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973A - 가스 확산형 탄성바닥재 - Google Patents

가스 확산형 탄성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973A
KR20160060973A KR1020140163262A KR20140163262A KR20160060973A KR 20160060973 A KR20160060973 A KR 20160060973A KR 1020140163262 A KR1020140163262 A KR 1020140163262A KR 20140163262 A KR20140163262 A KR 20140163262A KR 20160060973 A KR20160060973 A KR 20160060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air groove
air
vent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수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3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0973A/ko
Publication of KR2016006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 바닥재의 바닥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열된 에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에어홈 주위를 감싸고 있는 탄성 구조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통기공에 의해 어느 일 에어홈에서 다른 에어홈으로 가스가 확산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확산형 탄성바닥재{Gas diffusion-type elastic flooring}
본 발명은 탄성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지반의 습기나 가스로 인해 생성되는 에어버블이 발생된 일부 구역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 확산형 탄성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탄성 바닥재는 육상 트랙, 다목적 구장, 자전거 도로, 조경로 등 스포츠 레저용의 탄성이 요구되는 곳에 설치되는 특화된 바닥재이다.
이러한 탄성 바닥재는 일반적으로 천연 또는 합성 고무를 주원료로 하여 압출, 가황, 성형하거나 또는 합성고무나 합성수지를 혼합 압출, 성형하여 롤 시트 형태로 제조된다.
제조된 탄성 바닥재는 탄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장소, 즉 운동장, 도로, 산책로 등에 시공되는 데, 통상 해당 장소의 지반 상부에 아스콘 또는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고, 일정 기간 양생한 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탄성 바닥재를 접착시켜 결착시킨 후, 라인 도색, 표면 코팅 등과 같은 후처리를 거쳐 최종적으로 완성된다. 하지만, 포설 당시 지반에 존재하거나 지반 하부로 유입된 수분은 외부 고온 환경에 의해 가열되어 수증기 형태로서 일정 부분의 지반과 탄성 바닥재 사이를 이격시키고, 압축 공기 형태로 탄성력이 있는 탄성 바닥재를 들뜨게 하여 에어버블을 형성하게 한다. 환경적 영향, 지속적인 사용 등으로 인해 수분의 가열이 심화되게 되며, 그로 인해 압축 공기의 힘은 에어버블을 더 확장시키게 된다(도 1 참조).
이와 같은 에어버블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양생 기간을 늘리거나, 지반 표면의 방수 프라이머 처리 등이 실시되고 있다. 한국 특허 제10-1313733호에서는 탄성 바닥재의 하부 지지 탄성층의 하부 돌출부로부터 탄성 바닥재 상부 탄성층 표면까지 관통로를 형성시켜 하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관통로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방안도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양생 기간을 늘린다 하더라도 지반 깊은 곳의 수분까지 제거하는 것은 어려우며, 또 배수로가 없는 인접 부위에서의 수분 유입을 막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공기 단축 요구에 따라 불가피하게 시행되는 방수 프라이머 처리는 거의 효과가 없어서, 에어버블 형성 방지는 시공업자들에게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남아 있다. 상술한 특허 제10-1313733호에서와 같이 탄성 바닥재에 관통로를 형성시키는 방법은 에어버블 형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미세한 관통로는 탄성 바닥재를 구성하는 재질의 특성상 관통로가 폐쇄될 우려가 높으며, 이로 인해 가스 확산 효과가 저감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팽창까지 고려하여 관통로를 설계하게 되면, 그 직경으로 인해 시공시 또는 이후에 비나 세정에 의한 수분이 과하게 침투되어 시공시의 접착제의 미경화 문제나 접착 강도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어 역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관통로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형성시키기에는 공정상 시간적으로도 비용적으로도 제작의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특허문헌 001] 한국등록특허 제10-1313733호
이에 본 발명은 지반과 탄성 바닥재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버블이 일부 지역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새로운 형태의 탄성 바닥재를 제공하려고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성 바닥재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열되어 에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홈 주위를 감싸고 있는 탄성 구조체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공에 의해 어느 일 에어홈에서 다른 에어홈으로 가스가 확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확산형 탄성 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바닥재는 단층 또는 다층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바닥재는 