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898A - 물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기기 - Google Patents

물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898A
KR20160060898A KR1020140162973A KR20140162973A KR20160060898A KR 20160060898 A KR20160060898 A KR 20160060898A KR 1020140162973 A KR1020140162973 A KR 1020140162973A KR 20140162973 A KR20140162973 A KR 20140162973A KR 20160060898 A KR20160060898 A KR 20160060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der
water
storage tank
main body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9691B1 (ko
Inventor
이종환
최인두
이정환
주우진
신현수
권태성
문형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2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691B1/ko
Priority to US15/528,302 priority patent/US10507954B2/en
Priority to CN201580063018.9A priority patent/CN107074426B/zh
Priority to PCT/KR2015/012108 priority patent/WO2016080697A1/ko
Priority to EP15860889.3A priority patent/EP3222556B1/en
Publication of KR20160060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B65D77/067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combined with a valve, a tap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물저장탱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는 물이 유출입되는 제1유출입구와 제2유출입구가 구비되는 탱크본체; 및 상기 제1유출입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유출입구를 통해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물이 유출 또는 유입되면서 상기 제1유출입구를 통해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블래더; 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본체는 상기 제1유출입구와 제2유출입구가 구비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상기 상부본체에 연결되는 하부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기기{WATER STORAGE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저장탱크의 탱크본체가 상부본체와 상부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덮는 하부본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와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물저장탱크는 물이 저장되는 것으로, 정수기 등의 수처리기기에서 처리된 물을 저장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저장탱크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물공급원과 저장공간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저장공간에 저장되도록 하는 유입구와 콕크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에 연결되어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물저장탱크에서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은 높이 차에 따른 압력에 의해서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구가 물저장탱크의 하부에 구비되거나, 배출구가 물저장탱크의 하부에 연결되도록 물저장탱크에 구비되거나, 또는 배출구가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야만 한다는 제약이 있었다.
또한, 물배출부재가 물저장탱크보다 높은 곳에는 위치하지 못한다는 제약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고자, 물저장탱크의 탱크본체 내부에 물공급원과 물배출부재에 연결되는 별도의 블래더가 구비되도록 하여, 물공급원의 물이 블래더에 저장되고 블래더에 저장된 물이 물배출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블래더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탱크본체 내부와 블래더 사이의 공간에 블래더에 연결된 물공급원의 물 또는 다른 물공급원의 물을 공급하였다. 또한, 블래더에 물이 저장될 때에는 탱크본체 내부와 블래더 사이의 공간의 물은 배출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블래더에 물이 유입 및 배출되면서 블래더의 용적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블래더의 내구성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물저장탱크의 탱크본체가 상부본체와, 상부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덮는 하부본체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탱크본체의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융착할 때 발생하는 융착버어에 의해서, 탱크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블래더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탱크본체의 하부본체에 버어방지턱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저장탱크를 수처리기기의 하우징에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물저장탱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물저장탱크는 물이 유출입되는 제1유출입구와 제2유출입구가 구비되는 탱크본체; 및 제1유출입구에 연결되도록 탱크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제2유출입구를 통해 탱크본체 내부에 물이 유출 또는 유입되면서 제1유출입구를 통해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블래더; 를 포함하며, 탱크본체는 제1유출입구와 제2유출입구가 구비되는 상부본체와, 상부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상부본체에 연결되는 하부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부에는 융착홈이 형성되며, 하부본체의 상단부에는 융착홈에 삽입되는 융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부에는 융착시 발생하는 융착버어가 탱크본체 내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버어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어방지턱은 융착돌기의 내측에 형성되며, 버어방지턱과 융착돌기 사이에는 상부본체의 하단부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어방지턱은 융착돌기보다 높게 위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부와 마주보는 버어방지턱의 면은 계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단면은 위로 갈수록 상부본체의 하단부와의 사이의 공간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본체에는 제1연결용구멍이 소정 각도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처리기기는 전술한 물저장탱크; 및 물저장탱크가 결합되는 하우징;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물저장탱크의 탱크본체에 포함되는 하부본체에는 제1연결용구멍이 소정 각도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제1연결용구멍에 대응되는 호형상의 제2연결용구멍이 소정 각도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용구멍의 개수는 제1연결용구멍의 개수의 절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용구멍의 중심각은 제1연결용구멍이 서로 이루는 각도의 1배 내지 1.5배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저장탱크의 탱크본체가 상부본체와, 상부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덮는 하부본체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탱크본체의 하부본체에 버어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탱크본체의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융착할 때 발생하는 융착버어에 의해서, 탱크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블래더가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저장탱크를 수처리기기의 하우징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에서 탱크본체만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탱크본체의 저면도와 탱크본체가 조립되는 수처리기기의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도3에서 블래더만의 단면도이다.
