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740Y1 - Dc 전압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 - Google Patents

Dc 전압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740Y1
KR200205740Y1 KR2020000017673U KR20000017673U KR200205740Y1 KR 200205740 Y1 KR200205740 Y1 KR 200205740Y1 KR 2020000017673 U KR2020000017673 U KR 2020000017673U KR 20000017673 U KR20000017673 U KR 20000017673U KR 200205740 Y1 KR200205740 Y1 KR 2002057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tor
output
terminating
dummy
inner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국제콘넥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국제콘넥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국제콘넥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7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01R13/66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with capacitive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4Coaxial connector having circuit-interrupting provision effected by mating or having "dead" contact activated after mat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RF 출력용 동축 종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더미 RF 콘넥터 출력단에 결합되는 종단기 내부에 DC 전압 차단용 캐패시터를 종단 저항과 함께 삽입하여 단일 유닛내에 종단회로를 구성함에 의해 종단기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종단기 파손으로 인한 장비내의 시스템 불안정을 막을 수 있는 DC 전압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더미 RF 출력을 종단시키기 위해 종단 저항(40)을 구비하고 있는 동축 종단기에 있어서, 금속체 바디(31)와 금속체 커플링 캡(35)으로 형성된 단일의 하우징(30) 내부에 연결부재(33)를 사용하여 DC 차단용 캐패시터(41)를 상기 종단 저항(40)의 선단부에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DC 전압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Coaxile Terminator Having DC-Voltage Blocking Function}
본 고안은 RF 출력용 동축 종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더미 RF 콘넥터 출력단에 결합되는 종단기 내부에 DC 전압 차단용 캐패시터를 종단 저항과 함께 삽입하여 단일 유닛내에 종단회로를 구성함에 의해 종단기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종단기 파손으로 인한 장비내의 시스템 불안정을 막을 수 있는 DC 전압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이동 통신 및 무선통신 기지국 또는 중계기 시스템에 필요한 GHZ 대역의 중계기나 RF 출력장치에는 예를들어, 기지국의 외부에 설치된 안테나 시스템 등과 연결하기 위한 동축케이블이 접속되는 적어도 1이상의 다수의 RF 출력 콘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다수의 RF 출력 콘넥터 중에는 예비용으로서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더미 RF 출력 콘넥터가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더미 RF 출력 콘넥터에는 이로부터 발산되는 RF 출력을 종단(Termination)시키기 위한 동축 종단기를 결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RF 출력 콘넥터의 출력단에는 RF 신호와 DC 전압이 동시에 공존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RF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종단기를 결합할 때 DC 파워가 걸리는 장비 출력단을 종단시키면 종단기에 쇼트가 발생하여 시스템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고하여 종래의 종단기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단기 역할을 하도록 50Ω의 종단 저항을 포함하는 동축 종단기(7)를 중계기 등의 본체(1)에 부착된 RF 출력 콘넥터(3)에 장착할 때 DC 차단용 캐패시터를 포함한 DC 블록 어댑터(DC Block Ad아파트or)(5)를 통하여 결합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한 DC 블록 어댑터(5)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같이 금속체 바디(11)와 금속체 커플링 캡(17) 내부에 테플론 절연체(14,15)를 통하여 절연된 상태로 메일(Male) 핀 구조로서 표면이 금(Au)으로 도금된 콘택트(Contact)(12)와 피메일(Female) 핀(20) 사이에 DC 차단용 캐패시터(18)가 삽입되어 지지된 구조를 갖고 있다.
도 2a에서 미설명 부재번호 13은 실리콘 가스켓, 16은 잭(Jack), 19는 스프링 링을 각각 가리킨다.
따라서, DC 블록 어댑터(5)는 주로 파워가 걸리는 고주파 장치 등의 특성을 검사장치로 측정할 때 DC를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한편, 상기 종단기(7)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금속체 바디(21)와 금속체 커플링 캡(25) 내부에 테플론 절연체(24)를 통하여 절연된 상태로 메일(Male) 핀 구조로서 표면이 금(Au)으로 도금된 콘택트(Contact)(22)가 지지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22)의 후단부에 종단 저항(29)의 일단이 연결되고, 종단 저항(29)의 일단은 표면이 금(Au)으로 도금된 인서트(26)를 통하여 종단기(7)의 바디(21)에 연결되어 접지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도 2b에서 미설명 부호 23은 실리콘 가스켓, 27은 백너트(Back Nut), 28은 스프링 링을 가리킨다.
