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666A - 연기 감지기 - Google Patents

연기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666A
KR20160066666A KR1020140170786A KR20140170786A KR20160066666A KR 20160066666 A KR20160066666 A KR 20160066666A KR 1020140170786 A KR1020140170786 A KR 1020140170786A KR 20140170786 A KR20140170786 A KR 20140170786A KR 20160066666 A KR20160066666 A KR 20160066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smoke
air
fir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2675B1 (ko
Inventor
강동진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0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67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n ionisation chamber for detecting smoke or gas
    • G08B17/11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연기 감지기가 개시된다. 연기 감지기는 팬(fan); 상기 팬의 회전 방향이 교번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유입된 공기 내에 연기가 포함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 유닛; 및 상기 팬과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고,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상기 팬과 상기 연기 감지 유닛에 형성된 개방홀간의 공기 이송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연기 감지 유닛의 일측에 결합되는 마운팅 박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기 감지기{Smoke detector}
본 발명은 연기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화재 감지기는 선박이나 건물에 설치되어 해당 공간에서 발생된 화재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수신기에 출력하여 화재 경보를 행하는 장치이다. 화재 경보기로는, 화재에 의해 발생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기, 화재에 의한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 등이 있다.
이러한 화재 감지기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2-7021062호(감지기), 한국공개특허 제2013-0006479호(온도측정장치 및 연기농도측정장치의 조합으로 실내 모니터링을 위한 화재감지기) 등이 다양하게 선출원되어 있다.
화재 감지기는 화재 발생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화재 감지 영역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실내 공간의 화재 발생 여부의 감지가 가능하도록 천장(天障)면에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화재 감지기의 화재 감지 영역이 사람의 활동 영역뿐 아니라 각 층의 사이에 진동 억제, 환풍이나 배관, 케이블 포설 등의 용도로 이용되기 위한 가설 공간으로서 천장 내부공간이나 플로어 아래쪽 공간인 보조 플로어(false floor)까지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화재 감지 영역을 어디로 설정하는지에 따라 도 1의 (a)와 (b)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면(20)을 기준으로 화재 감지기(10)가 각각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천장면을 기준으로 분리된 2개의 개별 공간을 각각 화재 감지 영역으로 설정하여 화재 감지기를 개별 설치하는 구성은 설치 비용의 증가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7021062호(감지기) 한국공개특허 제2013-0006479호(온도측정장치 및 연기농도측정장치의 조합으로 실내 모니터링을 위한 화재감지기)
본 발명은 2개의 개별 공간을 구획하는 경계면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능동적으로 기류(氣流)를 형성하며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복수의 화재 감지 영역에 대한 효과적인 화재 감지가 가능한 연기 감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기 감지기로서, 팬(fan); 상기 팬의 회전 방향이 교번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유입된 공기 내에 연기가 포함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 유닛; 및 상기 팬과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고,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상기 팬과 상기 연기 감지 유닛에 형성된 개방홀간의 공기 이송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연기 감지 유닛의 일측에 결합되는 마운팅 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팬은 회전 방향에 상응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마운팅 박스 내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마운팅 박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류를 형성하는, 연기 감지기가 제공된다.
제1 공간과 제2 공간을 구획하는 경계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연기 감지기가 설치되고, 상기 연기 감지 유닛과 상기 팬은 상기 경계면을 경계로 분리된 상이한 공간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팬이 지정된 회전 방향 각각에 대한 회전 시간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팬은 필터(filter)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개별 공간을 구획하는 경계면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능동적으로 기류(氣流)를 형성하며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복수의 화재 감지 영역에 대한 효과적인 화재 감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화재 감지기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기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기 위한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이나 기구식 구조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기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인식하는 연기 감지기(100)는 연기 감지 유닛(110), 팬(115), 필터(120), 제어부(130), 마운팅 박스(135) 및 케이블 엔트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기 감지기(100)는 2개 이상의 화재 감지 영역을 구획하는 경계면(105)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고, 경계면(105)은 예를 들어 실내 공간과 천장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천장면일 수 있다.
