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101A -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미세 패턴부가 선명한 베젤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배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 Google Patents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미세 패턴부가 선명한 베젤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배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101A
KR20160063101A KR1020140166676A KR20140166676A KR20160063101A KR 20160063101 A KR20160063101 A KR 20160063101A KR 1020140166676 A KR1020140166676 A KR 1020140166676A KR 20140166676 A KR20140166676 A KR 20140166676A KR 20160063101 A KR20160063101 A KR 20160063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inkjet
curable ink
pattern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224B1 (ko
Inventor
최국현
유재현
김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66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22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3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2Rigid substrates, e.g. inorganic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기판에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잉크젯 인쇄하여 베젤이 형성된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b)상기 베젤에 잉크젯 인쇄 직후 또는 잉크젯 인쇄와 동시에 빛 에너지를 조사하여 베젤을 가경화시키는 단계; c)상기 가경화된 베젤이 형성된 기판을 오븐 또는 핫 플레이트 내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및 d)상기 열처리된 베젤에 빛 에너지를 조사하여 추가로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베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미세 패턴부가 선명한 베젤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배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method for manufacturing a bezel having sharp and fine pattern using UV curable ink for inkjet, a bezel pattern using the same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bezel pattern}
본 발명은 잉크젯용 UV 경화 잉크를 이용한 미세 패턴부가 선명한 베젤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대부분의 베젤은 강화유리 위에 인쇄되고 있으며 고온의 열처리를 통해 베젤의 물리적 특성을 확보하였었으나, 최근에는 유연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해 내열 특성이 미흡한 플라스틱 필름이나 다양한 기재에 베젤을 인쇄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어, 종래와는 달리 빛 에너지를 통하여 경화하는 자외선 경화방식의 베젤 형성 방법이 필요하다.
베젤 인쇄 시 4이상의 우수한 광학밀도가 요구되어 높은 중량부의 안료를 포함하게 되므로 잉크의 점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한 점도 상승으로 인해 잉크젯 인쇄 시 잉크 토출 성능이 미흡하게 되므로 용매를 첨가하여 점도를 낮추는 시도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자외선 경화 방식은 잉크 내에 과다한 용매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갑작스러운 용매의 증발로 인하여 경화 수축이 발생하게 되고, 이 경화 수축으로 인하여 베젤 패턴 부 위에 다른 패턴을 형성 시 첫 패턴과 두 번째 패턴의 접착력이 미흡해질 수 있고, 베젤 패턴 부에 전극을 증착할 경우 거친 표면으로 인하여 전극이 단락되거나 전기적 성능의 균일성이 미흡할 수 있다. 또한 잉크젯 인쇄 기술을 이용하여 높은 베젤 형성 시 잉크 넘침 현상이 발생하여 취소, 메뉴 key 등의 미세 패턴부의 선명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베젤 수축으로 인한 표면의 접착력 불량과 전극의 단락을 막기 위해서는 패턴의 최 상단부를 매끄럽게 하는 공정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잉크 넘침 현상을 억제하여 선명한 미세 패턴부를 구현하는 공정방법이 필요하다.
KR 2013-0132322 A KR 1298552 B1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 잉크로 인쇄한 후 경화했을 때 발생하는 경화수축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 잉크 넘침 현상으로 인해 미세패턴부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베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기판에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잉크젯 인쇄하여 베젤이 형성된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b)상기 베젤에 잉크젯 인쇄 직후 또는 잉크젯 인쇄와 동시에 빛 에너지를 조사하여 베젤을 가경화시키는 단계; c)상기 가경화된 베젤이 형성된 기판을 오븐 또는 핫 플레이트 내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및 d)상기 열처리된 베젤에 빛 에너지를 조사하여 추가로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베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베젤 패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전자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경화 잉크로 인쇄한 후 경화했을 때 발생하는 경화수축을 억제하고 잉크 넘침 현상으로 인해 미세패턴부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베젤 성능으로 요구되는 광학밀도 (O.D.) 4 이상, 표면경도 5H 이상, 부착력 5B 등의 성능을 나타내는 베젤을 제조하여 터치 패널 등의 전자 소자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베젤의 제조방법은 a)기판에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잉크젯 인쇄하여 베젤이 형성된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b)상기 베젤에 잉크젯 인쇄 직후 또는 잉크젯 인쇄와 동시에 빛 에너지를 조사하여 베젤을 가경화시키는 단계; c)상기 가경화된 베젤이 형성된 기판을 오븐 또는 핫 플레이트 내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및 d)상기 열처리된 베젤에 빛 에너지를 조사하여 추가로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으로 유리, 필름, 종이,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잉크젯 인쇄법은 비접촉식 패터닝 기술로 수십㎛의 액적(drop)을 원하는 위치에 형성하여 패턴을 제작할 수 있으며, 다른 인쇄기술과는 달리 잉크소모가 적고, 공정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베젤 인쇄 시 4이상의 높은 광학밀도가 요구되므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는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부의 안료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는 15 내지 25 중량부의 안료를 포함한다.
