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823A -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에 기초한 에너지 모드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에 기초한 에너지 모드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823A
KR20160063823A KR1020140167589A KR20140167589A KR20160063823A KR 20160063823 A KR20160063823 A KR 20160063823A KR 1020140167589 A KR1020140167589 A KR 1020140167589A KR 20140167589 A KR20140167589 A KR 20140167589A KR 20160063823 A KR20160063823 A KR 20160063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wire
elevator apparatus
converter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형
Original Assignee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7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3823A/ko
Publication of KR20160063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a single car or c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버터와 컨버터를 연결하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감지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상태인지 또는 회생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에 기초한 에너지 모드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Displaying Energy Mode based on Elevator Runn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으로 인해 에너지가 소비되는 상태인지 또는 에너지가 회생되는 상태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채용하고 있는 구동 방식은 로프를 이용한 트랙션(TRACTION) 방식이다.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는 전동기(motor), 제어기(braker) 등을 포함하는 권상기가 설치된 기계실, 사람이 타거나 물건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카(car; 운반 기구), 상기 카가 움직이는 통로인 승강로, 사람이 타고 내리는 승강장, 및 상기 승강로의 하부인 피트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트랙션 방식은 상기 기계실에 설치된 권상기의 메인 시브(도르레)에 로프를 건 상태에서 한쪽은 카를, 다른 한쪽은 균형추(카운터 발란스, 카운터 웨이트)를 걸어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하여 상기 전동기로부터 메인 시브를 구동시켜, 메인 시브와 로프와의 마찰력으로 카를 운행시킨다.
일반적으로 상기 균형추의 중량은 상기 카의 정격 하중의 40~60% 부하를 적재했을 때의 중량과 거의 동등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즉, 상기 카내에 정격부하(Full Load, 100%)가 적재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카의 상승시에는 정격 하중의 40~60% 정도에 해당하는 중량을 들어 올리는 에너지만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카의 하강시에는 정격 하중의 40~60% 정도의 중량에 상당하는 에너지가 권상 전동기 측으로 되돌려지므로 상기 전동기는 발전기로서 동작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전력을 회생 전력이라고 하며, 고속 엘리베이터에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회생 전력을 PWM 컨버터를 활용하여 전원 측으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으로 인해 에너지가 소비되는 상태인지 또는 에너지가 회생되는 상태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순간 순간에 있어서, 에너지가 소비되고 있는지 또는 회생되고 있는지를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인버터와 컨버터를 연결하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감지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상태인지 또는 회생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인버터와 컨버터를 연결하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감지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상태인지 또는 회생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으로 인해 에너지가 소비되는 상태인지 또는 에너지가 회생되는 상태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순간 순간에 있어서, 에너지가 소비되고 있는지 또는 회생되고 있는지를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승객 또는 건물 관리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모드를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모드를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모드를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장치 100은 적어도 컨버터 10, P 전선 15, 인버터 20, 전동기(권상 모터) 30, 전류 감지부 110, 전류계 115, 상태 판단부 120, 및 표시부 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버터 10은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할 수 있다. 컨버터 10은 출력 전압을 궤환 신호로 하는 피드백 제어와 입력 전류를 궤환 신호로 하는 전류 마이너 루프에 의해 출력의 직류 전압을 일정치로 제어할 수 있다. 컨버터 10은, 예를 들어, 정현파 PWM(Pulse Width Modulation) 컨버터일 수 있다.
컨버터 10은 전원 전압의 위상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 전류의 역률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버터 10은 엘리베이터 장치 100의 역행 운행(운전)시에는 상기 역률을 1로 제어할 수 있고, 반대로 엘리베이터 장치 100의 회생 운행시에는 상기 역률을 -1로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컨버터 10은 회생 운행시에 권상 모터 30에서 발생하는 회생 에너지를 교류 전원 측으로 되돌려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인버터 20은 권상 모터 30을 구동할 수 있다. 인버터 20은 속도를 궤환 신호로 하는 속도 피드백 제어와, 출력 전류와 자극 위치를 궤환 신호로 하는 전류 마이너 루프로부터, 전동기 30의 속도와 토크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컨버터 10과 인버터 20의 주 회로소자에는 고내압 대전류의 IGBT 모듈이 채용되어, PWM 캐리어 주파수가 10kHz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동기 30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상 자기 소음을 충분히 줄일 수 있게 되어, 조용한 엘리베이터 운행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동기 30에는, 카와 균형추가 양단에 연결된 로프가 걸린 메인 시브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류 감지부 110은 인버터 10과 컨버터 20을 연결하는 전선 15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전류 감지부 110은, 예를 들어, 전선 15에 연결된 DC 전류계 115를 이용하여, 전선 15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태 판단부 120은 엘리베이터 장치 100이 에너지를 소비하는 상태인지 또는 회생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판단부 120은 카가 내려갈 때 엘리베이터 장치 100이 에너지를 회생하는 상태로 판단하고, 반대로 상기 카가 올라갈 때 엘리베이터 장치 100이 에너지를 소비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 120은 엘리베이터 장치 100의 상기 두 가지 상태를 판단하고, 구별하기 위해 전류 감지부 110에서 감지된 전류, 예를 들어, 상기 감지된 전류의 방향을 이용할 수 있다.
전선 15에서 감지된 전류에 있어서, 상태 판단부 120은 상기 감지된 전류가 컨버터 10으로부터 인버터 20으로 흐르는 경우, 엘리베이터 장치 100이 에너지를 소비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판단부 120은 상기 전류가 인버터 20으로부터 컨버터 10으로 흐르는 경우, 엘리베이터 장치 100이 에너지를 회생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표시부 130은 상태 판단부 120에서 판단된 결과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예를 들어, 상기 카 내부 또는 관리실에 위치한 LCD 모니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전류 감지부 110, 상태 판단부 120, 및 표시부 130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은 함께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적어도 어느 구성은 기능적으로 세분화된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류 감지부 110, 상태 판단부 120, 및 표시부 130 각각은 버스(bus) 등으로 연결되어 상호간에 제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나아가, 엘리베이터 장치 100은 전류 감지부 110, 상태 판단부 120, 및 표시부 13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세서(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버터 10 및 인버터 20을 연결하는 전선은 각각 P(positive) 전선 15와 N(negative) 전선 25로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전류 감지부 110에서 상기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동작은, P 전선 15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거나, N 전선 25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전류 감지부 110은 두 개의 전선 15 및 25 모두에 대하여 전류를 감지해야하는 것은 아니고, 두 개의 전선 15 및 25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류를 감지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판단부 120은 상기 감지된 전류가 P 전선 15에 흐르는 전류인지 또는 N 전선 25에 흐르는 전류인지 여부에 따라 엘리베이터 장치 100의 상태를 다르게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전류 감지부 110이 N 전선 25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동작을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모드를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00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설명된 엘리베이터 장치 100에 대한 내용 중 도 2에 적용 가능한 반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류 감지부 110은 인버터 10과 컨버터 20을 연결하는 전선 25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전류 감지부 110은, 예를 들어, 전선 25에 연결된 DC 전류계 215를 이용하여, 전선 25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선 25에서 감지된 전류에 있어서, 상태 판단부 120은 상기 감지된 전류가 컨버터 10으로부터 인버터 20으로 흐르는 경우, 엘리베이터 장치 100이 에너지를 회생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판단부 120은 상기 전류가 인버터 20으로부터 컨버터 10으로 흐르는 경우, 엘리베이터 장치 100이 에너지를 소비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표시부 130은 상태 판단부 120에서 판단된 결과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예를 들어, 상기 카 내부 또는 관리실에 위치한 LCD 모니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장치는, 인버터와 컨버터를 연결하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감지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상태인지 또는 회생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류 감지부는 상기 전선에 연결된 DC 전류계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 판단부가 이용하는 상기 전류는, 상기 감지된 전류의 방향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버터와 컨버터를 연결하는 전선은 P 전선 및 N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류 감지부는, 상기 P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거나, 상기 N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 판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감지된 전류가 상기 P 전선에 흐르는 전류인지 또는 상기 N 전선에 흐르는 전류인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P 전선에서 감지된 전류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전류가 상기 컨버터로부터 상기 인버터로 흐르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전류가 상기 인버터로부터 상기 컨버터로 흐르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에너지를 회생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N 전선에서 감지된 전류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전류가 상기 컨버터로부터 상기 인버터로 흐르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에너지를 회생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전류가 상기 인버터로부터 상기 컨버터로 흐르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인버터와 컨버터를 연결하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감지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상태인지 또는 회생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버터와 컨버터를 연결하는 전선은 P 전선 및 N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류를 감지하는 동작은, 상기 P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거나, 상기 N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발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발명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컨버터 15: P 전선
20: 인버터 25: N 전선
30: 권상기 100: 엘리베이터 장치
110: 전류 감지부 115: 전류계
120: 상태 판단부 130: 표시부