도7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작동을 나타내는 일부절개도이다.
도11 내지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블래더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4와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가 사용되는 수처리기기의 수배관도와 그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물저장탱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1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4는 도3에서 탱크본체만의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탱크본체의 저면도와 탱크본체가 조립되는 수처리기기의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6은 도3에서 블래더만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7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작동을 나타내는 일부절개도이고, 도11 내지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블래더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100)는 탱크본체(200)와, 블래더(300)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본체
탱크본체(200)에는 제1유출입구(211)와 제2유출입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유출입구(211)와 제2유출입구(212)를 통해서 도7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유출입될 수 있다.
제1유출입구(211)는 블래더(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유출입구(211)를 통해 블래더(300)에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거나, 블래더(300)에 저장된 물이 제1유출입구(211)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제2유출입구(212)를 통해 탱크본체(200)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거나, 탱크본체(200) 내부의 물이 제2유출입구(212)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 내부의 물이 제2유출입구(212)를 통해 유출되면서, 제1유출입구(211)를 통해 블래더(300)에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출입구(212)를 통해 탱크본체(200) 내부에 물이 유입되면서, 블래더(300)에 저장된 물이 제1유출입구(211)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탱크본체(2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일 수 있다. 그러나, 탱크본체(2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는 상부본체(210)와 하부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본체(210)에는 전술한 제1유출입구(211)와 제2유출입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유출입구(211)와 제2유출입구(212)는 상부본체(2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유출입구(211)나 제2유출입구(212)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부본체(210)의 어떠한 곳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 제1유출입구(211)나 제2유출입구(212)는 하부본체(22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본체(210)의 하단부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본체(210)의 융착홈(213)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본체(220)의 후술할 융착돌기(221)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회전융착 등에 의해서 상부본체(210)의 융착홈(213)이 하부본체(220)의 융착돌기(221)에 융착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본체(220)는 상부본체(210)의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상부본체(210)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본체(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융착 등의 융착에 의해서 상부본체(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하부본체(220)의 상단부에는 상부본체(210)의 융착홈(213)에 삽입되는 융착돌기(2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본체(220)의 상단부에는 버어방지턱(2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어방지턱(222)에 의해서 융착시 발생하는 융착버어(BR)가 탱크본체(200) 내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부본체(210)의 융착홈(213)과 하부본체(220)의 융착돌기(221)가 융착되는 부분에서 융착버어(BR)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발생된 융착버어(BR)가 버어방지턱(222)을 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끝이 날카로운 융착버어(BR)에 의해서 블래더(300)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버어방지턱(222)은 도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돌기(221)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버어방지턱(222)과 융착돌기(221) 사이에는 상부본체(210)의 하단부 일부, 즉 융착홈(213)을 형성하는 부분 중 내측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어방지턱(222)은 상부본체(210)의 하단부 내측을 감쌀 수 있다.
또한, 버어방지턱(220)은 융착돌기(221)보다 높게 위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본체(210)의 하단부와 마주보는 버어방지턱(222)의 면은 계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계단면은 위로 갈수록 상부본체(210)의 하단부와의 사이의 공간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융착버어(BR)가 발생하여 성장한다고 하더라도 버어방지턱(222)의 계단면과 상부본체(210)의 하단부와의 사이의 공간에서 둥글게 말릴 수 있다. 그러므로, 융착버어(BR)가 버어방지턱(222)을 넘어서 탱크본체(200)의 내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하부본체(220)에는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용구멍(223)이 소정 각도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용구멍(223)은 36°의 간격으로 10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하부본체(220)에 형성되는 제1연결구멍(223)의 개수나 이들이 서로 이루는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나 각도라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100)가 정수기 등의 수처리기기(10)에 사용된다면, 수처리기기(10)의 하우징(20)에는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용구멍(223)에 대응되는 호형상의 제2연결용구멍(21)이 소정 각도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볼트 등이 하우징(20)의 제2연결용구멍(21)을 통과하여 하부본체(220)의 제1연결용구멍(223)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100)가 수처리기기(10)의 하우징(20)에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연결용구멍(21)의 개수는 제1연결용구멍(221)의 개수의 절반일 수 있다. 그리고, 호형상의 제2연결용구멍(21)의 중심각은 제1연결용구멍(223)이 서로 이루는 각도의 1배 내지 1.5배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100)가 제2연결용구멍(21)이 형성된 수처리기기(10)의 하우징(20)의 부분에 위치하였을 때, 호형상의 제2연결용구멍(21)은 적어도 하나의 제1연결용구멍(223)과 연통될 수 있다.
