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717A -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717A
KR20160064717A KR1020140168671A KR20140168671A KR20160064717A KR 20160064717 A KR20160064717 A KR 20160064717A KR 1020140168671 A KR1020140168671 A KR 1020140168671A KR 20140168671 A KR20140168671 A KR 20140168671A KR 20160064717 A KR20160064717 A KR 20160064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vehicle
sensing
alle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준환
유영태
장원욱
Original Assignee
고준환
장원욱
유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준환, 장원욱, 유영태 filed Critical 고준환
Priority to KR1020140168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4717A/ko
Publication of KR20160064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1/00Road engineering aspects of Embedding pads or other sensitive devices in paving or other road surfaces, e.g. traffic detectors, vehicle-operated pressure-sensitive actuators, devices for monitoring atmospheric or road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목 교차로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 시스템으로 골목 바닥에 매설되어 차량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와 차량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로 형성되는 감지부와, 상기 무게센서와 적외선 센서의 감지순서에 따라 차량의 주행방향을 감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보행자에게 차량 통행을 경고하는 경고부로 형성되어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통하여 차량통행을 경고하는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Safety Pass System in Pedestrian Alley}
본 발명은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무게 및 방향을 감지하여 골목 보행자에게 차량 통행을 경고하는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중 교통수단, 자가용 등 현대 생활에서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자동차가 증가함에 따라 그로 인한 각종 사건 사고가 증가하고 있는데, 무엇보다 인사사고는 피해자나 가해자 모두에게 치명적인 손실을 야기한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교통사고 발생의 비율 중 교차로에서의 사고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교통사고 사망자 2명 중 1명이 보행 중에 숨졌으며, 이들 중 40% 이상이 골목길에서 사고를 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주택이 많이 모여 있는 골목 교차로에서는 교차 영역을 중심으로 적어도 두 진입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진입로에서 보행자 또는 차량이 교차 영역으로 진입할 때, 다른 진입로에서 교차 영역으로 진입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을 확인할 수 없고, 골목 교차로에서의 교통안전사고는 매우 잦게 발생한다.
이에 대해 골목 교차로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예방수단으로, 골목 교차로에서 교차 영역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는 과속방지턱을 설치한다.
또한, 골목 교차로의 코너 부근에 볼록거울을 설치하여 상호 보이지 않는 두 진입로에서 교차 영역으로 진입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볼록거울은 자동차의 운전자나 보행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인식하지 못할 수 있으며, 눈 또는 비가 오는 날씨이거나 저녁에는 더욱 눈에 띄지 않아 다른 쪽에서 진입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를 볼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좀 더 효과적인 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83811호는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와 교통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차영역에서 각각의 진입로를 촬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상 된 영상을 분석하여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에서 발생 된 경고신호에 따라 각각의 진입로에서 진입하는 물체에 대한 경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교통표시장치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행을 감지하여 표시부를 통한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러한 신호는 대개 간과하기 쉬우므로 소리를 이용하여 통행에 대한 인지성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8578호는 사각지대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사각지대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은 복수의 방향으로 향하는 사각지대들이 만나는 중심부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각각의 상기 사각지대에 설치되며,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행을 감지하는 통행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각각의 통행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각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한 방향의 사각지대에 대한 진입 여부를 표시하는 진입여부 표시부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교통사고 방지 시스템은 복잡한 골목길에서는 설치와 보수과정에 필요한 재료 및 인력 등에 고비용이 부담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소리에 의한 인지성이 없으므로 통행자가 간과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차량의 무게 및 방향을 감지한 뒤 골목 보행자에게 차량 통행을 경고하여 빈번한 골목 교차로의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무게센서와 적외선센서로 구성되는 감지부를 보호덮개로 보호하여 차량통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는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경고부를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이용하여 가시성 및 인지성을 강화한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골목 교차로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 시스템으로 감지부, 제어부와 경고부로 구성되되, 골목 바닥에 매설되어 차량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와 차량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로 형성되는 감지부와, 상기 무게센서와 적외선 센서의 감지순서에 따라 차량의 주행방향을 감지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보행자에게 차량 통행을 경고하는 경고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보호덮개로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경고부는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통해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목 보행자 안전시스템은 차량의 무게와 방향을 감지부를 통해 감지하고 경고부를 통해 보행자에게 알림으로써 골목보행자의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보호덮개로 보호되어 손상을 방지하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골목 보행자의 통행로 내에 경고부를 설치하고 이를 경고등 또는 경고음으로 경고하여 가시성 및 인지성을 증대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목 보행자 안전시스템의 총괄적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목 보행자 안전시스템의 과속방지턱이 설치된 경우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골목 보행자 안전시스템의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목 보행자 안전시스템의 총괄적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목 보행자 안전시스템의 과속방지턱이 설치된 경우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골목 보행자 안전시스템의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골목 교차로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 시스템으로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감지부, 제어부(미도시)와 경고부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는 골목 바닥에 매설되어 차량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200)와 차량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300)로 형성된다.
