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612A - 택시 운전자 보호판 - Google Patents

택시 운전자 보호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612A
KR20160060612A KR1020160050961A KR20160050961A KR20160060612A KR 20160060612 A KR20160060612 A KR 20160060612A KR 1020160050961 A KR1020160050961 A KR 1020160050961A KR 20160050961 A KR20160050961 A KR 20160050961A KR 20160060612 A KR20160060612 A KR 20160060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iver
seat
suppo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식
Original Assignee
장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식 filed Critical 장재식
Priority to KR1020160050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0612A/ko
Publication of KR20160060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which protect the occupants against personal attack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시 운전자 보호판인 운전석에 있는 "T"형지지대가 부착된 후방 상부차단판과 후방 하부차단판; 운전자 등받이 하부면을 고정시키는 낚싯바늘 걸이대; 운전석과 조수석사이에 있는 변속레버커버와 콘솔박스외부에 삽입되는 하부앞 차단판과 하부 앞차단판지지대; 하부앞차단판은 핸드유동구가 형성되고, 조수석 상부 차단판은 빛 흡수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고정수단과 연결부재는 상기 하부앞 차단판과 연결되는 레일지지대; 안전부재인 쿠션재가 후방 하부차단판 배면에 부착되며, 볼트/너트, 리벳등의 고정부재로 형성된 운전자 보호판은 가장 간단하며 이상적으로 설치와 탈거가 아주 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승객이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하고 운전자의 심적 부담이 적어 안전운행을 도모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택시 운전자 보호판{omitted}
본 발명은 택시 운전자 보호격벽인 택시 운전자 보호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택시에 불순한 생각으로 탑승한 승객한테 각종 위해 요소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 받을 수 있도록 개선한 운전석 헤드레스트 고정봉이 삽입한 "T"형 고정지지대가 부착된 후방 상부 차단판에 연장되는 조수석 상부 차단판과 조수석 상부차단판을 고정시켜주며, 조수석 하부 앞 빈공간을 막아주는 조수석 하부 앞차단판과 하부 앞차단판을 고정시켜주는 하부 앞차단판 고정지지대에 있어서, 운전석 후방 하부차단판을 고정시키는 낚싯바늘형태 걸이대와 낚싯바늘형태 걸이대를 받쳐주는 걸이대 받침판;
택시 운전석을 둘러싸면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관련 안전부재와 함께 구성되는 택시운전자 보호판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특정 다수의 손님이 대중교통수단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는 택시는 내부공간이 개방된 하나의 단일 공간으로 운전석과 조수석, 후방석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택시는 매우 많은 소수의 인원을 반복적으로 수송하게 되므로 운전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그러나 택시의 내부는 서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불량한 의도를 갖고 승차하는 탑승객이 의도적으로 운전자를 폭행하거나 흉기 등으로 운전자를 위협하여도 운전자는 무방비 상태로 일반적으로 공격을 받을 수밖에 없고, 이러한 폭행으로 운전자가 부상 또는 사망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되고 있다.
이에 탑승객의 위해로부터 택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아주 편하고 간단하게 조립/탈거 할 수 있고 운전자가 편하게 운전석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는 택시 운전자 보호판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와 같은 운전자 보호판은 편리함과 견고함과 유동성이 있어야 되며, 운전자는 보호판으로 인해 답답하지 않아야 된다.
그러나 일부 택시운전자 보호판의 선행기술로는 택시운전자 보호판으로 인해 불편하고, 답답하며, 손님하고 요금을 주고받는 문제로도 시비가 될 수 있고, 또 상, 하부 차단판의 고정부재와 고정수단의 여러 부품들은 고정 작업을 어렵고 복잡하게 하고, 시간을 많이 소요하게 구성이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택시 운전자 보호판은 운전자 후방 및 앞좌석 전방 탑승객의 위해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려고 불필요한 부재를 많이 부착하게 되었다.
택시 운전자는 전방 보호판으로 인해 운전자가 수납공간인 글러브박스에 필요시 손을 넣고 물건을 넣다 뺐다 하려면 불편한 점이 많았다. 운전자가 손님을 목적지까지 모셔드리고 요금을 받으려면 요금받기가 여간 불편하지가 않았다. 운전자가 휴식을 취하려고 해도 운전석 좌석의 유동성이 불편하고 등받이를 움직이려 해도 여러 가지 손이 많이 가 불편한 점이 아주 많았다.
또한 운전자의 후방 차단판이 앞좌석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보호판은 꺾임이나 뒤틀림 또는 흔들림에 위험이 있을 수 있었다.