그러므로, 물저장탱크(100)의 제1연결용구멍(223)과 수처리기기(10)의 하우징(20)의 제2연결용구멍(21)이 서로 연통되도록 물저장탱크(100)의 위치를 조정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100)의 일실시예를 수처리기기(10)의 하우징(2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호형상의 제2연결용구멍(21)의 중심각이 제1연결용구멍(223)이 서로 이루는 각도의 1배 미만이면, 제2연결용구멍(21)의 적어도 하나가 제1연결용구멍(223)과 연통될 수 없다.
또한, 호형상의 제2연결용구멍(21)의 중심각이 제1연결용구멍(223)이 서로 이루는 각도의 1.5배를 초과하면, 2개의 제2연결용구멍(21)이 제1연결용구멍(223)과 연통되거나 제2연결용구멍(21)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연결용구멍(21)이 적어도 하나의 제1연결용구멍(223)과 연통될 수 있는 호형상의 제2연결용구멍(21)의 중심각은 제1연결용구멍(223)이 서로 이루는 각도의 1배 내지 1.5배가 바람직하다.
블래더
블래더(300)는 탱크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블래더(300)는 탱크본체(200)의 제1유출입구(2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블래더(300)는 전술하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제2유출입구(212)를 통해 탱크본체(200) 내부의 물이 유출되면서 제1유출입구(211)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하고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제2유출입구(212)를 통해 탱크본체(200)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서 제1유출입구(211)를 통해 블래더(300)에 저장된 물이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블래더(300)는 물이 가득차더라도 안정적이며 제1유출입구(211)로 역압이 작용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블래더(300)는 탱크본체(200)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100)의 일실시예에서 탱크본체(200)의 내부 형상은 대략 원통형일 수 있다. 따라서, 블래더(300)의 형상도 이에 대응하여 대략 원통형일 수 있다.
그러나, 블래더(3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탱크본체(200)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블래더(300)에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가득차면, 블래더(300)의 면 중 탱크본체(200)의 제2유출입구(212) 측의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탱크본체(200)의 내부에 팽창되지 않고도 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블래더(300)의 외경(D2)은 탱크본체(200)의 내경(D1)보다 크거나 탱크본체(200)의 내경(D1)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래더(300)에 물이 가득차면 블래더(300)의 면 중 탱크본체(200)의 제2유출입구(212) 측의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탱크본체(200)의 내부에 팽창되지 않고도 밀착될 수 있다.
블래더(300)의 외경(D2)은 탱크본체(200)의 내경(D1)보다 0mm 내지 1.2mm 클 수 있다.
블래더(300)의 외경(D2)이 탱크본체(200)의 내경(D1)보다 작으면, 블래더(300)에 물이 가득차면 블래더(300)가 팽창되어 파손될 수 있다.
그리고, 블래더(300)의 외경(D2)이 탱크본체(200)의 내경(D1)보다 1.2mm를 초과하여 크면, 블래더(300)의 탱크본체(200) 내부로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블래더(300)에 물이 차는 것이 탱크본체(200)에 의해서 방해받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블래더(300)에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가득차더라도, 블래더(300) 내의 압력은 탱크본체(200)의 제1유출입구(211)를 통해 블래더(300)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압력 이상 상승될 수 없다.
