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226A -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226A
KR20160066226A KR1020140170292A KR20140170292A KR20160066226A KR 20160066226 A KR20160066226 A KR 20160066226A KR 1020140170292 A KR1020140170292 A KR 1020140170292A KR 20140170292 A KR20140170292 A KR 20140170292A KR 20160066226 A KR20160066226 A KR 20160066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ulley
guide
hook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일
Original Assignee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0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6226A/ko
Publication of KR2016006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의 메인붐과 후크를 와이어로 연결하면서 중량체의 중량에 따라 와이어가 감기는 연결연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가이드를 구성하는 가이드트랙이 제2 풀리들의 경계면을 구획함에 따라 와이어의 탈선이 방지될 수 있으며, 가이드트랙이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관통공간을 개폐하므로 부속품의 분실 염려 없이 와이어의 연결연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WIRE CONNECTING STRUCTURE OF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의 메인붐과 후크를 와이어로 연결하면서 중량체의 중량에 따라 와이어가 감기는 연결연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중량체를 들어올려서 상하 전후로 운반하기 위한 기계장치로서 구동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 하나로 다단으로 이루어져 길이가 신축하는 붐(boom) 끝에 후크를 매달아 작동하는 지브 크레인(jib crane)이 있다.
통상적인 크레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되어 길이가 신축하면서 승강하는 붐(1)의 단부에 복수의 풀리(2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풀리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플레이트(21)를 구비한 붐헤드(2)와, 복수의 풀리(3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후크(35)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후크조립체(3)와, 풀리(23, 33)에 권선된 로우프(4)와, 로우푸(4)의 단부에 고정되는 소켓(5)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크레인은 후크(35)를 통해 인양하고자 하는 중량체가 무거울 경우, 붐헤드(2)의 풀리(23)와 후크조립체(3)의 풀리(33)에 로우프를 여러번 감아서 인양속도는 느리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하고, 인양하고자 하는 물건이 가벼운 경우에는 로우프를 적게 감아서 인양 속도를 빠르게 하여 작업을 한다.
예컨대, 로우프는 풀리(23)(33)에 한 번 감기면서 권선연수가 2연이 될 경우에 약 7톤의 하중에 견딜 수 있고, 풀리에 두 번 감기면서 권선연수가 4연이 될 경우에 약 14톤의 하중에 견딜 수 있다.
이때, 로우프의 권선연수를 변경하기 위한 기존방식은 로우프(4)의 일단에 고정된 소켓(5)을 로우프(4)로 부터 분리하고, 소켓(5)이 분리된 로우프의 일단을 후크조립체(3)의 풀리(33)와 후크(35) 사이의 공간과 붐헤드(2)의 풀리(23)와 지지플레이트(21) 사이의 공간으로 통과시켜서 로우프의 권선수를 변경시켜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소켓(5)을 로우프(4)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붐헤드(2)의 오픈소켓고정브라켓(24)에 조립되어 있는 소켓(5)에 형성된 핀구멍으로 삽입된 알핀(9)과 핀(8)을 분해하여야 하며, 로우프(4)의 일단을 체결하고 있는 와이어클립(6)을 풀고, 상기 소켓(5)에서 웨지(7)를 분리하여야 하므로 작업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로우프(4)의 권선연수 변경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와아어클립(6)과 핀(8) 및 알핀(9) 조립작업을 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7137호에 개시된 로프의 권선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붐헤드와 후크조립체를 갖는 크레인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전술한 풀리(23)(33)의 상부 및 하부에 소켓(5)이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풀리(23)(33)에 근접하는 안내핀을 탈부착하면서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동시에 로우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상기 안내핀이 붐헤드(2) 및 후크조립체(3)에 각각 탈착되면서 붐헤드(2) 및 후크조립체(3)에서 분리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안내핀의 분실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상기 안내핀들이 풀리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근접 고정되면서 로우프의 이탈을 막는 구성이어서 로우프가 인접된 풀리로 탈선할 우려가 있으며, 완전한 이탈방지를 위해서는 안내핀들을 풀리의 원주방향으로 복수 구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71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와이어의 단부에 와이어소켓이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의 연결연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특히 와이어소켓의 관통공간을 개폐하는 부재가 붐헤드나 후크유닛에 고정된 상태로 피벗회전을 통해 관통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와이어소켓의 관통공간을 개폐하는 동시에 풀리에 감긴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풀리들의 경계면을 구획함으로써 와이어의 탈선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는, 차량에 회동 및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다단으로 이루어져 길이가 신축하는 메인붐과, 상기 메인붐에 인출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차량의 동력에 의해 인출되거나 권취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상태로 중량체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중량체를 견인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크레인에 상기 메인붐과 상기 후크를 상기 와이어로 연결하면서 중량체의 중량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연결연수를 가변시키기 위한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로서,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착탈가능하게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위를 제공하는 