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707A -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707A
KR20160064707A KR1020140168631A KR20140168631A KR20160064707A KR 20160064707 A KR20160064707 A KR 20160064707A KR 1020140168631 A KR1020140168631 A KR 1020140168631A KR 20140168631 A KR20140168631 A KR 20140168631A KR 20160064707 A KR20160064707 A KR 20160064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roreflective
fabric
layer
base film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0833B1 (ko
Inventor
오경철
신춘식
김상락
Original Assignee
오경철
신춘식
김상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철, 신춘식, 김상락 filed Critical 오경철
Priority to KR1020140168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8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cu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션 관련 신발, 가방, 의류, 모자, 스포츠 용품 및 문구, 완구류와 안전용 반사조끼, 도로 표지판, 실내외 간판, 인테리어용 조명 및 시트, 광고 원단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야간 식별성을 높일 수 있는 재귀반사 패턴층이나 재귀반사 기능에 추가로 형성된 반짝이는 펄 패턴층(일명 스파클) 또는 다양한 문양 중 선택된 3D 입체 패턴을, 베이스 원단의 소재, 재질 등에 상관없이 쉽게 형성하여, 재귀반사 원단의 내구성, 식별성, 제조 용이성을 대폭 향상시킨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은 A)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UV 수지로 이루어진 재귀반사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재귀반사 패턴층 위에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금속 증착층 위에 베이스 원단을 합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재귀반사 패턴층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을 박리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RETROREFLECTION FABRIC}
본 발명은 패션 관련 신발, 가방, 의류, 모자, 스포츠 용품 및 문구, 완구류와 안전용 반사조끼, 도로 표지판, 실내외 간판, 인테리어용 조명 및 시트, 광고 원단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야간 식별성을 높일 수 있는 재귀반사 패턴층이나 재귀반사 기능에 추가로 형성된 반짝이는 펄 패턴층(일명 스파클) 또는 다양한 문양 중 선택된 3D 입체 패턴을, 베이스 원단의 소재, 재질 등에 상관없이 쉽게 형성하여, 재귀반사 원단의 내구성, 식별성, 제조 용이성을 대폭 향상시킨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귀반사라 함은, 입사광(入射光)을 광원으로 되돌려 보내는 반사로써, 입사된 빛을 제자리로 다시 돌려보내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재귀반사의 특성은 특히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상관없이 빛이 입사된 방향으로 다시 돌려보내는 것으로, 도로표지판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야간에 달리는 차량의 전조등에서 나온 빛이 도로표지판을 비추면 차량 운전자의 눈에는 도로표지판이 밝게 보인다.
이는 전조등의 빛이 반사 제품인 도로표지판의 표면에 닿은 뒤, 재귀반사에 의해 광원으로 다시 반사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재귀반사의 원리를 이용해 굴곡이 심한 도로의 표지판이나 야간도로 작업 표지판 등은 밤중에 물체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대부분 재귀반사 제품이 사용되며, 일부 국가에서는 야간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재귀반사 제품의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재귀반사 제품은 글라스 비드 타입과 초정밀의 미세한 삼각뿔 형태의 입방체인 다수의 재귀반사 패턴이 형성된 코너큐브형 마이크로 프리즘 타입으로 안전 관련 소재로 사용되며, 재귀반사 제품의 표면에는 문자나, 숫자, 각종 무늬 등이 인쇄되어 도로 표지판 등 안전 관련 용품으로 활용된다.
일반 원단 또는 합성수지 필름 등의 표면에 재귀반사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0336호(2014.07.10.) "스팽클 전사용 금형을 이용한 스팽글 필름 제조 방법"(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이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재귀반사 패턴이 형성된 금형의 표면에 UV 수지를 도포한 후, UV 수지가 도포된 금형에 필름을 접착시킨 상태에서, UV를 조사하여 UV 수지가 금형의 재귀반사 패턴 형태로 경화되어 필름의 일면에 재귀반사 패턴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한편 종래에는 도로 표지판, 야간 도로 작업 표지판, 야간작업용 반사 조끼와 같이 재귀반사 제품의 종류가 한정적이었으나, 근래에는 야간 라이딩 등을 위한 안전용 반사조끼, 실내외 간판, 인테리어 조명 등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에서 재귀반사가 활용되고 있고, 이에 따라 재귀반사 원단의 소재인 베이스 원단의 종류 역시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을 활용해 재귀반사 원단을 제작하게 되면, 원단을 금형에 접착시킨 상태에서 원단의 표면에 직접 재귀반사 패턴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베이스 원단의 소재가 다양해짐에 따라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은 방식으로 재귀반사 원단을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일반 경질의 합성수지 필름 등은 그 취급이 용이하므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작업 중 필름이 접히거나 금형에서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적어 재귀반사 필름의 제작이 쉬운 반면에, 연질의 부드러운 섬유, 가죽 등을 베이스 원단으로 사용할 경우, 금형에 베이스 원단을 고정, 접착시키기 어려워, 재귀반사 패턴층이 원하는 위치에 전사되지 않거나, 재귀반사 패턴층 자체가 뭉개져 재귀반사 기능이 상실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기 쉽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높은 숙련도가 필요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불량품에 대한 리스크가 큰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고가의 섬유 원단이나 가죽, 합성피혁 등을 베이스 원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불량품에 대한 리스크 부담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재귀반사 제품의 착용감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선 이러한 고가의 베이스 원단의 사용이 불가피하므로 베이스 원단의 종류, 재질, 특성 등에 상관없이 재귀반사 패턴층을 균일하고, 정확하게 형성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종래의 전사 방식과 다른 방식의 제조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야간 식별성만 확보할 수 있으면 족하므로 재귀반사 원단의 소재, 재질 등이 중요하지 않았으나, 근래에는 주야간 식별성은 물론 착용감, 색감, 디자인 등 