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563Y1 -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용 악취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용 악취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563Y1
KR200464563Y1 KR2020110005971U KR20110005971U KR200464563Y1 KR 200464563 Y1 KR200464563 Y1 KR 200464563Y1 KR 2020110005971 U KR2020110005971 U KR 2020110005971U KR 20110005971 U KR20110005971 U KR 20110005971U KR 200464563 Y1 KR200464563 Y1 KR 200464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sewage
coupling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177U (ko
Inventor
임세희
Original Assignee
임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세희 filed Critical 임세희
Priority to KR2020110005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56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1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1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5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4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along all or a part of their periphery
    • F16K15/145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along all or a part of their periphery the closure elements being shaped as a solids of revolution, e.g. cylindrical or co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활하수를 배출하는 파이프에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의 내부에 악취차단장치를 장착하여 하수를 원활하게 배출하고 배출 파이프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수가 유입되는 관체의 하단면를 폐쇄하여 양면이 개방된 좌,우측유출구가 형성된 유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유입관의 외경과 일치하는 규격의 튜브관을 이등분하여 좌,우측튜브관이 형성되게 구비하여, 상기의 튜브관에 유입관을 삽입하여 하수의 수압에 의해 좌,우측튜브관이 개방되어 하수가 배출되고 유입이 중단되면 자체 장력에 의해 폐쇄되어 파이프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해결 수단으로 안출된 본 고안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튜브 절개선(23)을 기준으로 양면이 접촉되게 분리된 좌측튜브관(22a)과 우측튜브관(22b)의 상단에 결합부(21)가 형성된 튜브관(20);
하수가 유입되는 관체(32)의 상단에 결합부(31)가 형성되고 저면에 연결판(33)으로 연결된 바닥면(34)이 폐쇄되게 이루어져 좌측유출구(35a)와 우측유출구(35b)가 형성된 유입관(30);
상기 튜브관(20)의 외경과 일치하는 통공(11)이 형성된 결합관(10);
상기의 결합관(10)에 튜브관(20)과 유입관(30)을 차례로 결합하여 이음관에 장착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용 악취차단장치 {a bad smell interception device for a water pipe}
본 고안은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를 배출하는 세면대 및 싱크대 등의 배출파이프에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의 내부에 장착하여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가 유입되는 관체(32)의 바닥면(34)을 폐쇄하여 양면이 개방된 좌,우측유출구(35a, 35b)가 형성된 유입관(30)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30)의 외경과 일치하는 규격의 튜브관(20)을 이등분하여 좌,우측튜브관(22a, 22b)을 형성하여, 상기의 튜브관(20)에 유입관(30)을 삽입하여 하수의 수압에 의해 좌,우측튜브관(22a, 22b)이 개방되어 하수가 배출되고 유입이 중단되면 자체 장력에 의해 폐쇄되어 배출파이프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인 튜브형의 악취차단장치는 얇은 비닐관 또는 고무와 실리콘 등으로 구성되어 외부에서 인위적인 압력과 하중으로 튜브 관체가 폐쇄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신뢰할 수 있는 차단 효과를 누리기 위하여 하수의 배출 압력보다 큰 압력이 요구되어 배출 효과를 떨어지고, 스프링과 같은 압력 부재의 금속 피로에 의해 악취차단 효과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는 튜브에 작용하는 차단 압력을 최소화하고 차단 완벽한 효과를 나타나게 하는 방안으로서, 유입관(3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튜브관(20)의 양단면을 상에서 하로 절개하여 좌측튜브관(22a)과 우측튜브관(22b)이 형성되게 이루어져 튜브관(20)의 자체 하중으로 유입관(30)이 폐쇄되도록 이루어진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튜브 절개선(23)을 기준으로 양면이 접촉되게 분리된 좌측튜브관(22a)과 우측튜브관(22b)의 상단에 결합부(21)가 형성된 튜브관(20); 하수가 유입되는 관체(32)의 상단에 결합부(31)가 형성되고 저면에 연결판(33)으로 연결된 바닥면(34)이 폐쇄되게 이루어져 좌측유출구(35a)와 우측유출구(35b)가 형성된 유입관(30);
상기 튜브관(20)의 외경과 일치하는 통공(11)이 형성된 결합관(10);
상기의 결합관(10)에 튜브관(20)과 유입관(30)을 차례로 결합하여 이음관에 장착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의 인위적인 하중과 압력 작용없이 자체 하중으로 튜브관이 자동으로 폐쇄되게 구성되어 고장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본 출원인이 2011.04.13(출원번호:20-2011-0003199)일자에 출원한 악취차단용 수직 이음관의 주요 구성 요소중 배수관(50)의 중심축(54)과 중심봉(52)에 연결된 반구체(51)의 기능에 대비되는 본 고안은 유입관(30)의 저면에 단일몸체로 부착된 바닥면(34)에서 하수가 배출되어 거침없이 레두샤로 배출되게 이루어졌다.
또한 악취차단용 수직 이음관의 주요 구성 요소인 차단막(30)의 끝단면에 반원형의 중량체(36a, 36b)가 내장되게 구성되었으나, 본 고안은 일반적인 튜브관(20)으로 구성되어 자체 장력에 의해 폐쇄되게 이루어져, 진보된 고안으로서의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용 악취차단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및 a-a'선을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장착되는 레두샤의 사시도.
도 4는 실시예로서 확장된 이음관에 악취차단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에 장착된 유입관(30)으로 하수가 유입되어 바닥면(34)에 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하수의 수압에 의해 좌측튜브관(22a)과 우측튜브관(22b)이 개방되어 유입된 하수의 전량이 저항없이 유출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하수 유입이 중단되어 자체 장력에 의해 좌측튜브관(22a)과 우측튜브관(22b)이 유입관(30)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 : 결합관 11 : 통공
20 : 튜브관 21 : 결합부
22a : 좌측튜브관 22b : 우측튜브관
23 : 절개선 30 : 유입관
31 : 결합부 32 : 관체
33 : 연결판 34 : 바닥면
35a : 좌측유출구 35b : 우측유출구
40 : 이음관 41 : 내측테두리
50 : 레두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용 악취차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및 a-a'선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그 구조와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20의 튜브관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 졌으며 튜브 절개선(23)을 기준으로 양면이 접촉되게 분리된 좌측튜브관(22a)과 우측튜브관(22b)의 상단에 결합관(10)에 내장되게 형성된 결합부(21)가 단일몸체로 성형되었다.
도면부호 30의 유입관은 하수가 유입되는 관체(32)의 상단에 결합부(31)가 형성되고 저면에 연결판(33)으로 연결된 바닥면(34)이 폐쇄되게 이루어져 좌측유출구(35a)와 우측유출구(35b)가 형성되게 이루어졌다.
도면부호 30의 결합관은 튜브관(20)의 외경과 일치하는 통공(11)이 형성되고 결합부(21)가 장착되는 내측테두리가 형성되었다.
도 3은 본 고안인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용 악취차단장치가 장착되는 레두샤와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로서, 확장된 이음관에 악취차단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a-a'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에 장착된 유입관(30)으로 하수가 유입되어 바닥면(34)에 도달되는 상태이다.
도 6은 하수의 수압에 의해 좌측튜브관(22a)과 우측튜브관(22b)이 양방향으로 늘어나면서 개방되어 유입된 하수의 전량이 저항없이 유출되고 있는 상태이다.
도 7은 하수 유입이 중단되어 자체 장력에 의해 좌측튜브관(22a)과 우측튜브관(22b)이 유입관(30)이 접촉되어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다.