연기 감지 유닛(110)은 공기 유출입을 위해 형성된 개방홀 및/또는 개방된 팬(120) 영역을 통해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 내의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센서와, 연기 감지시 미리 지정된 수신 시스템으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기 감지 유닛(110)에 형성된 개방홀의 전면에는 먼지, 곤충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후술될 필터(12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연기 센서는, 예를 들어 광원(예를 들어 LED)과 수광소자(예를 들어 포토다이오드)를 대향시켜 배치한 후 광로(光路)에 연기가 존재하면 흡수나 산란에 의해 수광소자에 유입되는 광량이 감소되는 감광 현상을 이용하는 감광식 연기센서일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연기 센서는 광산란식 연기센서, 이온화식 연기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팬(115)은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상응하도록 지정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연기 감지기(100)의 내부 공간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연기 감지기(100)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기류를 형성한다.
팬(115)의 외측에는 필터(120)가 장착되어 외부의 곤충이나 먼지 등이 연기 감지기(100)의 내부 공간에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참조부호 125는 필터의 장착 및 교체 등을 위한 필터 핸들(filter handle)을 나타낸다.
제어부(130)는 연기 감지기(1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기류의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팬(115)의 회전 방향을 제어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른 기류 형성 방향의 변화와 이에 상응하는 화재 감지 영역의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이 제1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팬(115)의 외부인 제1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예를 들어 천장 내부 공간의 공기)를 연기 감지기(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기류가 형성된다.
연기 감지기(100)의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연기 감지기(100)의 내부 공간(즉, 후술될 마운팅 박스(135)의 내측 공간)이 형성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고, 연기 감지 유닛(110)에 형성된 개방홀을 통해 제2 공간(예를 들어, 실내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연기 감지 유닛(110)의 연기 센서는 유입된 공기에 연기가 포함되었는지를 감지함으로써 제1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115)이 제2 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팬(115)의 외부인 제2 공간(예를 들어, 실내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연기 감지기(100)의 내부 공간에 유입되도록 하는 기류가 형성된다.
연기 감지기(100)의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연기 감지 유닛(110)의 연기 센서에 의해 연기가 포함되었는지(즉, 제2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가 감지되고, 이후 연기 감지기(100)의 내부 공간이 형성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되어 팬(115)을 통해 제1 공간(예를 들어, 천장 내부 공간)으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팬(11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연기 감지기(1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기류의 방향이 달라지고, 따라서 경계면(105)을 관통하여 설치된 연기 감지기(100)는 경계면(105)에 의해 분리된 제1 공간 및 제2 공간 모두에 대한 화재 감지가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팬(115)의 회전으로 인해 능동적으로 기류가 형성됨으로써 감지 시간의 단축도 가능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팬(115)의 회전 방향이 미리 지정된 시간 간격마다 교번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시간 동안 팬(115)이 무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제2 시간 동안 팬(115)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제3 시간 동안 팬(115)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시간은 예를 들어 0이거나 미리 지정된 시간일 수 있고, 제2 시간과 제3 시간의 크기는 일치하거나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연기 감지기(100)가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 각 연기 감지기(100)의 팬(115) 구동 시간은 전술한 제1 시간의 조정을 통해 조절됨으로써 연기 감지기(100) 운용의 효율 및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30), 팬(115) 등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마운팅 박스(135)가 더 구비되고, 제어부(130), 팬(115) 및 연기 감지 유닛(110) 등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을 인입하기 위한 케이블 엔트리(140)가 마운팅 박스(135)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화재 감지기 20 : 천장면
100 : 연기 감지기 105 : 경계면
110 : 연기 감지 유닛 115 : 팬
120 : 필터 130 : 제어부
135 : 마운팅 박스 140 : 케이블 엔트리

