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296A -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296A
KR20160066296A KR1020140170490A KR20140170490A KR20160066296A KR 20160066296 A KR20160066296 A KR 20160066296A KR 1020140170490 A KR1020140170490 A KR 1020140170490A KR 20140170490 A KR20140170490 A KR 20140170490A KR 20160066296 A KR20160066296 A KR 20160066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arking space
space
mode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익수
이용주
윤장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6296A/ko
Publication of KR20160066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기저장된 주차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와 일치하는 주차 모드로 주차 가능한 추자 공간을 추천하는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는 감지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공간을 탐색하고, 탐색된 주차 공간에 대응되는 주차 공간 정보를 저장하는 탐색부; 및 저장된 주차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공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방법{Parking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에게 최적의 주차 공간을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차 보조 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자동주차 버튼이 선택되고, 주차 모드로서 직각주차 및 평행주차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주차 모드에 따라 차량의 전장 및 전폭에 따른 주차공간을 탐색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주차 보조 장치가 자동으로 주차 모드를 선택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주차 보조 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주차 모드가 선택되지 않아 자동으로 주차 모드를 선택할 경우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차량이 직각주차된 주차공간 b의 길이가 차량의 전장보다 긴 경우, 종래의 주차 보조 장치는 차량을 직각주차하지 않고, 평행주차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차량이 평행주차된 주차 공간 b의 길이가 차량의 전폭보다 긴 경우, 종래의 주차 보조 장치는 차량을 평행주차하지 않고, 직각주차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주차 보조 장치는 운전자의 의해 주차 모드가 선택되지 않아 자동으로 주차 모드를 판단할 경우, 주차 모드를 잘못 판단하여 주변차량의 주차 모드와 다른 주차 모드로 차량을 주차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탐색된 주차 공간에 대한 주차 공간 정보를 기저장하고,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기저장된 주차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와 일치하는 주차 모드로 주차 가능한 추자 공간을 추천하는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는 감지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공간을 탐색하고, 탐색된 주차 공간에 대응되는 주차 공간 정보를 저장하는 탐색부; 및 저장된 주차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공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저장된 주차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주차 공간 중 주차 공간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와 일치하는 주차 모드로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을 선별하고, 선별된 주차 공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저장된 제1 주차 공간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상기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와 저장된 제1 주차 공간의 주변 차량에 대한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를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와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가 일치하면, 상기 제1 주차 공간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차 가능 공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주차 공간을 기설정된 색상 또는 깜박임 방식으로 강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주차 보조 방법은 감지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공간을 탐색하고, 탐색된 주차 공간에 대응되는 주차 공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저장된 주차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공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는, 저장된 주차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주차 공간 중 주차 공간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와 일치하는 주차 모드로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을 선별하는 단계; 및 선별된 주차 공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 공간을 선별하는 단계는, 저장된 제1 주차 공간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상기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와 저장된 제1 주차 공간의 주변 차량에 대한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결과 상기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와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가 일치하면, 상기 제1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으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별된 주차 공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주차 공간을 기설정된 색상 또는 깜박임 방식으로 강조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탐색된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주차 공간 정보를 기저장하고,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기저장된 주차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와 일치하는 주차 모드로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을 추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와 일치하는 주차 모드로 주차 가능한 공간만을 추천함으로써, 추천된 주차 가능 공간 중 운전자가 직접 자신이 원하는 주차 공간을 선택할 수 있어서 운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차 보조 장치가 자동으로 주차 모드를 선택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된 주차 가능 공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된 주차 가능 공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는 감지부(100), 탐색부(200), 저장부(300), 제어부(40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포함한다.
감지부(10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한 장애물과 차량 간의 거리를 감지하고,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른 장애물의 형태(전장 또는 전폭)를 스캔한다. 감지부(100)는 감지된 거리 정보 및 스캔된 장애물에 대한 형태 정보를 탐색부(200)에 전달한다.
예컨대, 감지부(100)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고, 적외선 센서일 수도 있다. 또한 감지부(100)는 레이저 레인지 파인더(Laser Range Finder) 또는 레이저 스캐너(Laser Scanner) 등일 수도 있다.