일반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종 섬유원단, 합성수지 필름, 가죽, 합성피혁, 종이 등에 적용하기 위해 재귀반사 제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이에 기존의 글라스 비드 타입이 아닌 마이크로 프리즘 타입의 재귀반사 패턴으로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베이스 원단의 종류, 재질, 특성에 상관없이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가 쉽고 빠르며,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UV 수지로 이루어진 재귀반사 패턴층과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베이스 원단을 합지한 후 베이스 필름만을 박리, 제거하는 새로운 방식의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패턴 금형을 이용해 UV 수지로 재귀반사 패턴층을 성형할 때 베이스 원단에 비해 취급이 용이한 베이스 필름을 활용하고, 베이스 필름과 재귀반사 패턴층 사이에 이형성을 부여하여, 재귀반사 원단에서 베이스 필름을 쉽게 박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이형성 코팅을 실시하거나, 또는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이형성 필름을 열합지하여 이형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이형층에 UV 수지를 도포하여 UV 수지에 패턴층을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필름과 재귀반사 패턴층 사이에 이형성을 부여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고광택 UV 수지를 도포하고, 도포된 UV 수지 위에 이형성 UV 수지를 도포하여 이형성 UV 수지에 재귀반사 패턴층을 성형하는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재귀반사 패턴층의 표면을 보호하고, 재귀반사 원단의 색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이형층 위에 투명 또는 유색 투명의 우레탄 수지 또는 아크릴수지를 코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에 재귀반사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패턴 금형으로 롤 금형을 사용하는 경우, 베이스 필름의 두께 편차에 맞게 상부 압연롤의 좌우 높이를 보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은
A)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UV 수지로 이루어진 재귀반사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재귀반사 패턴층 위에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금속 증착층 위에 베이스 원단을 합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재귀반사 패턴층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을 박리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이형성 코팅을 실시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이형성 필름을 열합지하여 이형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이형층에 UV 수지를 도포하고, 패턴 금형을 이용해 도포된 UV 수지에 재귀반사 패턴을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A) 단계는 UV 수지 도포 전에, 상기 이형층 위에 투명 또는 유색 투명의 우레탄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를 코팅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베이스 필름에 고광택 UV 수지를 도포하여 이형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이형층에 이형성 UV 수지를 도포한 후 패턴 금형을 이용해 도포된 이형성 UV 수지에 재귀반사 패턴층을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은 종래의 제조 방식과 같이, 베이스 원단에 직접 재귀반사 패턴층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 필름에 재귀반사 패턴층 및 금속 증착층을 형성한 후 선택된 문양의 롤러 가압하여 반짝이는 펄 효과 등을 추가하거나, 다양한 문양이나 컬러로 인쇄하고, 이 위에 베이스 원단을 합지한 상태에서 베이스 필름을 박리하여 제거함으로써, 베이스 원단의 종류, 재질, 특성에 상관없이 시각적으로도 뛰어나면서 일정한 재귀반사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특히 베이스 원단에 비해 취급이 용이한 베이스 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가 쉽고 빠르며 높은 작업 숙련도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불량 발생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재귀반사 기능에 반짝이는 펄 효과 등을 극대화한 제품, 즉 신발, 가방, 의류, 모자, 문구, 완구류, 반사조끼, 도로 표지판, 실내외 간판, 인테리어용 조명 및 시트, 광고 원단 등 필요에 맞는 베이스 원단을 선택하여 생산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 및 효용성이 매우 뛰어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이형성 코팅을 실시하거나,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이형성 필름을 열합지시키는 공정 또는 베이스 필름에 고광택 UV 수지를 도포하고 그 위에 이형성 UV 수지를 도포하여 재귀반사 패턴층을 성형하는 공정을 도입하여, 패턴 금형을 이용해 UV 수지를 경화시켜 재귀반사 패턴층을 형성할 때 베이스 필름이 완전 합지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재귀반사 원단의 제작이 완료된 후 재귀반사 원단에서 베이스 필름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은 이형층 위에 투명 또는 유색 투명의 우레탄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를 코팅하는 공정을 도입하여, 재귀반사 패턴층의 보호와 함께 재귀반사 제품의 필요에 맞게 다양한 문자, 색상,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도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은 재귀반사 패턴층이 롤 금형을 통해 성형될 때 베이스 필름의 두께 편차에 맞게 상부 압연롤의 좌우 높이가 자동으로 보정되므로, 이에 따른 불량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재귀반사 원단의 부분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에서 롤 금형의 높이 보정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되, 각 층이 형성될 때 다른 층 위에 형성된다는 표현은 도면에서의 상측이 아니라 층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원단은 재귀반사 기능이 구현된 다양한 종류의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서 원단이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원단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재귀반사 제품의 베이스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소재의 '직물', '시트', '필름', '종이'등의 형태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원단의 구성을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재귀반사 원단의 소재로 사용될 베이스 원단(8)의 일면에 금속 증착층(5)과 재귀반사 패턴층(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재귀반사 패턴층(3) 및 금속 증착층(5)은 전방(도면 상 상측)에서 입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재귀반사시킨다.