또 운전자 보호판이 콘솔박스와 조수석사이에 부착되는 관계로 조수석에 있는 손님은 자리가 너무 협소하고 운전자 보호판과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 탑승한 승객은 팔을 움꾸려 가야하는 불편을 나타내는 점이 있어 이를 해결해야 될 과정에 이르게 됐다.
운전자 보호판은 앞차와의 충돌 때나, 돌발적인 장애물이 나타날 때에 운전자 보호판이 유동이 있거나 변형이 생기게 되면 이로 인해 탑승객에게 2차 피해가 우려하게 된다. 이에 탑승객 안전을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결수단은 조수석 하부 앞차단판의 중앙이나 가장자리에 핸드 유동구를 만들어 손이 자유롭게 들락날락 자유롭게 유동시킬 수 있게 만들며, 후방석과 손님석의 요금을 받는데 불편한 점은 조수석 상부 차단판이 콘솔박스 중앙위쪽에 형성되고, 조수석 하부 차단판은 운전석을 감싸고 있어, 콘솔박스와 운전석사이 공간에 운전자의 손이나 팔꿈치가 콘솔박스위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져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자유롭게 움직임과 동시에 손님에게 택시요금을 받는 데는 전혀 불편한 점이 없다 할 수 있다.
이에 변속레버커버 및 콘솔박스외부에 삽입하는 하부 앞차단판 및 하부 앞 차단판 지지대와 운전석 등받이에 장착하는 후방 상부차단판과 후방 하부차단판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 상부차단판은 대략 우측으로 휘어진 90도 원형, 또는 135도 135도 두 번 꺾어서 연장하게 되고, 계란크기 이상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빛 흡수구가 형성된 전방으로 향한 우측 상부면을 차단하는 조수석 상부차단판 및 상기 후방 하부차단판에서 운전석을 끼고 직각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 향한 조수석 하부차단판 및 덧부착 차단판 으로 일어지고,
상기 후방 상부차단판에 부착된 "T"형지지대에 보강프레임이 내장되어 운전석 상부에 있는 헤드레스트 고정봉으로 삽입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후방 하부차단판에 부착된 낚싯바늘 형상의 걸이대와 걸이대 받침판을 운전석 등받이시트 밑에 삽입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상, 하 차단판 배면에 쿠션재가 부착되는 안전수단 및 택시운전자 보호판 가장자리에 고무 테두리가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안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후방 상부차단판에 부착시키는 보강프레임이 내장된"T"형지지대, 후방 상, 하부차단판을 고정시키는 연결부, 하부 앞차단판과 하부 앞차단판지지대를 고정시키는 볼트구와 지지대볼트구, 상기 하부앞차단판 지지대와 후미에 연결되는 레일지지대에 팝너트 구멍과 장공의 볼트구, 후방하부차단판을 연결시키는 낚싯바늘 걸이대의 연결구, 상기 연결부위를 고정시키는 볼트/너트, 리벳팅 등 고정부재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안전수단 및 안전부재를 포함하여 설치할 수 있는 택시운전자 보호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방석 상, 하부차단판, 조수석 상, 하부차단판은 위에서 보면 부분적인 면이
Figure 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앞차단판 지지대는 평철이나 환봉으로 구성되며 단독 및 서로 복합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하부앞 차단판지지대는 폴리카보네이트 판이 단독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평철이나 환봉 중 어느 하나나 둘 이상을 복합해 만들어 지게도 구성된다.
상기 후방 상부차단판과 조수석 상부차단판에 안전부재인 고휘도 램프를 일자로 뻗은 직사각형이나 반원형 등의 형상을 단수나 복수로 하여 부분적 부착할 수 있게 구성되며, 조수석 상부 차단판에 흔들림과 약한 면은 조수석 하부 앞차단판과 하부앞 차단판 지지대와 레일지지대를 설치함으로 해결되고, 운전석 후방 바로뒤 손님석은 운전석 후방보호판에 부드러운 쿠션재질의 소재를 덧 부착함으로 해결할 수 있다.