상부 시트 및 상부 시트에 접착되어 일체화된 하부 시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에어홈이 하부 시트의 바닥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공이 에어홈을 통과하여 직선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공이 에어홈을 통과하여 탄성 구조체의 어느 일 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공이 에어홈을 통과하여 탄성 구조체의 양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공이 에어홈을 둘러싸는 탄성 구조체의 모서리 위치에 X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공은 탄성 구조체의 깊이 방향으로 요입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공은 탄성 구조체를 관통하여 일 에어홈과 인접한 다른 에어홈을 연결시키는 터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공은 바닥면에 대해서 수직 또는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확산형 탄성 바닥재는 지반에서 발생된 수증기나 가스가 지반과 수평으로 형성된 통기공 라인을 따라 확산되어, 일정 지역에만 에어버블 이 집중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확산형 탄성 바닥재는 시공 후 습기에 의한 에어버블 집중 현상이 효과적으로 해소될 수 있으므로, 지반 내의 습기에 크게 구애 받지 않아도 되어, 지반의 수분율에 관계없이 시공할 수 있어서 시공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버블 발생시 보수로 인한 외관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교체 시기를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탄성 바닥재에서 에어버블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기공이 형성된 이층 구조의 탄성 바닥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는 통기공이 형성되지 않은 기존의 이층 구조의 탄성 바닥재의 측면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 및 (C)는 도 2의 통기공이 형성된 탄성 바닥재의 측면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기공이 탄성 구조체의 한 방향으로만 형성된 탄성 바닥재의 바닥면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기공이 탄성 구조체의 양 방향으로 형성된 탄성 바닥재의 바닥면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기공이 탄성 구조체의 모서리 위치에 X자 형태로 형성된 바닥재의 바닥면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에어버블"은 지반과 탄성 바닥재 사이에 압축 공기가 모여서 탄성 바닥재가 지반에서 들떠서 생긴 공간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지반에서 발생한 습기나 가스가 주위 환경의 가열로 인해 압축 공기 형태로 모여서 마치 버블이 형성된 것처럼 탄성 바닥재를 들뜨게 만든다.
탄성 바닥재는 충격 흡수율과 미끄럼 방지 성능이 높고 열전도율이 낮아서, 안전 사고 예방, 편안한 보행감, 겨울철이나 여름철 도로 상태 개선 효과와 함께, 시공이 간편하며 편리하고,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으로 아름다운 외관을 연출할 수 있어, 점점 사용되는 장소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배경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지반의 습기나 가스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버블은 탄성 바닥재의 외관, 기능성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만족도를 떨어뜨리게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장 경제적으로 일부 지역에 집중적인 에어버블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탄성 바닥재를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바닥재의 바닥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열된 에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홈 주위를 감싸고 있는 탄성 구조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공에 의해 어느 일 에어홈에서 다른 에어홈으로 가스가 확산될 수 있는 가스 확산형 탄성 바닥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바닥재는 지반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나 가스가 통기공을 통해서 어느 일 에어홈에서 다른 에어홈으로 전달되고, 또 다른 에어홈으로 전달되게 되어, 탄성 바닥재 전체로 가스가 확산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일부 에어홈에 에어버블이 집중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 바닥재는 목적에 따라 단층 또는 다층으로 구성되어도 되며, 기존의 탄성 바닥재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기공이 형성된 이층 구조의 탄성 바닥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는 통기공이 형성되지 않은 기존의 이층 구조의 탄성 바닥재의 측면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 및 (C)는 도 2의 통기공이 형성된 탄성 바닥재의 측면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바닥재는 상부 시트(21) 및 상기 상부 시트에 접착되어 일체화된 하부 시트(22)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 시트의 바닥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열된 복수 개의 에어홈(23)이 형성되어 있고, 에어홈(23) 주위를 감싸고 있는 탄성 구조체(24)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35)이 형성되어 있으며, 통기공(35)을 통해서 어느 일 에어홈에서 다른 에어홈으로 가스가 확산될 수 있다.
