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304A -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304A
KR20160065304A KR1020140168583A KR20140168583A KR20160065304A KR 20160065304 A KR20160065304 A KR 20160065304A KR 1020140168583 A KR1020140168583 A KR 1020140168583A KR 20140168583 A KR20140168583 A KR 20140168583A KR 20160065304 A KR20160065304 A KR 20160065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extract
carcinoma
composi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박광현
홍온유
조유진
장혜연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8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5304A/ko
Publication of KR20160065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품종: 청일뽕) 추출물은 높은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3G) 함량을 가지며, 유방암 세포에 대해 사멸유도 능력을 나타내고, 암종괴 성장억제 효능을 나타내어,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약학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mulberry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본 발명은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특히 유방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세계적으로도 심장질환 다음으로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는 질병으로 매년 백만 명 이상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한다. 많은 나라의 연구팀들이 암의 발생기전이나 치료에 대한 연구를 위해 막대한 연구비를 투자하고 있으나 아직도 암은 난치성 질병으로 남아 있다. 한편, 유방암은 서양 여성 중에서는 암에 의한 사망을 주도하는 원인 중 하나로서, 향후 대한민국, 일본과 같은 국가의 동양 여성에게서도 암에 의한 사망을 주도할 원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암협회는 9명의 여성 중 1명이 이 질병에 걸릴 위험이 있고, 이 질병에 걸린 환자 중 약 1/4은 치명적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암은 20세기 초까지는 노화와 더불어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피할 수 없는 질병으로 여겨졌으나, 최근 암환자의 80%이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암이 발생되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기존의 불완전한 암치료보다는 암 예방에 관한 새로운 물질에 관한 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암 예방이란 식품 혹은 보조식품, 약품 등을 이용하여 발암과정의 초기단계에서 암 발생을 예방하거나 억제시킴으로써, 암으로 진행된 것을 전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까지 800여 종의 물질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물질은 과일이나 채소 등에서 추출된 것이며 여러 가지 암의 진행을 막아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천연 추출물은 장기 복용에 따른 독성 발생의 위험부담이 적고 원료 생산이 용이하며 보존 상태가 외부 환경에 따라 비교적 안정적이라는 점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암 예방제의 개발에 있어서 천연물로부터의 활성 검색은 높은 효율성과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낙엽목인 뽕나무(Morus alba L.)의 열매인 오디(Mulberry)는 5월부터 6월에 걸쳐 과실의 색이 검은 색 또는 자홍색을 나타낼 때 채취하여 식용하거나 건조한 후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오디 추출물은 폴리페놀(polyphenol),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스틸벤(stilbenes), 프레닐플라보노이드(prenylflavonoids), 쿠마린(coumarin) 및 데옥시노지리마이신(deoxynojirimycine) 등의 항산화, 항간독성 및 항 당뇨성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 식품 소재로써 각광을 받고 있으며, 항당뇨, 항염증 및 항고지혈증 등의 여러 생리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오디는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지방 산화를 지연시키거나 방지하며, 암, 심장혈관계 질환 등을 예방 또는 지연시킴으로써 노화방지에도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안토시아닌은 오디, 블루베리, 복분자, 자색고구마 등의 다양한 유색 꽃이나 과실 등에 포함되어 있는 색소 물질로서 안토시아닌의 색소배당체가 가수분해되는 단당류 또는 이당류, 그리고 아글리콘으로 분류되는 물질이다. 이 분류는 시아닌과 같은 시아니딘의 배당체, 펠라르고닌과 같은 펠라르고니딘의 배당체 등이 잘 알려져 있으나, 당의 부착방식에 따라 다양한 분류 체계를 갖는다. 구성당은 포도당, 갈락토오스, 람노오스, 자일로스, 아라비노오스, 글루쿠로닉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결합 위치는 하이드록시기등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yanidin 3-glycoside, C3G)는 다양한 베리류와 같은 유색 과실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대표적인 안토시아닌 계열의 물질로서 다양한 질병의 조절에 유효할 것이라는 연구 내용이 보고되고 있지만 (Molecules. 2007. 12(4):745-58) 대부분의 경우 정제된 C3G를 사용하고 있고, 고 함량의 C3G를 포함하는 품종의 추출물을 이용한 경우는 없는 실정이다.