상기 재귀반사 패턴층(3)은 꼭지점을 갖는 연속된 다각뿔 문양이 후방의 베이스 원단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코너큐브형 마이크로 프리즘 타입 또는 입체 패턴 타입이고, 금속 증착층(5)은 그 재질에 따른 밀러 타입으로, 전방에서 입사되는 빛을 다시 전방으로 재귀반사시킨다.
즉, 재귀반사 패턴층(3)은 그 자체만으로 빛을 재귀반사시킴과 동시에, 금속 증착층(5)은 반사되는 빛을 광확산 시킬 수 있으며, 금속증착층 상에 불규칙한 패턴층(5-1; 도 4 참고.)을 가압하여 형성하게 되면 펄 효과를 극대화하여 난반사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재귀반사 원단은 재귀반사 기능에 의해 낮에도 밝고 깨끗한 유광의 느낌을 주고, 야간에 빛이 조사되면 반짝이면서 일종의 펄 효과와 함께 빛이 증폭되어 반사되므로 식별성이 매우 뛰어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재귀반사 원단을 다양한 종류의 베이스 원단(8)을 이용해 쉽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는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은
A) 베이스 필름(1)의 일면(후면, 도면 상 하측)에 UV 수지로 이루어진 재귀반사 패턴층(3)을 형성하는 단계(S10);
B) 상기 재귀반사 패턴층(3) 위에 금속 증착층(5)을 형성하는 단계(S20);
C) 상기 금속 증착층(5) 위에 베이스 원단(8)을 합지하는 단계(S30); 및
D) 상기 재귀반사 패턴층(3)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1)을 박리하여 제거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A) 단계에서 사용되는 베이스 필름(1)은 폴리에스테르(PET), 연신폴리프로필렌(OPP), 폴리우레탄(TPU), 폴림염화비닐(PVC),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합성수지가 얇은 필름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PET)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단계를 거쳐 서로 합지되어 있는 베이스 필름(1)과 베이스 원단(8) 사이에 재귀반사를 위한 재귀반사 패턴층(3) 및 금속 증착층(5)이 형성된 상태에서 베이스 필름(1)만을 박리하여 제거함으로써 재귀반사 원단이 제조되므로, 상기 베이스 필름(1)의 일면 또는 양면은 접착된 다른 부재를 쉽게 박리하여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형성을 부여하는 공정(S11)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형성이란 면접된 다른 부재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특성을 말하는 것으로, 베이스 필름(1) 자체가 이형성 재질(이형지)로 이루어져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이 이형층으로 기능하거나(이 경우 별도의 이형성 부여 공정이 필요하지 않음.), 또는 베이스 필름(1)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별도의 이형층이 형성되는 형태 모두를 의미한다.
별도의 이형층(2)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S11)의 제1 실시예로, 상기 A) 단계는 베이스 필름(1)에 이형성 코팅을 실시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 필름(1)의 일면에 이형성 필름을 열합지하여 이형층(2)을 형성하는 공정과,
패턴 금형을 이용해 상기 이형층(2) 위에 UV 수지로 이루어진 재귀반사 패턴층(3)을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형성 코팅은 공지된 이형성 수지(이형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베이스 필름(1)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하는 것으로, 이형성 실리콘 수지 코팅, 폴리에틸렌(PE) 수지 코팅, 이형성 UV 수지 코팅, 불소 수지 코팅 등이 있으며, 공지된 코팅 방식을 통해 이형층(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형성 필름은 필름 그 자체가 이형성을 갖는 소재(이형지)가 사용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폴리에틸렌(PE) 필름이 있으며, 비닐류의 필름들을 서로 열합지시키는 공지된 열융착 등의 방식으로 베이스 필름(1)에 합지되어 이형층(2)으로 기능한다.
상기 이형층(2) 위에 형성되는 재귀반사 패턴층(3)은 전면에서 입사된 빛을 재귀반사시키는 것으로, 재귀반사를 위한 마이크로 프리즘 타입의 패턴 또는 입체 패턴이 UV 수지로 성형된다.