에어홈(23)은 지반의 습기나 가스에 의한 에어버블 발생시 일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성 바닥재의 최하층 바닥면에, 예를 들면, 하부 시트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형성되는 조건에 따라 형성되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정사각형 형태의 에어홈이 형성된 경우를 도면에서 나타내었으나, 에어홈의 형태는 직사각형이나, 육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원형이어도 된다.
에어홈 주위를 감싸고 있는 탄성 구조체에 형성되는 통기공(24)은 에어홈들을 연결시키는 통로 형태이면 되며, 지면에 대해 열려 있거나 막혀 있어도 무관하며, 이를 통해 가스가 어느 일 에어홈에서 다른 에어홈으로 확산될 수 있으면 된다. 구체적인 예로, 도 3의 (B)에 나타낸 것처럼 통기공은 탄성 구조체의 깊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요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통기공 모양은 구체적으로, I자형, V자형, L자형, U자형 또는 J자형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통기공은 도 3의 (C)에 나타낸 것처럼, 탄성 구조체를 관통하여 일 에어홈과 인접한 다른 에어홈을 연결시키는 터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터널이 되는 통기공 모양은 O자형, 네모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가 될 수 있다. 통기공의 형상은 바닥면 또는 하부 시트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통기공의 깊이는 탄성 구조체의 깊이보다 낮은 것이 탄성 바닥재의 물성 확보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통기공이 탄성 구조체상에 형성될 때, 형성 패턴은 일정한 패턴을 가지거나 또는 가지지 않아도 되나, 공정 경제성 및 제조 편리성을 위해서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공은 에어홈을 통과하여 직선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직선 패턴은 단순하여, 성형이 용이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4,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기공이 형성된 탄성 바닥재의 바닥면 또는 하부 시트의 바닥면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각 통기공들을 연결하면, 서로 직선으로 연결되며, 연결된 직선은 가로줄 또는 세로줄 무늬 패턴, 가로줄과 세로줄이 직교되어 있는 체크 무늬 패턴, 사선이 서로 교차되어 있는 사선 체크 무늬 패턴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통기공(35)은 에어홈(23)을 통과하여 탄성 구조체(24)의 어느 일 방향으로만 형성되어도 된다. 이때 통기공은 탄성 구조체 도형의 모서리가 아닌 탄성 구조체를 구성하는 변의 길이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통기공(35)은 에어홈(23)을 통과하여 탄성 구조체(24)의 양 방향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일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에 비해, 가스 확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시공 장소의 특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통기공(35)은 에어홈(23)을 감싸는 탄성 구조체(24)의 모서리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모서리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는 통기공이 X자 형상을 지니게 된다.