그러므로, 블래더(300)가 내부 압력에 의해서 파손되지 않을 수 있어서 안정적이고, 블래더(300)에 연결된 탱크본체(200)의 제1유출입구(211)로 역압이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블래더(300)의 제2유출입구(212)측의 면은 탱크본체(200)의 내부와 소정 간격(G)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래더(300)에 물이 가득찬 상태에서도 탱크본체(200)의 제2유출입구(212)를 통해 탱크본체(200) 내부로 물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블래더(300)에 저장된 물이 탱크본체(200)의 제1유출입구(211)를 통해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다.
블래더(300)의 제2유출입구(212)측의 면과 탱크본체(200)의 내부의 간격(G)은 0.5mm 내지 1.5mm일 수 있다.
블래더(300)의 제2유출입구(212)측의 면과 탱크본체(200)의 내부 사이의 간격(G)이 0.5mm 미만이면, 블래더(300)에 물이 가득찬 상태에서 제2유출입구(212)를 통해 탱크본체(200) 내부에 물을 유입시킬 때, 유입되는 물이 블래더(300)를 수축시킬 만큼 충분한 압력을 제공할 수 없어서, 블래더(300)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블래더(300)의 제2유출입구(212)측의 면과 탱크본체(200)의 내부 사이의 간격(G)이 1.5mm를 초과하면, 블래더(300)에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가득찼을 때 블래더(300)가 간격(G)을 통해 팽창하여 블래더(300) 내부 압력이 탱크본체(200)의 제1유출입구(211)를 통해 블래더(300)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압력 이상 상승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래더(300)에 물이 가득찼을 때, 탱크본체(200)의 제2유출입구(212)를 통해 탱크본체(200) 내부에 물이 용이하게 유입되면서도 블래더(300)가 팽창하지 않을 수 있는, 블래더(300)의 제2유출입구(212)측의 면과 탱크본체(200)의 내부 사이의 간격(G)은 0.5mm 내지 1.5mm 사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100)에서 제2유출입구(212)는 탱크본체(200)의 상부본체(210)의 상면에 구비된다. 그러므로, 블래더(300)의 제2유출입구(221)측의 면은 블래더(300)의 상면이 될 수 있다.1
그러나, 블래더(300)의 제2유출입구(221)측의 면은 블래더(300)의 상면에 한정되지 않고, 제2유출입구(221)의 구비위치에 따라 블래더(300)의 측면이나 하면 등 어떠한 면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제2유출입구(212) 주위의 탱크본체(200) 내부의 부분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돌기(21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블래더(300)와 제2유출입구(212) 주위의 탱크본체(200) 내부 부분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블래더(300)에 물이 가득찼다고 하더라도, 제2유출입구(212)를 통해 탱크본체(200) 내부로 물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블래더(300)의 내부에는 도3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부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부재(400)가 블래더(300)의 내부에 구비되면, 블래더(300)를 탱크본체(200)의 내부에 용이하게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블래더(300)를 잡으면 폴부재(400)를 함께 잡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블래더(300)를 잡을 수 있다.
따라서, 탱크본체(200)의 하부본체(220)가 상부본체(21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블래더(300)를 상부본체(21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부본체(210)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블래더(300)가 상부본체(21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본체(210)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외에,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래더(300)에 저장된 물이 탱크본체(200)의 제1유출입구(211)를 통해 유출되면, 블래더(300) 내부가 진공이 되어 블래더(300) 내부 부피가 감소되면서 블래더(300)가 접힐 수 있다.
이때, 블래더(300)는 폴부재(400)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래더(300)가 비교적 일정한 패턴으로 접힐 수 있으며, 블래더(300)가 접힐 때 블래더(300)에 발생하는 주름도 비교적 일정한 패턴으로 생길 수 있다. 예컨대, 블래더(300)의 측면에 세로방향의 주름이 평행하게 생길 수 있다.