도면에서는 원뿔형의 마이크로 프리즘 타입의 패턴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재귀반사 패턴층(3)의 기능은 입사된 빛을 입사된 방향으로 반사시켜 식별성을 높일 수 있는 형태이면 족하고, 따라서 재귀반사 패턴층(5)의 본질은 마이크로 프리즘 타입의 패턴 외에도 재귀반사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입체 패턴들 중 어느 하나(또는 복수개)를 선택하여 UV 수지로 형성되는 모든 형태의 패턴층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상기 패턴 금형을 이용한 재귀반사 패턴층(3)의 성형은 상기 이형층(2) 위에 UV 수지를 도포하고, UV 도포면에 먼저 UV를 조사하여 경화시킨 다음 패턴 금형의 열과 압력을 이용해 UV가 경화된 면에 패턴을 엠보싱 성형하는 방식, 또는 UV 수지를 패턴 금형의 재귀반사 패턴면에 도포한 후 그 위에 베이스 필름(1)을 부착한 다음 UV를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방식 등이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패턴 금형은 원통형의 롤 금형(20; 도 5 내지 7 참고.) 또는 판상의 벨트 금형(미도시)으로, 외주면 또는 일면에 재귀반사 패턴(22)이 식각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패턴 금형이 원통형의 롤 금형(20)일 경우, 도 5와 같이, 롤 금형(20)은 재귀반사 패턴을 갖는 상부 압연롤(21)과 하부의 안내롤(25)로 구성되며,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1)의 이형층(2) 위에 UV 수지를 도포하고 경화시킨 다음, UV 수지가 경화된 일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베이스 필름(1)을 롤들 사이로 통과시켜 열과 압력으로 베이스 필름(1)에 재귀반사 패턴층(3)을 형성한다.
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패턴 금형이 판상의 벨트 금형(미도시)일 경우, UV 금형의 재귀반사 패턴면에 UV 수지를 도포한 다음, 그 위에 베이스 필름(1)의 이형층(2)이 접하도록 부착하고,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해 UV 금형을 UV 조사기 하부로 통과시켜 UV 수지가 경화되면서 재귀반사 패턴층(3)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사용되는 UV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모노머 50~120 중량부, 부착증진제 1.0~60 중량부 및 광 개시제 0.5~10.0 중량부가 혼합되어 조성된다.
한편 도 3과 같이, 상기 A) 단계는 상기 재귀반사 패턴층(3) 성형 전에, 상기 이형층(2) 위에 투명 또는 유색 투명의 우레탄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를 코팅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우레탄 수지 코팅층(9)은 내열성이 뛰어난 투명 연질우레탄 수지 또는 투명중경질 우레탄 수지가 사용되며, 필요에 따라 유색으로 착색되어, 재귀반사 원단의 색상을 달리할 수 있다.
다음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베이스 필름(1)의 일면에 별도의 이형층(2)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S11)의 제2 실시예로써, 상기 A) 단계는 상기 베이스 필름(1)에 고광택 UV 코팅을 실시하여 이형층(2)을 형성하는 공정과,
패턴 금형을 이용해 상기 이형층(2) 위에 이형성 UV 수지로 이루어진 재귀반사 패턴층(3)을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고광택 UV 코팅 및 이형성 UV 수지로 재귀반사 패턴층(3)을 성형하는 공정은 사용되는 UV 수지의 종류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체적인 방법과 대동소이하며, 다만 상기 제1 실시예는 베이스 필름(1)에 코팅 또는 열합지된 이형층(2)의 이형성으로 인해 베이스 필름(1)이 재귀반사 패턴층(3)에서 박리하여 제거되는데 비하여, 제2 실시예는 재귀반사 패턴층(3) 자체의 이형성으로 인해 베이스 필름(1)이 재귀반사 패턴층(3)에서 박리하여 제거되는데 차이가 있다.
상기 제1 실시예는 대표적으로, 비교적 저가의 이형제 또는 이형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장점인 반면에 코팅 및 열합지 공정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고,
상기 제2 실시예는 반대로 비교적 고가의 UV 수지를 사용하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경화시간이 매우 빨라 생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제1, 제2 실시예는 재귀반사 원단의 필요 사양에 따라 상기 장, 단점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A) 단계가 완료되면, B) 단계로써 상기 재귀반사 패턴층(3) 위에 금속 증착을 실시한다(S21).
B) 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금속 증착층(5)은 진공 증착 방식(이온빔 증착 또는 스파터링 증착)로 형성되며, 이때 증착되는 금속은 알루미늄(Al), 크롬(Cr), 니켈(Ni), 산화티타늄(Tio2), 주석(Sn), 실리카(Sio2)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증착층(5)은 재귀반사 패턴층(3) 위(후면; 도면 상 하측)에 형성되어 밀러 기능을 통한 재귀반사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B) 단계는 UV 수지인 재귀반사 패턴층(3)과 금속 증착층(5) 사이의 접착력을 보강하기 위해 증착용 프라이머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즉, 상기 재귀반사 패턴층(3) 위에 제1 프라이머층(4)을 형성한 다음, 제1 프라이머층(4) 위에 금속 증착을 실시한다.