본 발명의 가스 확산형 탄성 바닥재는 기존의 탄성 바닥재와 동일한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재질 및 제조 방법을 제조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탄성 바닥재의 바닥면 또는 하부 시트를 제조할 때, 이를 제조하는 금형에 일정 패턴의 통기공 라인을 형성시켜 두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확산형 탄성 바닥재의 제조가 기존 금형에 일정 패턴의 라인 또는 홈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으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바닥재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압출용 조성물로 제조되는 압출 발포 시트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가황에 의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가교한 엘라스토머로서, 상업적 입수 용이성, 시트 형태로의 성형성, 접착 특성, 및 충격 흡수 특성을 고려할 때, SBS 블록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olefin block copolymer), 또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lyolefin elastomer)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텐과 α-올레핀의 블록 공중합체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에텐-옥텐 블록 공중합체, 구체적으로 에텐과 1-옥텐의 블록 공중합체이다. 또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에텐과 α-올레핀의 균일 분지형 공중합체로서, α-올레핀의 예로는 1-부텐, 1-헥센, 4-메틸-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로 이루어진 탄성 바닥재 제조를 위해, 상부 시트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당 미가황 EPDM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10~100 중량부, 폴리올레핀 20~100 중량부, 미네랄 오일 50~200 중량부, 탄산칼슘 100~400 중량부 및 발포제 2~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압출용 조성물로, 하부 시트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당 가황 고무 분말 80~200 중량부, 미가황 EPDM 고무 10~60 중량부, 폴리올레핀 10~100 중량부, 미네랄 오일 50~200 중량부, 탄산칼슘 100~400 중량부 및 발포제 5~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압출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압출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SBS 블록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또는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olefin block copolymer)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 압출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SBS 블록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인 것이 물성 개선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육상 트랙과 같은 스파이크 저항성이 더 요구되는 탄성 바닥재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열가소성 올레핀(ThermoPlastic-Olefin, TPO), 열가소성 스티렌(ThemoPlastic-Styrene, TPS), 열가소성 우레탄(ThermoPlastic-Urethan, TPU),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hermoPlastic-PolyEster-Elastomer, TPEE), 열가소성 폴리아미드(ThermoPlastic-PolyAmide, TPA) 중 하나 또는 그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파이크 저항성을 위해서, 상부 시트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만 구성하고, 하부 시트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당 폴리올레핀 10~100 중량부, 가황 고무 분말 20~200 중량부, 미네랄 오일 20~200 중량부, 탄산칼슘 100~350 중량부 및 발포제 5~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압출용 조성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조성 성분에서, 미가황 EPDM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는 일반적으로 에틸렌 및 프로필렌에 DCPD(dicyclopentadiene), ENB(ethylidene norbornene), VNB(vinyl norbornene) 등과 같은 제3성분을 가하여 3원 혼성중합시킨 이중결합을 많이 함유하는 터폴리머(3성분 고분자물질) 엘라스토머로서 탄성 바닥재에 탄성을 부여한다. 미가황 EPDM 고무는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가황한 것은 물리적 성질이 천연고무와 SBR의 중간성질을 보인다.
폴리올레핀은 탄성 바닥재에 주로 내후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고, 상부 압출용 조성물 및 하부 압출용 조성물을 시트 형태로 성형시 성형성을 부여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거나 공지된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상업적 입수 용이성 및 시트 형태로의 성형성을 고려할 때 폴레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것이 더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가황 고무 분말은 탄성 바닥재에 고탄성 및 우수한 형태 안정성을 부여하는 성분으로서, 탄성 바닥재의 물성 및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을 고려할 때 가황 EPDM 고무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고, 경제성 및 자원 재활용이라는 환경적 측면 등을 고려할 때 폐 가황 EPDM 고무 분말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 오일은 합성 고무에 유연성을 부여해서 가소성을 크게 하여 성형, 가공작업을 쉽게 하기 위한 연화제(softener) 또는 프로세싱 오일(processing oil)로 작용하며, 통상적으로 석유, 석탄, 타르, 셀유 등의 광물성 원료에서 얻어지는 기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바닥재의 시트의 조성 성분으로서 미네랄 오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거나 공지된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 취급 용이성 등을 고려할 때 유동 파라핀(liquid paraffin)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칼슘은 탄성 바닥재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보강제로 작용하며,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 가공성, 및 성형성 등을 고려할 때 입도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바닥재의 시트의 조성 성분으로서 탄산칼슘은 경제성을 고려할 때, 대리석, 석회석, 방해석, 조개껍질을 정제한 형태로 제공되는 상업적 제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제는 상부 압출용 조성물 및 하부 압출용 조성물을 시트 형태로 압출 시 발포시켜 폼(Foam) 형태로 시트를 성형시키고 그로 인해 시트에 탄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거나 공지된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 상업적 입수 용이성, 발포성 등을 고려할 때 아조디카본아미드(Azodicarbonamid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또는 이들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아조디카본아미드(Azodicarbonamide)가 더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바닥재의 상부 압출용 조성물은 안료, 자외선 안정제 또는 산화 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압출용 조성물은 산화 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21: 상부 시트, 22: 하부 시트, 23: 에어홈, 24: 탄성 구조체, 35: 통기공