Claims (1)

  1.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튜브 절개선(23)을 기준으로 양면이 접촉되게 분리된 좌측튜브관(22a)과 우측튜브관(22b)의 상단에 결합부(21)가 형성된 튜브관(20);
    하수가 유입되는 관체(32)의 상단에 결합부(31)가 형성되고 저면에 연결판(33)으로 연결된 바닥면(34)이 폐쇄되게 이루어져 좌측유출구(35a)와 우측유출구(35b)가 형성된 유입관(30);
    상기 튜브관(20)의 외경과 일치하는 통공(11)이 형성된 결합관(10);
    상기의 결합관(10)에 튜브관(20)과 유입관(30)을 차례로 결합하여 이음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용 악취차단장치.
KR2020110005971U 2011-06-29 2011-06-29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용 악취차단장치 KR200464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71U KR200464563Y1 (ko) 2011-06-29 2011-06-29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용 악취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71U KR200464563Y1 (ko) 2011-06-29 2011-06-29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용 악취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177U KR20130000177U (ko) 2013-01-08
KR200464563Y1 true KR200464563Y1 (ko) 2013-01-11

Family

ID=5135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971U KR200464563Y1 (ko) 2011-06-29 2011-06-29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용 악취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56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544662A (zh) * 2014-01-20 2015-12-01 Falcon Waterfree Technologies Llc 用於無水式小便斗的機械閥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874A (ko) * 2010-06-28 2012-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니볼스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874A (ko) * 2010-06-28 2012-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니볼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177U (ko)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563Y1 (ko)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용 악취차단장치
KR20090129283A (ko) 이음관
KR100859736B1 (ko) 배수구용 악취방지구
KR100905412B1 (ko) 소켓용 악취차단장치
KR200464474Y1 (ko) 이중 악취차단장치
KR200457576Y1 (ko) 이음관 장착용 악취차단장치
JP2014105719A (ja) 自封式弁部材及び継ぎ手部材
KR101361120B1 (ko) 확장관의 내부 장착용 악취차단장치
KR20110006553A (ko) 레두샤 연결용 배관에 장착되는 차단장치
KR200463342Y1 (ko) 연결관에 장착되는 이중튜브관
KR101279024B1 (ko) 수평이음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KR101279025B1 (ko) 이음관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
KR101260398B1 (ko) 수평이음관 장착용 튜브관
KR200466125Y1 (ko) 수직 이음관에 내장되는 악취차단장치
KR200464473Y1 (ko) 수직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
JP6805423B2 (ja) 排水装置
KR200457747Y1 (ko) 수평으로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KR200466539Y1 (ko) 확장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KR200466764Y1 (ko) 확장관에 장착되는 이중튜브관
KR20130006730U (ko) 반원형으로 분리된 튜브관
KR101281032B1 (ko) 탄성부재로 인서트 사출된 악취차단장치
KR101218226B1 (ko) 이중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이음관 장착용 악취차단장치
KR101186951B1 (ko) 레두샤로 연결된 이음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JP6035471B2 (ja) 排水配管
KR101184663B1 (ko) 악취차단장치가 장착된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