Claims (4)

  1. 팬(fan);
    상기 팬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유입된 공기 내에 연기가 포함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 유닛; 및
    상기 팬과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고, 상기 팬과 상기 연기 감지 유닛에 형성된 개방홀간의 공기 이송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연기 감지 유닛의 일측에 결합되는 마운팅 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팬은 회전 방향에 상응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마운팅 박스 내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마운팅 박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류를 형성하는, 연기 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감지기는 제1 공간과 제2 공간을 구획하는 경계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기 감지 유닛과 상기 팬은 상기 경계면을 경계로 분리된 상이한 공간에 각각 위치되는, 연기 감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설정 정보에 의해 상기 팬이 지정된 회전 방향 각각에 대한 회전 시간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연기 감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필터(filter)에 의해 커버되는, 연기 감지기.
KR1020140170786A 2014-12-02 2014-12-02 연기 감지기 KR101662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86A KR101662675B1 (ko) 2014-12-02 2014-12-02 연기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86A KR101662675B1 (ko) 2014-12-02 2014-12-02 연기 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666A true KR20160066666A (ko) 2016-06-13
KR101662675B1 KR101662675B1 (ko) 2016-10-06

Family

ID=5619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786A KR101662675B1 (ko) 2014-12-02 2014-12-02 연기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6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79405A (zh) * 2023-10-13 2023-11-17 深圳市盛邦通信有限公司 一种主动捕捉感应的分体式烟感器
CN117558098A (zh) * 2023-11-20 2024-02-13 山东青耕电气有限公司 早期火灾快速烟雾感应装置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316A (ko) * 2011-03-23 2012-10-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화재감지 및 배연 창 개방 장치가 있는 집중식 배연 덕트 시스템
KR20120128625A (ko) 2010-01-21 2012-11-27 호치키 코포레이션 감지기
KR20130006479A (ko) 2010-04-16 2013-01-16 윈리치 호세잇 온도 측정 장치 및 연기 농도 측정 장치의 조합으로 실내 모니터링을 위한 화재 감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8625A (ko) 2010-01-21 2012-11-27 호치키 코포레이션 감지기
KR20130006479A (ko) 2010-04-16 2013-01-16 윈리치 호세잇 온도 측정 장치 및 연기 농도 측정 장치의 조합으로 실내 모니터링을 위한 화재 감지기
KR20120108316A (ko) * 2011-03-23 2012-10-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화재감지 및 배연 창 개방 장치가 있는 집중식 배연 덕트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79405A (zh) * 2023-10-13 2023-11-17 深圳市盛邦通信有限公司 一种主动捕捉感应的分体式烟感器
CN117079405B (zh) * 2023-10-13 2023-12-19 深圳市盛邦通信有限公司 一种主动捕捉感应的分体式烟感器
CN117558098A (zh) * 2023-11-20 2024-02-13 山东青耕电气有限公司 早期火灾快速烟雾感应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675B1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6348B2 (ja) 光電式煙感知器
KR101732181B1 (ko) 소방용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
US20160121251A1 (en) Contamination sensor, air purifier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64612B1 (ko) 자동 환기 시스템과 연동되는 화재 경보 방법 및 장치
JP2004078908A (ja) 防犯装置および防犯方法
ES2932701T3 (es) Detector de puntos para sistema de alarma contra incendios
JP6376507B2 (ja) 空調装置
KR101662675B1 (ko) 연기 감지기
KR101361449B1 (ko) 연기감지센서가 설치된 배기팬
KR101956787B1 (ko)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방법 및 장치
JP2008507054A (ja) 煙アラームシステム
KR200470830Y1 (ko) 센서통합보드가 내장된 천장형 센서케이스
JP2017062773A (ja) 温度ガードセンサユニット
JP2016151787A (ja) 煙感知器
JP2008097518A (ja) 粒子カウンタ式煙感知装置
JP6606261B2 (ja) 煙感知器
JP5204882B2 (ja) 煙感知システム
JP4927620B2 (ja) 煙感知システム
KR102561893B1 (ko) 듀얼 광학식 연기 감지장치
JP6203108B2 (ja) 換気扇
CN109026799A (zh) 一种换气扇
JP6858612B2 (ja) 火災警報器
JP6261405B2 (ja) 換気扇
KR102053418B1 (ko) 듀얼 센서를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JP2008190923A (ja) 熱線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