또한, 블래더(300) 하면의 두께가 두꺼워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래더(300)의 물이 어느 정도 출수되면 블래더(300)의 하면(300a)은 그 형태를 유지하면서 블래더(300)에 일정한 패턴의 주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블래더(300) 내부의 부피 감소시 블래더(300)에 서로 교차하는 주름이 발생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특히, 블래더(300)의 측면에는 서로 교차하는 주름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주름이 교차하는 블래더(300)의 부분은 블래더(300)의 다른 부분보다 내구성이 약해진다. 그리고, 블래더(300)로의 물의 유출입에 따른 블래더(300)의 반복적인 펴짐과 접힘시, 블래더(300)에 생긴 주름의 교차부분이 먼저 파손되어 블래더(300)가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블래더(300)에 폴부재(40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블래더(300)에 서로 교차하는 주름의 발생이 최소화되며 블래더(300)의 측면에는 서로 교차하는 주름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블래더(300)가 반복적으로 펴지고 접힌다고 하더라도, 블래더(300)가 용이하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블래더(3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2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래더(300)에는 탱크본체(200)의 제1유출입구(211)에 연결되는 연결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부재(400)의 일단부가 블래더(300)의 연결부(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폴부재(400)의 일단부는 연결부(310)에 형성된 연결구멍(311)에 삽입되고, 연결부(310)의 외주가 조임부재(420)에 의해서 조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부재(400)의 일단부가 연결부(310)에 연결되면서도, 폴부재(400)의 일단부와 연결구멍(311) 사이가 연결부(310)에 의해서 밀봉될 수 있다.
조임부재(42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폴부재(400)의 일단부가 연결부(310)의 연결구멍(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310)의 외주를 조일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블래더(300)의 연결부(310)는 블래더(300)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폴부재(400)는 연결부(310)로부터 블래더(300)의 중앙부 아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가 블래더(300)와 함께 폴부재(40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폴부재(400)는 피팅부재(430)에 의해서 탱크본체(200)의 제1유출입구(211)에 밀봉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피팅부재(430)와 폴부재(400)의 일단부 사이에는 오링 등의 밀봉부재(4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부재(400)와 함께 블래더(300)를 탱크본체(200)의 제1유출입구(211)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피팅부재(43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폴부재(400)가 탱크본체(200)의 제1유출입구(211)에 밀봉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2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부재(400)에는 탱크본체(200)의 제1유출입구(211)와 블래더(300)의 내부에 연통되는 연통구멍(4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은 제1유출입구(211)와 폴부재(400)의 연통구멍(410)을 통해 블래더(30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블래더(300)에 저장된 물은 폴부재(400)의 연통구멍(410)과 제1유출입구(211)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블래더(300)는 하면의 두께(T1)가 상면의 두께(T2)와 측면의 두께(T3)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탱크본체(200)의 제1유출입구(211)를 통해 블래더(300)에 저장된 물이 유출될 때, 블래더(300)의 하면 자체는 접히지 않아서 주름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래더(300)의 하면(300a) 전체가 블래더(300)의 측면이 접혀지는 것에 의해서 블래더(300)의 측면에 포개어질 수만 있다.
그러므로, 블래더(300)에 일정한 형태의 주름이 반복 형성되도록 하여 다른 형태로 접히면서 교차하는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주름에 의해서 블래더(3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탱크본체(200)의 제1유출입구(211)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블래더(300)에 저장될 때, 블래더(300)의 하면이 먼저 블래더(300)의 측면으로부터 펴질 수 있다. 그리고, 이후에는 블래더(300)의 하면을 기준으로 블래더(300)가 대략 원통형으로 펴질 수 있다.
따라서, 블래더(300)가 비교적 일정한 패턴으로 접히고 펴져 주름의 발생이 감소되기 때문에, 주름에 의해서 블래더(3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블래더(300)의 상면의 두께(T2)는 블래더(300)의 측면의 두께(T3)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탱크본체(200)의 제1유출입구(211)를 통해 블래더(300)에 저장된 물이 유출될 때,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래더(300)의 측면부터 접혀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블래더(300)가 불규칙하게 접혀지지 않고 비교적 일정한 패턴으로 접힐 수 있다. 즉, 서로 교차하는 주름이 블래더(300)에 발생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블래더(300)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주름에 의해서 블래더(3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블래더(300)가 반복적으로 펴지고 접힌다고 하더라도 블래더(300)가 용이하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블래더(3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블래더(300)는 원통형일 수 있다. 그러나 블래더(3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며, 탱크본체(200) 내부로부터의 물의 유출에 의해서 물이 유입되거나 탱크본체(200) 내부로의 물의 유입에 의해서 물이 유출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블래더(300)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ly Olefin Elastom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폴리 에틸렌(Poly Ethylene) 등과 비교하여 탄성과 피로파괴도가 우수하다. 이에 따라, 블래더(300)가 물의 유출입에 의해서 접히고 펴지는 것이 반복된다고 하더라도, 이에 의한 블래더(300)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블래더(3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블래더(300)를 이루는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블래더(3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블래더(300)는 블로우 몰딩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블래더(300)의 하면의 두께(T1)가 제일 두껍고 측면의 두께(T3)가 제일 얇으며 상면의 두께(T2)가 하면의 두께(T1)와 측면의 두께(T3) 사이가 되도록 블래더(300)를 제조할 수 있다.