그런데 상기 종단기(7)의 종단 저항(29)은 임피던스 정합을 위하여 50Ω에 1.5W의 소용량의 파워정격을 갖고 있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단기(7)만을 사용하여 본체(1)의 RF 출력 콘넥터(3)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만약 출력에 DC 전압이 유기되는 경우 종단기 저항에 쇼트가 발생하여 시스템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히 종단기(7)에 DC 블록 어댑터(5)를 결합하여 더미 RF 출력을 종단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이에 따라 전기적 특성면에서 손실(Loss)이 크게 발생하며, 제품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하고 제조원가 또한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더미 RF 출력 콘넥터 출력단에 결합되는 종단기 내부에 DC 전압 차단용 캐패시터를 종단 저항과 함께 삽입하여 단일 유닛내에 종단회로를 구성함에 의해 종단기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종단기 파손으로 인한 장비내의 시스템 불안정을 막을 수 있는 DC 전압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동축 종단기에 대한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동축 종단기에서 DC 차단 어댑터와 종단기 각각에 대한 일부 절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DC 전압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에 대한 일부 절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종단기의 전기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바디 3 ; 콘넥터
30 ; 하우징 31 ; 바디
32 ; 콘택트 32a ; 메일핀
32b ; 요홈 33 ; 연결부재
33a,33b ; 요홈 34 ; 가스켓
35 ; 절연체 36 ; 커플링캡
36a ; 암나사부 37 ; 인서트
37a ; 요홈 38 ; 백너트
39 ; 스프링 링 40 ; 종단 저항
41 ; 캐패시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더미 RF 출력 콘넥터에 접속되어 더미 RF 출력을 종단시키기 위한 동축 종단기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직경의 내주부를 갖는 금속체 바디의 외주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RF 출력 콘넥터와 내주부가 나사 결합되는 금속체 커플링 캡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바디의 제2직경의 내주부에 지지되며 내주부를 갖는 절연체와, 상기 바디와 절연된 상태로 절연체의 내주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선단부가 메일(Male)핀 구조로 상기 콘넥터에 결합되고 후단부에 요홈이 형성되며 표면이 고전도성 금속으로 도금된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 후단부의 요홈에 일측이 삽입/연결되어 RF 출력에 포함된 DC 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캐패시터와, 상기 캐패시터의 타측이 일측에 요홈이 형성되고 표면이 고전도성 금속으로 도금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 요홈에 일단이 삽입/연결되어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종단 저항과, 상기 종단 저항의 일단이 삽입되는 요홈을 구비하고 표면이 고전도성 금속으로 도금되고 외주부가 바디의 제3직경의 내주부에 연결되어 접지 경로를 형성하는 인서트와, 상기 인서트가 바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인서트의 선단부를 바디에 압착 결합시키도록 선단부가 바디의 제3직경의 내주부에 결합되는 백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는 더미 RF 출력을 종단시키기 위해 종단 저항을 구비하고 있는 동축 종단기에 있어서, 금속체 바디와 금속체 커플링 캡으로 형성된 단일의 하우징 내부에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DC 차단용 캐패시터를 상기 종단 저항의 선단부에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동축 종단기에서는 단일의 종단기 내부에 DC 전압 차단용 캐패시터와 이와 직렬 접속된 종단 저항이 RF 출력과 접지 사이에 삽입되어 종단회로를 구성함에 의해 DC 전압의 차단에 따라 종단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종단기 파손으로 인한 장비내의 시스템 불안정을 막을 수 있게 되었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DC 전압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에 대한 일부 절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종단기의 전기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동축 종단기(100)는 단일의 유닛으로 형성되어 도 1에 도시된 본체(1)의 RF 출력 콘넥터(3)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상기 동축 콘넥터(100)는 금속체 바디(31)와 금속체 커플링 캡(36)이 탄성 스프링 링(39)을 통하여 스냅 결합되어 커플링 캡(36)이 바디(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30)을 형성하며, 바디(31)의 선단부와 커플링 캡(36)의 내부에는 실리콘 가스켓(34)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바디(31)의 내부에는 테플론 절연체(35)를 통하여 바디(31)와 절연된 상태로 선단부가 메일(Male)핀(32a) 구조를 이루고 