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957A - 케이블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957A
KR20110071957A KR1020090128697A KR20090128697A KR20110071957A KR 20110071957 A KR20110071957 A KR 20110071957A KR 1020090128697 A KR1020090128697 A KR 1020090128697A KR 20090128697 A KR20090128697 A KR 20090128697A KR 20110071957 A KR20110071957 A KR 20110071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ble
rotating
wir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9531B1 (ko
Inventor
김동선
Original Assignee
김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선 filed Critical 김동선
Priority to KR1020090128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53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08Sli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18Contact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 or slip-ring, e.g. contact brus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38Brush holders
    • H01R39/385Means for mechanical fixation of the brush hold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고정축 커넥터가 고정되고, 타측에 회전체에 연결되는 제1회전축 로터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우징, 상기 회전축 로터에 장착되고, 그 내면에 제1회전 케이블이 고정되며, 그 외주면에 제1고정 케이블이 접촉되는 복수의 전극링,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전극링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회전축 로터, 상기 제2회전축 로터에 고정되고 제2회전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촉유닛이 설치되는 커플러,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심선 접촉자에 접촉되어 통전되는 제2고정 케이블이 고정되는 전극 브라켓을 포함한다.
케이블, 회전 장치, 연결, 통전

Description

케이블 연결 장치{APPARATUS FOR CABLE CONNECTING}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체를 갖는 회전부분의 전기회로와 고정부분의 전기회로를 회전 중에도 배선의 꼬임 없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슬립링(slip ring)이라는 케이블 연결 장치가 장착된다.
이러한, 케이블 연결 장치는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입력 전선과 출력 전선의 꼬임 없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각종 자동화 공정, 회전놀이 장치, 조립 라인 등 회전되는 장치에 전력 및 전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 연결 장치는 전기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저주파용과, 고주파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고주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케이블 연결 장치가 저주파용과 고주파용으로 나누어져 종류별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단순하게 일반 케이블 연결 장치와 고주파용 케이블 연결 장치를 조립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이럴 경우 케이블 연 결 장치의 부피가 커지고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고주파 및 저주파 겸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소형화한 케이블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는, 일측에 고정축 커넥터가 고정되고, 타측에 회전체에 연결되는 제1회전축 로터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우징, 상기 회전축 로터에 장착되고, 그 내면에 제1회전 케이블이 고정되며, 그 외주면에 제1고정 케이블이 접촉되는 복수의 전극링,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전극링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회전축 로터, 상기 제2회전축 로터에 고정되고 제2회전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촉유닛이 설치되는 커플러,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심선 접촉자에 접촉되어 통전되는 제2고정 케이블이 고정되는 전극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전극링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둘레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극링에 접촉되는 상기 제1고정 케이블의 브러쉬를 지지하는 브러쉬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 브라켓은, 그 내부에 상기 복수의 전극링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측에 상기 제2회전축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터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링과 대응되는 외부둘레면에는 상기 브러쉬 브라켓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극링 적층되는 것으로, 끼움홈을 가지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의 아래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아래에 위치한 절연부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부, 그리고 상기 절연부과 상기 끼움부 사이에 위치하여 절연되며, 상기 제1회전 케이블이 고정되어 있고, 제1고정 케이블이 접촉되어 있는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끼움부가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면서 전극링이 복수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 케이블과 상기 제2고정 케이블은,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심선 및 상기 심선 외측에 절연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자기장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보호하는 쉴드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회전 케이블은 상기 제1회전축 로터, 상기 전극링,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 로터를 관통하여 상기 접촉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 케이블은 상기 고정축 커넥터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접촉유닛은, 상기 커플러에 장착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상기 제2회전 케이블의 쉴드선이 연결되어 있는 쉴드선 회전 전극, 상기 쉴드선 회전 전극 상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브라켓에 접촉되어 통전되는 쉴드선 와이어 브러쉬, 상기 쉴드선 회전 전극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가 상기 제2회전 케이블의 심선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 케이블의 심선에 접촉되어 있는 심선 전극, 그리고 상기 심선 전극과 상기 쉴드선 회전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절연하는 심선 절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쉴드선 회전 전극은, 그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 케이블의 쉴드 선이 고정되는 쉴드선 고정홀, 상기 쉴드선 고정홀 위에 형성되어 연통되어있으며, 상기 심선 전연 부재가 끼워지는 절연 부재 끼움홀, 그리고 상기 절연 부재 끼움홀 위에 형성되어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쉴드선 와이어 브러쉬가 고정되어 있는 브러쉬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2회전축 로터의 끝이 삽입되는 제2회전축 로터 삽입홀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회전축 로터 삽입홀과 연통되어 상기 쉴드선 회전 전극 하단부가 삽입되는 회전 전극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심선 전극은, 상기 심선 절연체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한쪽 끝이 상기 회전하는 물체의 제2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심선 전극 몸체, 상기 심선 전극 몸체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케이블의 제2 전극에 접촉되어 있는 심선 접촉자, 그리고 상기 심선 전극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심선 접촉자를 완충 지지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2 케이블의 제2 전극과 상기 회전하는 물체의 제2 전극이 통전되도록 표면에 도금처리 될 수 있다.
