송로(20)를 연결하는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를 내부에 설치하고, 육묘장(8)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모판(7) 이송, 전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렌스 구조체(T)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와 연결되어, 온실(H)의 내측의 1차 육묘된 육묘판(5)을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로 전달하는 연결로(80);로 이루어져, 온실 내측의 1차 육묘된 육묘판(5)을 컨베이어 벨트(12)로 이송시켜, 육묘장(8)의 내측에서 3차 육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이송방식은 간단하다. 장형의 논으로 형성되는 육묘장(8)의 논두렁 좌우 양쪽에 도시된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와 제2 컨베이어 이송로(20)를 설치한다. 도시된 도 2에서는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 측에 온실(H)이 설치된 도면이 도시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역방향 즉 제2 컨베이어 이송로(20)쪽에 온실(H)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온실(H)에서는 모종(6)이 약 8일 정도 길러지게 되는데, 이 후에 바로 상차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육묘장(8)에서 길러지는 일수에 따라 그 종자의 가치는 높아진다. 실질적으로 농부가 이앙을 위해서 구입하는 육묘는 온실(H)과 차광방에서 길러진 이후부터 가능하다. 보다 고가이지만 더 자생력이 높은 육묘를 소망하는 농부는 온실(H)과 차광방에서 기른 후, 육묘장(8)에서 태양광으로 더 자생시킨 묘종을 이앙한다.
따라서 육묘시스템은 온실(H)은 물론 상품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육묘장(=논; 8)도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이 건 발명의 육묘장 이송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그 제1, 2,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를 이용하게 된다.
먼저 농부가 육묘장(8)에 이앙을 위한 모종(6)을 주문할 때, 온실(H)과 차광방에서 키워진 육묘를 선택하게 되면, 이 건 발명의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을 한다. 구동모터(M)가 회전하게 되면, 구동모터(M)는 연결로(80)를 작동시키게 된다. 연결로(80)는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온실(H)에서 외부로 뻗쳐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로 연결되어 있기에, 작업자는 온실(H)에서 연결로(80)의 상부로 모판(7)을 안착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작업은 컨베이어 벨트(12)를 타고 연결로(80) 외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로 작동적으로 이동을 한다. 도시된 도면에서 중요 요부인 A부분(도 2에서 "A"로 부호 넣은 부분)은 수직하게 컨베이어 벨트(12)가 연결된 부분이다. 이 부분에서는 직각 방향으로 운동이 전환되기에 상당히 주의를 요한다. 이 건 발명에서는 컨베이어 벨트(12), 벨트롤(11) 및 공회전롤(151) 등을 통해서 방향 전환이 완벽하게 달성되는데, 상세한 사항은 뒤에서 설명한다. 단지 이렇게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고,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의 끝단에 차량(9)이 정차하고 있다면, 이 부분을 향하여 모판(7)은 이동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차량의 앞에서서 이동해온 모판(7)을 차량으로 옮기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서 상차를 완성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온실(H)과 차광방에서 일정한 기간동안 육묘가 이루어지고 나서, 이를 태양광에 노출한 상태로 더 육묘를 실시하고자 한다면, 온실(H)의 내측에 안착된 다수의 육묘판(5)은 연결로(80)에서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를 타고 이동한다. 이후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 즉, 트렌스 구조체(T)의 내측에 장착된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를 타고 이동을 한다. 작업자는 육묘장(8)의 내부에서 자신의 위치로 이동하여 온 육묘판(5)을 육묘장(8)의 내측에 내려놓는다. 이후 일정한 기간이 육묘되고 나면, 태양광에서 육묘된 모종(6)을 구입한 농부에게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에도 이 건 발명은 방향만 전환시켜 육묘장(8)에서 이송로를 타고 모판(7)을 이송시킨다. 참고로 도 10에서 보이는 것처럼, 모판(7)은 모종을 심는 플레이트 형태의 배지를 칭하고, 모종(6)은 배지에 심는 모의 씨앗, 어린 모종을 칭하며, 육묘판(5)은 모종을 배지에 심은 상태의 배지를 칭한다.
