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473Y1 - 수직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수직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473Y1
KR200464473Y1 KR2020110006806U KR20110006806U KR200464473Y1 KR 200464473 Y1 KR200464473 Y1 KR 200464473Y1 KR 2020110006806 U KR2020110006806 U KR 2020110006806U KR 20110006806 U KR20110006806 U KR 20110006806U KR 200464473 Y1 KR200464473 Y1 KR 200464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fixing plate
coupled
circula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세희
Original Assignee
임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세희 filed Critical 임세희
Priority to KR2020110006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4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4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활하수를 배출하는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에 구경이 확장된 이음관의 내부에 연질의 튜브관으로 형성된 악취차단장치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하수를 원활하게 배출하고 배수 파이프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할 목적으로 고안된 수직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수가 통과하는 튜브관의 외측 중심부에 원형밴드가 장착되게 구성하여 하수가 유입되면 튜브관이 개방되고 유입이 중단되면 원형밴드의 장력에 의해 폐쇄되게 이루어져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상기의 해결 수단으로 안출된 본 고안은, 연질의 방수천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 관체형의 튜브관(10);
이음관의 내부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내측면에 구경이 좁아지는 축소관(31)의 하단 중심의 저면으로 연결관(32)이 형성된 하(下)본체(30);
상기 연결관(32)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통공(41)이 형성된 하(下)고정판(40);
상기 축소관(31)의 상단면에 장착되는 결합부(51)가 형성되고 연결관(52)이 상방향으로 단일몸체를 이루는 상(上)본체(50);
상기 연결관(52)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통공(61)이 형성된 상(上)고정판(60);
연질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얇은 원형판의 중심이 절개되어 통공된 절개부(21)가 형성된 원형밴드(20);
상기의 하(下)본체(30)내부에 형성된 축소관(31)의 상단면에 원형밴드(20) 하단면의 테두리를 접착하여 반영구적인 단일몸체를 형성하여 상(上)본체(50)와 결합되게 구성하여, 튜브관(10)의 하단부(12)와 상단부(11)를 연결관(32, 52)에 씌움 결합한 후, 하(下)고정판(40)과 상(上)고정판(60)으로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 {a bad smell interception device for a water pipe}
본 고안은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하수를 배출하는 배관에 연결하여 유입되는 하수의 전량을 저항 없이 배출하고 배출 파이프에서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가 통과하는 튜브관(10)의 외측 중심부에 원형밴드(20)가 장착되게 구성되고, 상기 튜브관(10)의 상단부(11)와 하단부(12)가 상,하본체(50, 30)에 각각 체결되어 유입된 하수가 배출구(71)로 배출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하수가 유입되면 튜브관(10)이 개방되고 유입이 중단되면 원형밴드(20)의 장력에 의해 폐쇄되게 이루어져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인 튜브형의 악취차단장치는 배출구측이 개방되어 배출되는 하수가 악취차단장치의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는 튜브관의 개폐장치에 수분에 의한 슬러지 축적등으로 인해 개폐기능을 저하 시킬 수 있는 요인이 있다.