그 결과 잉크의 점도가 상승하여 잉크젯 인쇄 시 잉크 토출 성능이 미흡하게 되므로 점도를 낮추기 위해 butyl carbitol acetate, butyl cellosolve, butyl cellosolve acetate, butyl carbitol 등의 용매가 첨가된다.
잉크젯 인쇄 시 액적과 액적 사이의 가로 또는 세로의 간격은 1 내지 250㎛로 조절된다. 또한, 인쇄 횟수를 조절하여 기판에 형성되는 베젤의 높이가 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잉크젯 인쇄 시 높은 베젤 형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과량의 잉크를 도포할 경우 잉크 넘침 현상이 발생하여 직경이 3.5mm 이하의 카메라 홀(hole), 또는 적외선 센서 홀(hole), 선폭이 1mm 이하인 취소키(key)와 메뉴 키(key)취소, 메뉴 key 등의 미세패턴부의 선명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경화 단계를 도입하여 잉크 토출 직후 또는 동시에 베젤에 약한 자외선 에너지를 조사하여 베젤을 가경화시켜 높은 베젤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라도 잉크 넘침 현상으로 인해 미세 패턴부의 선명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계 b)와 같은 가경화 단계를 도입함으로써 잉크의 액적이 제자리에 정 위치하도록 하며, 패턴을 2~3회 적층할 경우 잉크가 패턴 범위 밖으로 퍼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였다.
상기 가경화 단계는 인쇄 직후 또는 인쇄와 동시에 수행되고, 메탈할라이드 램프, UV LED 램프, 고압 수은 램프 등을 이용하며 바람직하게는 365nm 파장의 메탈할라이드 램프를 이용한다. 가경화 시 빛 에너지의 세기는 5 내지 40mJ/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빛 에너지의 세기가 5mJ/cm2 미만일 경우 가경화가 진행되지 않고 40mJ/cm2 를 초과할 경우 경화가 지나치게 진행되어 열처리 시 레벨링(leveling)을 방해하며 경화수축 현상의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기판에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인쇄 후 경화하면 경화수축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경화수축 현상은 베젤의 표면을 거칠게 할뿐만 아니라 베젤의 성능으로서 요구되는 표면경도 및 부착력을 상당히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베젤의 제조방법은 본 경화 전에 열처리하여 경화수축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열처리 단계는 잉크에 포함되어 있던 용매의 휘발을 촉진하는 단계이다. 열처리 공정을 미 실시하면 자외선 경화 시 잉크 내 용매의 갑작스러운 증발로 인해 경화 수축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 단계는 인쇄된 액적과 액적 사이의 레벨링(leveling)을 유도하는 단계이다.
상기 열처리 단계는 80 ℃ 초과 내지 120℃ 이하로 1 내지 15분간 핫 플레이트(hot plate) 또는 오븐(oven) 내에서 수행된다. 열처리 온도가 80℃ 이하일 경우 레벨링(leveling)이 이루어지지 않고 경화 수축이 발생하여 거친 표면을 구현하게 되며, 120℃를 초과할 경우 잉크의 갑작스러운 증발로 인해 패턴의 무너짐 현상을 초래한다.
상기 단계 d)는 열처리된 베젤에 50 내지 3000 mJ/cm2 의 강한 빛 에너지를 가하여 베젤을 완전히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계 b)를 "가경화" 단계로, 상기 단계 d)를 "본 경화"단계로 부르기로 한다.