상기 전극 브라켓은, 상기 고정축 커넥터가 끼워지는 고정축 커넥터 결합홀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둘레면에는 상기 쉴드선 와이어 브러쉬 끝단이 벗어나지 못하도록 가이드하는 브러쉬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회전축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을 구비한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주파를 연결하는 전극링과, 고주파을 연결하는 접촉 유닛이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저주파 및 고주파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립링을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슬립링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장치는, 케이블이 꼬임 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우징(10),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물체(도시하지 않음)를 따라 회전하는 제1회전 케이블(1)을 제1고정 케이블(2)에 꼬이지 않게 연결하는 저주파 연결 유닛(20), 그리고 회전하는 물체를 따라 회전하는 제2회전 케이블(3)을 제2고정 케이블(4)에 꼬이지 않게 연결하는 고주파 연결 유닛(30)을 포함한다. 회전하는 물체는 각종 자동화 공정, 회전 놀이 장치, 조립 라인, CCTV, 각종 검사장비, 인덱스 장비, 로봇 등의 회전되는 소형 장 비 따위에 해당된다.
여기서, 제1회전 케이블(1)과 제1고정 케이블(2)은 일반적으로 저주파가 흐르는 선이고, 제2회전 케이블(3)과 제2고정 케이블(4)은 고주파가 흐르는 동축 케이블이다. 이에 따라 제2회전 케이블(3)과 제2고정 케이블(4)은,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심선(3a, 4a)과 심선(3a, 4a) 외측을 감싸고 있으며, 데이터 신호가 전송될 때 발생한 자기장으로부터 심선(3a, 4a)을 보호하는 쉴드선(3b,4b)을 포함한다. 심선(3a, 4a)과 쉴드선(3b, 4b)의 사이에는 절연물질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심선(3a, 4a)과 쉴드선(3b, 4b)은 절연된다.
하우징(10)은, 상하 관통되어 내부가 비어 있으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제1고정 케이블(2)이 삽입되는 복수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상면 중앙에는 상하 관통된 고정축 커넥터(11)가 장착되어 있다. 고정축 커넥터(11)는 제2고정 케이블(4)을 지지하며, 하우징(10)의 내부로 안내한다.
하우징(10)의 하부에는 내부가 상하 관통된 제1회전축 로터(12)가 지지 부재(121)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121)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제1회전축 로터(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회전축 로터(12)를 통하여 제1회전 케이블(1) 및 제2회전 케이블(3)이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다음으로 다시 참조하는 도2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저주파 연결 유닛(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저주파 연결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저주파 연결 유닛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연결 유닛(20)은 제1고정 케이블(2)과 제1회전 케이블(1)을 꼬이지 않게 연결하며, 회전하는 물체를 따라 회전하는 전극링(210), 전극링(210)에 접속되는 제1고정 케이블(2)을 지지해주는 브러쉬 브라켓(220)을 포함한다.
브러쉬 브라켓(220)은, 하우징(10)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다. 브러쉬 브라켓(220)의 상단부에는 제2회전축 로터(13)가 장착되는 로터 장착부(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터 장착부(222)에는 제2회전축 로터(1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베어링이 장착되어 있다. 브러쉬 브라켓(220)의 외주면에는 브러쉬 브라켓(220)의 내부로 삽입된 제1고정 케이블(2)의 브러쉬(2a)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홀(2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러쉬 브라켓(220)의 하단부는 지지 부재(121)에 지지되어 있다.