후단부에 요홈(32b)이 형성되며 표면이 금(Au)으로 도금된 콘택트(Contact)(32)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콘택트(32) 후단부의 요홈(32b)에는 캐패시터(41)의 일측이 삽입/연결되고, 캐패시터(41)의 타측은 양측에 요홈(33a,33b)이 형성되고 표면이 금(Au)으로 도금된 연결부재(33)의 일측 요홈(33a)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33)의 타측 요홈(33b)에는 종단 저항(40)의 일단이 삽입/연결되고, 종단 저항(40)의 일단은 표면이 금(Au)으로 도금된 인서트(37)의 요홈(37a)에 삽입되며, 인서트(37)의 외주부를 통하여 종단기의 바디(31)에 연결되어 접지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 인서트(37)는 후단의 백너트(38) 선단부가 바디(31)의 후단 내주부에 나사 결합됨에 의해 이탈이 방지됨과 동시에 선단부가 바디(31)에 압착 결합되어 접지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종단기(100)의 콘택트(32)는 본체(1)의 RF 출력 콘넥터(3)에 구비된 피메일 콘택트(도시되지 않음)와 압착 결합되어 RF 출력단과 연결됨과 동시에 바디(31)의 선단부에서 연장된 연장부(31a)가 출력 콘넥터(3)의 대응 바디부분과 결합되어 본체(1)로 접지 경로를 연결한다.
이 경우 커플링 캡(36)의 내주부 중간에는 RF 출력 콘넥터(3)의 외주부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36a)가 형성되어 있어, 종단기(100)를 출력 콘넥터(3)에 체결할 때 콘택트(32)와 바디(31)의 연장부(31a)가 출력 콘넥터(3)의 대응부분에 압착 결합됨과 동시에 이탈되는 현상을 막아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동축 종단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더미 RF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DC 차단용 캐패시터(C)(41)와 임피던스 매칭용 50Ω의 종단 저항(R)(40)이 직렬로 접속된 종단회로를 형성한다.
그 결과 RF 출력단에 RF 신호와 DC 전압이 공존하는 경우 RF 신호는 캐패시터(41)와 종단 저항(40) 및 바디(31)를 통하여 종단이 되고, DC 전압은 캐패시터(41)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종래와 동일한 정격의 저항을 사용할지라도 캐패시터(41)가 DC 전압을 차단하므로 RF 출력에 50W의 파워가 걸리는 경우에도 종단 저항이 파손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되고 시스템 불안정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동축 종단기에서는 단일의 종단기 내부에 DC 전압 차단용 캐패시터와 이와 직렬 접속된 종단 저항이 RF 출력과 접지 사이에 삽입하여 종단회로를 구성함에 의해 DC 전압의 차단에 따라 종단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종단기 파손으로 인한 장비내의 시스템 불안정을 막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단일의 유닛 내부에 종단기의 기능과 DC 차단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종래와 같은 별도의 DC 블록 어댑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며, 그 결과 제품의 사이즈가 콤팩트해지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단일의 콘넥터 구조를 이루므로 전기적 특성면에서 종래 구조에 비하여 손실이 줄어들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더미 RF 출력 콘넥터(3)에 접속되어 더미 RF 출력을 종단시키기 위한 동축 종단기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직경의 내주부를 갖는 금속체 바디(31)의 외주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RF 출력 콘넥터와 내주부가 나사 결합되는 금속체 커플링 캡(36)으로 형성된 하우징(30)과,
    상기 바디(31)의 제2직경의 내주부에 지지되며 내주부를 갖는 절연체(35)와,
    상기 바디(31)와 절연된 상태로 절연체(35)의 내주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선단부가 메일(Male)핀(32a) 구조로 상기 콘넥터(3)에 결합되고 후단부에 요홈(32b)이 형성되며 표면이 고전도성 금속으로 도금된 콘택트(32)와,
    상기 콘택트(32) 후단부의 요홈(32b)에 일측이 삽입/연결되어 RF 출력에 포함된 DC 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캐패시터(41)와,
    상기 캐패시터(41)의 타측이 일측에 요홈(33a)이 형성되고 표면이 고전도성 금속으로 도금된 연결부재(33)와,
    상기 연결부재(33)의 타측 요홈(33b)에 일단이 삽입/연결되어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종단 저항(40)과,
    상기 종단 저항(40)의 일단이 삽입되는 요홈(37)을 구비하고 표면이 고전도성 금속으로 도금되고 외주부가 바디(31)의 제3직경의 내주부에 연결되어 접지 경로를 형성하는 인서트(37)와,
    상기 인서트(37)가 바디(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인서트의 선단부를 바디(31)에 압착 결합시키도록 선단부가 바디(31)의 제3직경의 내주부에 결합되는 백너트(3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
  2. 더미 RF 출력 콘넥터(3)에 접속되어 더미 RF 출력을 종단시키기 위해 종단 저항(40)을 구비하고 있는 동축 종단기에 있어서,
    금속체 바디(31)와 금속체 커플링 캡(36)으로 형성된 단일의 하우징(30) 내부에 연결부재(33)를 사용하여 DC 차단용 캐패시터(41)를 상기 종단 저항(40)의 선단부에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