블래더 제조방법
이와 같이, 블로우 몰딩에 의해서 블래더(300)를 제조하는 방법은 도11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장착단계(S100), 소재고정단계(S200) 및, 블래더 성형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재장착단계(S100)에서는 블래더 소재(BM)를 금형(M)에 장착할 수 있다. 예컨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리된 금형(M) 사이에 블래더 소재(BM)를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블래더 소재(BM)는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블래더 성형단계(S300)에서 블래더 소재(BM)의 개방된 측을 통해 블래더 소재(BM)에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다.
그러나, 블래더 소재(BM)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블래더 성형단계(S300)에서 블래더 소재(BM)에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블래더 소재(BM)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블래더 소재(BM)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블래더 소재(BM)에 의해서 만들어진 블래더(3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
소재고정단계(S200)에서는 블래더 소재(BM)가 금형(M)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금형(M)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블래더 소재(BM)가 금형(M)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블래더 소재(BM)는 블로우 성형단계(S300)에서 공기가 불어 넣어지는 측의 반대측이 금형(M)에 고정될 수 있다.
블래더 성형단계(S300)에서는 블래더 소재(BM)에 공기를 불어 넣어 블래더(300)를 성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블래더 성형단계(S300)에서는 블래더 소재(BM)에 뜨거운 공기를 불어 넣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래더 소재(BM)는 용융되면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M)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융융된 블래더 소재(BM)는 공기에 의해서 금형(M) 표면에 밀착됨으로써 블래더(300)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용융된 블래더 소재(BM)는 공기가 불어 넣어지는 측의 반대측으로 비교적 많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성형되는 블래더(300)의 하면의 두께(T1)가 상면의 두께(T2)와 측면의 두께(T3)보다 더 두꺼워질 수 있다. 또한, 블래더 소재(BM)의 다른 면보다 블래더 소재(BM)의 측면이 공기가 많이 작용될 수 있으므로, 블래더(300)의 상면의 두께(T2)가 측면의 두께(T3)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수처리기기 - 물저장탱크의 사용예
이하, 도14와 도1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100)가 정수기 등의 수러리장치(10)에 사용되는 것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14와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가 사용되는 수처리기기의 수배관도와 그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100)의 일실시예의 제1유출입구(211)는 도14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라인(LPW)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물저장탱크(100)의 제2유출입구(212)는 유출입라인(LEI)에 연결될 수 있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배출부재(50)가 닫힌 경우에, 원수라인(LRW)을 유동한 원수는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제1정수필터(31), 제2정수필터(32) 및, 제3정수필터(33)를 거치면서 여과되어 정수가 될 수 있다.
이때, 제1정수필터(31)와 제2정수필터(32)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C)에는 제1감압밸브(73)가 구비되어 원수의 압력이 소정의 요구되는 압력으로 감압되도록 할 수 있다.
제3정수필터(33)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는 정수라인(LPW)을 유동하여 물저장탱크(100)의 제1유출입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100)의 블래더(300)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3정수필터(30)에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는 생활용수밸브(75)가 구비된 드레인라인(LD)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배출라인(LCE), 배출라인(LE), 유출입라인(LEI), 생활용수라인(LLW) 및, 드레인분기라인(LDS)이 연결된 유로전환밸브(40)는 유출입라인(LEI)과 드레인분기라인(LDS)이 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물저장탱크(100)의 블래더(300)에 물이 저장됨에 따라, 물저장탱크(100)의 탱크본체(200) 내부에 저장된 물, 예컨대 생활용수는 유출입라인(LEI)과 드레인분기라인(LDS)을 통해 드레인라인(LD)에 유입되어 배수된다.
이때, 생활용수는 유출입라인(LEI)에 구비된 제2감압밸브(74)을 통과하면서 소정의 요구되는 압력으로 감압되어 유동할 수 있다.