전극링(210)은 브러쉬 브라켓(2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회전축 로터(12)와 제2회전축 로터(13)의 사이에 복수 적층 되며, 제1고정 케이블(2)과 제1회전 케이블(1)이 연결된 전극부(212), 전극부(212)에 결합된 절연부(211) 및 끼움부(213)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극링(210)은 회전하는 외부 물체를 따라 회전한다.
전극부(212)는 도넛 형상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내부 둘레면에는 제1회전 케이블(1)이 고정되어 있으며, 외부 둘레면에는 제1고정 케이블(2)의 브러쉬(2a)의 끝이 접촉되어 있다. 전극부(212)의 외부 둘레면에는 제1고정 케이블(2)의 브러쉬(2a)가 벗어나지 않도록 브러쉬 접촉홀(2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제1고정 케이블(2)의 브러쉬(2a) 끝이 제1회전 케이블(1)이 고정된 전극부(212)에 접촉되어 있어 제1회전 케이블(1)과 제1고정 케이블(2)을 꼬이지 않게 연결할 수 있다. 제1회전 케이블(1)과 제1고정 케이블(2)이 연결되면서 전기적으로 통전되어 저주파가 끊어 지지 않고 연결될 수 있다.
절연부(211)는 전극부(212)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전극부(21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끼움홈(211a)이 형성되어 잇다. 절연부(211)는 절연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끼움부(213)는 전극부(212)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아래에 위치한 전극링(210)의 끼움홈(211a)에 끼워진다. 이렇게 복수의 전극링(210) 중 끼움부(213)가 끼움홈(211a)에 끼워지면서 복수의 전극링(210)이 적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시 참조하는 도 2,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고주파 연결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고주파 연결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고주파 쉴드선 회전 전극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7은 도 5에 도시한 고주파 심선 전극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연결 유닛(30)은, 하우징(10)의 내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회전축 로터(13)에 장착된 커플러(310), 커플러(310)에 장착되어 제2회전 케이블(3)과 제2고정 케이블(4)을 꼬이지 않게 연결하는 접촉 유닛(320) 그리고 전극 브라켓(330)을 포함한다.
전극 브라켓(330)은, 제2고정 케이블(4)의 쉴드선(4b)이 고정되어 있으며, 가운데 부분에는 고정축 커넥터(11)가 결합되는 고정축 커넥터 결합홀(332)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 브라켓(330)의 외주면에는 브러쉬 삽입홀(331)이 형성되어 있다.
커플러(310)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커플러(310)의 내측 하부에는 제2회전축 로터(13)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2회전축 로터 삽입홀(3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플러(310)의 내측 상부에는 쉴드선 회전 전극(321) 하단부가 삽입되는 회전 전극 삽입홀(31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플러(310)는 쉴드선 회전 전극(321)을 제2회전축 로터(13)에 연결하고 제2회전축 로터(13)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커플러(310)의 회전으로 쉴드선 회전 전극(321) 및 심선 전극(323)이 회전된다. 아울러, 커플러(310)는 저주파 연결 유닛(20)과 고주파 연결 유닛(30)을 연결하게 된다.
다음으로 접촉 유닛(3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촉 유닛(320)은 제2회전 케이블(3)과 제2고정 케이블(4)의 쉴드선(4b)을 연결하는 쉴드선 회전 전극(321), 쉴드선 회전 전극(321) 내부에 배치되어 제2회전 케이블(3)과 제2고정 케이블(4)의 심선(4a)을 연결하는 심선 전극(323)을 포함한다.
쉴드선 회전 전극(321)은 하단부가 커플러(310)의 쉴드선 회전 전극(321)에 장착되어 있으며, 중앙 상부에는 전극 브라켓(330)에 접촉되는 쉴드선 와이어 브러쉬(322)가 장착된 브러쉬 결합홀(321c)이 형성되어 있다. 쉴드선 와이어 브러쉬(322)의 끝이 브러쉬 삽입홀(331)에 삽입되어 있어, 쉴드선 회전 전극(321)이 회전될 때 쉴드선 와이어 브러쉬(322)가 전극 브라켓(330)에서 벗어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쉴드선 회전 전극(321)의 중앙 하부에는 제2회전 케이블(3)의 쉴드선(3b)이 고정되는 쉴드선 고정홀(3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브러쉬 삽입홀(331)과 쉴드선 고정홀(321a)의 사이에는 심선 전극(323)이 장착된 심선 절연 부재(324)가 끼워지는 절연 부재 끼움홈(321a)이 형성되어 있다.