상기 제1 프라이머층(4)은 우레탄 수지와 아크릴 수지가 7:3의 비율로 혼합된 수지로, 그리비아 코팅 방식 또는 롤 콤마 코팅 방식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 단계는 금속 증착 공정(S21) 이후에 상기 금속 증착층(5) 위에 불규칙한 패턴층을 형성하는 공정(S2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금속 증착을 실시한 후, 그 위에 다양한 종류의 선택된 불규칙한 패턴을 갖는 롤로 가압하여 금속 증착층(5) 위에 불규칙한 패턴층(5-1; 도면에서는 금속 증착층(5) 후면에 소정 두께의 불규칙한 패턴층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엄밀하게는 금속 증착층(5) 자체가 불규칙한 패턴을 갖도록 가압되어 성형되는 것임.)을 형성함으로써, 펄 효과를 극대화하여, 반사되는 빛을 확산 및 난반사시켜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금속 증착층(5) 위에 불규칙한 패턴층(5-1)을 형성하는 방식은 후술하는 재귀반사 패턴층(3)의 형성 방식(롤 금형을 이용한 방식)이 동일(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금속 증착층(5)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다양한 종류의 문양이나 칼라를 인쇄하거나, 또는 다양한 문양의 전사 필름을 전사하여, 선택된 문양 또는 컬러의 인쇄층(502)을 형성하는 공정(S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문양은 상기한 불규칙한 패턴층과는 다른 개념으로 불규칙한 패턴들이 원단 전체적으로 빛의 확산 및 난반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면,
문양은 이렇게 확산 및 난반사된 빛이 일정한 형태의 문양으로 보이게끔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빛이 반사되면서 단순히 원단 자체의 형태만으로 반사되는 것이 아니라, 원단 자체에 특정 문양이 새겨져 반사되는 빛이 소정의 문양으로 도드라지면서 반사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한 A) 단계의 유색 투명의 우레탄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를 통해 반사되는 빛 전체가 소정의 컬러로 반사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컬러 인쇄 공정을 실시하여, 금속 증착층(3) 중 일부의 영역(예를 들어 선택된 문양에 대응하는 영역)에 다른 컬러를 인쇄함으로써, 빛이 반사될 때 특정 모양이 주변과 다른 색으로 반사되는 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선택된 문양 또는 컬러의 인쇄층(502)은 문양이나 컬러를 인쇄하는 공정에 한정되지 않고, 선택된 문양이나 컬러의 필름을 금속 증착층(5) 위에 전사시키는 공정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다음 C) 단계로써, 상기 금속 증착층(5) 위에 베이스 원단(8)을 합지한다.
C) 단계에서 합지되는 베이스 원단(8)은 각종 섬유 원단, 합성수지 필름, 가죽, 합성 피혁, 종이 등 재귀반사 제품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원단이 사용된다.
상기 베이스 원단(8)의 합지제(7)는 UV 접착제, 감압 접합제 등이 사용되며, 열 또는 프레스로 합지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빠른 시간에 경화가 가능한 접착제를 이용한 핫 멜트 접착 방식 또는 일액형 내지 이액형 수지를 이용한 합포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와 마찬가지로, 금속 증착층(5)과 합지제(7)사이의 접척력을 보강하기 위한 프라이머 처리 공정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베이스 원단(8)은 일반 합성수지 필름만이 아니라, 각종 섬유 원단이나 가죽, 피혁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서로 재질이 다른 금속 증착층(5)과 베이스 원단(8)을 합지제(7)를 통해 합지할 때 그 사이의 접착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합지 전 처리 공정으로써 프라이머 처리 공정을 통해 금속 증착층(5) 위에 제2 프라이머층(6)이 코팅된다.
상기 제2 프라이머층(6)은 무황변 UV 안정제 등이 혼합된 우레탄 카보네이트 수지와 희석제로 메틸에틸케톤(MEK), 아세톤이 혼합된 것으로, 그리비아 코팅 방식 또는 롤 콤마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라이머층(6)을 코팅한 후 70~80℃의 온도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희석제(용제)를 건조시킨 다음, 제2 프라이머층(6) 위에 베이스 원단(8)을 합지한다.
이렇게 재귀반사 패턴층(3)과, 금속 증착층(5)이 형성된(또는 금속 증착층에 펄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불규칙한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필름(1)과, 베이스 원단(8)의 합지가 완료되면, D) 단계로써, 재귀반사 패턴층(3)에서 베이스 필름(1)을 박리하여 제거한다.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에서 이형성 코팅 또는 이형성 필름의 합지 방식, 또는 이형성 UV 수지 코팅 방식을 통해 베이스 필름(1)과 재귀반사 패턴층(3) 사이에 이형층(2)이 형성되기 때문에, D) 단계에서 베이스 필름(1)의 박리, 제거를 쉽게 할 수 있다.