상기 감지부의 무게센서(200)는 통행하는 차량의 중량을 감지하고, 하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차량의 감지를 위하여 무게센서(200) 하나당 100㎏이상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행하는 차량은 오토바이, 승용차, 트럭, 대형버스 등 모든 교통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무게센서(200)는 도 1에서와 같이 2개 이상이 일렬로 나열되어 과속방지턱(100) 아래에 배치할 수 있다.
오토바이의 경우 바퀴가 앞뒤로 형성되어 무게센서(200) 하나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승용차등은 양쪽으로 구성되어 2개의 센서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대형버스나 트럭과 같이 부피가 큰 차량의 경우는 가장자리의 두개의 센서가 감지할 수 있고, 바퀴가 3개 또는 4개로 이루어진 특수한 차량의 경우는 더 많은 센서가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과속방지턱(100) 아래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고, 과속방지턱(100)을 구비함이 없이 지면 상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과속방지턱(100)이 구비될 경우라면,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더해져서 골목보행자의 교통사고 안전에 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지면 상에 삽입되는 방법은 설치비용이 땅 속으로 매립하는 방법보다 중장비를 이용하지 않는 점 및 많은 인력이 수반되지 않는 점등의 이유로 저렴한 장점이 있다.
상기 무게센서(200)와 적외선 센서(300)가 지면 상에 삽입되는 경우 차량의 무게로 인해 파손될 위험이 있으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해서 보호덮개를 형성하여 이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보호덮개는 강화플라스틱등의 강도가 높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과속방지턱(100)을 대체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무게센서(200)와 적외선 센서(300)의 감지순서에 따라 차량의 주행방향을 감지하고, 이를 경고부(400)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상기 감지순서는 무게센서(200)와 적외선 센서(300)가 순서를 이루어 순차적으로 진행할 경우 경고부(400)로 신호를 보낸다.
상기 감지순서에 따라 무게센서(200)가 감지되고 난 뒤 적외선 센서(300)가 감지되는 경우라면, 보행자가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는 신호를 경고부(400)로 보내게 된다.
다만, 적외선 센서(300)가 먼저 감지된 이후 무게센서(200)가 감지되는 경우라면, 건너편 방향으로 차량이 진행하는 것으로 통행하는 차량이 보행자의 시야에 확보되고,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확률이 낮으므로 제어부는 작동하지 않고 경고부(400)에 신호를 보내지 않는다.
즉, 제어부는 차량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고, 무게센서(200)와 적외선 센서(300)를 함께 작용하여 교통사고 안전시스템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 또는 경고부와는 별도의 장소에 형성되거나, 또는 감지부 또는 경고부에 같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경고부(400)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위험구간의 차량 통행을 보행자에게 알리기 위해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통해 경고할 수 있다.