쉴드선 회전 전극(321)은 전류가 통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회전 케이블(3)의 쉴드선과 제2고정 케이블(4)의 쉴드선(4b)을 꼬임 없이 연결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통전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심선 전극(323)에 대하여 설명한다.
심선 전극(323)은 제2회전 케이블(3)의 심선(3a)이 접촉된 심선 전극 몸체(323a), 제2고정 케이블(4)의 심선(4a)에 접촉된 심선 접촉자(323b), 그리고 심선 접촉자(323b)를 완충 지지 하는 완충 부재(323c)를 포함한다.
심선 전극 몸체(323a)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절연 부재 끼움홀(321b)에 끼워진 심선 절연 부재(324)의 홀(324a)에 장착되어 있다. 심선 전극 몸체(323a)의 하단부는 심선 절연 부재(324)를 관통하여 쉴드선 회전 전극(321)의 쉴드선 고정홀(321a) 중앙에 위치하여 제2회전 케이블(3)의 심선(3a)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심선 전극 몸체(323a)는 심선 절연 부재(324)에 의하여 쉴드선 회전 전극(321)과 절연된다.
심선 접촉자(323b)는 심선 전극 몸체(323a)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2고정 케이블(4)의 심선(4a)이 접촉되어 있다. 이때, 심선 접촉자(323b)가 완충 부재(323c)에 의해 완충 지지되어 제2고정 케이블(4)의 심선(4a) 에 항상 완충 지지된다. 완충 부재(323c)를 통하여 제2고정 케이블(4)의 심선(4a)이 제2회전 케이블(3)의 심선(3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통전되어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완충 부재(323c)의 외부 표면은 도금 처리되어 전기적 신호 연결의 저항을 최소화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고정 장치는 고정된 지지체(도시하지 않음)와 회전 물체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축 커넥터(11)는 고정된 지지체에 결합되고, 제1회전축 로터(12)는 회전 물체에 설치되어 제1회전축 로터(12)가 회전 물체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고정 케이블(2, 4)은 지지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회전 케이블(1,3)은 회전 물체쪽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1 및 제2회전 케이블(1,3)은 제1회전축 로터(12)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회전 케이블(1)은 저주파 연결 유닛(20)의 전극링(210)에 연결되어 있고 제2회전 케이블(3)은 고주파 연결 유닛(30)의 접촉 유닛(32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 물체가 회전되면 제1회전축 로터(12), 제1 및 제2회전 케이블(1,3)이 회전된다. 그리고, 제1회전축 로터(12)에 연결된 저주파 연결 유닛(20)의 전극링(210) 및 고주파 연결 유닛(30)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전된다.
회전되는 전극링(210)의 전극부(212)에 제1고정 케이블(2)의 브러쉬(2a)가 접촉되어 있어 제1회전 케이블(1)이 제1고정 케이블(2)에 꼬이지 않고 연결되어 통 전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고주파 연결 유닛(30)은 커플러(310)에 의해 저주파 연결 유닛(20)과 연결되어있어, 저주파 연결 유닛(2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2회전 케이블(3)의 쉴드선(3b)이 고정된 쉴드선 회전 전극(321)이 회전된다. 이때 쉴드선 회전 전극(321)에 장착된 와이어 브러쉬(322)가 제2고정 케이블(4)의 쉴드선(4b)이 연결되어 있는 전극 브라켓(330)에 접촉되어 있어 제2회전 케이블(3)의 쉴드선(3b)이 제2고정 케이블(4)의 쉴드선(4b)에 꼬이지 않고 연결되어 통전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고주파 연결 유닛(30)의 심선 전극(323)은 쉴드선 회전 전극(321)을 따라 회전하며, 이때 심선 전극 몸체(323a)에 삽입된 심선 접촉자(323b)가 완충 부재(323c)에 의해 완충 지지 되어 있어 제2고정 케이블(4)의 심선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제2고정 케이블(4)의 심선(4a)과 제2회전 케이블(3)의 심선(3a)이 꼬이지 않고 연결되어 통전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립링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슬립링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저주파 연결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저주파 연결 유닛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고주파 연결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고주파 쉴드선 회전 전극 결합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고주파 심선 전극 결합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제1회전 케이블 2: 제1고정 케이블
2a: 브러쉬 3: 제2회전 케이블
4: 제2고정 케이블 3a, 4a: 심선
3b, 4b: 쉴드선 10: 하우징
11: 고정축 커넥터 12: 제1회전축 로터
121: 지지 부재 13: 제2회전축 로터
20: 저주파 연결 유닛 210: 전극링
211: 절연부 211a: 끼움홈
212: 전극부 212a: 브러쉬 접촉홀
213: 끼움부 220: 브러쉬 브라켓
221: 지지홀 222: 로터 장착부
30: 고주파 연결 유닛 310: 커플러
311: 제2회전축 로터 삽입홀 312: 회전 전극 삽입홀