와이어소켓; 상기 메인붐의 단부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메인붐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연결연수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감기는 복수의 제1 풀리가 설치되면서 상기 제1 풀리의 상부에 상기 와이어소켓의 제1 관통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풀리에 감긴상태로 상기 후크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 단부의 상기 와이어소켓이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붐헤드; 상기 후크가 동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상기 붐헤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풀리의 수량에 대응하는 제2 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풀리의 하부에 상기 와이어소켓의 제2 관통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풀리에 감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제2 풀리에 감기는 후크유닛; 및 상기 후크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관통공간을 개폐하면서 상기 와이어소켓의 관통을 허용하거나 상기 제2 풀리에 감긴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이어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가이드는, 상기 제2 풀리에 부합하는 원호형태로 상기 제2 풀리들의 경계면을 구획하면서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획부를 가지며, 상기 구획부와 동일체로 상기 제2 관통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관통공간을 개폐하는 연장부를 가지면서 상기 제2 풀리들의 경계면의 수량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이드트랙; 상기 가이드트랙들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고정되어 상기 후크유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고정단을 이루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동일한 형태로 상기 가이드트랙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자유단을 이루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트랙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제2 관통공간을 개방하거나 상기 후크유닛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제2 관통공간을 차폐하는 고정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트랙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기 구획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가이드트랙과 함께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붐헤드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관통공간을 개폐하면서 상기 와이어소켓의 관통을 허용하거나 상기 제1 풀리에 감긴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와이어소켓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위를 제공하는 소켓고정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소켓고정가이드는, 상기 제1 풀리들의 경계면에 제각기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1 풀리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풀리들의 경계면을 구획하면서 상기 와이어의 탈선을 방지하고, 상기 제1 풀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관통공간을 개폐하는 복수의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걸린상태로 상기 붐헤드에 체결되면서 상기 가이드판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판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걸린상태로 상기 붐헤드에 체결되고, 상기 와이어소켓이 관통상태로 걸리면서 상기 붐헤드 및 상기 가이드판에 상기 와이어소켓을 착탈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와이어소켓은, 상기 붐헤드에 일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협소해지는 관체형의 소켓본체; 및 상기 소켓본체의 내경과 부합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와 함께 상기 소켓본체에 끼워져 걸리면서 상기 와이어를 상기 소켓본체에 고정하는 소켓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는, 와이어가이드를 구성하는 가이드트랙이 제2 풀리들의 경계면을 구획함에 따라 와이어의 탈선이 방지될 수 있으며, 가이드트랙이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관통공간을 개폐하므로 부속품의 분실 염려 없이 와이어의 연결연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더욱이, 소켓고정가이드를 구성하는 가이드판이 제1 풀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관통공간을 개폐하므로 와이어 연결연수의 변경이 더욱 용이하며, 가이드판들이 제1 풀리들의 경계면을 구획하므로 와이어가 인접된 풀리로 탈선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체결핀에 의해 관통되면서 와이어소켓의 체결부위를 제공하므로 와이어소켓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크레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와이어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켓고정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을 구성하는 메인붐(10)에 와이어(20)를 통해 후크(30)를 연결하면서 중량체의 중량에 따라 와이어(20)의 연결연수를 가변시키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소켓(100), 붐헤드(200), 후크유닛(300) 및 와이어가이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소켓(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20)의 단부에 고정되어 와이어(20)를 후술되는 붐헤드(200)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와이어소켓(100)은 도 2에 발췌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본체(110) 및 소켓블록(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소켓본체(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체결핀(530)을 통해 붐헤드(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관체형으로 형성되면서 타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협소해지도록 형성된다.
소켓블록(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본체(110)의 내경과 부합되는 형태를 이루고, 와이어(20)가 감싸진 상태로 와이어(20)와 함께 소켓본체(110)에 끼워져 걸림에 따라 와이어(20)를 소켓본체(110)에 고정시킨다.