운전석 후방 바로 뒤자리에 손님이 타실 때나 내리실 때에 손을 기대고 잡을 수 있는 손잡이나 후방 하부차단판은 후방 상부차단판보다 연결부위 면을 더 높게 돋아나게 하여 돋아난 부위를 손걸이로 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운전자 보호판에 안전부재를 부착 설치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손님이 전혀 불편함이 없이 손님을 안전하게 가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편히 모셔 드리는데 주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택시 운전자 보호판은 운전자의 후방석은 물론 운전자 옆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의 각종 위해 요소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함과 더불어 운전자나 승객이 불편하지 않도록 하고 운전자의 심적 부담을 크게 줄여 안전운행을 도모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택시운전자 보호판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택시운전자 보호판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의한 택시운전자 보호판의 배면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의한 콘솔박스와 조수석을 점선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5a는 본 발명의 의한 하부앞차단판과 앞차단판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5b는 본 발명의 의한 하부앞차단판과 앞차단판지지대판과 덧부착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의한 후방차단판에 중공부를 나타내고 손걸이와 손잡이를 덧붙혀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택시운전자 보호판
1:후방 상부차단판 2:후방 하부차단판 5:"T"형 지지대 8:걸이대 9:걸이대 받침판 11:조수석 상부차단판 12:조수석 하부차단판 15:빛 흡수구 21:하부 앞차단판 22:하부 앞차단판지지대 49:고정봉 구멍 50:헤드레스트 고정봉 51:쿠션재 52:장공 55:핸드 유동구 57:보강 프레임 60:레일 지지대 62:덧부착 차단판 65:지지대볼트 67:고무 테두리 68:덧부착 지지대 69:손걸이 70:손잡이 72:중공부 75:연결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택시운전자 보호판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택시운전자 보호판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의한 택시운전자 보호판의 배면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의한 콘솔박스와 조수석을 점선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5a는 본 발명의 의한 하부앞차단판과 앞차단판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b는 본 발명의 의한 하부앞차단판과 앞차단판지지대판과 덧부착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의한 후방차단판에 중공부(72)를 나타내고 손걸이(69)와 손잡이(70)를 덧붙혀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택시 운전자 보호판(100)은 운전석 후방 상부차단판(1)과 운전석 후방 하부차단판(2), 조수석 상부차단판(11)과 조수석 하부차단판(12)으로 나뉘게 되며, 운전석 후방 상부차단판(1)은 조수석 상부차단판(11)으로 연장되고, 운전석 후방 하부차단판(2)은 조수석 하부차단판(12)으로 연장 형성하게 된다. 연장된 조수석 하부차단판(12)은 운전자좌석과 콘솔박스사이 홈에 직각삼각형 형태로 삽입하게 된다. 운전석 우측앞에 있는 조수석 하부 앞차단판 지지대(22)는 조수석 하부앞 차단판(21) 왼쪽면에 설치가 되며, 고정 및 막음을 하는 하부 앞차단판(21)배면에 하부 앞차단판지지대(22)나 하부 앞차단판지지대(22)판을 부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하부 앞차단판지지대(22)가 부착된 조수석 하부앞 차단판(21)은 지지대볼트(65)와 너트로 중앙 가장자리 위 면에 한번더 고정시켜 결합된 조수석 하부 앞차단판(21)을 운전석과 조수석사이에 있는 변속레버커버와 콘솔박스 외부 면에 삽입시키면 하부 앞차단판은 저절로 고정하게 된다. 조수석 정면 하부 앞차단판(21)을 고정시키는 하부 앞차단판 지지대(22)에 레일지지대(60)를 체결시켜 운전석 앞쪽에서 운전석 후미 방향으로 있는 하부 앞차단판 지지대(22)후미와 레일지지대(60) 후미는 운전석 방향으로 하부앞 차단판 지지대(22) 위면 "ㄱ"형 위에 장공(52)을 만들고 레일지지대의 후미면 운전석방향으로 팝너트 구멍을 형성시켜서, 혹시나 있을 조수석 상부차단판(11)과 조수석 하부 앞차단판(21)과의 간격이 다르면 레일지지대(60)의 팝너트 구멍과 장공(52)으로 형성된 하부 앞차단판 지지대(22)의 간격을 넓혔다 줄였다하는 하나의 볼트/너트를 고정하여 거리간격을 맞출 수 있다. 