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218B1 -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 Google Patents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218B1
KR101568218B1 KR1020150045620A KR20150045620A KR101568218B1 KR 101568218 B1 KR101568218 B1 KR 101568218B1 KR 1020150045620 A KR1020150045620 A KR 1020150045620A KR 20150045620 A KR20150045620 A KR 20150045620A KR 101568218 B1 KR101568218 B1 KR 101568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outlet port
fluid
poppet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철
Original Assignee
이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철 filed Critical 이명철
Priority to KR1020150045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 및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포트, 그리고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유출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유출포트를 연결하는 여과공간을 가지는 몸체; 및 상기 여과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 가능한 여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포트는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유출포트는 서로 수직 배치된다.

Description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MULTIFUNCTIONAL COMBINATION STRAINER ELBOW}
본 발명은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유출포트로 배출 가능하며, 유체가 유입될 경우 발생하는 와류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일이나 워터, 가스 및 스팀(steam) 등과 같은 유체(流體)의 이송에는 파이프로 구성된 배관라인(pipe line)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배관라인의 소정 위치에 밸브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공급되는 유체를 개폐하거나 유량을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배관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기타의 이유로 유체 중에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밸브는 물론 유체를 이송시켜주는 유체펌프를 손상시켜 수명을 단축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밸브와 배관이 폐색(閉塞)되어 작동불능이 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7335호. 2008. 10. 01.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유체의 이물질을 여과 가능한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입포트와 유출포트의 구조적 배치를 통해 유체의 와류발생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 및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포트, 그리고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유출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유출포트를 연결하는 여과공간을 가지는 몸체; 및 상기 여과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 가능한 여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포트는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유출포트는 서로 수직 배치된다.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여과공간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유입포트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유출포트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연통홀이 형성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 상에 서로 이격되어 기립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내측판 및 외측판을 더 구비하되, 상기 외측판의 상단은 상기 내측판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개방된 상면을 폐쇄 가능하며, 폐쇄된 상태에서 하면이 상기 여과부재의 상단과 맞닿아 배치되어 상기 여과공간을 제공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여과공간과 연통되는 설치홀을 가지며,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내부가 상기 설치홀과 연통되는 연결포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는 상기 유출포트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유출포트를 통해 유출된 상기 유체가 상기 여과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유출포트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메인링과 상기 메인링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보조링, 그리고 상기 메인링과 상기 보조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링과 상기 보조링 사이에 개방된 제1 유동홀을 제공하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보조링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링과 상기 보조링 사이에 이동 가능한 차폐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보조링의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이동홀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포펫축; 및 상기 포펫축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의 유동에 따라 상기 포펫축과 함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이동홀보다 크고 상기 메인링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포펫을 구비하며,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포펫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포펫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결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포펫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포펫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제2 유동홀이 형성된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링은 상기 보조링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절개되며, 상기 메인링의 둘레를 따라 각각 이격되는 복수의 절개홈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여과부재를 거쳐 배출된 온수(유체)는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아 각종 배관의 기능 유지는 물론,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포트를 통해 설치된 센서를 통해 유체의 유량과 열량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여과부재의 교체 및 세척이 필요할 경우, 캡을 몸체로부터 분리하고 여과부재를 외부로 인출하여 세척 또는 교체를 진행할 수 있어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전체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유입포트와 유출포트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유체의 와류발생을 최소화하여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난방효율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체크밸브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체크밸브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 및 도 8의 체크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가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의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100)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20) 및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포트(30)를 가지는 몸체(10)와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여과부재(70), 그리고 유출포트(30)에 삽입 설치되는 체크밸브(50)를 포함한다. 한편, 유입포트(20) 및 유출포트(30)는 나사체결방식을 통해 별도의 배관(도시안함)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별도의 배관과 연결되는 연결구(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캡(80)은 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의 개방된 상면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캡(8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캡(80)은 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유입포트(20)는 몸체(10)의 하면에 형성되고 유출포트(30)는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유입포트(20) 및 유출포트(30)는 몸체(1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10)는 유입포트(20)와 유출포트(30)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10)는 유입포트(20)와 유출포트(30) 사이에 배치되어 유입포트(20)와 유출포트(30)를 연통하는 여과공간(11)을 가진다. 따라서, 유입포트(20)와 유출포트(30)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유체의 와류발생을 최소화하여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난방효율 극대화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100)는 여과공간(11)에 삽입 설치되는 여과부재(70)를 포함한다. 여과부재(70)는 캡(80)이 몸체(10)로부터 개방된 상태에서 여과공간(11)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여과부재(70)의 하면과 유입포트(20)의 상면, 그리고 여과부재(70)의 상면과 캡(80)의 하면 사이에는 각각 실링부재(90)가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90)는 고무소재의 오링(O-ring)일 수 있다.
여과부재(70)는 여과공간(11)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의 여과망일 수 있다. 여과부재(70)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하면 중앙부에 연통홀(72)이 형성된다. 연통홀(72)은 유입포트(20)의 내경과 같거나 클 수 있으며, 유체는 연통홀(72)을 통해 여과공간(11)으로 유입된다.
