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824A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진공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진공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824A
KR20160061824A KR1020140164746A KR20140164746A KR20160061824A KR 20160061824 A KR20160061824 A KR 20160061824A KR 1020140164746 A KR1020140164746 A KR 1020140164746A KR 20140164746 A KR20140164746 A KR 20140164746A KR 20160061824 A KR20160061824 A KR 20160061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refrigerant
pressure
unit
vacuum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003B1 (ko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00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10Pressure
    • F24F2140/12Heat-exchange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on-off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적설 감지장치가 그릴과 케이스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며, 그릴에 쌓인 눈의 양을 비 접촉 방식으로 감지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있는 적설의 감지와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진공 제어 방법 { air conditoiner and vaccum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oi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진공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 또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 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는 작용에 의해 시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크게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나뉘어지며, 일체형은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가 하나의 케이스에 구성되고,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켜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는 제조완료 후 출하시 또는 설치 후 냉매의 교환시에 냉동사이클 내부의 공기와 습기를 제거하여 진공 상태로 만들기기 위해 진공 작업이 실시된다.
일반적으로 진공 작업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9-0081635호에서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측으로 노출된 냉매 흡입관과 냉매 토출관에 매니폴더를 연결하고 상기 매니폴더의 다른 일측에 진공펌프를 연결한 후 상기 진공펌프를 구동시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회로의 내부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진공 작업의 수행시 작업자는 피시비의 딥스위치를 조작하여 냉매 유로상의 밸브의 개방을 조작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직접 진공 작업을 위한 모드로 설정을 하여야 하며, 이러한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의 구동시켜 진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진공 작업시 작업자가 항상 상기 피시비의 딥스위치를 조작하여야만 하므로 상기 딥스위치 조작을 위해 실외기의 위치까지 가서 작업을 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진공 작업 수행시 작업자가 다수의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 중에 일부의 밸브의 개방 조작을 잊는 경우 회로 내부에 잔류된 공기에 의해 성능이 저하되거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밸브의 개방 여부에 따라 진공 작업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경우 잔존된 냉매로 인한 배관 용접 작업시 화재는 안전 사고의 발생이 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진공 펌프의 구동시 실외기 내부의 저압센서의 압력 감지에 의해 진공 모드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밸브가 자동개방되어 별도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진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진공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간의 공기와 열교환되는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팬을 포함하는 실내기;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팬을 포함하는 실외기;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의 구성을 연결하여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 회로를 구성하는 냉매 배관; 상기 실외기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매 배관이 접속되며, 진공 작업을 위한 진공 펌프 유닛이 연결되는 서비스 밸브; 상기 냉매 회로상에 제공되어 상기 회로 상의 냉매 유동 경로를 제한하는 다수의 밸브; 및 상기 실외기에 구비되며, 상기 진공 펌프 유닛의 구동을 판단하여 상기 다수의 밸브를 모두 개방하는 진공 모드로 운전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과 연결되는 상기 냉매 배관 상에 제공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다수의 밸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설정 시간 경과 후 감지된 상기 압력 센서의 압력 변화가 설정값 이하일 때 상기 진공 모드의 운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 모드의 운전 중인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 모드에서 압축기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진공 제어 방법은, 전원이 켜진 실외기의 냉매 배관에 진공 펌프 유닛을 연결하고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냉매 배관에 구비된 압력 센서가 설정시간 동안의 압력 변화를 측정한 후 설정값 이상의 변화인지를 확인하여 진공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진공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에 의해 냉매 회로 상의 밸브를 모두 개방시키는 진공 모드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 진공 모드 운전의 완료 후 상기 진공 펌프 유닛을 냉매 배관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 모드 운전이 실시될 때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출력장치로 진공 모드 운전 상태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설정시간 경과 후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높을 경우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이거나, 진공 모드 운전 후 설정시간이 경과된 경우 진공 모드 운전이 완료되며, 상기 진공 펌프를 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펌프의 연결후 별도의 설정이나 조작 없이 상기 진공펌프를 구동시키게 되면 실외기 내부의 저압센서가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진공 작업 수행을 판단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진공 모드로 진입하여 진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진공 작업의 수행을 위한 회로 내의 별도 밸브 조작이 필요없게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진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공 작업시 설정의 실수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밸브 조작을 한 상태가 아니므로 별도의 설정 작업 없이 진공 작업을 마친 후 또 다른 밸브 조작 없이 냉매를 봉입한 후 제품의 운전을 바로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설치 및 서비스 작업이 한층 더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매 흐름을 보인 사이클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진공 작업을 위한 구성의 신호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4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진공 제어 방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매 흐름을 보인 사이클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진공 작업을 위한 구성의 신호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는 전체적으로 공기조화를 위한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10)와, 실외 공간에 설치되는 실외기(20)로 구성되며,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30)에 의해 냉매가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내기는 공기조화기(1)의 구조와 형태에 따라 다수개가 하나의 실외기(20)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실내기(10)와 실외기(20)가 일대일 대응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1)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내기(10)에는 냉매와 실내의 공기가 열교환되는 실내 열교환기(110)와,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110)를 강제로 통과하도록 하여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실내 팬(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110)와 연결되는 냉매 배관(30) 중 상기 실내 열교환기(110)의 입구 및 출구에는 각각 온도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110)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배관(30)에는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실내 팽창밸브(13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실외기(20)에는 기체 상태의 냉매가 고온 고압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하는 압축기(2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부하에 따라 용량이 가변될 수 있는 가변 용량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210)의 출구와 연결되는 냉매 배관에는 압축기(210)로부터 토출된 냉매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분리기(2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 분리기(230)를 지나는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110) 또는 실외 열교환기(220) 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동 전환부(240)가 제공된다.