물저장탱크(100)의 블래더(300)에 정수가 가득차면, 제2정수필터(32)와 제3정수필터(33)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C)에 구비되며 압력전달라인(LP)에 의해서 배출라인(LE)에 연결된 자동차단밸브(60)가 닫힌다.
이에 따라, 제3정수필터(33)에 원수가 유입되지 못하여 물저장탱크(100)의 블래더(300)에 정수가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정수라인(LPW)에는 제1체크밸브(71)와 제2체크밸브(7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배출부재(50)가 열리면, 유로전환밸브(40)는 생활용수라인(LLW)과 유출입라인(LEI)이 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서, 제3정수필터(33)에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가 생활용수라인(LLW)과 유출입라인(LEI) 및 제2유출입구(212)를 통해 탱크본체(200)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물저장탱크(100)의 블래더(300)에 저장된 정수는 제1유출입구(211)를 통해 유출되어 정수라인(LPW)을 유동한 후 정수라인(LPW)과 배출라인(LE)이 연결된 제4정수필터(34)에 유입된다.
제4정수필터(34)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는 배출라인(LE)과 유로전환밸브(40) 및 연결배출라인(LCE)을 통해 물배출부재(50)까지 유동한다. 그리고, 정수는 물배출부재(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저장탱크(100)는 전술한 수처리기기(10) 이외에도 다른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탱크를 사용하면, 물저장탱크의 탱크본체가 상부본체와, 상부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덮는 하부본체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으며, 탱크본체의 하부본체에 버어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고, 탱크본체의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융착할 때 발생하는 융착버어에 의해서, 탱크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블래더가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물저장탱크를 수처리기기의 하우징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물저장탱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수처리기기 20 : 하우징
21 : 제2연결용구멍 31 : 제1정수필터
32 : 제2정수필터 33 : 제3정수필터
34 : 제4정수필터 40 : 유로전환밸브
50 : 물배출부재 60 : 자동차단밸브
71 : 제1체크밸브 72 : 제2체크밸브
73 : 제1감압밸브 74 : 제2감압밸브
75 : 생활용수밸브 100 : 물저장탱크
200 : 탱크본체 210 : 상부본체
211 : 제1유출입구 212 : 제2유출입구
212a : 간격돌기 213 : 융착홈
220 : 하부본체 221 : 융착돌기
222 : 버어방지턱 223 : 제1연결용구멍
300 : 블래더 300a : 블래더의 하면
310 : 연결부 311 : 연결구멍
400 : 폴부재 410 : 연통구멍
420 : 조임부재 430 : 피팅부재
440 : 밀봉부재 D1 : 탱크본체의 내경
D2 : 블래더의 외경 G : 간격
T1 : 블래더의 하면의 두께 T2 : 블래더의 상면의 두께
T2 : 블래더의 측면의 두께 BR : 융착버어
BM : 블래더 소재 M : 금형
LRW : 원수라인 LC : 연결라인
LPW : 정수라인 LE : 배출라인
LCE : 연결배출라인 LLW : 생활용수라인
LD : 드레인라인 LDS : 드레인분기라인
LEI : 유출입라인 LP : 압력전달라인

Claims (13)

  1. 물이 유출입되는 제1유출입구와 제2유출입구가 구비되는 탱크본체; 및
    상기 제1유출입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유출입구를 통해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물이 유출 또는 유입되면서 상기 제1유출입구를 통해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블래더; 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본체는 상기 제1유출입구와 제2유출입구가 구비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상기 상부본체에 연결되는 하부본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부에는 융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융착홈에 삽입되는 융착돌기가 형성되는 물저장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부에는 융착시 발생하는 융착버어가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버어방지턱이 형성되는 물저장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어방지턱은 상기 융착돌기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버어방지턱과 상기 융착돌기 사이에는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부 일부가 삽입되는 물저장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어방지턱은 상기 융착돌기보다 높게 위로 연장되는 물저장탱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버어방지턱의 면은 계단면으로 이루어진 물저장탱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면은 위로 갈수록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부와의 사이의 공간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물저장탱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에는 제1연결용구멍이 소정 각도로 복수개 구비되는 물저장탱크.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물저장탱크; 및
    상기 물저장탱크가 결합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수처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탱크의 탱크본체에 포함되는 하부본체에는 제1연결용구멍이 소정 각도로 복수개 구비되는 수처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연결용구멍에 대응되는 호형상의 제2연결용구멍이 소정 각도로 복수개 구비되는 수처리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용구멍의 개수는 상기 제1연결용구멍의 개수의 절반인 수처리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용구멍의 중심각은 상기 제1연결용구멍이 서로 이루는 각도의 1배 내지 1.5배인 수처리기기.
