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281Y1 -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 - Google Patents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281Y1
KR200302281Y1 KR20-2002-0033346U KR20020033346U KR200302281Y1 KR 200302281 Y1 KR200302281 Y1 KR 200302281Y1 KR 20020033346 U KR20020033346 U KR 20020033346U KR 200302281 Y1 KR200302281 Y1 KR 200302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male
coaxial connector
diameter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콘넥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콘넥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콘넥타
Priority to KR20-2002-0033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2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2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본 고안은 동일 축상에서 2개의 다른 직경을 갖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내부 도전체를 형성하여 성형 및 조립이 용이하며, 또한 암/수 플러그의 스냅 결합구조에 따라 설정된 위치에서 완전하고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한쌍의 동축케이블을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암/수 플러그(10,20)가 형성되며, 상호 접속부분에서 제1 내측 도전체(12)는 제1 외측 도전체(14)에 대하여 돌출되고 제2 내측 도전체(22)는 제2 외측 도전체(21)에 대하여 비돌출 형성된 고주파용 동축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암 플러그(10)의 제1 외측 도전체(14)는 선단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돌기(16)를 형성하고 수 플러그(20)의 제2 외측 도전체(21) 내주에는 상기 결합돌기(16)가 스냅 결합되는 결합홈(1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수 플러그(10, 20)의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2, 22)는 각각 동일 축상에서 상호 접속하는 일측이 동축케이블에 접속하는 타측에 비하여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2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High Frequency Coaxial Connector having 2-Step Structure Internal Conductor}
본 고안은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 축상에서 2개의 다른 직경을 갖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내부 도전체를 형성하여 성형 및 조립이 용이하며, 또한 암/수 플러그의 스냅 결합구조에 따라 설정된 위치에서 완전하고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주파용 동축콘넥터는 적정 임피던스를 유지하면서 한쌍의 동축케이블의 내부 유전체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것으로, 그 적용분야가 다양하며 주로 기지국 내에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고주파용 동축콘넥터는 미국 특허 제4917630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암/수 플러그(1, 6)를 구비하며, 상기 암 플러그(1)는 전류를 차폐하기 위한 원통형 쉴드(2)를 구비하고 쉴드(2) 내측에는 동축케이블의 내부 도전체(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는 제1 내측 도전체(3)가 배치되며 이 경우 상기 제1 내측 도전체(3)는 쉴드(2) 내측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1 외측 도전체(4)의 내부에 절연체(5)에 의해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 플러그(6)는 상기 암 플러그의 쉴드(2) 일측으로 삽입되어 내측으로 암 플러그(1)의 제1 외측 도전체(4)가 내삽 접속되는 제2 외측 도전체(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 플러그(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외측 도전체(7) 내측에는 제2 내측 도전체(8)가 제2 절연체(9)에 의해 절연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암/수 플러그(1, 6)의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3, 8)는 상호 정확하게 접속되도록 각각 제1 및 제2 절연체(5, 9)의 중심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1GHz 이상의 고주파용 동축콘넥터에서 발생하는 임피던스의 부정합은 심각한 신호파단을 일으키게 되며, 따라서 신호파단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전율이 변화하는 각 부분에 내부 도전체의 외경(d3∼d6)과 쉴드의 내경(D3) 및 외부 도전체의 내경(D4∼D6)의 비를 상호 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고주파용 동축콘넥터는 주지된 동축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 식, Z=138(ε)-1/2log(D/d)(여기서 ε는 절연체의 유전률, D는 외부 도전체의 내경, d는 내부 도전체의 외경임)을 만족하기 위해, 도 1에 표시된 D3, D4, D5와 d3, d4, d5의 비가 D3/d3= D4/d4= D5/d5와 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축콘넥터의 임피던스(Z) 정합을 이룰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고주파를 이용하는 종래의 동축콘넥터는 제1 및 제2 절연체(5, 9)에 지지되는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3, 8)의 중앙부 외경과 지지되지 않는 양단부의 직경(D3, D4(D5), D6)이 모두 다르게 이루어지는 3단 구조의 서로 다른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동축콘넥터의 임피던스 부정합을 유발시킬 수 있는 3개의 파라미터(D, d, ε) 중에서 D와 d를 고려하여 정확하게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3, 8)를3단 구조의 서로 다른 3개의 직경을 갖도록 성형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동시에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3, 8)의 상호 결합되는 부분이 직경이 제1 및 제2 절연체(5, 9)에 접속되는 중앙부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어 조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 및 제2 외측 도전체(4, 7)는 슬라이드 온(slide on) 타입의 결합방식으로 완전하게 걸어 맞추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기에 가해지는 진동 등에 의해 결합부분이 헐거워짐에 따라 암/수 플러그(1, 6)가 상호 이탈되어 오작동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동일 축상에서 2개의 다른 직경을 갖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내부 도전체를 형성하여 성형 및 조립이 용이하며, 또한 암/수 플러그의 스냅 결합구조에 따라 설정된 위치에서 완전하고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암/수 플러그를 상호 결합시킬 경우 스냅 결합 시 들리는 결합 소리에 의해 사용자가 암/수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인피던스 고주파용 동축콘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의 암 플러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의 수 플러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의 단면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암 플러그 11: 쉴드