탐색부(200)는 감지부(100)로부터 전달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공간을 탐색하고, 탐색된 주차 공간의 크기 정보(길이, 폭) 및 탐색된 주차 공간의 주변 장애물에 대한 형태 정보가 포함된 주차 공간 정보를 저장부(300)에 저장한다.
여기서 탐색부(200)가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공간을 탐색하는 과정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한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저장부(300)에 저장된 주차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주차 공간 중 주차 공간의 주변 장애물의 주차 모드와 일치하는 주차 모드로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만을 선별한다. 제어부(400) 선별된 주차 공간만을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표시한다.
이하, 전술한 제어부(400)의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400)는 저장부(300)에 저장된 주차 공간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추천할 주차 공간만을 선별하고, 선별된 주차 공간만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표시한다.
예컨대, 제어부(400)는 저장된 제1 주차 공간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를 판단하고, 저장된 제1 주차 공간의 주변 장애물에 대한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장애물의 주차 모드를 판단한다. 제어부(400)는 판단된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와 판단된 주변 장애물의 주차 모드를 비교한다.
제어부(400)는 비교결과에 따라 제1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공간 또는 주차 불가능 공간으로 판단한다.
예컨대, 제어부(400)는 비교결과, 판단된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와 판단된 주변 장애물의 주차 모드가 일치하면, 제어부(400)는 제1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공간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비교결과, 판단된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와 판단된 주변 장애물의 주차 모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예컨대, 판단된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가 평행 주차이고, 주변 장애물의 주차 모드가 직각 주차일 경우, 제어부(400)는 제1 주차 공간을 주차 불가능 공간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차 공간이 주차 가능 공간으로 판단되면, 제1 주차 공간을 추천 주차 공간의 색상(붉은색 등)으로 하이라이트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표시한다. 그러나, 제어부(400)는 제1 주차 공간이 주차 불가능 공간으로 판단되면, 제1 주차 공간을 비추천 주차 공간의 색상(회색 등)으로 하이라이트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표시한다.
제어부(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표시된 주차 공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차 공간에 판단된 주차 모드로 주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탐색된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주차 공간 정보를 기저장하고,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기저장된 주차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와 일치하는 주차 모드로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을 추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와 일치하는 주차 모드로 주차 가능한 공간만을 추천함으로써, 추천된 주차 가능 공간 중 운전자가 직접 자신이 원하는 주차 공간을 선택할 수 있어서 운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보조 장치의 주차 보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한 장애물과 차량 간의 거리를 감지하고,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른 장애물의 형태(전장 또는 전폭)를 스캔한다(S400).
감지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공간을 탐색한다(S401).
탐색된 주차 공간의 크기 정보(길이, 폭) 및 탐색된 주차 공간의 주변 장애물에 대한 형태 정보가 포함된 주차 공간 정보를 저장한다(S402).
여기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공간을 탐색하는 과정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저장된 주차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주차 공간 중 주차 공간의 주변 장애물의 주차 모드와 일치하는 주차 모드로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만을 선별한다. 선별된 주차 공간만을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표시한다(S403).
전술한 바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저장된 주차 공간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추천할 주차 공간만을 선별한다. 그런 다음, 선별된 주차 공간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다.
예컨대, 저장된 제1 주차 공간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를 판단하고, 저장된 제1 주차 공간의 주변 장애물에 대한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장애물의 주차 모드를 판단한다. 판단된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와 판단된 주변 장애물의 주차 모드를 비교한다.
비교결과에 따라 제1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공간 또는 주차 불가능 공간으로 판단한다.