KR1020140162973A 2014-11-20 2014-11-20 물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기기 KR102309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973A KR102309691B1 (ko) 2014-11-20 2014-11-20 물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기기
US15/528,302 US10507954B2 (en) 2014-11-20 2015-11-11 Water storage tank bladder,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ater storage tank including bladder,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water storage tank
CN201580063018.9A CN107074426B (zh) 2014-11-20 2015-11-11 储水罐囊及其制造方法,包括囊的储水罐和包括储水罐的水处理设备
PCT/KR2015/012108 WO2016080697A1 (ko) 2014-11-20 2015-11-11 물저장탱크용 블래더와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및 물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수처리기기
EP15860889.3A EP3222556B1 (en) 2014-11-20 2015-11-11 Water storage tank including bladder,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water storage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973A KR102309691B1 (ko) 2014-11-20 2014-11-20 물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898A true KR20160060898A (ko) 2016-05-31
KR102309691B1 KR102309691B1 (ko) 2021-10-12

Family

ID=5609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973A KR102309691B1 (ko) 2014-11-20 2014-11-20 물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535A (ko) 2021-04-20 2022-10-27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70699B1 (en) * 1981-07-21 1986-12-03 Harold L. Nitchma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ensing a liquid from a semi-bulk disposable container
KR20100065339A (ko) * 2007-08-28 2010-06-16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유체 분배용 방법 및 장치
US20110180509A1 (en) * 2004-04-16 2011-07-28 Hutchinson Gerald A Mono and multi-layer articles and extrusion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120046249A (ko) * 2009-07-09 2012-05-09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라이너 베이스의 저장 시스템, 라이너 및 반도체 공정에 고순도 재료를 공급하는 방법
KR20140100458A (ko) * 2010-12-29 2014-08-14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70699B1 (en) * 1981-07-21 1986-12-03 Harold L. Nitchma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ensing a liquid from a semi-bulk disposable container
US20110180509A1 (en) * 2004-04-16 2011-07-28 Hutchinson Gerald A Mono and multi-layer articles and extrusion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100065339A (ko) * 2007-08-28 2010-06-16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유체 분배용 방법 및 장치
KR20120046249A (ko) * 2009-07-09 2012-05-09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라이너 베이스의 저장 시스템, 라이너 및 반도체 공정에 고순도 재료를 공급하는 방법
KR20140100458A (ko) * 2010-12-29 2014-08-14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535A (ko) 2021-04-20 2022-10-27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691B1 (ko)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2556B1 (en) Water storage tank including bladder,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water storage tank
US7726511B2 (en) Reverse osmosis filtration system storage tanks
KR200414257Y1 (ko) 정수필터 장치
EP3124092B1 (en) Filter for hydraulic fluids for hydraulic circuits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CN103813921A (zh) 燃料箱的排气阀装置
KR20160060898A (ko) 물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기기
KR20160060896A (ko) 물저장탱크
KR20160060897A (ko) 물저장탱크용 블래더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KR20160060895A (ko) 물저장탱크
KR100716469B1 (ko)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US10145136B2 (en) System and method of a pool filter operation
CN101524602A (zh) 可反冲洗的过滤器
CN112638792A (zh) 药品容器
KR101332259B1 (ko) 정수기용 역류방지밸브
JP2018109321A (ja) 排水ます
KR102481181B1 (ko) 멀티 연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매니폴드 어셈블리
CN220623207U (zh) 气嘴及充气文胸
KR101634319B1 (ko) 배관의 리듀서
CN204239809U (zh) 水龙头组件
KR200464563Y1 (ko)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용 악취차단장치
KR20220144535A (ko) 물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0505275B1 (ko) 수액기 일체형 열교환기
KR200202525Y1 (ko) 냉온정수기의 저수물통 고정장치
KR101568218B1 (ko)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JP2018087460A (ja) 排水ま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