12: 제1 내측 도전체 13: 제1 절연체
14: 제1 외측 도전체 15: 제1 스프링 링
16: 결합돌기 17: 결합홈
20: 수 플러그 21: 제2 외측 도전체
22: 제2 내측 도전체 23: 제2 절연체
24: 제2 스프링 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한쌍의 동축케이블을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원통형상의 제1 및 제2 외측 도전체와 그 내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절연체에 의해 절연된 상태로 배치된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로 이루어진 암/수 플러그가 형성되며, 상기 암/수 플러그의 상호 접속부분에서 제1 내측 도전체는 제1 외측 도전체에 대하여 돌출되고 제2 내측 도전체는 제2 외측 도전체에 대하여 비돌출 형성된 고주파용 동축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암 플러그의 제1 외측 도전체는 선단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수 플러그의 제2 외측 도전체 내주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스냅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수 플러그의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는 각각 동일 축상에서 상호 접속하는 일측이 동축케이블에 접속하는 타측에 비하여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2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암/수 플러그의 제1 및 제2 내/외측 도전체가 스냅 결합될 때, 접속부에서 제1 외측 도전체의 내경(D1)과 제1 내측 도전체의 외경(d1)의 비가 제2 외측 도전체의 내경(D3)과 제1 내측 도전체의 외경(d3)의 비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암/수 플러그의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가 각각 2단 구조의 서로 다른 직경의 간단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성형이 용이하고, 상기 내측 도전체의 상호 접속 부분이 가늘게 형성되어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제1 및 제2 외측 도전체의 결합방식이 스냅 결합방식으로 이루어져 암/수 플러그가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동축콘넥터의 결합부분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확실한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상기 본 고안에 따른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의 암 플러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의 수 플러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의 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고주파용 동축콘넥터는 도 4와 같이 착탈 가능한 암/수 플러그(10, 20)로 이루어지며, 암/수 플러그(10, 20)는 외주 중앙부에 제1 및 제2 스프링 링(spring ring)(14, 24)이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링(20)은 종래와 유사하게 상기 암/수 플러그(10, 20)를 병렬 콘넥터, 모듈러, 어셈블리 등의 어느 하나에 적절히 고정 사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암 플러그(10)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 쉴드(1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쉴드(11) 내주면에는 일측이 고정 배치되고 타측이 확장/축소가 가능하도록 축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된 제1 외측 도전체(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외측 도전체(14)는 내부에 제1 외측 도전체(14)에 대하여 돌출 형성된 제1 내측 도전체(12)를 배치하되, 제1 내측 도전체(12)의 양단이 제1 외측 도전체(14)의 양단으로 제1 내/외측 도전체(12, 14) 사이에 제1 절연체(13)를 삽입하여 종래와 같이 제1 내/외측 도전체(12, 14)는 상호 절연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외측 도전체(14)의 타측 외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돌기(1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하기에 설명하는 제2 외측 도전체(21)는 일측 내주면을 따라 상기 결합돌기(16)가 스냅 결합되도록 결함홈(17)이 형성되어 동축케이블 연결 시 상기 암/수 플러그(10,20)는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한 결합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제1 내측 도전체(14)는 2단 구조 즉, 동축케이블의 내부 도전체가 접속되는 일측이 소정의 직경으로 이루어져, 하기에 설명하는 2단 구조의 제2 내측 도전체(22)가 접속되는 타측은 일측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2단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2, 22)는 종래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3단 구조의 내측 도전체에 비하여 성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능률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내부 도전체(12, 22)의 상호 접속 부분이 가늘게 형성되어 조립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암 플러그(20)와 마찬가지로 외주에 제2 스프링 링(24)이 결합된 상기 수 플러그(20)는 종래와 유사하게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2 외측 도전체(21), 제2 내측 도전체(22) 및 상기 제2 내/외측 도전체(22, 21) 사이에 결합된 제2 절연체(23)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2 내측 도전체(22)는 제2 내측 도전체(2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경우 제2 내측 도전체(22)는 상기 제1 내측 도전체(12)와 유사하게 동축케이블의 내부 도전체가 접속되는 일측과 제1 내측 도전체(12)가 삽입되는 타측의 직경이 서로 다른 2단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축케이블의 암/수 플러그(10,20)를 상호 결합시킨 경우, 도 4와 같이 암 플러그의 쉴드(11) 일측으로 수 플러그의 제2 외측 도전체(21)의 일측이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외측 도전체(21) 내부로 제1 외측 도전체(14)가 삽입되면서 결합돌기(16)가 결합홈(17)에 전기적으로 스냅 결합되며, 제2 내측 도전체(22) 일측으로 제1 내측 도전체(12)가 전기적으로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암/수 플러그(10, 20)를 상호 결합시킬 경우 스냅 결합 시 발생하는 결합 소리에 의해 사용자가 암/수 플러그(10, 