상기 유동 전환부(240)는 각각 상기 실내 열교환기(110)와 실외 열교환기(220), 압축기(210), 어큐뮬레이터(250)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210)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에 따라 상기 실내 열교환기(110)와 실외 열교환기(220)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로를 절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220)는 실외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으로, 실외 열교환기(220)의 일측에는 실외 팬(221)에 의해 실외 공기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220)를 강제로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220)와 실외 팬(221) 각각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병렬 연결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실외 공기와 열교환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220)와 연결되는 냉매 배관(30)에는 난방 운전시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실외 팽창밸브(30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220)는 냉매 배관(30)에 의해 상기 실외기(20)를 지나 실내 열교환기(110)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20)의 일측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10)와 연결되며, 유입되는 액체 상태의 냉매와 기체 상태의 냉매를 분리하여 액체 상태의 냉매가 저장되고 기체 상태의 냉매가 상기 압축기(2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어큐뮬레이터(250)가 구비된다.
이들 구성은 모두 냉매 배관(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압축기(210)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는 상기 냉매 배관(30)을 따라서 냉매 회로를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운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유동 전환부(240)에 의해 냉매의 유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외기(20)의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냉매 배관(30)에는 실외 팽창밸브(301) 외에 과냉각기(290)측의 밸브(302) 어큐뮬레이터(250)의 입구와 출구에 구비되는 밸브(303,304) 그리고 상기 압축기(210)의 입구에 구비되는 밸브(305)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밸브(V)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의 종류와 위치는 실외기의 구성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밸브(V)는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는 모든 밸브이다. 상기 밸브(V)들은 상기 공기조화기(1)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개폐가 결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 배관(30) 중 상기 압축기(210)의 흡입측 및 토출측의 상기 냉매 배관(30)에는 압력 센서(2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260)는 상기 압축기로 흡입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통해서 냉동사이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력 센서(260) 중 어느 하나는 진공 운전의 실시를 판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와 연결된 압력 센서(260)는 최초 압력(P1)을 측정한 후에, 상기 제어부(300)와 연결된 타이머(310)에서 적산된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다시 압력(P2)을 측정하여, 압력의 변화값(ΔP)을 산출하게 되고 이 변화값을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설정된 압력 변화값(ΔP)보다 더 크게 될 경우 진공 운전이 실시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진공 운전임을 판단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밸브(V)들을 모두 개방하여 상기 냉매 회로 내부의 냉매 및 공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진공 모드가 원할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압력 센서(260)는 그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냉매 배관(30) 임의의 지점에 진공 운전의 판단을 위해 별도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외기의 온도가 특정 상황에서 급격하게 변화하여 상기 압력 센서(260)에 의해 측정된 압력 변화값이 일시적으로 커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외기(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27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 센서(270) 중 어느 하나는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력 센서(260)는 타이머(310)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된 후에 압력을 측정하되, 상기 압력 센서(260)의 압력 측정시 상기 온도 센서(270)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출력장치(320)에서는 에러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실외기(20)에는 출력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320)는 상기 실외기(2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실외기(20)의 컨트롤박스상에 구비되는 피시비에 배치되는 7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치(320)는 상기 제어부(300)와 연결되며, 진공 작업이 수행될 때 상기 실외기(20)가 진공 모드로 운전되고 있음을 상기 7세그먼트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에서 에러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이를 7세그먼트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7세그먼트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통해서 진공 작업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출력장치(320)는 7세그먼트가 아닌 스피커로 구성되어 진공 작업시 또는 에러 신호 발생시 이를 나타내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출력장치(320)는 상기 실외기(20) 외부로 노출되는 별도의 출력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실외기(20)의 외측에는 서비스 