즉, 작업자는 트렌스 구조체(T)를 가장 빨리 판매를 해야만 하는 위치로 이송시킨다. 도시된 도면에서 x축 좌표와 y축 좌표로 방향을 표시하고 있는데, x축 좌표의 이동을 진행한다. X1 방향에서 X2 방향으로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정확한 위치를 잡으면, 작업자는 육묘장(8) 내측에 육묘하고 있던 모판(7)을 잡고, 자신의 위치에서 상부의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에 안착시킨다. 트렌스 구조체(T) 내측에 깔린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에 안착시키는 것이다. 이 작업이 완성되면,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는 차량(9)이 정차된 위치 즉,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나 제2 컨베이어 이송로(20)의 끝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 양측단 선택된 곳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의 양단에는 도시된 방향전환유닛(K)이 형성된 상태이기에 이 유닛을 타면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에서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의 전달이 유연하다. 이러한 전달이 이루어지면, 차량(9)으로의 육묘판(5) 전송이 완성된다.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보다 정확한 구성과 그 작동의 설명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2)를 통해서 육묘판(5)을 이송시키기 위한 제1, 2,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와 연결로(80)는 사실상 거의 동일한 구성요소들의 조합이다. 즉, 좌우 양단에 길게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한 라인 형상으로 설치되는 레일프레임(15); 상기 레일프레임(15) 내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는 벨트롤(11); 상기 벨트롤(11)의 외주면을 돌아 레일프레임(15)과 같은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벨트롤(11)을 감싸고 도는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12); 레일프레임(15)의 길이에 따라 일정한 조합을 통해서 컨베이어 벨트(12)가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구동모터(M), 체인 및 스프로켓(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M)가 일측의 벨트롤(11)을 회전시키면, 일측의 벨트롤(11)은 회전하며, 외주면에 감긴 컨베이어 벨트(12)를 연동하여 상단에 안착되는 육묘판(5)을 소망하는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벨트롤(11)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 이 벨트롤(11)의 양측단 회전축이 끼워질 수 있는 레일프레임(15)이 먼저 설치된다. 연결로(80)는 온실(H)에서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를 향하여,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는 육묘장(8)의 논둑 즉, 논두렁 상단에 안착되고, 제2 컨베이어 이송로(20)는 타측 논둑 즉, 건너편 논두렁에 안착된다. 또한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는 트렌스 구조체(T)의 내측에 안착된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한 2개의 라인을 설치하는 것처럼 설치되고, 그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벨트롤(11)이 축 결합된다. 물론 상기 벨트롤(11)의 상부에는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12)가 걸리게 되는데, 컨베이어 벨트(12)가 벨트롤(11)의 외주면을 감고 있기에 사실상 벨트롤(11)이 회전하면 컨베이어 벨트(12)가 연동을 하고, 컨베이어 벨트(12)가 연동을 하면, 내측의 벨트롤(11)이 회전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 건 발명에서는 도 5의 도면에서처럼, 각각의 제1, 2,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 하단에 다수 개의 구동모터(M)를 장착하고 있다. 이 구동모터(M)의 축에는 스프로켓(미도시)이 걸리고, 이 스프로켓(미도시)의 회동력은 체인(미도시)을 통해서 벨트롤(11)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동력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설치환경에 따라서 조합되는 형태가 다소 다르기는 하지만 이 건 발명은 이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조로 장착된 구동모터(M)가 회전하면 컨베이어 벨트(12)가 연동한다. 결국 아주 간단한 기구적인 조합을 통해서 컨베이어 벨트(12)는 모판(7)을 이동시킨다.
이 건 발명에서 중요한 사항은 트렌스 구조체(T)이다. 도시된 도 3 내지 6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에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가 안착되는 트렌스 구조체(T)는,
다수의 수직프레임(22)과 수평프레임(21)으로 연결되어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를 연결하는 다리로 설치하되, 좌우 양단의 하단 다리프레임(25)에 일체화된 대차(26) 이송롤(38)이 레일(19)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하여; 동력발생부(KT)가 회동모터(31)를 작동시키면, 이송롤(38)이 회전하여 레일(19)을 타고 트렌스 구조체(T)가 육묘장 내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사실상 트렌스 구조체(T)는 육묘장(8) 좌, 우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를 연결시키는 다리의 역할을 한다. 트렌스 구조체(T)의 좌우 양단은 후술될 별도의 방향전환유닛(K)이 장착된 상태로 도시된 도 2에서 보이는 X축 이동을 달성할 수 있다. 육묘장(8) 내측을 모두 다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수의 수평프레임(21)과 수직프레임(22)이 트렌스 구조로 용접 체결되는 구조체로서, 내측에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를 장착할 수 있는 레일프레임(15)을 갖는다.