정면으로 향한 운전자 옆 조수석 상부 차단판(11)하부면은 레일지지대(60)에 삽입시켜 견고하게 고정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하게 된다. 운전자 후방 상부 차단판(1) 중앙부위에 다수의 고정구멍이 형성되고, 볼트/너트 등의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두개의 헤드레스트 고정봉 구멍(49)이 뚫린 "T"형 지지대(5)판을 헤드레스트 고정봉(50)으로 삽입 고정하는 제1고정수단과,
상기 운전자 후방 하부 차단판(2) 밑면은 낚싯바늘형태의 걸이대(8)를 운전자 후방 하부 차단판(2) 아래 양쪽 좌, 우측면에 다수의 고정구멍을 형성시켜, 이 고정구멍에 볼트/너트 등을 부착시키며, 운전석등받이 하부시트 밑면 부위에 낚싯바늘 형태의 걸이대(8)를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올려 걸어두게 되는 제2고정수단으로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낚싯바늘형태의 걸이대(8)를 택시운전자 보호판(100)이 택시가 움직임에 따라 향상되는 무게를 받쳐줄 "C"형 형태로 형성된 걸이대 받침판(9)을 운전석 좌석 후방에서 전방으로 껴안듯이 좌석시트에 밀어서 삽입하며, 걸이대(8) 받침판(9)은 좌석시트 밑에 좌석과 고정되어 있는 좌석 지지대에 삽입시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좌석 받침판(9)에 다수의 구멍을 내어 끈 등으로 걸어서 고정할 수 있으며, 걸어서 고정시키는 고정부위는 차종마다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자동차 운전석 보호판(100)은 유연하며 딱딱한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플라스틱, 아크릴 등으로 형성되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투명재는 안전투명유리나 방탄재 등 안전성이 입증된 투명재질은 하나의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그중 제일 적합한 폴리카보네이트는 합성수지의 일종으로 열 가소성수지중 E/Plastics(엔지니어리 플라스틱)에 속한 최첨단 신소재로서 대표적 플라스틱인 비스페놀 A 수지를 주원료로 하여 압출 성형한 제품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판으로 판유리의 대등한 광투과율(85%이상)을 보이며, 가볍고 유연하며, 흡수성이 적고, 자기소화성이 있어 불이 붙는 경우라도 자체적인 소화능력이 있고, 유독가스를 발생하지 않으며 무독성이고, 약산에는 강하게 나타낸다. 휨과 유연성이 아주 좋고, 인장강도가 대단히 강하다. 내충격성은 판유리의 250배, 강하유리의 150배 아크릴의 40배 정도의 강도가 강하며, 혹 파손된 경우라도 유리처럼 파편이나 날이 생기지 않아 가장 안전하게 택시 운전자 보호판(100)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택시운전자 보호판(100)은 운전석 후방 상부차단판(1)에서대략 135도 135도의 각도로 두 번 꺾어 연장된 조수석 상부차단판(11)으로 구성되고, 운전자 후방 하부 차단판(2)은 운전석을 대략 90도로 꺾어 전방으로 연결된 직각 삼각형 형태의 조수석 하부 차단판(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 하부차단판(2)에 부착되는 낚싯바늘 형태의 걸이대(8)는 상,하 차단판(1,2)과 별도로 제작하여 고정부재로 결합시켜 택시 운전자 보호판(100)을 하나의 일체형으로 만들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상부차단판(1)에서 조수석상부 차단판(11)으로 꺾여서 연장된 코너부위는 대략 90도 원형으로 하여 조수석 상부 차단판으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상기 후방 상부차단판(1) 아래면과 후방 하부차단판(2) 위면을 고정시키는 연결부위는 복수의 힌지나 고정판(재질; 스틸, 폴리카보네이트 등) 등의 연결부(75)로 등받이 각도와 맞추고 다수의 구멍에 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부재로 고정시켜 구성된다.
상기 택시 운전자 보호판(100)은 위에서 내려다보면 도면2와
Figure pat00002
형상으로 보여 지며, 정면으로 향한 조수석 차단판(11,12)을 보면 판 두개가 상,하로 나뉘어 두 줄로 정면으로 향하게 구성되며, 조수석 상부차단판(11)은 조수석에 가깝게, 조수석 하부차단판(12)은 운전석에 가깝게 만들어 지게 된다. 상기 택시 운전자 보호판(100)이 정면으로 향한 조수석 상부차단판(11)에 끝이 흔들림이나 약한 면을 조수석방향 하부 앞차단판(21)과 하부 앞차단판 지지대(22)와 레일 지지대(60)가 막음과 떨림 방지를 고정시켜 주게 된다.