본 경화 단계에서 빛 에너지의 세기가 50mJ/cm2 미만이면 경화가 완전하게 진행되지 않아 베젤의 물리적 특성을 확보할 수 없고, 빛 에너지의 세기가 3000mJ/cm2 를 초과하는 경우 기재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탈할라이드 램프, UV LED 램프, 고압 수은 램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된 베젤의 광학밀도는 4 내지 5 이며, 베젤패턴에 의한 차폐특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광학밀도가 5를 초과할 경우에는 UV 경화 감도 저하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 광학밀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투입되는 차광재료의 함량이 증가되어 지나치게 두꺼운 패턴이 형성되어 패턴 상부에 전극, 절연체 등 전자 소자를 증착할 때 단락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된 베젤은 베젤 성능으로 요구되는 표면경도 5H 이상, 부착력 5B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베젤은 시계, 디스플레이 장치 등 각종 장치의 테두리부분에 형성되는 패턴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로 안료 분산액, 부착력 증진제로서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바인더 용액, 다관능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다.
상기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은 부착력 증진제를 잉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7 ~ 2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료 분산액은 카본 블랙(Carbon black) 안료, 분산제 및 제1 반응성 모노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카본 블랙 안료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1종 이상의 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본 블랙 안료는 상기 안료 분산액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 30 중량%로 포함된다. 또한, 잉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 40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분산제로는 고분자형, 비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이의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다가알콜, 에스테르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알코올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설폰산 에스테르, 설폰산염,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카르복실산염, 알킬아미드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또는 알킬아민 등이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첨가하거나 2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함량은 상기 안료 분산액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 6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제1 반응성 모노머는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관능성기가 2 또는 3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는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히드록시피발레이트(neopentylglycol hydroxypivalate),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렌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렌 프로필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반응성 모노머의 함량은 상기 안료 분산액의 총 중량에 대하여 65 ~ 85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안료 분산액은 잉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0 ~ 65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부착력 증진제는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2-HEA), 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acrylate, HPMA),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2-HEMA)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hydroxypropyl methacrylate, HPM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모노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2-HEA)의 모노머일 수 있다.
상기 부착력 증진제는 잉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7 ~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5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바인더 용액은 에폭시계 수지와 제2 반응성 모노머로 구성된다.
상기 에폭시계 수지는 바인더 용액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 10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제2 반응성 모노머로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바인더 용액의 총 중량에 대하여 90 ~ 99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바인더 용액은 잉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 20 중량%로 포함된다.
다관능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관능성기가 3 내지 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관능성기의 예로는 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관능 모노머는 잉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개시제는 잉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은 추가로 중합억제제,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잔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은 잉크젯 프린팅 직후 짧은 시간 내에 퍼짐이 일어나서, 우수한 도막 특성을 나타내며, 경화되어 우수한 접착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을 적용시에는 잉크젯 프린팅과 동시에 경화가 가능하도록 잉크젯 헤드 바로 뒤에 UV-lamp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은 360 nm 내지 410 nm의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경화된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은 일 예로 25℃에서 1cP 내지 50cP, 더욱 바람직하게는 공정 온도에서 2cP 내지 30cP 이하의 점도를 가짐으로써 잉크젯 공정에 적합하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은 기재에 대한 접착력 및 코팅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베젤 패턴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베젤패턴은 시계, 디스플레이 장치 등 각종 장치의 테두리부분에 형성되는 패턴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전자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소자는 액정표시장치,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패널용 패턴은 단순하여 잉크젯 프린팅 공정을 통하여 쉽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및 그 치환 및 변경을 포함하며,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지 않는다.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의 제조>