즉, 이 건 발명의 트렌스 구조체(T)는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를 장착한 상태에서 X축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은 트렌스 구조체(T)의 좌우 양단에는 도시된 다리프레임(25)과 그에 결합된 기구적 구성요소들 때문이다. 다리프레임(25)은 트렌스 구조체(T)의 좌우 양단에서 하단으로 내려서는 실질적인 수직프레임(22)이다. 이 수직프레임(22)의 하단에는 도시된 도 5, 6에서와 같은 대차(26)가 형성되는데, 이 대차(26)에는 이송롤(38)이 체결된 상태로 레일(19)의 상단에 안착된다.
레일(19)은 제1, 2,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의 수준과 다르다.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는 평지(t)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거나 다소 높은 논 두덩의 상단에 장착된다. 이에 반하여 레일(19)은 육묘장(8) 즉, 논바닥면 지면(7-1)이나 그보다 다소 상승된 위치에 장착된다. 레일(19)은 기차의 레일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조로서, 트렌스 구조체(T)가 이 레일(19)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레일(19)의 상부에는 상기 대차(26)에 형성된 이송롤(38)이 안착되어 이송롤(38)이 회전하면 레일(19)을 타고 트렌스 구조체(T)가 이동하는 방식이다.
상기 이송롤(38)의 회전 방향은 좌우 양단이 모두 동일하며 동일한 회전수를 유지하여 항상 레일(19)에 직각의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 동일한 속도로 이동된다.
그럼 이들의 가동 방식을 살핀다. 도 4의 요부는 동력발생부(KT)인데, 도시된 도 4와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전술된 동력발생부(KT)는, 트렌스 구조체(T)에 장착되는 회동모터(31)의 축에 일체된 제1 스프로켓(32)과; 트렌스 구조체(T)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다수의 베어링(35)에 끼인 상태로 결합된 회전 샤프트(36); 상기 회전 샤프트(36)의 중심부 모터 하단에서 회전 샤프트(36)에 체결된 제2 스프로켓(33)과 양측단에서 샤프트를 감싸며 일체로 체결된 끝단스프로켓(32-1)과 이에 대응하는 제3 스프로켓(33-1)을 체결한 이송롤축(37);이 결합하되, 상기 제1 스프로켓(32)과 제2 스프로켓(33)의 외주면을 감고 체결된 체인(34)과, 상기 이송롤축(37)에 체결된 제3 스프로켓(33-1)과 끝단스프로켓(32-1)의 외주면을 감고 체결된 체인(34)이 서로 결합하여; 상기 회동모터(31)가 회전하면, 회전 샤프트(36)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은 체인(34)을 통해서 이송롤(38)을 회전시켜, 트렌스 구조체(T)가 레일(19)을 타고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작동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트렌스 구조체(T)는,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의 하단에 동력발생부(KT)가 장착된다. 대형의 회동모터(31)가 장착되고, 이 회동모터(31)의 축에는 제1 스프로켓(32)이 체결된다. 별도의 감속기를 거쳐 감속기 축에 제1 스프로켓(32)이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회동모터(31)가 회전을 하면 그 축의 제1 스프로켓(32)이 회전하면서, 체인(34)을 연동시킨다. 체인(34)의 타측단은 도시된 4와 5에서처럼, 제2 스프로켓(33)을 회전시킨다. 물론 이 제2 스프로켓(33)은 샤프트(36)와 일체이기에 샤프트(36)가 전체적으로 동일 회전을 한다. 샤프트(36)는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의 하단에서 레일프레임(15)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깔린 상태이다. 이때 샤프트(36)의 좌우측 양단에는 도시된 도 5에서처럼, 끝단스프로켓(32-1)이 체결되어 있고, 이 끝단스프로켓(32-1)은 체인(34)이 걸려 이송롤축(37)에 체결된 제3 스프로켓(33-1)과 연결된다. 결국 회동모터(31)의 회전은 체인(34)과 다수의 스프로켓의 방향전환에 따라 제3 스프로켓(33-1)을 회전시키고, 이송롤(38)을 회전시킨다. 이송롤(38)은 레일(19)의 상부에서 좌우 양단이 모두 상기 샤프트(36)를 통해서 동일한 회전수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결국 이 건 발명의 트렌스 구조체(T)는 도시된 도 2의 도면에서 보이는 X축 좌표를 타고 이동한다. 이 이동은 중요하다. 육묘판(5)이 위치한 위치로의 이동은 물론 육묘판(5)을 위치시켜야만 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자유롭다.