예를 들어, 여과부재(70)는 유출포트(30)와 나란하도록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평판(75)과 수평판(75)으로부터 각각 이격되어 기립 배치되는 내측판(73) 및 외측판(77)을 가질 수 있다. 수평판(75)은 중앙부에 연통홀(72)이 형성되는 원형 링 형상일 수 있으며, 내측판(73)은 수평판(75)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외측판(77)은 수평판(75)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판(73) 및 외측판(77)은 각각 원통형일 수 있다. 또한, 내측판(73)의 상단은 외측판(77)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어 연통홀(72)을 통해 유입된 유체는 외측판(77)을 통과하여 유출포트(30)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여과부재(70)를 통해 유체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또한, 여과부재(70)는 내측판(73)의 상단이 외측판(77)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유체 내에 포함된 이물질은 수평판(75)의 상부에 쌓인다. 따라서, 여과부재(70)를 통과한 유체는 이물질을 걸러진 상태로 배출됨에 따라 배관의 기능 유지와 함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한편, 여과부재(70)의 상면에는 고정링(79)이 장착되어 캡(80)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연결포트(40)는 몸체(10)의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출포트(3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포트(40)는 여과공간(11)과 연통되는 설치홀(42)을 가지며, 연결포트(40)를 통해 센서(45)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포트(40)는 몸체(1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센서(45)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연결포트(40)에 설치되는 센서(45)는 유체의 유량과 열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일 수 있으며, 센서(45)를 통해 유체의 유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유체의 유량과 열량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체크밸브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체크밸브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밸브(50)는 이동홀(56)을 가지는 제1 결합부재(51)와 이동홀(56)에 삽입설치되어 이동 가능한 차폐부재(60), 그리고 제1 결합부재(51)에 결합되어 차폐부재(6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결합부재(65)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재(51)는 유출포트(3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메인링(53)과 메인링(53)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보조링(55), 그리고 메인링(53)과 보조링(55)을 연결하는 연결부재(54)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링(53)은 원형 링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제1 유동홀(52)이 형성된다. 연결부재(54)는 메인링(53)과 보조링(55) 사이에 기립 배치되어 메인링(53)과 보조링(55)을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며, 메인링(53)의 둘레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보조링(55)은 메인링(53)을 향해 외경이 증가하는 역원뿔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중앙부에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이동홀(56)이 형성된다.
또한, 제1 결합부재(51)는 보조링(55)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절개되는 절개홈(58)을 가지며, 절개홈(58)은 각각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절개홈(58) 사이에 제공된 절개면(57)을 통해 제1 결합부재(51)는 유출포트(30)의 내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65)는 메인링(53)에 결합 가능하다. 제2 결합부재(65)는 메인링(53)과 대응되는 원형 링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제2 유동홀(66)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메인링(53)은 제2 결합부재(65)의 대향되는 면이 함몰 형성된 결합면(59)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결합부재(65)의 내주면은 결합면(59)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차폐부재(60)는 제1 결합부재(51)와 제2 결합부재(65) 사이에 이동 가능한 포펫(62)과 포펫(62)에 연결되어 이동홀(56)에 삽입되어 포펫(62)과 함께 이동하는 포펫축(61)을 구비할 수 있다. 포펫(62)은 반구형일 수 있으며, 제2 유동홀(66)보다 큰 외경을 가진다. 포펫축(61)은 이동홀(56)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포펫축(61) 상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돌기(63)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돌출돌기(63)가 구비될 경우, 이동홀(56)은 돌출돌기(63)의 외면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체크밸브(50)는 포펫축(61) 상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9)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69)는 포펫(62)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즉, 유체가 제2 유동홀(66)을 통해 유입될 경우, 포펫(62)은 보조링(55)을 향해 이동되어 보조링(55)과 맞닿아 배치되며, 유체는 제1 유동홀(52)로 유동하여 유출포트(30)로 배출된다.