전체 잉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안료분산액 60 중량%(Carbon black 20 중량%, 분산제 4 중량%, TMPTA 76 중량%), 부착력 증진제로서 2-hydroxyethyl acrylate 10 중량%, 바인더 용액(바인더 용액 총 중량에 대하여 epoxy PD7610 5 중량%, TPGDA 65 중량%, DPGDA 30 중량%) 12.5중량%, 다관능 모노머로서 DPHA 10 중량%, 광개시제로서 Irgacure 819 3 중량%, Irgacure 907 3 중량%, 및 ITX 1 중량%, 및 중합억제제(중합억제제 총 중량에 대하여 MEHQ(monomethylether hydroquinone) 10 중량% 및 Butyl Carbitol 90 중량%) 0.5 중량%를 혼합하였으며, 상기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여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조성물을 세정된 LCD 글라스 기판에 경화 후에 두께가 5㎛가 되도록 잉크젯 프린팅으로 인쇄하였다. 이어 기판에 40mJ/㎠ 자외선을 조사한 후(가경화), 기판을 오븐에 넣고 100℃로 2분 간 열처리 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베젤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조사기는 395nm 파장의 UV-LED 램프를 사용하였으며, 조도는 UVV 기준 500mW/㎝, 1회 이송 당 80mJ/cm2의 광량으로 경화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하여 노광하였다. UV 램프의 조도 측정은 EIT 사의 power puck-2를 이용하여 UV-LED 램프에서 10mm 위치의 값을 측정하였다. 매 조사 후 베젤 패턴의 경화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라텍스 장갑을 착용한 후, 눌러보아 압흔 및 tack감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2>
잉크젯 프린팅 후 자외선 경화 전 열처리 조건을 100℃, 3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베젤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잉크젯 프린팅 후 가경화, 및 본 경화 전 열처리를 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베젤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잉크젯 프린팅 후 가경화를 수행하지 않고, 본 경화 전 열처리 조건을 80℃, 3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베젤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잉크젯 프린팅 후 가경화, 및 본 경화 전 열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본 경화를 수행한 후 100℃에서 2분 열처리를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베젤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잉크젯 프린팅 후 가경화를 수행하지 않고, 본 경화 전 열처리 조건을 100℃, 2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베젤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잉크젯 프린팅 후 가경화를 수행하지 않고, 본 경화 전 열처리 조건을 120℃, 1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베젤을 제조하였다.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베젤 패턴에 대해 미세패턴 선명도 평가, 경화수축유무, 레벨링에 관한 외관 평가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가경화 실시 실시 미실시 미실시 미실시 미실시 미실시
열처리 100℃/2분 100℃/3분 미실시 80℃/3분 100℃/2분(본 경화후) 100℃/2분 120℃/1분
미세패턴 × × ×
경화수축 × × ×
레벨링 × × ×
×: 불량, △: 보통, ○: 양호, ◎: 우수
실시예 1 내지 2의 베젤은 미세 패턴의 선명도가 우수하고 경화수축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레벨링이 우수하게 이루어져 매끄러운 표면을 구현하였다. 비교예 1의 베젤은 잉크 액적이 떨어진 직후 본 경화가 이루어져 면을 이루지 못하여 빈 공간이 발생하였고, 경화수축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레벨링이 이루어지지 않아 거친 표면이 구현되었다. 비교예 2의 베젤은 미세 패턴의 선명도는 보통이었으나, 경화수축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레벨링이 이루어지지 않아 거침 표면이 구현되었다. 비교예 3의 베젤은 잉크 액적이 떨어진 직후 본 경화가 이루어져 면을 이루지 못하여 빈 공간이 발생하였으며, 본 경화 후 열처리를 실시하였지만 잉크가 퍼지지 않아 레벨링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경화수축 현상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4의 베젤은 충분한 열처리로 경화수축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레벨링이 진행되어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을 구현하였으나, 가경화를 실시하지 않아 미세 패턴의 선명도가 보통이어서 높은 베젤 패턴 구현시 미세패턴부가 불량하게 나타났다. 비교예 5의 베젤은 경화수축 현상은 제거되었고 레벨링은 이루어졌으나 가경화를 실시하지 않아 잉크 넘침 현상이 나타나 패턴부가 무너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Claims (13)

  1. a)기판에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잉크젯 인쇄하여 베젤이 형성된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b)상기 베젤에 잉크젯 인쇄 직후 또는 잉크젯 인쇄와 동시에 빛 에너지를 조사하여 베젤을 가경화시키는 단계;
    c)상기 가경화된 베젤이 형성된 기판을 오븐 또는 핫 플레이트 내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및
    d)상기 열처리된 베젤에 빛 에너지를 조사하여 추가로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베젤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는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부의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베젤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베젤의 높이는 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베젤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빛 에너지의 세기는 5 내지 40mJ/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베젤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열처리는 80 ℃ 초과 내지 120℃ 이하로 1 내지 15분간 핫 플레이트(hot plate) 또는 오븐(oven) 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베젤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빛 에너지의 세기는 50 내지 3,000 mJ/c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베젤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경화된 베젤은 광학밀도가 4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베젤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경화된 베젤은 표면경도가 5H 이상이고, 부착력이 5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베젤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는 안료 분산액, 부착력 증진제로서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바인더 용액, 다관능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베젤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은 360 nm 내지 410 nm의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경화되는 것을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베젤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의 점도는 25℃에서 1cp 내지 50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베젤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베젤 패턴.