즉, 와이어(20)는 소켓블록(120)과 함께 소켓본체(110)에 끼워진 상태로 당겨짐에 따라 소켓본체(110)의 협소한 내주면에 걸린상태로 고정된다.
붐헤드(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구성되는 메인붐(10)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메인붐(10)에서 인출되는 와이어(20)가 감기는 제1 풀리가(2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1 풀리(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중량체의 중량에 따라 와이어(20)의 연결연수가 추가되거나 감소된다.
그리고, 붐헤드(200)는 제1 풀리(210)의 상부에 와이어소켓(100)이 관통하기 위한 제1 관통공간(220)이 형성됨에 따라 와이어(20)가 단부에 와이어소켓(100)이고정된 상태로 제1 관통공간(220)을 관통하면서 제1 풀리(210)에 감기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붐헤드(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체결핀(530)이 체결되면서 와이어소켓(100)이 끼워져 걸림에 따라 와이어소켓(100)이 착탈가능하게 체결된다.
후크유닛(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0)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와이어(20)를 통해 붐헤드(200)와 연결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후크유닛(300)은 하단에 후크(3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붐헤드(200)의 제1 풀리(210)에 대응하는 제2 풀리(3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와이어(20)가 감기면서 붐헤드(200)에 연결된다.
즉, 와이어(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풀리(210)의 상단과 제2 풀리(310)의 하단에 순차적으로 감기면서 후크유닛(300)와 붐헤드(200)를 연결한다.
여기서, 후크유닛(3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풀리(310)의 하부에 제2 관통공간(320)이 형성되어 와이어소켓(100)이 와이어(20)에 고정된 상태로 관통할 수 있다.
와이어가이드(400)는 후크유닛(300)의 제2 관통공간(320)을 개폐가능하게 차폐하면서 제2 풀리(310)에 감긴 와이어(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와이어가이드(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트랙(410), 회전축(420) 및 고정축(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트랙(410)은 후크유닛(300)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타단부가 회전하면서 제2 관통공간(320)을 개폐하는 동시에 제2 풀리(310)들의 경계면을 구획하여 와이어(20)의 탈선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가이드트랙(4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편형태로 구성되면서 복수로 구성되어 제2 풀리(310)들의 경계면 수량에 대응하며, 구획부(411) 및 연장부(4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획부(4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풀리(310)의 원주에 부합하는 원호형태로 형성되어 제2 풀리(310)들의 경계면에 배치되면서 제2 풀리(310)들의 경계면을 구획한다.
연장부(4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부(411)의 일단부에 직선형태로 연장되면서 제2 관통공간(320)으로 연장되어 제2 관통공간(320)을 개폐한다.
즉, 가이드트랙(4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412)의 단부가 후크유닛(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연장부(412)를 통해 제2 관통공간(320)을 개폐하며, 제2 관통공간(320)을 차폐한 상태로 고정되면서 구획부(411)를 통해 제2 풀리(320)들의 경계면을 구획함으로써 와이어(20)가 인접된 풀리로 탈선하는 것을 막는다.
회전축(4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트랙(410)을 구성하는 연장부(412)의 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고정되면서 후크유닛(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트랙(410)의 고정단을 이룬다.
고정축(4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트랙(410)을 구성하는 구획부(411)의 단부에 고정되어 자유단을 이루면서 회전축(420)을 중심으로 가이드트랙(410)과 함께 회전하며, 고정볼트를 통해 후크유닛(3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면서 가이드트랙(410)을 차폐상태로 고정한다.
즉, 가이드트랙(410)은 고정축(430)의 분리에 의해 회전축(4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2 관통공간(320)을 개방하며, 고정축(430)의 고정에 의해 제2 관통공간(320)을 차폐한 상태로 고정되면서 제2 풀리(320)들의 경계면을 구획한다.
한편, 와이어가이드(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축(4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축(440)은 가이드트랙(410)과 함께 와이어(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부재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트랙(410)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구획부(411)에 고정되어 가이드트랙(410)과 직교상태를 이루면서 제2 풀리(320)들에 인접상태로 배치되어 와이어(20)가 제2 풀리(32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고정가이드(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소켓고정가이드(500)는 전술한 붐헤드(200)의 제1 관통공간(220)을 개폐가능하게 차폐하면서 제1 풀리(210)에 감긴 와이어(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와이어소켓(100)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소켓고정가이드(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판(510), 고정핀(520) 및 체결핀(5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판(5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형태로 구성되고 복수로 구성되어 제1 풀리(210)들의 경계면 수량에 대응하면서 제1 풀리(210)들의 경계면을 구획하여 와이어(20)의 탈선을 방지한다.
