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178A -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178A
KR20160063178A KR1020140166879A KR20140166879A KR20160063178A KR 20160063178 A KR20160063178 A KR 20160063178A KR 1020140166879 A KR1020140166879 A KR 1020140166879A KR 20140166879 A KR20140166879 A KR 20140166879A KR 20160063178 A KR20160063178 A KR 20160063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wer control
low voltage
auxiliary batte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혜
Original Assignee
장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지혜 filed Critical 장지혜
Priority to KR1020140166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3178A/ko
Publication of KR2016006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저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종래 보조배터리의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차량의 시동 불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관점에 따르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충전하여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로 전압을 공급하는 블랙박스용 보조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제어부; 상기 전원제어부와 연결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저전압을 유지하기위한 저전압 설정부; 상기 전원제어부와 저전압설정부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차량의 현재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THE SECONDARY BATTERY POWER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보조배터리의 효율적 충전을 위해 저전압을 제어하는 블랙박스용 보조배터리 전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랙박스와 차량의 배터리 사이에서 전원 컨트롤러와 같은 역할을 하는 보조 배터리의 전력 계절별로 저전압의 범위를 4단계로 설정하여, 각 단계별로 저전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자기기의 발달로 인하여 전기를 사용하는 차량용품이 점차 많아짐과 동시에 그에 따른 전력소모량도 많아지는 실정에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주행상태 및 사고 상황 등에 관한 정보를 기록으로 보존하기 위하여, 차량의 운행 시뿐만 아니라 주차 중에도 차량의 주배터리와 상시 전원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어서, 차량사고의 발생 시 블랙박스에 보존된 기록을 토대로 차량 사고의 정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차량 내에 설치된 블랙박스로 인해 차량의 주배터리가 방전되는 상황이 발생되어, 블랙박스 제작 업체들은 차량의 주배터리 방전을 막기 위해 상시 전원장치에 차단전압을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전기차의 경우에는 고전압배터리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로 만드는 저전압직류변환기(Low DC/DC Converter) 즉, DC/DC 컨버터가 포함되어 있다.
이 저전압직류변환기는 고전압 직류를 스위칭시켜 교류로 만들고 이 교류를 코일, 트랜스, 커패시턴스 등을 이용해 승압 또는 강압시킨 다음, 다시 정류시켜 DC로 만들어, 각 전기차의 전장 부하에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저전압 배터리에 대한 정보의 활용 없이 저전압직류변환기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 10-2011-0071957호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보조 배터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전압직류변환기를 제어함으로써 보조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전기차용 저전압직류변환기의 제어방법은 배터리의 상태(SOC, SOH, 액온등)에 상관없이 배터리의 전압을 통해 저전압직류변환기를 제어함으로써, 보조배터리의 방전에 의해 시동이 걸리지 않는 문제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종래 하이브리드 전기차의 경우 IG 온(ON) 상태에서 저전압직류변환기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IG 온(ON) 상태에서 차량의 전장품을 켜고 장시간 유지하는 경우 보조배터리의 방전에 의해 시동이 걸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71957호 (2011.07.20자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저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종래 보조배터리의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차량의 시동 불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관점에 따르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충전하여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로 전압을 공급하는 블랙박스용 보조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제어부; 상기 전원제어부와 연결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저전압을 유지하기위한 저전압 설정부; 상기 전원제어부와 저전압설정부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차량의 현재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관점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주차와 주행을 판단하여 상기 블랙박스를 퓨즈박스로부터 충전 할 것인지 기기내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것인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관점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설정부는 계절별로 저전압의 범위를 4단계로 설정하여 각 단계별로 저전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관점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의 범위는 11.8V로 휘발류 차량의 하절기 모드인 1단계; 12V로 디젤차량의 하절기 모드인 2단계; 12.2V로 휘발유 차량의 동절기 모드인 3단계; 12.5V로 디젤차량의 동절기 모드인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관점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설정부는 추가적으로 저장된 전력을 차량 배터리와 환원하는 시스템을 구비하고, 고장 진단기능 및 방전 알람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에 의하면,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동작모드로 저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종래 보조배터리의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차량의 시동 불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은 차량의 종류별 계절별로 구분하여 저전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용 보조 배터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또는 층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 또는 층들이 이들 사이에 게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인 단면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들은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들을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영역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들은 영역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용 보조 배터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용 보조 배터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충전하여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1)로 전압을 공급하는 블랙박스용 보조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제어부(310); 상기 전원제어부(310)와 연결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저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저전압 설정부(320); 상기 전원제어부(310)와 저전압설정부(320)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330); 및 상기 차량의 현재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출력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제어부(310)는 본 발명 보조 배터리(3) 내부에 설치되어 주차와 주행을 판단하여 퓨즈박스로(2)부터 충전을 할것인지, 아니면 기기 내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블랙박스(1)에 전원을 공급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상기 보조 배터리(3)는 퓨즈박스(2)와 3상 접점을 통해 연결 되어진다.
상기 저전압 설정부(320)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저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동작을 실시한다. 즉, 상기 저전압 설정부(320)는 계절별로 저전압의 범위를 4단계로 설정하여 각 단계별로 저전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전압의 범위는 11.8V로 휘발류 차량의 하절기 모드인 1단계; 12V로 디젤차량의 하절기 모드인 2단계; 12.2V로 휘발유 차량의 동절기 모드인 3단계; 12.5V로 디젤차량의 동절기 모드인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전압 설정부(320)는 추가적으로 저장된 전력을 차량 배터리와 환원하는 시스템을 구비하고, 고장 진단기능 및 방전 알람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330)를 통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전원제어부(310)와 저전압설정부(320)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원하는 모드를 실행 할 수 있고, 상기 출력부(340)는 현재 구동상태를 나탈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에 의하면,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동작모드로 저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종래 보조배터리의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차량의 시동 불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은 차량의 종류별 계절별로 구분하여 저전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블랙박스
2: 퓨즈박스
3: 보조 배터리
310: 전원제어부
320: 저전압 설정부
330: 입력부
340: 출력부