즉, 제1, 제2 프라이머층(4)(6)으로 인하여, 재귀반사 패턴층(3)-금속 증착층(5)-베이스 원단(8)의 접착이 견고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베이스 필름(1)에 코팅된 이형층(2)을 이용해 베이스 필름(1)을 박리,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D) 단계를 통해 베이스 필름(1)이 제거된 베이스 원단(8)의 전면(도면 상 상측)에는 재귀반사 패턴층(3)과, 금속 증착층(5)만이 남게 되어,
재귀반사 원단의 전방에서 입사되는 빛을 광확산 및 난반사 시켜 다시 전방으로 재귀반사 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원단을 사용한 재귀반사 제품은 밀러, 펄 효과를 통해 주, 야간 식별성이 매우 뛰어남과 동시에, 주간에도 밝고 깨끗한 유광의 느낌을 줄 수 있음과 동시에,
재귀반사 원단의 착용감 등을 결정하는 베이스 원단(8)의 선택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재귀반사 기능이 필요한 각종 제품의 원단으로 활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기능의 재귀반사 원단을 쉽고 빠르게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특히 베이스 원단(8)에 직접 재귀반사 패턴층(3) 및 금속 증착층(5)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제조 시 불량 발생 및 비용 리스크 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A) 단계에서 패턴 금형으로써 롤 금(20)형을 사용하는 경우, 이형층(2)을 갖는 베이스 필름(1)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아, 재귀반사 패턴층(3)이 본래 설정한 깊이만큼 형성되지 못할 수 있다.
즉, 평판 형상의 베이스 필름(1)은 생산할 때 전체에 걸쳐 완전하게 평탄한 면을 갖지 못하고, 면 전체의 부위별로 약 3 ~ 10 %의 두께 편차를 갖게 되는데,
이러한 베이스 필름(1)에 이형층(2)을 형성하게 되면, 그 두께 편차가 더 커지게 되고, 이러한 베이스 필름(1)을 회전하는 롤 금형(20) 사이로 통과시킬 때, 두께가 얇은 부위에 상부 압연롤(21)이 접촉되지 않거나, 또는 베이스 필름(1)의 좌우 폭에 걸쳐 접촉되는 정도(깊이)가 달라져 재귀반사 패턴층(3)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해 불량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에서 패턴 금형으로 롤 금형(20)을 사용하는 경우, 베이스 필름(1)의 두께 편차에 맞게 상부 압연롤(21)의 좌우 높이를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도입하였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정수단(C)은 컨베이어(10)에 설치되어 베이스 필름(1)의 두께를 측정하는 센싱부(30)와,
상기 센싱부(30)의 두께 측정값에 따라, 상부 압연롤(21)의 좌우측 높이를 보정하는 높이 보정 유닛(4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센싱부(30)는 컨베이어(10),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필름(1)이 롤 금형(20)으로 투입되는 제1 컨베이어(11)의 일측에 설치되어, 베이스 필름(1)의 두께를 측정하여, 측정된 두께 측정값을 후술하는 높이 보정 유닛(40)의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여 상부 압연롤(21)의 높이를 보정한다.
상기 센싱부(30)는 제1 컨베이어(11)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32)에 복수개의 센서(31)가 좌우 배열되어 이송되는 베이스 필름(1)의 상면에 접촉(도는 빛 감지)되면서 좌우 특정 지점의 두께를 측정하여 이를 비교 판단함으로써, 두께의 균일 또는 불균일 여부를 판단하고, 이렇게 측정된 두께 측정값을 제어부로 전달하면, 제어부에서 이를 비교 판단하여, 상부 압연롤(21)의 좌우측 높이를 보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센싱부(30)에서 측정된 두께 측정값을 토대로 상부 압연롤(21)의 좌우 높이를 보정하는 높이 변위값은 베이스 필름(1)의 사양, 즉 베이스 필름(1)의 재질, 두께, 좌우 폭 및 전후 길이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자명하고, 이러한 상부 압연롤(21)의 높이 변위값의 설정은 본 발명의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여 재현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높이 변위값을 수치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하여 본 발명의 권리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어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 보정 유닛(40)은 상부 압연롤(21)의 회전축(21a) 좌우 측단의 높이를 보정하여, 압연롤(21)의 횡방향 기울기를 통과되는 베이스 필름(1)의 두께 편차에 상응하도록 보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베이스 필름(1)의 두께 편차에 상응하도록 상부 압연롤(21)의 높이를 보정한다는 의미는 압연롤(21)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보정하는 것과 동시에, 압연롤(21) 자체의 전체 높이를 보정하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압연롤(21)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베이스 필름(1)의 두께 편차를 해소함과 동시에 베이스 필름(1)의 전체 두께에 맞게 압연롤(21)의 높이(즉, 좌우측 모두의 높이)를 보정함으로써 베이스 필름(1)에 가해지는 가압량의 변화(형성 조건의 변화)를 도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높이 보정 유닛(40)은 외주면에 나사부(41a)가 형성된 구동축(41B)과, 상기 구동축(41B)의 양측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가압체(42) 및 상부 압연롤(21)의 회전축(21a) 양측단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가압체(42)에 개별 접촉하여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승강체(44)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구동축(41B)은 상부 압연롤(21)의 상부에 설치되어 모터 등의 구동수단(41A)과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회전하며, 외주면의 전부 또는 양측단 