이러한 가이드판(510)은 제1 풀리(210)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풀리(2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1 관통공간(220)을 개폐한다.
고정핀(5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판(510)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걸린상태로 붐헤드(200)에 체결되면서 제1 관통공간(220)이 차폐된 상태로 가이드판(510)을 고정한다.
즉, 고정핀(520)은 가이드판(510)을 붐헤드(200)에 고정하여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면서 제1 관통공간(220)을 개폐시킨다.
체결핀(530)은 전술한 와이어소켓(100)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520)의 타측에서 가이드판(510)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걸린상태로 붐헤드(200)에 체결되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소켓(100)을 구성하는 소켓본체(110)가 관통상태로 걸린다.
즉, 와이어소켓(100)은 가이드판(510)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가이드판(510)과 함께 체결핀(530)에 의해 관통상태로 걸리면서 붐헤드(200)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작업자가 중량체의 중량에 따라 붐헤드(200)와 후크유닛(300)을 연결하는 와이어(20)의 연결연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체결핀(530)을 붐헤드(200)에서 분리하여 와이어소켓(100)을 붐헤드(200)로부터 분리시키고, 고정핀(520)을 붐헤드(200)에서 분리하여 가이드판(510)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관통공간(220)을 개방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와이어가이드(400)를 구성하는 고정축(430)을 후크유닛(300)에서 분리하여 회전축(420)을 중심으로 가이드트랙(410)을 회전시킴으로써 제2 관통공간(320)을 개방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제1 관통공간(220) 및 제2 관통공간(320)을 통해 와이어소켓(100)을 관통시켜서 와이어(20)를 제1 풀리(210) 및 제2 풀리(310)에 감으면서 연결연수를 추가하거나, 와이어(20)를 제1 풀리(210) 및 제2 풀리(320)로부터 풀면서 와이어(20)의 연결연수를 변경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와이어트랙(410)을 회전시켜 제2 관통공간(320)을 폐쇄시킨 상태로 고정축(430)을 통해 고정하고, 가이드판(510)을 회전시켜 제1 관통공간(220)을 폐쇄시킨 상태로 고정핀(520)으로 고정시킨 후, 체결핀(530)을 통해 와이어소켓(100)을 붐헤드(200)에 고정하여 작업을 완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는, 와이어가이드(400)를 구성하는 가이드트랙(410)이 제2 풀리(320)들의 경계면을 구획함에 따라 와이어(20)의 탈선이 방지될 수 있으며, 가이드트랙(410)이 회전축(42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관통공간(320)을 개폐하므로 부속품의 분실 염려 없이 와이어(20)의 연결연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더욱이, 소켓고정가이드(500)를 구성하는 가이드판(510)이 제1 풀리(2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관통공간(220)을 개폐하므로 와이어(20) 연결연수의 변경이 더욱 용이하며, 가이드판(510)들이 제1 풀리(210)들의 경계면을 구획하므로 와이어(20)가 인접된 풀리로 탈선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체결핀(530)에 의해 관통되면서 와이어소켓(100)의 체결부위를 제공하므로 와이어소켓(100)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메인붐 20 : 와이어
30 : 후크 100 : 와이어소켓
110 : 소켓본체 120 : 소켓블록
200 : 붐헤드 210 : 제1 풀리
220 : 제1 관통공간 300 : 후크유닛
310 : 제2 풀리 320 : 제2 관통공간
400 : 와이어가이드 410 : 가이드트랙
411 : 구획부 412 : 연장부
420 : 회전축 430 : 고정축
440 : 이탈방지축 500 : 소켓고정가이드
510 : 가이드판 520 : 고정핀
530 : 체결핀

Claims (1)

  1. 차량에 회동 및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다단으로 이루어져 길이가 신축하는 메인붐과, 상기 메인붐에 인출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차량의 동력에 의해 인출되거나 권취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상태로 중량체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중량체를 견인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크레인에 상기 메인붐과 상기 후크를 상기 와이어로 연결하면서 중량체의 중량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연결연수를 가변시키기 위한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로서,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착탈가능하게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위를 제공하는 와이어소켓;
    상기 메인붐의 단부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메인붐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연결연수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감기는 복수의 제1 풀리가 설치되면서 상기 제1 풀리의 상부에 상기 와이어소켓의 제1 관통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풀리에 감긴상태로 상기 후크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 단부의 상기 와이어소켓이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붐헤드;
    상기 후크가 동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상기 붐헤드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풀리의 수량에 대응하는 제2 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풀리의 하부에 상기 와이어소켓의 제2 관통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풀리에 감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제2 풀리에 감기는 후크유닛; 및