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소망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그럼 앞에서 그 설명을 미룬, 이 건 발명의 방향전환유닛(K)의 작동형태를 살펴본다. 이 건 발명의 방향전환유닛(K)은 도시된 도 2의 원형으로 블럭친 B부분(도 2의 도면에서 "B"에 해당)에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트렌스 구조체(T)의 좌, 우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도시된 도 2 내지 6, 도 9에서 처럼, 상기 트렌스 구조체(T)에는, 그 좌우 양단 즉,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의 상부로 안착되어 제3 컨베이어 이송로 도입부 상단에 미치는 범위까지(=B지점)에는 모판(7) 운동 변환을 위한 방향전환유닛(K)을 설치하고; 상기 방향전환유닛(K)은, 실질적으로 트렌스 구조체(T)와 일체화되며; "T"자 코스의 이동로를 가져, 방향전환유닛(K)을 타고 이동하는 모판(7)은 3방향의 운동전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건 발명에서 방향전환유닛(K)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이유는 상기 트렌스 구조체(T)는 도시된 도 2의 X방향으로 연동해야만 하고, 이 트렌스 구조체(T)에 장착된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와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는 항상 소통이 가능해야 한다. 실례로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를 타고 이동하던 육묘판(5)은 트렌스 구조체(T)의 일측단 방향전환유닛(K)에 올라서고 나서는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로 진입하거나 방향전환유닛(K)의 기체프레임(50)을 넘어서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를 다시 올라타 진행되야만 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트렌스 구조체(T)는 상기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를 연결시키는 다리의 역할을 하기에 실질적으로 수준이 높다. 같은 수준에서의 방향전환에 비하여 서로 다른 수준에서의 방향전환은 더 어렵다. 종래의 많은 이송장치는 바로 여기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러나 이 건 발명의 방향전환유닛(K)은 이러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였다.
이 방향전환유닛(K)은 이 건 발명의 출원인의 동일자 출원 "모판을 3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자동 방향전환유닛"을 통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 있지만,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그 평면의 형상이 도 9에서와 같이 "T"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진입한 모판(7)이 진입된 방향으로의 계속적인 진입이 가능하고, 90도로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방향을 바꿀 수도 있다. 이러한 작동의 방식이 이 건 발명의 모판 자동 이송장치에서 핵심적으로 필요한 이유는 작업자에게는 육묘판(5)을 육묘장(8)의 소망하는 위치에 가장 편리하게 장착하고자 할 때는 물론, 육묘판(5)의 판매를 위해서 가장 편리하게, 선택된 육묘판(5)을 상차시키고자 할 때이다. 이외에 온실(H)을 관리하고, 육묘관리를 위한 전반적인 작업이 바로 이 "T"자형의 방향전환유닛(K)을 통해서만 가능하게 된다. 간략하게 그 구성을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육묘판(5)이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를 타고 방향전환유닛(K)의 일측{도 9에서는 제1 방향로(Ⅰ)}으로 진입을 한다. 이때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까지 테이퍼지게 하향하는 별도의 전환벨트(61)가 이 육묘판(5)을 받는다. 전환벨트(61)는 도시된 것처럼, 방향전환유닛(K)의 기체프레임(50) 중앙 각각의 제1롤(51, 53)을 감싸면서 타측으로는 대응롤(58)을 돌아, 연속적으로 밀착롤(59)과 연결롤(60)의 외주면을 돌아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별도의 모터(M1, M2, M3)를 통해서 상기 제1롤(51, 53)이나 대응롤(58), 연결롤(60), 밀착롤(59) 중 어느 하나만 회전하게 되면, 전환벨트(61)는 회전하여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에서 육묘판(5)을 전달받아, 기체프레임(50)의 중심부로 상승시킨다.