Claims (10)

  1. 탄성 바닥재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열되어 에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홈 주위를 감싸고 있는 탄성 구조체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공에 의해 어느 일 에어홈에서 다른 에어홈으로 가스가 확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확산형 탄성 바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바닥재는 단층 또는 다층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확산형 탄성 바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바닥재는 상부 시트 및 상기 상부 시트에 접착되어 일체화된 하부 시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에어홈이 상기 하부 시트의 바닥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확산형 탄성 바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이 상기 에어홈을 통과하여 직선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확산형 탄성 바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이 상기 에어홈을 통과하여 탄성 구조체의 어느 일 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확산형 탄성 바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이 상기 에어홈을 통과하여 탄성 구조체의 양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확산형 탄성 바닥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이 상기 에어홈을 둘러싸는 탄성 구조체의 모서리 위치에 X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확산형 탄성 바닥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은 상기 탄성 구조체의 깊이 방향으로 요입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확산형 탄성 바닥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은 탄성 구조체를 관통하여 일 에어홈과 인접한 다른 에어홈을 연결시키는 터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확산형 탄성 바닥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은 바닥면에 대해서 수직 또는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확산형 탄성 바닥재.
KR1020140163262A 2014-11-21 2014-11-21 가스 확산형 탄성바닥재 KR20160060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262A KR20160060973A (ko) 2014-11-21 2014-11-21 가스 확산형 탄성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262A KR20160060973A (ko) 2014-11-21 2014-11-21 가스 확산형 탄성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973A true KR20160060973A (ko) 2016-05-31

Family

ID=5609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262A KR20160060973A (ko) 2014-11-21 2014-11-21 가스 확산형 탄성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09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7234A (zh) * 2017-04-25 2017-10-10 黄信岳 一种防起泡橡胶跑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7234A (zh) * 2017-04-25 2017-10-10 黄信岳 一种防起泡橡胶跑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124B1 (ko)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투수 및 탄성 바닥포장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바닥포장 데크
CN104476864A (zh) 浸渍布
KR101723817B1 (ko) 인조잔디 충진용 및 그라운드 포장용 탄성칩
US6602586B2 (en) Elastic block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834523B1 (ko) 체육시설용 탄성매트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0784455B1 (ko) 다양한 용도의 바닥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63885B1 (ko)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ES2587011T3 (es) Uso de un material de revestimiento para la unión directa a un elemento de hormigón
KR20160060973A (ko) 가스 확산형 탄성바닥재
KR101959828B1 (ko) 스포츠시설용 조립식 바닥재
KR200426472Y1 (ko) 체육시설용 탄성매트
KR101252703B1 (ko) 발포매트 및 그 제조방법
RU2019125972A (ru) Поверхность для верховой езды и способ конструирования поверхности для верховой езды
KR101024977B1 (ko) 탄성포장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이에 따라 형성된 탄성포장 구조체
US20170319943A1 (en) Artificial turf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1932141B1 (ko) 시트형 탄성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2388375A1 (en) Drainage system providing damping properties
ES2573640T3 (es) Calce para traviesa
KR200421536Y1 (ko) 어린이 놀이터용 폐 고무 바닥재 매트
KR20200117237A (ko) 어린이 놀이시설용 현장 포설형 탄성포장재
JP2016078449A (ja) ポリウレアを用いた立体構造物の製造方法及び緩衝材、浮上式防災車庫
KR20160062982A (ko) 3d 스페이서 섬유구조체가 포함된 탄성바닥재
CN203742095U (zh) 倒置式压花屋面结构
KR101265687B1 (ko) 다공성 탄성매트의 제조방법
KR101334443B1 (ko) 인조잔디용 배수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