    상기 후크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관통공간을 개폐하면서 상기 와이어소켓의 관통을 허용하거나 상기 제2 풀리에 감긴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이어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가이드는,
    상기 제2 풀리에 부합하는 원호형태로 상기 제2 풀리들의 경계면을 구획하면서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획부를 가지며, 상기 구획부와 동일체로 상기 제2 관통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관통공간을 개폐하는 연장부를 가지면서 상기 제2 풀리들의 경계면의 수량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이드트랙;
    상기 가이드트랙들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고정되어 상기 후크유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고정단을 이루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동일한 형태로 상기 가이드트랙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자유단을 이루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트랙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제2 관통공간을 개방하거나 상기 후크유닛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제2 관통공간을 차폐하는 고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
KR1020140170292A 2014-12-02 2014-12-02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 KR20160066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292A KR20160066226A (ko) 2014-12-02 2014-12-02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292A KR20160066226A (ko) 2014-12-02 2014-12-02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226A true KR20160066226A (ko) 2016-06-10

Family

ID=5619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292A KR20160066226A (ko) 2014-12-02 2014-12-02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62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5415A (zh) * 2017-06-21 2017-08-18 山东电力基本建设总公司 冷却塔液压顶升平桥附着装置
CN110092308A (zh) * 2019-06-14 2019-08-06 浙江三一装备有限公司 起重机的副臂及起重机
CN114251432A (zh) * 2021-12-30 2022-03-29 重庆运满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钢丝绳压制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137B1 (ko) 2004-05-28 2006-08-01 주식회사수산중공업 로프의 권선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붐헤드와후크조립체를 갖는 크레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137B1 (ko) 2004-05-28 2006-08-01 주식회사수산중공업 로프의 권선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붐헤드와후크조립체를 갖는 크레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5415A (zh) * 2017-06-21 2017-08-18 山东电力基本建设总公司 冷却塔液压顶升平桥附着装置
CN110092308A (zh) * 2019-06-14 2019-08-06 浙江三一装备有限公司 起重机的副臂及起重机
CN110092308B (zh) * 2019-06-14 2024-03-29 浙江三一装备有限公司 起重机的副臂及起重机
CN114251432A (zh) * 2021-12-30 2022-03-29 重庆运满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钢丝绳压制器
CN114251432B (zh) * 2021-12-30 2024-02-27 重庆运满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钢丝绳压制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5982B2 (en) Crane and boom hoisting device thereof
KR20160066226A (ko) 크레인의 와이어 연결구조
EP3466861A1 (en) Crane and method of assembling jib
JP2007202339A (ja) 柱装吊上装置
JP5540875B2 (ja) ホイールクレーンのフック部保持具及びフック装置
US86165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eving a hoisting cable
JP5090814B2 (ja) クレーンブーム先端部構造
JP6391460B2 (ja) ウインチドラム
JP7224189B2 (ja) クレーンとワイヤリング方法
CN210655850U (zh) 一种双绳式抓土器
JP5324970B2 (ja) 旋回台付き作業車の油圧ホース接続構造
CA2983834C (en) Pipelayer with quick attach counterweights
JP2016023021A (ja) 柱吊り治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205820773U (zh) 一种可控式高处设备拆卸装置
KR101854841B1 (ko) 케이블 드럼용 지그
CN206844106U (zh) 一种钢管护筒
JP2011140799A (ja) 杭打機の下部リーダ着脱治具及び着脱方法
KR101804044B1 (ko)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
KR200366335Y1 (ko) 크레인 후크의 연결구조
JP5766079B2 (ja) アースドリル
CN107805982A (zh) 一种改进型轨道板起吊部件
JP6923014B2 (ja) 作業機械の連結装置、連結ピン、連結ピン装着器具および連結ピンの脱離方法
JP7164445B2 (ja) クレーン車のブームヘッド機構
JP6558229B2 (ja) フック装置
JP6765326B2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