도시된 도 9에는 방향 전환의 가이드를 위해서 별도로 체결되는 가이드판(63)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가이드판(63)은 부드럽게 라운드진 형태이기에 진입된 육묘판(5)의 모서리를 가이드하여 타측 방향으로 인도한다. 이러한 가이드에 도움이 되도록 이 건 발명의 방향전환유닛(K)은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모터(M1, M2, M3)가 상기 제1롤(51, 53)의 축에 동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도 9에서는 제3 방향로(Ⅲ)를 타고 나가는 것이다. 이는 곧 제3 방향로(Ⅲ)의 끝단부분으로 진입하여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를 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시된 제2 방향로(Ⅱ)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롤(51)과 대응롤(58), 연결롤(60), 밀착롤(59)측에는 모터의 동력이 차단되어 전력낭비를 차단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작동의 방식은 "T"자 형의 방향전환유닛(K)에서, 제1 방향로(Ⅰ)를 타고 진입하던 육묘판(5)을 제2 방향로(Ⅱ)를 타고 나가도록 유도할 수도 있으며, 시작점을 제3 방향로(Ⅲ)를 타고 진입하도록 하고, 제1, 2 방향로(Ⅰ, Ⅱ)로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즉, 상기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와 제2 컨베이어 이송로(20)의 일측단으로는 지면에서 테이퍼지게 상승하고 수평하게 늘어서는 별도의 레일프레임(15)을 통해 이루어진 테이퍼이송로(70)와 수평이송로(71)를 깔고;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설치되는 벨트롤(11)과, 그 외주면을 돌아 레일프레임(15)과 같은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벨트롤(11)을 감싸고 도는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12)를 형성하여; 모판(7)을 상차시 보다 용이하게 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것처럼 상, 하차를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의 경우 지면(7-1)에 밀착된 상태이다. 이에 반하여, 상차는 일정한 수준 이상의 높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작업환경은 작업자가 허리를 숙이고 육묘판(5)을 잡고 허리를 편 상태에서 상차를 해야 하는 수고가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이 건 발명은 테이퍼지게 상승하고 수평되게 늘어서는 별도의 테이퍼이송로(70)와 수평이송로(71)를 형성한다. 도시된 도 2에서는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에 테이퍼이송로(70)와 수평이송로(71)를 연결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 건 발명은 제2 컨베이어 이송로(20)에도 테이퍼이송로(70)와 수평이송로(71)의 설치가 가능하다. 도시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한 높이 즉, 작업자가 허리를 편 상태에서 이송해 오던 육묘판(5)을 잡을 수 있는 수준까지 테이퍼지게 상승시키는 테이퍼이송로(70)를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에 연장시키고, 수평한 부분인 별도의 수평이송로(71)를 연장하여 수평이송로(71)를 이동하던 육묘판(5)을 잡고, 상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이 건 발명의 경우, 연결로(80)에서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로 육묘판(5)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이미 전술된 방향전환유닛(K)과 같이 90° 각도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방향전환유닛(K)과 차이가 있다면, 연결로(80)와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의 경우 동일한 수준에서 90° 각도의 방향전환이지만, 방향전환유닛(K)의 경우 상승시키고 방향을 전환시켜야만 한다. 앞에서는 이미 방향전환유닛(K)을 통해서 방향이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한 상태이기에 여기서는 수준차가 같은 위치에의 간단한 방향전환 실시예를 설명한다.