일부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부(41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체(42)는 블록형 부재로써, 하부면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가압경사면(42A)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41B)의 양측단 나사부(41a)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구동축(41B) 양측에 결합되는 가압체(42)는 각각 가압경사면(42A)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가압체(42)는 상기 구동축(41B)의 회전 시 동반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등의 고정수단(미도시)이 구비되거나, 또는 높이 보정 유닛의 프레임(미도시) 상에 구속되도록 결합되어, 구동축(41B)이 양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가압체(42)는 나사부(41a)를 타고 좌, 우측 횡이동을 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승강체(44)는 블록형 부재로써, 상부면이 상기 가압경사면(42A)에 대응하는 대응경사면(44A)으로 형성되어, 가압경사면(42A)과 대응경사면(44A)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승하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승강체(44)는 하측으로 연결된 승강봉(46)이 결합되며, 상기 승강봉(46)의 하측 단부는 상부 압연롤(21)의 회전축(21a) 양측단과 연결되어 승강체(44)의 승하강에 따라 회전축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봉(46)이 압연롤(21)의 회전축(21A)과 연결된다는 의미는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회전축이 회전해야 하므로), 회전축의 양측단이 축설되는 하우징 등 회전축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는 다양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6와 같이, 상부 압연롤(21)의 회전축(21a) 양측단이, 베어링(미도시)과 모터 등이 내장된 하우징(21b)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승강봉(46)의 하측단이 상기 하우징(21b) 외측에 힌지 결합되면, 승강봉(46)의 승하강에 따라 하우징의 높이가 조절되더라도, 회전축의 회전을 간섭받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모터 등의 구동수단과 회전축은 회전축의 기울기 변화에 대응하여 구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는 링크 구조가 채택될 것이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구동축(41B)의 일방향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가압체(42)가 일측(도면 상 좌측)으로 횡이동을 하게 되면, 가압경사면(42A)이 하부에 접하는 대응경사면(44A)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승강체(44) 및 승강봉(46)을 하강시키고,
구동축(41B)의 타방향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가압체(42)가 타측(도면 상 우측)횡이동을 하게 되면, 가압경사면(42A)의 가압이 해제되면서 승강체(44) 및 승강봉(46)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체(44) 및 승강봉(46)의 상승은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수단(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가압경사면(42A)의 가압이 해제되는 만큼 자동으로 상승되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는데, 탄성수단에 의한 상승은 탄성력에 따라 높이 조절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가압체(42) 및 승강체(44) 사이를 연결하여 승강체(44)의 상승 동작을 강제하는 걸림돌기(43)를 도입하였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가압체(42)의 좌우 측면에는 걸림돌기(43)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승강체(44)는 대응경사면(44A)의 경사도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홈(45)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43)가 상기 가이드홈(45)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체(42)가 일측 횡이동을 하게 되면, 가압경사면(42A)에 의하여 승강체(44)가 하강될 때, 상기 걸림돌기(43)가 가이드홈(45)의 경사를 따라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가압체(42)가 타측 횡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43)가 가이드홈(45)의 경사를 따라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승강체(44)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센싱부(30)에서 전달받은 두께 측정값을 토대로 미리 입력된 높이 보정 수치에 맞게 상기 승강체(44), 즉 상부 압연롤(21)의 회전축(21A)의 좌우 측단 높이가 조절되는 만큼 구동축(41B)을 회전시켜 상부 압연롤(21)의 좌우 높이를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축(41B)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동일 방향으로 횡이동하는 한 쌍의 가압체(4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가압경사면(42A)을 갖고 있으므로, 구동축(41B)의 회전 시 승강체(44)들은 승하강 작동이 서로 반대로 이루어진다.
즉, 양 가압체(42)의 가압경사면(42A)이 도 6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구동축(41B)이 일방향(시계 반대 방향) 회전하면, 양 가압체(42)는 동시에 일측(좌측) 횡이동을 하는데, 각 가압경사면(42A)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상 우측 승강체(44)는 하강하고, 좌측 승강체(44)는 상승하여, 상부 압연롤(21)이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보정하게 되고,
구동축(41B)이 타방향(시계 방향) 회전하면, 상기 작동이 반대로 이루어져, 상부 압연롤(21)이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보정된다.