  13. 청구항 12의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전자 소자.
KR1020140166676A 2014-11-26 2014-11-26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미세 패턴부가 선명한 베젤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배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KR101730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676A KR101730224B1 (ko) 2014-11-26 2014-11-26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미세 패턴부가 선명한 베젤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배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676A KR101730224B1 (ko) 2014-11-26 2014-11-26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미세 패턴부가 선명한 베젤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배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101A true KR20160063101A (ko) 2016-06-03
KR101730224B1 KR101730224B1 (ko) 2017-04-25

Family

ID=56192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676A KR101730224B1 (ko) 2014-11-26 2014-11-26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미세 패턴부가 선명한 베젤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배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1043A1 (ko) * 2016-12-16 2018-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베젤 패턴 형성용 광중합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판의 베젤 패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베젤 패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552B1 (ko) 2012-02-23 2013-08-23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터치스크린 패널의 터치 비활성영역을 가리게 되는 베젤인쇄면을 비산방지필름이나 필름에 형성함에 있어 베젤인쇄면에 패턴과 유색 광택을 부여한 필름의 제조방법.
KR20130132322A (ko)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9703B2 (ja) 2009-11-26 2014-07-02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印刷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552B1 (ko) 2012-02-23 2013-08-23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터치스크린 패널의 터치 비활성영역을 가리게 되는 베젤인쇄면을 비산방지필름이나 필름에 형성함에 있어 베젤인쇄면에 패턴과 유색 광택을 부여한 필름의 제조방법.
KR20130132322A (ko)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1043A1 (ko) * 2016-12-16 2018-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베젤 패턴 형성용 광중합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판의 베젤 패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베젤 패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224B1 (ko) 201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166B1 (ko)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 이를 이용한 베젤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배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US10723900B2 (en) UV curable ink for inkjet, method for manufacturing a bezel using the same, a bezel pattern using the same method and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bezel pattern
KR102125597B1 (ko) 베젤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방법
KR101662183B1 (ko) 투광성 경질 기판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투광성 경질 기판 접합 장치
KR101813845B1 (ko) 잉크젯용 경화성 조성물 및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KR101848125B1 (ko)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이에 따라 형성된 베젤 패턴 및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JP6729698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ティングを利用したベゼルパターンの形成方法
KR20140020196A (ko) 인쇄물 및 인쇄물의 제조방법
CN105904863A (zh) 一种导光板印刷工艺
KR101730224B1 (ko)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미세 패턴부가 선명한 베젤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배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KR102142750B1 (ko) 기판의 접착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디스플레이용 기판
KR20100008475A (ko) 박형 도광판의 제조 방법
KR20090069147A (ko) 플라즈마 전처리를 이용한 마이크로 렌즈 잉크젯 방식의 도광판 패터닝
KR101874158B1 (ko)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이에 따라 형성된 베젤 패턴 및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KR101613761B1 (ko) 코팅방법, 무용제 코팅액 조성물, 잉크젯 헤드를 이용한 코팅장치 및 이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제층
KR101618558B1 (ko) 포토마스크 보호층의 형성방법
KR101025796B1 (ko) 패턴도광판과 개량된 제조방법
JP2010260177A (ja) 光硬化性転写層を有する被印刷基材、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画像の形成方法
JP2016035070A (ja) 紫外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組成物および記録物の製造方法
KR102586154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디지타이저 상에 형성되는 점접착제 조성물 ocr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KR20220092046A (ko) 잉크젯을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0987194B1 (ko) 패턴도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8243A (ko) 패턴 인쇄방법
KR101478405B1 (ko) 광 경화형 컬러 필터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컬러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20853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