Claims (9)

  1.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인버터와 컨버터를 연결하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감지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상태인지 또는 회생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부는 상기 전선에 연결된 DC 전류계를 이용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부가 이용하는 상기 전류는,
    상기 감지된 전류의 방향을 이용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와 컨버터를 연결하는 전선은 P 전선 및 N 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류 감지부는,
    상기 P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거나, 상기 N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감지된 전류가 상기 P 전선에 흐르는 전류인지 또는 상기 N 전선에 흐르는 전류인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판단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P 전선에서 감지된 전류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전류가 상기 컨버터로부터 상기 인버터로 흐르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전류가 상기 인버터로부터 상기 컨버터로 흐르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에너지를 회생하는 상태로 판단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N 전선에서 감지된 전류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전류가 상기 컨버터로부터 상기 인버터로 흐르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에너지를 회생하는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전류가 상기 인버터로부터 상기 컨버터로 흐르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상태로 판단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장치.
  8.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인버터와 컨버터를 연결하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감지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상태인지 또는 회생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와 컨버터를 연결하는 전선은 P 전선 및 N 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류를 감지하는 동작은,
    상기 P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거나, 상기 N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인, 방법.
KR1020140167589A 2014-11-27 2014-11-27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에 기초한 에너지 모드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063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589A KR20160063823A (ko) 2014-11-27 2014-11-27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에 기초한 에너지 모드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589A KR20160063823A (ko) 2014-11-27 2014-11-27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에 기초한 에너지 모드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823A true KR20160063823A (ko) 2016-06-07

Family

ID=5619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589A KR20160063823A (ko) 2014-11-27 2014-11-27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에 기초한 에너지 모드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38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2937B2 (en) Elevating machine control apparatus
US9975729B2 (en) Elevator system using dynamic braking
EP1908719B1 (en) Elevator device
JP489699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1468769B (zh) 电梯的开门行驶防止系统
JP5154086B2 (ja) マンコンベア
JP2001240336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EP2019071A1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CN106276598B (zh) 电动卷扬机
JP2017154893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操作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操作装置
JP2010143692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1225304A (ja) エレベータの電力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3129471A (ja) エレベータ装置の駆動装置
JP2009161318A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6060408A1 (ko) 모터 과열 검출장치
KR20160063823A (ko)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에 기초한 에너지 모드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CN100404402C (zh) 电梯控制装置以及电梯系统
JP5517574B2 (ja) 巻上機
JP466384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4009041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5045019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JP2004018235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7204794B2 (ja) 巻胴式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2144357A (ja) エレベータ
JP2014001029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