KR 10-2008-0071624
본 발명자들은 암, 특히 유방암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대해 탐색하던 중, 오디(품종: 청일뽕) 추출물이 높은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3G) 함량을 가지며, 유방암 세포에 대해 사멸유도 능력을 나타내고, 암종괴 성장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인체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식물 유래의 물질로부터 연구하던 중, 오디(품종: 청일뽕) 추출물이 높은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yanidin 3-glycoside, C3G) 함량을 포함하고, 이를 이용하여 암, 특히 유방암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유효성분이란 조성물, 구체적으로 약학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에 있어서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제공하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오디는 청일뽕, 익수뽕, 수원뽕, 과상 2호 등의 품종일 수 있으나, 청일뽕인 것이 바람직하며, 재배한 것, 채취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라북도 부안에서 재배된 청일뽕은 타 지역에서 재배된 오디에 비해 높은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3G) 함량을 가지며 유방암 세포에 대해 높은 사멸유도 능력을 나타내고, 암종괴 성장억제 효능을나타내었다.
상기 추출물은 60~90% (w/w)의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yanidin 3-glycoside, C3G)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80% (w/w)의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염화 메틸렌,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지 추출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암은 CTH 생성 종양, 급성 림프구성 또는 림프아구성 백혈병, 급성 또는 만성의 림포구성 백혈병, 급성 비림프구성 백혈병, 방광암, 뇌종양, 유방암, 경관암, 만성 골수성 백혈병, 장암, T-존 림프종, 자궁내막증, 식도암, 담즙 방광암, 에윙스 육종(Ewing's sarcoma), 두 및 목암, 설암, 홉킨스 림프종, 카포시스 육종, 신장암, 간암, 폐암, 중피종, 다발성 골수종, 신경아세포종, 비홉킨 림프종, 골육종, 난소암, 신경아세포종, 유선암, 경관암, 전립선암, 췌장암, 대장암, 페니스암, 레티노블라스토마, 피부암, 위암, 갑상선암, 자궁암, 고환암, 윌름스 종양, 및 트로포블라스토마 등일 수 있으며, 유방암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방암은 침윤성 관암종, 침윤성 소엽암종, 수질성 암종, 관상 암종, 점액성 암종, 유두상 암종, 화생성 암종, 아포크린 암종, 선양낭성 암종, 분비성 암종, 파제트병 및 악성엽상종양 등일 수 있다.
상기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상기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상기 오디 추출물에 암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더욱 포함할 수 있고, 이외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추가성분 즉, 약학적으로 허용되거나 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키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루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성분들은 상기 유효성분 즉, 오디 추출물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오디 추출물을 0.001 내지 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9 중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성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20 중량% 범위에서 추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약제화하는 경우,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모두 사용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유효성분 즉, 오디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과립제, 산제, 시럽제, 액제, 현탁제, 정제, 주사제, 주정제, 카타플라스마제(cataplasma), 캅셀제,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등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할 때, 0.0001 mg/kg 내지 1000 mg/kg으로, 보다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0.01 mg/kg 내지 100 mg/kg, 더더욱 효과적으로는 30 mg/kg 내지 5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공지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화합물 또는 천연물에 대한 추출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효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5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식품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중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건강기능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g일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오디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0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오디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g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g 내지 12 g이다.