밸브(28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밸브(280)에는 상기 실외기(20)와 실내기(10)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30)이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30)은 한쌍으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실내기(10)에서 상기 실외기(20)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로와 상기 실외기(20)에서 상기 실내기(10)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실외기(20)의 외측에는 충전 밸브(28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전 밸브(281)는 상기 회로의 내부로 냉매를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운전 상태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어큐뮬레이터(250)측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1) 내의 냉매 회수 또는 공기의 흡입을 위해서는 진공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서 진공 펌프 유닛(40)이 상기 서비스 밸브(280)를 통해 상기 냉매 회로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진공 펌프 유닛(40)을 구성하는 매니폴더(410)는 냉매 배관(30)과 연결된 한쌍의 상기 서비스 밸브(280) 각각에 연결되어 냉매와 공기를 빨아들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공 펌프 유닛(40)은 상기 공기조화기(1) 내의 냉매 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 펌프(420)와 상기 서비스 밸브(280)에 연결되는 매니폴더(41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매니폴더(410)와 일체 또는 연결된 상기 진공 펌프(420)는 상기 서비스 밸브(280)를 통해서 상기 공기조화기(1)의 냉매 배관(30)과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매니폴더(410)에는 상기 흡입되는 공기 또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게이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밸브(280)와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는 매니폴더 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매니폴더(410)를 통해서 상기 진공 펌프(420)는 냉매 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냉매 배관(30)과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진공 펌프(420)의 구동시 냉매 회로 내부의 압력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매니폴더(410)에는 흡입되는 냉매를 별도의 용기에 보관할 수 있도록 용기와 연결되는 포트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진공 제어 방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선 진공 작업을 위해서 작업자는 상기 실외기(20)의 서비스 밸브(280)에 진공 펌프 유닛(40)을 연결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한쌍의 서비스 밸브(280)에 상기 매니폴더(410)가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매니폴더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진공 펌프(420)의 구동시 상기 냉매 회로 내부의 냉매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실외기(20)는 상기 진공 펌프(420)의 구동 전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로,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상기 실외기(20)의 각 구성의 동작이 준비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압축기(210)는 진공 작업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동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진공 펌프(420)의 전원을 켜고 진공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S100]
상기 진공 펌프(420)가 켜지고 난 후 상기 압력 센서(260)는 상기 냉매 배관(3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압력 센서(260)는 주기적으로 상기 냉매 배관(3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게 되며, 이를 통해 압력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력 센서(260)에 의한 초기 압력(P1)의 측정과 동시에 상기 타이머(310)는 시간을 적산하게 되며, 상기 타이머(310)에 의해 적산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게 되면 상기 압력 센서(260)는 다시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정 시간은 외부 온도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상기 압력 센서(260)의 압력 측정값이 영향받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일정 간격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 센서(260)는 대략 3분 간격으로 측정된 압력을 비교하게 되며, 최초 측정된 압력(P1)과 대략 3분 이후에 측정된 압력(P2)을 비교하여 압력 변화값(ΔP)을 산출하게 된다.
즉, 상기 진공 펌프(420)의 구동에 따라서 상기 냉매 배관(30) 내부의 압력은 점차 낮아지게 될 것이며, 상기 압력 변화값(ΔP)이 설정값 보다 더 크게 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일반적인 운전 상황이 아닌 진공 작업이 실시되고 있는 상황임을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력 변화값(ΔP)과 비교되는 설정값의 기준은 일반적인 운전 상태가 아닌 진공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설정시간 내에 변화될 수 있는 압력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컨데, 상기 압력 센서(260)에 의해 최초 측정된 압력보다 설정시간 이후 측정된 압력이 300Kpa 이상 낮아지게 되면, 상기 제어부(300)에서는 현재 진공 작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판단하게 된다. [S200]
상기 제어부(300)에서 진공 작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판단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진공 모드 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300)에서는 진공 작업이 진행 중임을 판단하게 되면, 상기 진공 펌프(420)측으로 냉매 및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냉매 배관(30)에 구비되는 상기 밸브(V)들을 모두 개방하게 된다. 이때, 개방되는 상기 밸브(V)들은 팽창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등 상기 제어부(300)의 지시에 개방될 수 있는 모든 밸브(V)를 포함하게 된다.