한편, 보조링(55)은 메인링(53)과 대향되는 대향면 상에 함몰 형성된 가이드홈(도시안함)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69)는 가이드홈에 용이하게 삽입설치될 수 있다. 한편, 실링부재(90)는 제2 결합부재(65)의 외주면으로 함몰형성된 설치홈(68)에 삽입 설치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90)는 고무소재의 오링(O-ring)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7 및 도 8의 체크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포트(20)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여과공간(11)에 설치된 여과부재(70)에 의해 유체 내에 포함된 이물질(2)이 걸러진다. 여과부재(70)에 의해 이물질(2)이 걸러진 상태에서 유체는 유출포트(30)를 향해 유동된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밸브(50)는 탄성부재(69)의 탄성력에 의해 포펫(62)이 제2 결합부재(65)와 맞닿아 배치된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부재(70)에 의해 이물질(2)이 걸러진 유체는 유출포트(30)를 통해 배출된다. 체크밸브(50)에 구비된 포펫(62)은 유체의 압력에 의해 보조링(55)을 향해 이동되며, 유체는 제2 유입홀(66) 및 제1 유입홀(52)을 통해 유출포트로 배출된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100)는 온수분배기(5)의 급수용 분배기헤더(6)에 연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과부재(70)를 거쳐 배출된 온수(유체)는 이물질(2)이 포함되지 않아 각종 배관의 기능 유지는 물론,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포트(40)를 통해 설치된 센서(45)를 통해 유체의 유량과 열량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여과부재(70)의 교체 및 세척이 필요할 경우, 캡(80)을 몸체(10)로부터 분리하고 여과부재(70)를 외부로 인출하여 세척 또는 교체를 진행할 수 있어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100) 전체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유입포트(20)와 유출포트(30)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유체의 와류발생을 최소화하여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난방효율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 : 몸체 11 : 여과공간
20 : 유입포트 30 : 유출포트
40 : 연결포트 45 : 센서
50 : 체크밸브 51 : 제1 결합부재
53 : 메인링 55 : 보조링
56 : 이동홀 60 : 차폐부재
61 : 포펫 62 : 포펫축
65 : 제2 결합부재 69 : 탄성부재
70 : 여과부재 80 : 캡
90 : 실링부재 100 :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Claims (8)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 및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포트, 그리고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유출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유출포트를 연결하는 여과공간을 가지는 몸체; 및
    상기 여과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유출포트를 향해 이동하는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가능하며, 상기 여과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의 여과망인 여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포트는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유출포트는 서로 수직 배치되며,
    상기 여과부재는,
    수평배치되어 상기 유입포트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 상에 서로 이격되어 기립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내측판 및 외측판을 구비하여, 상기 내측판의 내측에 상기 연통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유체가 흐르는 통로가 상기 연통홀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유체는 외측판을 통과하여 상기 유출포트로 이동하되,
    상기 외측판의 상단은 상기 내측판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이물질이 상기 수평판의 상부에 누적되는,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일체형인,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는 상기 여과부재의 하면과 상기 유입포트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개방된 상면을 폐쇄 가능하며, 폐쇄된 상태에서 하면이 상기 여과부재의 상단과 맞닿아 배치되어 상기 여과공간을 제공하는 캡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여과공간과 연통되는 설치홀을 가지며,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내부가 상기 설치홀과 연통되는 연결포트를 더 구비하는,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는 상기 유출포트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유출포트를 통해 유출된 상기 유체가 상기 여과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유출포트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메인링과 상기 메인링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보조링, 그리고 상기 메인링과 상기 보조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링과 상기 보조링 사이에 개방된 제1 유동홀을 제공하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보조링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링과 상기 보조링 사이에 이동 가능한 차폐부재를 구비하는,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보조링의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이동홀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포펫축; 및
    상기 포펫축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의 유동에 따라 상기 포펫축과 함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이동홀보다 크고 상기 메인링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포펫을 구비하며,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포펫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포펫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결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포펫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포펫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제2 유동홀이 형성된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링은 상기 보조링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절개되며, 상기 메인링의 둘레를 따라 각각 이격되는 복수의 절개홈들을 가지는,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KR1020150045620A 2015-03-31 2015-03-31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KR101568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620A KR101568218B1 (ko) 2015-03-31 2015-03-31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620A KR101568218B1 (ko) 2015-03-31 2015-03-31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218B1 true KR101568218B1 (ko) 2015-11-11

Family

ID=5460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620A KR101568218B1 (ko) 2015-03-31 2015-03-31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2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345Y1 (ko) * 2012-05-07 2012-10-30 주식회사 신동테크 스트레이너 내장형 유니온 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345Y1 (ko) * 2012-05-07 2012-10-30 주식회사 신동테크 스트레이너 내장형 유니온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5386B2 (en) Filter device
US20080060992A1 (en) Filter device
KR101668804B1 (ko)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용 커넥터
US20100012571A1 (en) Filter element
US20220118395A1 (en) Separating Device for Separating a Fluid from Gas as well as Separating Element and Coupling Element for such a Separating Device
KR101509234B1 (ko) 스트레이너 필터조립체
KR101075475B1 (ko) 바이패스 기능을 구비한 정수필터용 커넥터
KR101285605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의 필터 헤드
JP3203739U (ja) 浄水器
JP5614717B2 (ja) バルブ
US9671038B2 (en) Pilot valve with mechanical valve actuator
JP6032943B2 (ja) 気液分離器
KR101568218B1 (ko) 다기능 복합 스트레나 엘보
KR20160000194A (ko)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용 커넥터
KR200176894Y1 (ko) 이중 역지 밸브
KR20170119647A (ko) 위쪽 방향으로 교체되는 정수장치용 정수필터
KR20190000688U (ko) 압축공기필터용 차압식과 플로트식 겸용 탄댐 오토드레인 장치
US20180050284A1 (en) Capsule intended for a liquid flow comprising an inner casing and an outer unit
KR20170119646A (ko) 정수필터가 위쪽 방향으로 교체되는 정수장치
KR100977737B1 (ko) 전자석 급수밸브
KR101179375B1 (ko) 감압밸브
JP2010162479A (ja) 気液分離器
KR102172250B1 (ko) 멤브레인 밸브와 멤브레인 밸브를 이용한 정수 시스템
KR100761516B1 (ko) 수처리기기의 필터조립체
KR200463373Y1 (ko) 자동 개폐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