20)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본 고안의 동축콘넥터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해 암플러그(10) 내부의 직경비는 D1/d1=D2/d2(D1: 제1 외측 도전체의 내경, d1: 제1 내측 도전체의 외경, D2: 쉴드의 내경, d2는 제1 내부 도전체의 외경)이고, 수 플러그(10) 내부의 직경비는 D3/d3=D4/d4(D3: 제2 외측 도전체의 내경, d3: 제2 내측 도전체의 외경, D4: 제2 외측 도전체의 내경, d4는 제1 내부 도전체의 외경)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D2/d2와 D4/d4의 직경비는 D2/d2=D4/d4의 관계를 이루며, 결과적으로 각 직경비는 D1/d1=D2/d2=D3/d3=D4/d4가 되어 임피던스 식, Z=138(ε)-1/2log(D/d)을만족함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동축콘넥터의 임피던스 매칭은 직경비가 D1/d1및 D3/d3의 2부분에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암/수 플러그의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가 각각 동일 축상에서 2단 구조의 서로 다른 직경의 간단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성형이 용이하고, 상기 내측 도전체의 상호 접속 부분이 가늘게 형성되어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외측 도전체의 결합방식이 스냅 결합방식으로 이루어져 암/수 플러그가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동축콘넥터의 결합부분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확실한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한쌍의 동축케이블을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원통형상의 제1 및 제2 외측 도전체(14, 21)와 그 내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절연체(14, 23)에 의해 절연된 상태로 배치된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2, 22)로 이루어진 암/수 플러그(10,20)가 형성되며, 상기 암/수 플러그(10,20)의 상호 접속부분에서 제1 내측 도전체(12)는 제1 외측 도전체(14)에 대하여 돌출되고 제2 내측 도전체(22)는 제2 외측 도전체(21)에 대하여 비돌출 형성된 고주파용 동축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암 플러그(10)의 제1 외측 도전체(14)는 선단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돌기(16)를 형성하고 수 플러그(20)의 제2 외측 도전체(21) 내주에는 상기 결합돌기(16)가 스냅 결합되는 결합홈(1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수 플러그(10, 20)의 제1 및 제2 내측 도전체(12, 22)는 각각 동일 축상에서 상호 접속하는 일측이 동축케이블에 접속하는 타측에 비하여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2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 플러그(10, 20)의 제1 및 제2 내/외측 도전체(12,14; 22,21)가 스냅 결합될 때, 접속부에서 제1 외측 도전체(14)의 내경(D1)과 제1 내측 도전체(12)의 외경(d1)의 비가 제2 외측 도전체(21)의 내경(D3)과 제1 내측 도전체(22)의 외경(d3)의 비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고주파용 동축콘넥터.
KR20-2002-0033346U 2002-11-07 2002-11-07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 KR200302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346U KR200302281Y1 (ko) 2002-11-07 2002-11-07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346U KR200302281Y1 (ko) 2002-11-07 2002-11-07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281Y1 true KR200302281Y1 (ko) 2003-01-29

Family

ID=4939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346U KR200302281Y1 (ko) 2002-11-07 2002-11-07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28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155B1 (ko) 2008-01-09 2009-11-18 (주)기가레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
KR101139531B1 (ko) 2009-12-22 2012-05-02 김동선 케이블 연결 장치
KR101444163B1 (ko) * 2010-10-18 2014-09-26 팬듀트 코포레이션 개선된 케이블 매니저를 갖는 통신 플러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155B1 (ko) 2008-01-09 2009-11-18 (주)기가레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
KR101139531B1 (ko) 2009-12-22 2012-05-02 김동선 케이블 연결 장치
KR101444163B1 (ko) * 2010-10-18 2014-09-26 팬듀트 코포레이션 개선된 케이블 매니저를 갖는 통신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8042B2 (en) High frequency miniature connectors with canted coil springs and related methods
KR100658884B1 (ko)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US7112078B2 (en) Gimbling electronic connector
US4687279A (en) High frequency coaxial connector adaptor
JP2004342571A (ja) 同軸ケーブルのコネクタ
US4943245A (en)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US6126465A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having dual purpose jack
US7819680B2 (en) Surface mount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ing function
KR101809013B1 (ko) 회전가능한 플러그형 커넥터
US5474470A (en) Compensated interface coaxial connector apparatus
US9589710B2 (en) Multi-sectional insulator for coaxial connector
KR20050058436A (ko) 고주파, 블라인드 메이트, 동축 인터커넥트
US9490052B2 (en) Tubular insulator for coaxial connector
US5957724A (en) Coax plug insulator
JPH0459756B2 (ko)
WO2021073136A1 (zh) 板到板射频同轴连接器
KR200302281Y1 (ko)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
CN111029864B (zh) 一种射频同轴连接器及绝缘支撑
US10454195B2 (en) Electrical connector
CN208723229U (zh) 大功率容差盲插同轴连接器
JP3011671B2 (ja) 同軸コネクタ
US4867703A (en) High temperature molded dielectric bead for coaxial connector
JP2018160393A (ja) 電気コネクタ
KR200205740Y1 (ko) Dc 전압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
EP1191642B1 (en) Coaxial-lik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