진공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밸브(V)들은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진공 모드 운전이 종료된 상태에서도 상기 제어부(300)는 별도의 해제 지시 없이 상기 밸브들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진공작업 후 실시될 수 있는 냉매 주입 작업 등을 별도의 조작 없이 진행할 수 있게 된다. [S300]
물론, 상기 진공 작업의 완료 후 정상적인 운전의 복귀 또는 또 다른 모드의 운전이 실시되는 경우, 상기 밸브들은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적절한 상태로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진공 모드 운전은 상기 냉매 회로 내부의 냉매 외 공기가 배출되어 상기 냉매 배관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진공 작업의 완료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진공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출력장치에 의해 진공 작업의 완료를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진공 펌프를 정지시키고 상기 진공 펌프 유닛을 상기 서비스 밸브와 분리하여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S400]
한편, 상기 진공 모드 운전이 수행되고 있는 도중에 기 설정되어 있는 진동 모드 운전 시간이 경과 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에러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300)에는 정상적인 진공 작업 수행시 진공 작업이 완료될 수 있는 시간이 설정되어 있으나, 정상적인 작업이 수행되지 못하게 되면 이 시간이 경과 되더라도 상기 냉매 회로 내부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과도하게 상기 진공 펌프(420)가 구동되어 냉매 회로를 구성하는 구성들의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구성의 보호를 위해 에러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진공 작업을 종료하고 시스템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S500]

Claims (8)

  1. 실내 공간의 공기와 열교환되는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팬을 포함하는 실내기;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팬을 포함하는 실외기;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의 구성을 연결하여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 회로를 구성하는 냉매 배관;
    상기 실외기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매 배관이 접속되며, 진공 작업을 위한 진공 펌프 유닛이 연결되는 서비스 밸브;
    상기 냉매 회로상에 제공되어 상기 회로 상의 냉매 유동 경로를 제한하는 다수의 밸브; 및
    상기 실외기에 구비되며, 상기 진공 펌프 유닛의 구동을 판단하여 상기 다수의 밸브를 모두 개방하는 진공 모드로 운전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과 연결되는 상기 냉매 배관 상에 제공되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다수의 밸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설정 시간 경과 후 감지된 상기 압력 센서의 압력 변화가 설정값 이하일 때 상기 진공 모드의 운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 모드의 운전 중인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 모드에서 압축기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전원이 켜진 실외기의 냉매 배관에 진공 펌프 유닛을 연결하고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냉매 배관에 구비된 압력 센서가 설정시간 동안의 압력 변화를 측정한 후 설정값 이상의 변화인지를 확인하여 진공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진공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에 의해 냉매 회로 상의 밸브를 모두 개방시키는 진공 모드 운전을 실시하는 단계;
    진공 모드 운전의 완료 후 상기 진공 펌프 유닛을 냉매 배관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진공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 모드 운전이 실시될 때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출력장치로 진공 모드 운전 상태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진공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시간 경과 후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높을 경우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진공 제어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이거나, 진공 모드 운전 후 설정시간이 경과된 경우 진공 모드 운전이 완료되며,
    상기 진공 펌프를 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진공 제어 방법.
KR1020140164746A 2014-11-24 2014-11-24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진공 제어 방법 KR102321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746A KR102321003B1 (ko) 2014-11-24 2014-11-24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진공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746A KR102321003B1 (ko) 2014-11-24 2014-11-24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진공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824A true KR20160061824A (ko) 2016-06-01
KR102321003B1 KR102321003B1 (ko) 2021-11-04

Family

ID=5613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746A KR102321003B1 (ko) 2014-11-24 2014-11-24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진공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0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5249A (ja) * 2004-01-07 2005-07-2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
KR20060117712A (ko) * 2005-05-13 2006-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진공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5249A (ja) * 2004-01-07 2005-07-2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
KR20060117712A (ko) * 2005-05-13 2006-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진공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003B1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735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if refrigerant charge is sufficient and charging refrigerant
KR10191794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331712A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US20100174412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detecting malfunction thereof
KR20100056204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냉매 누설 진단방법
WO2018086383A1 (zh) 空调的多联机机组和空调
US9587865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525170B1 (en) Controlling method for an air conditioner.
JP6444577B1 (ja) 空気調和機
EP3324137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82038B1 (ko)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625737B1 (ko) 엔진 구동식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3096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321003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진공 제어 방법
KR10159878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2010007940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49854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0631547B1 (ko) 열구동형 공기조화기
KR101911271B1 (ko)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247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6634590B2 (ja) 空気調和装置
KR10220723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3882120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その故障診断方法
KR20110003770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고장 판단 방법
KR20050075104A (ko) 전류 감지기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