Claims (5)

  1.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충전하여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로 전압을 공급하는 블랙박스용 보조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제어부;
    상기 전원제어부와 연결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저전압을 유지하기위한 저전압 설정부;
    상기 전원제어부와 저전압설정부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차량의 현재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주차와 주행을 판단하여 상기 블랙박스를 퓨즈박스로부터 충전 할 것인지 기기내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것인지를 제어하는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설정부는 계절별로 저전압의 범위를 4단계로 설정하여 각 단계별로 저전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의 범위는
    11.8V로 휘발류 차량의 하절기 모드인 1단계;
    12V로 디젤차량의 하절기 모드인 2단계;
    12.2V로 휘발유 차량의 동절기 모드인 3단계;
    12.5V로 디젤차량의 동절기 모드인 4단계;로 구성되는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설정부는 추가적으로 저장된 전력을 차량 배터리와 환원하는 시스템을 구비하고, 고장 진단 기능 및 방전 알람 기능을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
KR1020140166879A 2014-11-26 2014-11-26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 KR20160063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879A KR20160063178A (ko) 2014-11-26 2014-11-26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879A KR20160063178A (ko) 2014-11-26 2014-11-26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178A true KR20160063178A (ko) 2016-06-03

Family

ID=5619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879A KR20160063178A (ko) 2014-11-26 2014-11-26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31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1957A (ko) 2009-12-22 2011-06-29 김동선 케이블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1957A (ko) 2009-12-22 2011-06-29 김동선 케이블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8825B2 (en) Engine start and battery support module
CN105730212B (zh) 车辆动力传动系
KR101863737B1 (ko) 축전 시스템
US96305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power management
KR100906907B1 (ko) 자동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
JP5757298B2 (ja) 車両の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KR101417308B1 (ko) 전기 자동차 ldc 액티브 제어 시스템
JP5772839B2 (ja) 車両の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US9240703B2 (en) Power supply system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201273B2 (ja) 電源管理装置
CN105391108A (zh) 一种蓄电池组和包含该蓄电池组的混合动力车辆
US10075004B2 (en) Battery jump-starting method
JP5808678B2 (ja) 電動車両
US20150251543A1 (en) Vehicle controlling system
JP2007120960A (ja) サブ電源の故障診断装置
KR101927124B1 (ko) 배터리 고장 방지 장치
JP2008110700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電源システム
JP2017085869A (ja) 電源システムの制御装置
BR102016004738A2 (pt) processo para o fornecimento de tensão de um sistema elétrico de veículo de um veículo a motor e veículo a motor, em particular um veículo comercial
JP6674000B2 (ja) 電気駆動車両の低電圧車載電気システムの供給
KR101628552B1 (ko) 보조배터리 보충전 주기 설정 방법
KR101459925B1 (ko) 전기차용 저전압직류변환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전압직류변환기 제어시스템
JP6483581B2 (ja) 充電装置
JP2012035756A (ja) 車両用電源装置
CN109747437B (zh) 车辆用电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