KR2020000017673U 2000-06-21 2000-06-21 Dc 전압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 KR20020574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301A KR100374774B1 (ko) 2000-06-21 2000-06-21 Dc 전압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301A Division KR100374774B1 (ko) 2000-06-21 2000-06-21 Dc 전압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740Y1 true KR200205740Y1 (ko) 2000-12-01

Family

ID=196730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673U KR200205740Y1 (ko) 2000-06-21 2000-06-21 Dc 전압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
KR10-2000-0034301A KR100374774B1 (ko) 2000-06-21 2000-06-21 Dc 전압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301A KR100374774B1 (ko) 2000-06-21 2000-06-21 Dc 전압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574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48248B4 (de) * 2005-10-07 2015-12-03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Abschlussstecker für Antennenanlagen und Steckverbindung mit einem solchen Abschlussstecker
KR100821638B1 (ko) * 2007-03-14 2008-04-16 주식회사 월드멀티넷 종단기 및 상기 종단기를 이용한 가입자회선 종단 시스템
WO2010050760A2 (ko) * 2008-10-31 2010-05-06 (주)에이스테크놀로지 소형화된 구조의 dc 차단 장치
KR101491857B1 (ko) * 2008-10-31 2015-02-10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소형화된 구조의 dc 차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0978A (en) * 1973-09-13 1975-03-11 Omni Spectra Inc Abutting electrical contact means using resilient conductive material
US4202594A (en) * 1978-12-15 1980-05-13 Rca Corporation RF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mounting apparatus for a washer-like capacitor
US4945318A (en) * 1988-03-01 1990-07-31 Labthermics Technologies, Inc. Low frequency isolator for radio frequency hyperthermia probe
KR0151582B1 (ko) * 1995-01-28 1998-12-15 방청정 동축 케이블 시스템의 종단기 및 이의 종단방법
US5751534A (en) * 1996-05-29 1998-05-12 Lucent Technologies Inc. Coaxial cable surge pro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093A (ko) 2002-01-04
KR100374774B1 (ko) 200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1569A (en) Self-terminating coaxial tap connector
US20200350712A1 (en)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306484B1 (en) Coax-to-power adapter
US5959583A (en) Antenna adapter
JP3012116B2 (ja) 同軸コネクタ組立体
US5921793A (en) Self-terminating coaxial connector
CN101420091B (zh) 高频同轴连接器
US6126465A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having dual purpose jack
US4687279A (en) High frequency coaxial connector adaptor
US5219299A (en) Resistor coupled T-type BNC connector
JP4674210B2 (ja) 同軸プラグ・ソケットコネクタ
GB2417618A (en) Coaxial connector
US5137469A (en) Hybrid connector for standard coaxial cable and other wiring systems
US20090284887A1 (en) Protective device
CN100367575C (zh) 连接器
KR200205740Y1 (ko) Dc 전압 차단 기능을 갖는 동축 종단기
US9531140B2 (en) Coaxial protective device
CN201518375U (zh) 高频同轴连接器
US20150064946A1 (en) Radio frequency subscriber drop equipment having high voltage protection circuits and related contact assemblies
US5090915A (en) Self-terminating coaxial tap connector with external termination element
EP1295365B1 (en) Self-terminating electrical connector
KR102140867B1 (ko) Rf케이블 일체형 전력분배기
US5672079A (en) Coaxial connector for manufacturing a coaxial high frequency cable
CN203103594U (zh) 一种具有接触元件的射频同轴电连接器
KR200302281Y1 (ko)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