Figure 112011502231638-utm00013
본 고안은 튜브관의 중심 외측면에 실리콘 재질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원형밴드를 구비하여 하본체에 반영구적으로 접착하여 튜브관의 내측면이 상호 접촉되도록 구성하여 배수 파이프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는데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연질의 방수천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 관체형의 튜브관(10);
이음관의 내부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내측면에 구경이 좁아지는 축소관(31)의 하단 중심의 저면으로 연결관(32)이 형성된 하(下)본체(30);
상기 연결관(32)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통공(41)이 형성된 하(下)고정판(40);
상기 축소관(31)의 상단면에 장착되는 결합부(51)가 형성되고 연결관(52)이 상방향으로 단일몸체를 이루는 상(上)본체(50);
상기 연결관(52)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통공(61)이 형성된 상(上)고정판(60);
연질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얇은 원형판의 중심이 절개되어 통공된 절개부(21)가 형성된 원형밴드(20);
상기의 하(下)본체(30)내부에 형성된 축소관(31)의 상단면에 원형밴드(20) 하단면의 테두리를 접착하여 반영구적인 단일몸체를 형성하여 상(上)본체(50)와 결합되게 구성하여, 튜브관(10)의 하단부(12)와 상단부(11)를 연결관(32, 52)에 씌움 결합한 후, 하(下)고정판(40)과 상(上)고정판(60)으로 고정되게 구성되어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게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입되는 하수의 전량을 체류시키지 않고 배출하며, 또한 배수 파이프에서 역류하는 악취를 완벽하게 차단하여 실내의 공기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와 가정 및 산업현장에서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수직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가 장착되는 이음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수직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하본체(30) 내부에 탄성부재(20)를 접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튜브관(10)을 하단부(12)에 씌움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하고정판(40)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상본체(50)를 결합한후 상단부(11)를 연결관(52)에 씌움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상고정판(60)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실시예로서 본 고안이 이음관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유입구(81)를 통해 유입된 하수가 원형밴드(20)에 의해 밀착되어 상하가 폐쇄된 지점으로 유입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하수의 수압에 의해 튜브관(10)의 중심부가 원형의 구체로 변형되면서 유입된 하수의 전량이 배출구(71)를 통해 배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하수 유입이 중단되어 원형밴드(20)의 장력에 의해 튜브관(10)의 내측면 중심부가 상호 접촉되어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 : 튜브관 11 : 상단부
12 : 하단부 20 : 원형밴드
21 : 절개부 30 : 하(下)본체
31 : 축소관 32 : 연결관
40 : 하(下)고정판 41 : 통공
50 : 상(上)본체 51 : 결합부
52 : 연결관 60 : 상(上)고정판
61 : 통공 70 : 이음관
71 : 배출구 80 : 덮개
81 : 유입구 90 : 유입파이프.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인 수직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가 장착되는 이음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수직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를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하본체(30) 내부에 원형밴드(20)를 접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튜브관(10)을 하단부(12)에 씌움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이때 튜브관(10)의 중심부는 一자형으로 변형된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하고정판(40)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상본체(50)를 결합한후 상단부(11)를 연결관(52)에 씌움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상고정판(60)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각 부호의 구성과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0의 튜브관은 연질의 방수천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배출구(71)의 구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유입되는 하수의 전량이 저항없이 배출되는 규격으로 이루어졌으며, 상단부(11)와 하단부(12)가 연결관(52, 32)에 접어서 씌움 고정되게 이루어졌다.
도면부호 20의 원형밴드는 연질의 실리콘과 같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얇은 원형판의 중심을 절개하여 튜브관(10)의 외측 중심에 장력을 가하는 통공된 절개부(21)가 형성되었다. 상기 원형밴드(20)는 하(下)본체(30)에 반영구적으로 접착된다.
도면부호 30의 하(下)본체(30)는 이음관의 내부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내측면에 구경이 좁아지는 축소관(31)의 하단 중심의 저면으로 연결관(32)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졌다.
도면부호 40의 하(下)고정판(40)은 연결관(32)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통공(41)이 형성되어 튜브관(10)의 하단부(12)에 끼움 결합되어 튜브관(1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었다.
도면부호 50의 상(上)본체(50)는 축소관(31)의 상단면에 장착되는 결합부(51)가 형성되고 연결관(52)이 상방향으로 단일몸체를 이루게 구성되었다.
도면부호 60의 상(上)고정판(60)은 연결관(52)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통공(61)이 형성되어 튜브관(10)의 상단부(11)에 끼움 결합되어 튜브관(1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었다.
도 9는 실시예로서 본 고안이 이음관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하(下)본체(30)내부에 형성된 축소관(31)의 상단면에 원형밴드(20)의 하단면을 접착하여 반영구적인 단일몸체를 형성하여, 튜브관(10)의 하단부(12)와 상단부(11)를 연결관(32, 52)에 씌움 결합후, 하고정판(40)과 상고정판(60)으로 결합되게 구성되었다.