또한,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중량%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g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g 내지 1 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라북도 부안에서 재배된 오디(품종: 청일뽕) 추출물은 타 지역에서 재배된 오디에 비해 높은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3G) 함량을 나타내어 유방암 세포에 대해 사멸유도 능력을 나타내는 효과가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품종: 청일뽕) 추출물은 높은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3G) 함량을 가지며, 유방암 세포에 대해 사멸유도 능력을 나타내고, 암종괴 성장억제 효능을 나타내어,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약학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오디 추출물의 (a)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yanidin 3-glycoside, C3G) 함량에 대한 HPLC 측정 결과 및 (b) 이의 정량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오디 추출물의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사멸유도 활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오디 추출물의 유방암 세포주를 이식한 쥐에 대한 암종괴의 성장억제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전라북도 부안 유래 오디 추출물의 제조
전라북도 부안에서 재배된 오디(품종: 청일뽕)를 부안에 위치한 오디 재배 농가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신선한 상태로 구입한 오디를 깨끗이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온에서 건조하고 분쇄하였다. 분쇄된 오디 분말을 에탄올에 침지시켜 밤새 추출하였다. 상기 오디 추출물을 여과한 후, 용매를 증발시켜 농축하여, 최종 오디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타지역 유래 오디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전라북도 부안에서 재배된 오디 대신 타지역에서 재배된오디(품종: 익수뽕)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오디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오디 추출물의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3G) 함량 비교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오디 추출물의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yanidin 3-glycoside, C3G) 함량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표준물질인 Kuromanin chloride(KC)를 시그마-알드리치 사로부터 구입하였고, HPLC를 이용하여 약 95%의 순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은 용출시간 5분 동안의 피크는 용매에 해당하는 피크로 간주하고, 용출시간 7~8분에서 Kuromanin의 피크를 관찰하였다. 또한, 1mg/ml에서 0.0625mg/ml로 계열희석(serial dilution)을 하였으며, 2회 반복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오디 추출물의 시아니딘-3-글루코시드 함량을 비교하여 도 1(a))에 나타내었고, 이의 정량분석 결과를 도 1(b)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라북도 부안에서 재배된 오디(품종: 청일뽕) 추출물은 타 지역에서 재배된 오디(품종: 익수뽕) 추출물에 비해 약 ~200 배 이상의 C3G 함량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전라북도 부안에서 재배된 오디(품종: 청일뽕) 추출물이 타지역에서 재배된 오디(품종: 익수뽕) 추출물에 비해 높은 C3G 함량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오디 추출물의 유방암 세포에 대한 사멸유도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오디(품종: 청일뽕) 추출물의 유방암 세포주의 사멸유도 활성를 평가하였다. 오디 추출물은 고농도의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를 분주후 냉동보관하며 사용하였다. 먼저 오디 추출물을 농도별로 유방암 세포인 MCF-7 세포에 처리하고 4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세포의 생존율은 5-다이페닐-2H-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MTT) 방법을 이용하여 생존한 세포 내부에 형성된 포르마젠(formazen)을 ELISA 판독기(Bio-rad, 미국)로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서는 무처리군을 사용하였고 무처리군에서 획득한 흡광도를 100%으로 하여 세포 생존율을 환산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오디 추출물의 유방암 세포주(MCF-7 세포)에 대한 사멸유도 활성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라북도 부안에서 재배된 고 함량 C3G 를 갖는 오디 추출물은 50 μg/well에서 오차범위 내에서 세포 사멸 기능을 나타냈으며, 100μg/well 농도에서부터는 유의하게 증가하는 세포 사멸율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전라북도 부안에서 재배된 오디(품종: 청일뽕) 추출물이 유방암 세포에 대해 사멸유도 능력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오디 추출물의 유방암 세포를 이식한 쥐에 대한 암종괴 성장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오디(품종: 청일뽕) 추출물의 유방암 세포주를 이식한 쥐에 대한 암종괴 성장억제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이 포함된 삼투성 미니펌프(osmotic minipump)(Alzet, 미국)를 복강내 이식한 누드마우스를 이용하였고, 5일이 경과한 후, 20 gauge 주사기를 이용하여 배양한 2×106 개의 MCF-7 세포 부유액을 마우스의 엉덩이 부분에 피하 이식하였고, 그 다음날부터 증류수를 음성대조군으로 하여 추출물을 1일 2회 아침/저녁으로 강제급이하였다. 상기 추출물 급이는 0, 1.0, 3.0 mg/kg 의 용량으로 실시하였으며 존대를 이용하여 경구투여하였다. 