320: 접촉 유닛 321: 쉴드선 회전 전극
321a: 쉴드선 고정홀 321b: 절연 부재 끼움홀
321c: 브러쉬 결합홀 322: 와이어 브러쉬
323: 심선 전극 323a: 심선 전극 몸체
323b: 심선 접촉자 323c: 완충 부재
324: 심선 절연 부재 324a: 홀
330: 전극 브라켓 331: 브러쉬 삽입홀
332: 고정축 커넥터 결합홀

Claims (12)

  1. 일측에 고정축 커넥터가 고정되고, 타측에 회전체에 연결되는 제1회전축 로터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우징,
    상기 회전축 로터에 장착되고, 그 내면에 제1회전 케이블이 고정되며, 그 외주면에 제1고정 케이블이 접촉되는 복수의 전극링,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전극링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회전축 로터,
    상기 제2회전축 로터에 고정되고 제2회전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촉유닛이 설치되는 커플러,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심선 접촉자에 접촉되어 통전되는 제2고정 케이블이 고정되는 전극 브라켓
    을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전극링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둘레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극링에 접촉되는 상기 제1고정 케이블의 브러쉬를 지지하는 브러쉬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브러쉬 브라켓은,
    그 내부에 상기 복수의 전극링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측에 상기 제2회전축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터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링과 대응되는 외부둘레면에는 상기 브러쉬 브라켓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홀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연결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전극링 적층되는 것으로,
    끼움홈을 가지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의 아래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아래에 위치한 절연부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부, 그리고
    상기 절연부과 상기 끼움부 사이에 위치하여 절연되며, 상기 제1회전 케이블이 고정되어 있고, 제1고정 케이블이 접촉되어 있는 전극부
    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부가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면서 전극링이 복수 적층되는
    케이블 연결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2회전 케이블과 상기 제2고정 케이블은,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심선 및
    상기 심선 외측에 절연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자기장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보호하는 쉴드선
    을 포함하며,
    상기 제2회전 케이블은 상기 제1회전축 로터, 상기 전극링,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 로터를 관통하여 상기 접촉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 케이블은 상기 고정축 커넥터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블 연결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접촉유닛은,
    상기 커플러에 장착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상기 제2회전 케이블의 쉴드선이 연결되어 있는 쉴드선 회전 전극,
    상기 쉴드선 회전 전극 상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브라켓에 접촉되어 통전되는 쉴드선 와이어 브러쉬,
    상기 쉴드선 회전 전극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가 상기 제2회전 케이블의 심선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 케이블의 심선에 접촉되어 있는 심선 전극, 그리고
    상기 심선 전극과 상기 쉴드선 회전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절연하는 심선 절연부
    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쉴드선 회전 전극은,
    그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 케이블의 쉴드선이 고정되는 쉴드선 고정홀,
    상기 쉴드선 고정홀 위에 형성되어 연통되어있으며, 상기 심선 전연 부재가 끼워지는 절연 부재 끼움홀, 그리고
    상기 절연 부재 끼움홀 위에 형성되어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쉴드선 와이어 브러쉬가 고정되어 있는 브러쉬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연결 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2회전축 로터의 끝이 삽입되는 제2회전축 로터 삽입홀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회전축 로터 삽입홀과 연통되어 상기 쉴드선 회전 전극 하단부가 삽입되는 회전 전극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연결 장치.