즉, 도시된 도 7과 도 8에서처럼, 이 건 발명의 경우, 온실(H)의 내측의 1차 육묘된 육묘판(5)을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로 전달하는 연결로(80)의 끝단(=A지점)은, 컨베이어 벨트(12)를 감지 않은 공회전롤(151)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에도, 모판(7)을 수직하게 받는 간격 안에 공회전을 위한 별도의 대응공회전롤(152)과 벨트롤(11)을 같이 형성하며; 모판(7)의 하단 일측에서 컨베이어 벨트(12)가 회동함에 편심되게 회전하던 모판(7)의 일측면을 잡아 90° 각도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롤링바(158)를 형성하며; 연결로(80)에서 90° 각도 전환하여,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를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미 전술된 방향전환유닛(K)의 구성요소는 다소 복잡하다. 단순하게 기존에 설치된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의 구성을 그대로 살려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의 출원인은 편심의 방식을 이용하고, 하단의 컨베이어 벨트(12)의 회동력을 조화롭게 이용하여 이러한 작용을 달성하였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연결로(80)의 끝단에 공회전롤(151)을 설치하여 사실상 벨트롤(11)의 회전력이 연결로(80)의 끝단까지 작용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연결로(80)에서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로 육묘판(5)을 전달하고 나서는 연결로(80)의 동력은 육묘판(5)의 하단에 전혀 작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 7의 (b)의 위치에 있게 된 육묘판(5)은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의 동력을 전달받게 되는데, 넘겨받은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의 레일프레임(15)에도 공회전을 하는 대응공회전롤(152)이 장착된다. 결국 연결로(80)에서 전달되는 육묘판(5)은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에 올라선 후에는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의 컨베이어 벨트(12)의 이송 동작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대응공회전롤(152)은 동력 작용이 없기에 근접된 벨트롤(11)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사실상 편심된 힘을 전달받는다. 이 힘에 의해서 육묘판(5)은 도시된 도 8의 (c)처럼 회전을 하게 된다. 물론 도시된 것처럼 레일프레임(15)에 회전의 중심(중심점)이 되는 부분에 이 건 발명은 롤링바(158)를 체결한 상태이기에 육묘판(5)은 이 롤링바(158)에 걸려 회전이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를 타고 돌아가는 형태로 전환된다. 대응공회전롤(152)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쪽에 롤링바(158)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된 이유는, 일단 연결로(80)에서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에 전달된 모판(7)은 컨베이어 벨트(12)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좌측으로도 우측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 좌측 방향의 컨베이어 회전을 차단하면, 이 건 모판(7)은 우측으로 이동을 하고, 우측을 차단하면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각각의 양방향 이동을 위해서 별도의 롤링바(158)를 설치한다.
5; 육묘판 10, 20, 30; 제1, 2, 3 컨베이어 이송로
11; 벨트롤 12; 컨베이어 벨트
21; 수평프레임 22; 수직프레임
25; 다리프레임 32; 제1 스프로켓
33; 제2 스프로켓 34; 체인
36; 샤프트 70; 테이퍼이송로
71; 수평이송로

Claims (7)

  1. 모종(6)을 이앙하기 위한 육묘장(8)의 논의 좌우 양단 논두렁에 레일의 형태로 장착되는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와 제2 컨베이어 이송로(20);
    상기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의 하단 즉, 육묘장(8)의 지면(7-1) 하단에 설치되는 레일(19);
    상기 육묘장(8)의 좌우 양단에 장착된 레일(19)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하되, 상기 상기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와 제2 컨베이어 이송로(20)를 연결하는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를 내부에 설치하고, 육묘장(8)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모판(7) 이송, 전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렌스 구조체(T); 및