도 10은 실시예로서, 유입구(81)를 통해 유입된 하수가 원형밴드(20)에 의해 밀착되어 상하가 폐쇄된 지점으로 유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하수의 수압에 의해 튜브관(10)의 중심부가 원형의 구체로 변형되면서 유입된 하수의 전량이 배출구(71)를 통해 배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하수 유입이 중단되어 원형밴드(20)의 장력에 의해 튜브관(10)의 내측면 중심부가 상호 접촉되어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Claims (1)

  1. 연질의 방수천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 관체형의 튜브관(10);
    이음관의 내부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내측면에 구경이 좁아지는 축소관(31)의 하단 중심의 저면으로 연결관(32)이 형성된 하(下)본체(30);
    상기 연결관(32)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통공(41)이 형성된 하(下)고정판(40);
    상기 축소관(31)의 상단면에 장착되는 결합부(51)가 형성되고 연결관(52)이 상방향으로 단일몸체를 이루는 상(上)본체(50);
    상기 연결관(52)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통공(61)이 형성된 상(上)고정판(60);
    연질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얇은 원형판의 중심이 절개되어 통공된 절개부(21)가 형성된 원형밴드(20);
    상기의 하(下)본체(30)내부에 형성된 축소관(31)의 상단면에 원형밴드(20) 하단면의 테두리를 접착하여 반영구적인 단일몸체를 형성하여 상(上)본체(50)와 결합되게 구성하여, 튜브관(10)의 하단부(12)와 상단부(11)를 연결관(32, 52)에 씌움 결합한 후, 하(下)고정판(40)과 상(上)고정판(60)으로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
KR2020110006806U 2011-07-25 2011-07-25 수직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 KR200464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806U KR200464473Y1 (ko) 2011-07-25 2011-07-25 수직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806U KR200464473Y1 (ko) 2011-07-25 2011-07-25 수직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473Y1 true KR200464473Y1 (ko) 2013-01-08

Family

ID=53676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806U KR200464473Y1 (ko) 2011-07-25 2011-07-25 수직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47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283A (ko) * 2008-06-11 2009-12-16 임회규 이음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283A (ko) * 2008-06-11 2009-12-16 임회규 이음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7117096A (ru) Внутренний корпус протеза
US9661960B2 (en) Waterless urinal
JP6031647B2 (ja) 管体継ぎ手
JP2010189874A (ja) 自封トラップ
RU2008135217A (ru) Клапан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схода сетевой воды
KR200464473Y1 (ko) 수직 이음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
JP5891483B2 (ja) 排水配管
KR20090129283A (ko) 이음관
KR100905412B1 (ko) 소켓용 악취차단장치
KR101279024B1 (ko) 수평이음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KR200464563Y1 (ko) 레두샤로 확장된 이음관용 악취차단장치
JP2016084680A (ja) 排水用トラップ
JP2014105719A (ja) 自封式弁部材及び継ぎ手部材
KR200464474Y1 (ko) 이중 악취차단장치
KR101361120B1 (ko) 확장관의 내부 장착용 악취차단장치
KR101260398B1 (ko) 수평이음관 장착용 튜브관
KR20110006553A (ko) 레두샤 연결용 배관에 장착되는 차단장치
KR101218226B1 (ko) 이중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이음관 장착용 악취차단장치
KR200466539Y1 (ko) 확장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KR200457576Y1 (ko) 이음관 장착용 악취차단장치
KR200466125Y1 (ko) 수직 이음관에 내장되는 악취차단장치
KR200466764Y1 (ko) 확장관에 장착되는 이중튜브관
KR200463242Y1 (ko) 악취차단용 수직 이음관
KR101279025B1 (ko) 이음관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장치
KR200457747Y1 (ko) 수평으로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