  9. 제6항에서,
    상기 심선 전극은
    상기 심선 절연체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한쪽 끝이 상기 회전하는 물체의 제2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심선 전극 몸체,
    상기 심선 전극 몸체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케이블의 제2 전극에 접촉되어 있는 심선 접촉자, 그리고
    상기 심선 전극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심선 접촉자를 완충 지지하는 완충 부재
    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제2 케이블의 제2 전극과 상기 회전하는 물체의 제2 전극이 통전되도록 표면에 도금처리 되어 있는 케이블 연결 장치.
  11. 제6항에서,
    상기 전극 브라켓은,
    상기 고정축 커넥터가 끼워지는 고정축 커넥터 결합홀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둘레면에는 상기 쉴드선 와이어 브러쉬 끝단이 벗어나지 못하도록 가이드하는 브러쉬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연결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회전축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을 구비한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 장치.
KR1020090128697A 2009-12-22 2009-12-22 케이블 연결 장치 KR101139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697A KR101139531B1 (ko) 2009-12-22 2009-12-22 케이블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697A KR101139531B1 (ko) 2009-12-22 2009-12-22 케이블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957A true KR20110071957A (ko) 2011-06-29
KR101139531B1 KR101139531B1 (ko) 2012-05-02

Family

ID=4440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697A KR101139531B1 (ko) 2009-12-22 2009-12-22 케이블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5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571B1 (ko) 2014-08-19 2016-03-02 한국원자력연구원 회전기기의 전선 연결장치
KR20160063178A (ko) 2014-11-26 2016-06-03 장지혜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
KR20220013594A (ko) * 2020-07-27 2022-02-04 김현덕 동축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동축커넥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058B1 (ko) * 2019-07-26 2021-04-19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회전형 시트의 케이블 가이드 모듈
KR102242057B1 (ko) * 2019-07-26 2021-04-19 주식회사 경신 회전형 차량 시트용 케이블 가이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02A (ja) 1982-06-30 1984-01-10 Hitachi Ltd 単芯形状光フアイバ−ケ−ブルの光接続器
JP2002530841A (ja) * 1998-11-25 2002-09-17 リカ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気的接触装置
KR200302281Y1 (ko) 2002-11-07 2003-01-29 주식회사 국제콘넥타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
KR200423589Y1 (ko) 2006-05-30 2006-08-08 강제원 슬립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571B1 (ko) 2014-08-19 2016-03-02 한국원자력연구원 회전기기의 전선 연결장치
KR20160063178A (ko) 2014-11-26 2016-06-03 장지혜 보조 배터리 전력제어 방법
KR20220013594A (ko) * 2020-07-27 2022-02-04 김현덕 동축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동축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531B1 (ko)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531B1 (ko) 케이블 연결 장치
JP3172690B2 (ja) 測定装置と試験リードとの接続装置
KR101882240B1 (ko) 전기 회전 주축과 초음파 나이프 핸들의 전력 전도 연결 구조
JP6438915B2 (ja) 電気コネクタ
JP2020535435A (ja) 複数の離散的インピーダンス要素を備える高電圧コネクタ用センサ
KR102123717B1 (ko) 동축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EP2541697A1 (en) Connecting element for data lines
CN211043557U (zh) 用于特高频局部放电传感器的信号耦合天线及传感器
CN107317198A (zh) 一种卡扣式bnc射频三同轴连接器
JP6727613B2 (ja) スリップリング及び複合スリップリング
JP2019036538A (ja) コネクタ装置
CN1310881A (zh) 平衡-不平衡转换器及连接电缆的相关方法
EP3913749A1 (en) Socket with field control unit
KR20070118486A (ko) 실드 커넥터
CN207320383U (zh) 一种可旋转式自清洗电连接器
KR20150051721A (ko) 꼬임방지용 케이블 커넥터 연결장치
WO2021260889A1 (ja) コネクタ
CN220086593U (zh) 导电滑环
CN107732504A (zh) 可旋转式自清洗电连接器
CN219874109U (zh) 一种集束电缆连接装置
CN111952696B (zh) 一种信号集成连接器组合装置
CN219760111U (zh) 一种插头、插座及电连接器
CN203206379U (zh) 一种具有隔离式信号接头的调谐器
CN207882311U (zh) 一种测量仪器用测量表针
CN212905060U (zh) 一种带有阻抗匹配单元的探针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