    상기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와 연결되어, 온실(H)의 내측의 1차 육묘된 육묘판(5)을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로 전달하는 연결로(80);
    를 포함하고,
    온실 내측의 1차 육묘된 육묘판(5)을 컨베이어 벨트(12)로 이송시켜, 육묘장(8)의 내측에서 3차 육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12)를 통해서 육묘판(5)을 이송시키기 위한 제1, 2, 3 컨베이어 이송로(10, 20, 30)와 연결로(80)는, 좌우 양단에 길게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한 라인 형상으로 설치되는 레일프레임(15);
    상기 레일프레임(15) 내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는 벨트롤(11);
    상기 벨트롤(11)의 외주면을 돌아 레일프레임(15)과 같은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벨트롤(11)을 감싸고 도는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12);
    레일프레임(15)의 길이에 따라 일정한 조합을 통해서 컨베이어 벨트(12)가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구동모터(M), 체인 및 스프로켓(미도시);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모터(M)가 일측의 벨트롤(11)을 회전시키면, 일측의 벨트롤(11)은 회전하며, 외주면에 감긴 컨베이어 벨트(12)를 연동하여 상단에 안착되는 육묘판(5)을 소망하는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내측에 제3 컨베이어 이송로(30)가 안착되는 트렌스 구조체(T)는,
    다수의 수직프레임(22)과 수평프레임(21)으로 연결되어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를 연결하는 다리로 설치하되, 좌우 양단의 하단 다리프레임(25)에 일체화된 대차(26) 이송롤(38)이 레일(19)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하고;
    동력발생부(KT)가 회동모터(31)를 작동시키면, 이송롤(38)이 회전하여 레일(19)을 타고 트렌스 구조체(T)가 육묘장 내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동력발생부(KT)는,
    트렌스 구조체(T)에 장착되는 회동모터(31)의 축에 일체된 제1 스프로켓(32)과;
    트렌스 구조체(T)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다수의 베어링(35)에 끼인 상태로 결합된 회전 샤프트(36);
    상기 회전 샤프트(36)의 중심부 모터 하단에서 회전 샤프트(36)에 체결된 제2 스프로켓(33)과 양측단에서 샤프트를 감싸며 일체로 체결된 끝단스프로켓(32-1)과 이에 대응하는 제3 스프로켓(33-1)을 체결한 이송롤축(37);이 결합하고,
    상기 제1 스프로켓(32)과 제2 스프로켓(33)의 외주면을 감고 체결된 체인(34)과, 상기 이송롤축(37)에 체결된 제3 스프로켓(33-1)과 끝단스프로켓(32-1)의 외주면을 감고 체결된 체인(34)이 서로 결합하고;
    상기 회동모터(31)가 회전하면, 회전 샤프트(36)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은 체인(34)을 통해서 이송롤(38)을 회전시켜, 트렌스 구조체(T)가 레일(19)을 타고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트렌스 구조체(T)에는,
    그 좌우 양단 즉, 제1, 2 컨베이어 이송로(10, 20)의 상부로 안착되어 제3 컨베이어 이송로 도입부 상단에 미치는 범위까지(=B지점)에는 모판(7) 운동 변환을 위한 방향전환유닛(K)을 설치하고;
    상기 방향전환유닛(K)는, 실질적으로 트렌스 구조체(T)와 일체화되고;
    "T"자 코스의 이동로를 가져, 방향전환유닛(K)을 타고 이동하는 모판(7)은 3방향의 운동전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와 제2 컨베이어 이송로(20)의 일측단으로는 지면에서 테이퍼지게 상승하고 수평하게 늘어서는 별도의 레일프레임(15)을 통해 이루어진 테이퍼이송로(70)와 수평이송로(71)를 깔고;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설치되는 벨트롤(11)과, 그 외주면을 돌아 레일프레임(15)과 같은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벨트롤(11)을 감싸고 도는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12)를 형성하고;
    모판(7)을 상차시 보다 용이하게 운송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온실(H)의 내측의 1차 육묘된 육묘판(5)을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로 전달하는 연결로(80)의 끝단(=A지점)은, 컨베이어 벨트(12)를 감지 않은 공회전롤(151)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에도, 모판(7)을 수직하게 받는 간격 안에 공회전을 위한 별도의 대응공회전롤(152)과 벨트롤(11)을 같이 형성하ㄱ고
    모판(7)의 하단 일측에서 컨베이어 벨트(12)가 회동함에 편심되게 회전하던 모판(7)의 일측면을 잡아 90° 각도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롤링바(158)를 형성하고;
    연결로(80)에서 90° 각도 전환하여, 제1 컨베이어 이송로(10)를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