또한, 매일 암종괴의 성장 속도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유방암 세포주 이식 후 5일 경과 후, 암종괴가 육안으로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상기 암종괴의 크기를 1일 1회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가로 및 세로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디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증류수(DDW)를 투여한 군에 비해 암종괴 성장속도는 유의하게 억제되었으며, 오디 추출물 투여용량이 증가할수록 암종괴 성장속도는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전라북도 부안에서 재배된 오디(품종: 청일뽕) 추출물이 유방암 세포를 이식한 쥐에 대한 암종괴 성장억제 효능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는 품종이 청일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는 전라북도 부안에서 재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60~90% (w/w)의 시아니딘-3-글루코시드(cyanidin 3-glycoside, C3G)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염화 메틸렌,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CTH 생성 종양, 급성 림프구성 또는 림프아구성 백혈병, 급성 또는 만성의 림포구성 백혈병, 급성 비림프구성 백혈병, 방광암, 뇌종양, 유방암, 경관암, 만성 골수성 백혈병, 장암, T-존 림프종, 자궁내막증, 식도암, 담즙 방광암, 에윙스 육종(Ewing's sarcoma), 두 및 목암, 설암, 홉킨스 림프종, 카포시스 육종, 신장암, 간암, 폐암, 중피종, 다발성 골수종, 신경아세포종, 비홉킨 림프종, 골육종, 난소암, 신경아세포종, 유선암, 경관암, 전립선암, 췌장암, 대장암, 페니스암, 레티노블라스토마, 피부암, 위암, 갑상선암, 자궁암, 고환암, 윌름스 종양, 및 트로포블라스토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은 침윤성 관암종, 침윤성 소엽암종, 수질성 암종, 관상 암종, 점액성 암종, 유두상 암종, 화생성 암종, 아포크린 암종, 선양낭성 암종, 분비성 암종, 파제트병 및 악성엽상종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9.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20140168583A 2014-11-28 2014-11-28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65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583A KR20160065304A (ko) 2014-11-28 2014-11-28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583A KR20160065304A (ko) 2014-11-28 2014-11-28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304A true KR20160065304A (ko) 2016-06-09

Family

ID=56138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583A KR20160065304A (ko) 2014-11-28 2014-11-28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53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535B1 (ko) * 2018-05-16 2019-01-16 오주영 C3g 성분 함유 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973611A (zh) * 2020-08-04 2020-11-24 暨南大学 矢车菊素-3-o-葡萄糖苷在制备治疗和/或预防子宫内膜增生疾病的药物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624A (ko) 2006-02-15 2008-08-04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잭팟 추첨 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게임기, 및 게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624A (ko) 2006-02-15 2008-08-04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잭팟 추첨 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게임기, 및 게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535B1 (ko) * 2018-05-16 2019-01-16 오주영 C3g 성분 함유 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973611A (zh) * 2020-08-04 2020-11-24 暨南大学 矢车菊素-3-o-葡萄糖苷在制备治疗和/或预防子宫内膜增生疾病的药物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0392B2 (ja) 肥満抑制組成物
KR20180011021A (ko)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371417B1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692032B1 (ko)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160065304A (ko)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16191B1 (ko) 제주 재래 감귤인 팔삭, 당유자 또는 이예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7010970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5969529B2 (ja) 抗炎症剤
KR20150072660A (ko)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40041187A (ko)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2092729B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6923922B2 (ja) ジンセノサイドf2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肝がん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0417243B1 (ko) 항염증 활성을 지닌 분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590726B1 (ko) 목질진흙버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페린신 에이를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1338532B1 (ko)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0873B1 (ko) 양파로부터 쿼세틴의 함량이 증가된 양파 추출물을 생산하는 방법
KR101712889B1 (ko) 양하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031706A (ko) 초고압을 이용한 더덕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20722B1 (ko)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이리도이드 유도체로 구성된 화합물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호르몬장애 또는 갱년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47862A (ko)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세포의 성장억제용 조성물
KR20170062017A (ko) 큰실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30129313A (ko) 새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우울증조성물
KR20220017342A (ko) 새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우울증 조성물
KR101651105B1 (ko) 상백피에서 유래된 mac 9.23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화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