이 경우, 베이스 필름(1)의 전체 두께에 맞게 상부 압연롤(21)의 전체 높이가 보정되어야 하므로, 상기 회전축(21a)의 양측단이 연결된 하우징(21b)들 및 높이 보정 유닛(40)의 동반 승하강을 위한 승강수단(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베이스 필름 2 : 이형층
3 : 재귀반사 패턴층 4 : 제1 프라이머층
5 : 금속 증착층 5-1 : 불규칙한 패턴층
5-2 : 선택된 문양 또는 컬러 인쇄층
6 : 제2 프라이머층 7 : 합지제
8 : 베이스 원단 9 : 우레탄 수지 코팅층
10 : 컨베이어 20 : 롤 금형
21 : 상부 압연롤 21A : 회전축
22 : 패턴 25 : 하부 안내롤
30 : 센싱부 31 : 센서
40 : 높이 보정 유닛 41A : 구동수단
41B : 구동축 42 : 가압체
42A : 가압경사면 44 : 승강체
44A : 대응경사면 46 : 승강봉
C : 높이 보정 수단

Claims (4)

  1. A)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UV 수지로 이루어진 재귀반사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재귀반사 패턴층 위에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금속 증착층 위에 베이스 원단을 합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재귀반사 패턴층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을 박리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이형성 코팅을 실시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이형성 필름을 열합지하여 이형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이형층에 UV 수지를 도포하고, 패턴 금형을 이용해 도포된 UV 수지에 재귀반사 패턴을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UV 수지 도포 전에, 상기 이형층 위에 투명 또는 유색 반투명의 우레탄 수지를 코팅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베이스 필름에 고광택 UV 수지를 도포하여 이형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이형층에 이형성 UV 수지를 도포한 후 패턴 금형을 이용해 도포된 이형성 UV 수지에 재귀반사 패턴층을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
KR1020140168631A 2014-11-28 2014-11-28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 KR101760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631A KR101760833B1 (ko) 2014-11-28 2014-11-28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631A KR101760833B1 (ko) 2014-11-28 2014-11-28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707A true KR20160064707A (ko) 2016-06-08
KR101760833B1 KR101760833B1 (ko) 2017-07-25

Family

ID=56193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631A KR101760833B1 (ko) 2014-11-28 2014-11-28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8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977B1 (ko) * 2019-12-26 2020-03-09 최상석 칼라 디자인을 가지는 큐브코너형 재귀반사물의 제조방법 및 그러한 재귀반사물의 구조
KR102377962B1 (ko) * 2021-10-05 2022-03-24 안창근 난반사 시트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57718A (ko) * 2021-05-21 2022-11-29 (주)아트프린텍 무늬가 형성된 신발갑피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671Y1 (ko) 2003-08-25 2003-11-19 김무기 재귀반사 비옷
JP4679255B2 (ja) * 2005-06-14 2011-04-27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再帰反射シート
JP5998882B2 (ja) 2012-11-29 2016-09-28 凸版印刷株式会社 転写フィルムおよび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977B1 (ko) * 2019-12-26 2020-03-09 최상석 칼라 디자인을 가지는 큐브코너형 재귀반사물의 제조방법 및 그러한 재귀반사물의 구조
KR20220157718A (ko) * 2021-05-21 2022-11-29 (주)아트프린텍 무늬가 형성된 신발갑피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7962B1 (ko) * 2021-10-05 2022-03-24 안창근 난반사 시트 커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833B1 (ko)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8039C (en) Retroreflective material having printed patterns thereon
KR101324354B1 (ko) 다층 필름, 상기 필름으로 가식된 사출 성형 물품 및 상기가식 사출 성형 물품의 제조 방법
RU2641316C9 (ru) Опционально переводная оп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с уменьшенной толщиной
EP1742090B1 (en) Hue variable retroreflective sheet
US61197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retroreflective material having printed patterns thereon
TWI556990B (zh) 一種具立體效果的印刷裝飾膜及其裝飾產品
AU706749B2 (en) Method of making glittering cube-corner retroreflective sheeting
KR101760833B1 (ko) 재귀반사 원단의 제조 방법
WO2002032644A1 (fr) Article forme antireflexion, procede de fabrication de celui-ci et moule a cet effet
KR20000065073A (ko) 반짝이는큐브코너물체
CN108749391A (zh) 用于制造聚合物安全文件例如银行票据的改善的聚合物片材
KR930702694A (ko) 역반사 제품, 역반사 제품의 투명 베이스 시트 및 투명 베이스 시트 제조방법
CN105339177A (zh) 安全设备和制造该安全设备的方法
CN103171230A (zh) 功能性保护贴的制造方法
US20060238871A1 (en) Method of producing a retro-reflective heat transfer film with a transparent protective sheet for whole surface
JPH0763987B2 (ja) メーター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CA3187470A1 (en) Transfer film, plastic injection-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WO2021085084A1 (ja) 凹凸構造体および積層体
KR100815060B1 (ko) 바닥면에 사용되는 역반사시트
JP6922536B2 (ja) 転写シート、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KR20210123910A (ko) 인조피혁 및 이의 제조방법
JP6794916B2 (ja) 転写シート、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KR20190089415A (ko) 장식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장식시트
JP7000653B2 (ja) 加飾フィルム、転写シート、加飾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41440B1 (ko) 칼라가 제공되는 큐브코너형 재귀반사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