KR1020140173570A 2014-12-05 2014-12-05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 KR101651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570A KR101651750B1 (ko) 2014-12-05 2014-12-05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570A KR101651750B1 (ko) 2014-12-05 2014-12-05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188A true KR20160068188A (ko) 2016-06-15
KR101651750B1 KR101651750B1 (ko) 2016-09-05

Family

ID=5613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570A KR101651750B1 (ko) 2014-12-05 2014-12-05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7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2052A (zh) * 2017-05-16 2017-08-11 常州市金坛区作物栽培技术指导站 长距离无立柱秧田用秧盘输送机
KR102590146B1 (ko) 2023-05-12 2023-10-16 한태웅 육묘장치
CN117941591A (zh) * 2024-03-21 2024-04-30 越西县申果庄大熊猫自然保护区保护中心 一种苗木输送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7171A (ja) * 1997-01-28 1997-07-22 Iseki & Co Ltd 育苗器の並べ方法と育苗器並べ装置
JPH10276581A (ja) * 1997-04-10 1998-10-20 Suzutec Co Ltd 育苗箱並列敷設装置
JPH119100A (ja) * 1997-06-18 1999-01-19 Suzutec Co Ltd 育苗箱並列敷設方法および育苗箱並列敷設装置
KR20000040895A (ko) 1998-12-21 2000-07-05 전주범 케이블 텔레비전의 운영방법
KR200353869Y1 (ko) * 2004-03-11 2004-06-26 엠제이씨 주식회사 컨베이어의 방향 전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7171A (ja) * 1997-01-28 1997-07-22 Iseki & Co Ltd 育苗器の並べ方法と育苗器並べ装置
JPH10276581A (ja) * 1997-04-10 1998-10-20 Suzutec Co Ltd 育苗箱並列敷設装置
JPH119100A (ja) * 1997-06-18 1999-01-19 Suzutec Co Ltd 育苗箱並列敷設方法および育苗箱並列敷設装置
KR20000040895A (ko) 1998-12-21 2000-07-05 전주범 케이블 텔레비전의 운영방법
KR200353869Y1 (ko) * 2004-03-11 2004-06-26 엠제이씨 주식회사 컨베이어의 방향 전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2052A (zh) * 2017-05-16 2017-08-11 常州市金坛区作物栽培技术指导站 长距离无立柱秧田用秧盘输送机
CN107032052B (zh) * 2017-05-16 2022-08-09 常州市金坛区作物栽培技术指导站 长距离无立柱秧田用秧盘输送机
KR102590146B1 (ko) 2023-05-12 2023-10-16 한태웅 육묘장치
CN117941591A (zh) * 2024-03-21 2024-04-30 越西县申果庄大熊猫自然保护区保护中心 一种苗木输送设备
CN117941591B (zh) * 2024-03-21 2024-06-04 越西县申果庄大熊猫自然保护区保护中心 一种苗木输送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750B1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878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hydroponic plant growth
CN202310715U (zh) 组合式立体育秧机
KR20120110631A (ko) 회전 재배장치
KR101651750B1 (ko) 모판에 육묘를 위한 모판 자동 이송장치
KR20130136226A (ko) 농작물 재배 방법 및 그 장치
KR101916640B1 (ko) 육묘 포트용 이동형 관수장치
JP6019897B2 (ja) 育苗方法
CN202190524U (zh) 一种数控穴盘播种机
JP2014027902A5 (ko)
JP4861728B2 (ja) 栽培ベンチ循環型栽培システムおよび栽培装置
WO2011067548A1 (e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KR102090452B1 (ko) 무인 수경 야채 재배용 거터 자동 이송 시스템
KR101622049B1 (ko) 모판을 3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자동 방향전환유닛
JP2008271813A (ja) 野菜苗株移植機
KR100226152B1 (ko)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및 그 장치
KR102125499B1 (ko) 식물 재배 장치
KR101985634B1 (ko) 모판 이송장치
KR100796461B1 (ko) 수경재배장치
JP3139059U (ja) 農作物の養液栽培装置
CN214709050U (zh) 一种提高百香果苗移栽效率的移栽车
KR200387560Y1 (ko) 볍씨 파종기
KR20120119293A (ko) 원예재배장치
KR970004331B1 (ko) 농작물 수경재배장치
KR101454162B1 (ko) 식물 재배시스템
JP6361713B2 (ja) 育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