예컨대, 판단된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와 판단된 주변 장애물의 주차 모드가 일치하면, 제1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공간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비교결과, 판단된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와 판단된 주변 장애물의 주차 모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예컨대, 판단된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가 평행 주차이고, 주변 장애물의 주차 모드가 직각 주차일 경우, 제1 주차 공간을 주차 불가능 공간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1 주차 공간이 주차 가능 공간으로 판단되면, 제1 주차 공간을 추천 주차 공간의 색상(붉은색 등)으로 하이라이트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다. 그러나, 제1 주차 공간이 주차 불가능 공간으로 판단되면, 제1 주차 공간을 비추천 주차 공간의 색상(회색 등)으로 하이라이트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표시된 주차 공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차 공간에 판단된 주차 모드로 주차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감지부 200 : 탐색부
300 : 저장부 400 : 제어부
500 :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8)

  1. 감지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공간을 탐색하고, 탐색된 주차 공간에 대응되는 주차 공간 정보를 저장하는 탐색부; 및
    저장된 주차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공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주차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저장된 주차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주차 공간 중 주차 공간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와 일치하는 주차 모드로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을 선별하고, 선별된 주차 공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것
    인 주차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저장된 제1 주차 공간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상기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와 저장된 제1 주차 공간의 주변 차량에 대한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를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와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가 일치하면, 상기 제1 주차 공간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차 가능 공간으로 표시하는 것
    인 주차 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주차 공간을 기설정된 색상 또는 깜박임 방식으로 강조하여 표시하는 것
    인 주차 보조 장치.
  5. 감지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공간을 탐색하고, 탐색된 주차 공간에 대응되는 주차 공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저장된 주차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공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차 보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는,
    저장된 주차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주차 공간 중 주차 공간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와 일치하는 주차 모드로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을 선별하는 단계; 및
    선별된 주차 공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주차 보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공간을 선별하는 단계는,
    저장된 제1 주차 공간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상기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와 저장된 제1 주차 공간의 주변 차량에 대한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결과 상기 제1 주차 공간에 따른 주차 모드와 주변 차량의 주차 모드가 일치하면, 상기 제1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으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주차 보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된 주차 공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주차 공간을 기설정된 색상 또는 깜박임 방식으로 강조하여 표시하는 단계인 것
    인 주차 보조 방법.
KR1020140170490A 2014-12-02 2014-12-02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66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490A KR20160066296A (ko) 2014-12-02 2014-12-02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490A KR20160066296A (ko) 2014-12-02 2014-12-02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296A true KR20160066296A (ko) 2016-06-10

Family

ID=5619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490A KR20160066296A (ko) 2014-12-02 2014-12-02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62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583A1 (ko) * 2016-10-12 2018-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80068125A (ko) * 2016-12-13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JP2020040441A (ja) * 2018-09-07 2020-03-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駐車装置及び自動駐車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583A1 (ko) * 2016-10-12 2018-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766484B2 (en) 2016-10-12 2020-09-08 Lg Electronics Inc. Parking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20180068125A (ko) * 2016-12-13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WO2018110762A1 (ko) * 2016-12-13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JP2020040441A (ja) * 2018-09-07 2020-03-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駐車装置及び自動駐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1765B2 (en) Parking assist apparatus and method
US105917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hologram, vehicle system
KR101498976B1 (ko) 차량용 주차지원시스템 및 주차지원방법
KR101438941B1 (ko) 주차 지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6165440B2 (ja) 非駐車区域の駐車支援装置及び方法
CN111746503B (zh) 泊车方法、系统、设备、车辆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720055B2 (en) Parking assist apparatus
US9520063B2 (en) Parking control apparatus, parking control method and parking control system
KR101583998B1 (ko) 주차지원장치 및 방법
EP1783035B1 (en) Parking assist method and a parking assist apparatus
JP6926976B2 (ja) 駐車支援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384664B2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US10618528B2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US9187125B2 (en) Park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US20140307083A1 (en) Parking Assisting System
US105658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rking assist
KR101824681B1 (ko) 자동 주차모드 선택이 지원되는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JP2016215691A (ja) 駐車支援装置および駐車支援方法
US104143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r assistance system
KR102273570B1 (ko) 출차 지원 시스템
US9731763B2 (en) Parking assist device and parking assist system
KR20160066296A (ko) 주차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54926A (ko) 운전자 적응 주차지원장치 및 운전자 적응 주차지원방법
KR20150028492A (ko) 조향 휠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6746510B2 (ja) 駐車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