상기 경고등은 골목교차로에서 보행자의 통행로 끝에 발광하는 경고등을 설치할 수 있고, 이는 시각을 통하여 통행자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다. 별도의 가로등을 설치하거나, 또는 보행자 통행로방향의 코너 벽에 부착된 형태의 경고등을 설치하는 등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경고음은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고, 이는 청각을 통하여 통행자의 인지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가로등을 설치할 경우라면 스피커가 바닥으로 향하도록 하여 소리가 지면으로 흡수되어 소음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골목 보행자 안전시스템의 알고리즘은 시작(초기상태)에서 차량이 지나가면 무게센서(200) 및 적외선센서(300)를 통하여 감지부가 차량을 감지하고, 제어부에서 무게센서와 적외선센서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지 판단한 뒤, 순서가 맞으면 경고부(400)로 신호를 보내고 경고부(400)는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또는 경고등이 발광하도록 하여 골목 교차로 보행자에게 위험을 알릴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에서 센서에서 감지하는 일정 하중 이하의 물체가 통행할 경우 감지부가 작동하지 않아 시작(초기상태)으로 돌아간다.
또한, 상기 알고리즘에서 감지부가 감지하는 일정 하중 이상을 감지하였으나 무게센서(200)와 적외선센서(300)가 순차적으로 진행하지 않아 순서가 바뀐 경우는 제어부가 작동하지 않아 경고부(400)로 신호를 전달하지 않고 시작(초기상태)으로 돌아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과속방지턱 200 : 무게 센서
300 : 적외선 센서 400 : 경고부

Claims (3)

  1. 골목 교차로의 보행자를 위한 안전 시스템으로 감지부, 제어부와 경고부로 구성되되,
    골목 바닥에 매설되어 차량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와 차량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로 형성되는 감지부와,
    상기 무게센서와 적외선 센서의 감지순서에 따라 차량의 주행방향을 감지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보행자에게 차량 통행을 경고하는 경고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보호덮개로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통해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
KR1020140168671A 2014-11-28 2014-11-28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 KR20160064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671A KR20160064717A (ko) 2014-11-28 2014-11-28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671A KR20160064717A (ko) 2014-11-28 2014-11-28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717A true KR20160064717A (ko) 2016-06-08

Family

ID=56193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671A KR20160064717A (ko) 2014-11-28 2014-11-28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47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2544A (zh) * 2020-03-11 2020-06-16 内蒙古霍林河露天煤业股份有限公司 矿用交通信号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2544A (zh) * 2020-03-11 2020-06-16 内蒙古霍林河露天煤业股份有限公司 矿用交通信号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451B1 (ko) 역주행 차량 방지 시스템
US9153133B1 (en) Motorcycle blind spot detector
US9875653B2 (en)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US20130311075A1 (en) Motorcycle and helmet providing advance driver assistance
CN103255728B (zh) 一种桥梁或隧道防碰撞安全系统
JP2006195959A (ja) 画像処理による車両安全管理システム
KR100876304B1 (ko) 주정차 금지 경고장치
US20050242934A1 (en) Exterior vehicle mirror assembly with sensors
KR101682061B1 (ko) 도로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20268600A1 (en) Methods for notifying a driver of a motor vehicle about a danger spot and driver assistance systems using such methods
KR20160134016A (ko) 시야 사각지대 위험 감지 및 알림 시스템
KR20160007489A (ko) 도로용 보호 난간
EP2136344A1 (en) Improved safety device for vehicle access areas
KR100923586B1 (ko) 어린이보호구역 내 신호등 판별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정보 표시 방법
KR102034285B1 (ko) 감지 장치와 경보 수단을 이용한 안전 보행 시스템
KR102452046B1 (ko)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46683B1 (ko) 보행자 감지기능을 가진 도로 횡단보도.
KR101103357B1 (ko)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대체하는 측방충돌방지 경보시스템
RU128563U1 (ru) Система антиаварий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варианты)
KR20160064717A (ko) 골목 보행자 안전 시스템
KR200428629Y1 (ko) 교통사고방지용 주행속도 경보시스템
KR20130004561U (ko) 스쿨존 내에 설치되는 교통신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시스템
EP2543544B1 (en) Safety device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 passenger transport vehicle comprising such a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such a device
KR20060102194A (ko) 도로 중앙분리대 사고 방지설비
KR200492018Y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안전 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