상기 조수석 하부 앞차단판(21)은 변속레버커버와 콘솔박스가 있는 방향에서 운전석 방향에 있는 하부 앞차단판 지지대(22)가 조수석 방향으로 있는 조수석 하부 앞 차단판(21)에 부착되는 부위에 고정구멍이 형성되고 볼트/너트 등의 고정부재로 체결되며, 하부 앞차단판(21)과 하부 앞차단판 지지대(22)의 중간부위 위면에 지지대볼트(65)로 고정시켜 이루어지게 된다. 조립된 조수석 하부 앞차단판(21)은 대시보드에 부착된 변속레버커버와 맞붙은 콘솔박스 좌, 우 양옆 사이 홈에 조수석 하부 앞차단판(21)과 고정시킨 고정 하부 앞차단판 지지대(22)를 삽입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대시보드하단에 있는 수납공간인 글러브 박스에 운전자가 운전석에서사용하려면 조수석 하부앞차단판(21)에 일정하게 개방된 핸드 유동구(55)의 공간이 생겨야 할 수 있다. 택시조수석 하부 앞차단판(21)의 핸드 유동구(55)의 모양은 한정되지 않고 모양 좋고, 팔 하나가 들락날락 사용하기 편한 유동구의 공간이면 좋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수석 하부 앞차단판(21)과 하부 앞차단판지지대(22)는 차량 앞에서 차량후미방향으로 보면 연결부의 부분 단면이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
Figure pat00006
,
Figure pat00007
등의 형상으로 만들어 질수 있다.
조수석에서 운전석으로 보면 하부 앞차단판(21)은
Figure pat00008
,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
Figure pat00011
등으로 형성되며, 하부 앞차단판지지대(22)를 운전석에서 조수석으로 보면
Figure pat00012
,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
Figure pat00015
등의 형상으로 만들어 진다. 상기 형성된 모양은 어느 하나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후방 하부차단판(2)은 투명 및 불투명으로 할 수 있다. 후방 하부차단판(2)위에 우레탄이나 합성수지폼 등 따위에 니트 패브릭(기계로 짠 편직물)이나 천(가죽, 비닐 등)을 부착한 다층구조의 부드러운 재질의 복합소재로 만들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쿠션재(51)를 후방 상, 하 차단판(1,2)에 부분적으로 후방석 손님이 혹시나 부딪칠 수 있는 부위에 덧 부착시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하부차단판(2)에 얇은 합성수지판을 덧 부착할 수 있으며 부착 방법은 접착제나 리벳 등에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택시 운전자 보호판(100)은 일정부위테두리에 손이나 차체와 맞닫는 부위는 고무 테두리(67)를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수석 상부 차단판(11)은 빛이 반사되지 않고 흡수되도록 빛 흡수구(15)를 형성할 수 있고, 빛 흡수구(15)는 대략 계란하나정도의 크기 이상으로 하여야 할 것이며, 모양(예:
Figure pat00016
,
Figure pat00017
,
Figure pat00018
,
Figure pat00019
,
Figure pat00020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시 사용자의 선택 방법에 따라 흡수구(15)를 망(재질:스틸, 나일론 등)으로 망 막음도 할 수 있으며, 망테두리를 만들어 필요시 삽입하여 나사로 고정시켜 망으로 막음과 탈거를 편하게 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후방 상부차단판(1)이 전방으로 연장된 조수석 상부차단판(11)과 후방 하부차단판(2)이 전방으로 연장된 조수석 하부차단판(12)은 폭이 생겨 운전자의 오른팔이 자유자재로 움직이게 만들게 되고 탑승객과 운전자는 요금을 편리하게 주고받을 수 있게 구성된다. 하지만 조수석 상부차단판(11)과 조수석 하부 차단판(12)에 형성된 폭에 공간으로 인해 혹시나 있을 위해를 느낄 수 있어, 조수석 방향으로 부착된 차단판(62)에 이중으로 차단판 하나를 덧 붙혀, 덧 부착 차단판(62)을 아래위로 유동할 수 있게 하고, 혹시나 운전자의 불안을 느낄 때는 덧 부착 차단판(62)을 위 방향으로 올려 고정핀으로 고정시켜, 운전자 의 불안을 해소 할 수 있게 하며, 이에 운전자는 안전을 유지 할 수 있게 구성하게 된다.
상기 조수석 방향으로 있는 조수석 상부차단판(11)과 조수석 하부차단판(12)의 정면으로 향한 길이는 한정되지 않는다. 모든 차들이 실내구조가 같을 수 없고 운전자의 좌석 등받이 모양도 같을 수가 없어, 필요성과 사용방법에 따라 택시 운전자 보호판(100)의 길이와 모양도 약간씩 변형되어 차량 구조에 따라 만들어 질수 있다.
상기 택시 운전자 보호판(100)은 혹시나 있을 위해에 대비해 차 문쪽 방향은 필요시 일정한 막음 보호지지대판을 덧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택시운전자 보호판(100) 후방 상부차단판(1)과 후방 하부차단판(2)의 차단판(1,2)중앙부위를 도려내 중공부(72)를 만들어 운전석 좌석 등받이 중앙부위가 돋은것을 그대로 나타내고, 분리시킨 상,하부 차단판(1,2)으로 나타낼 때에 후방 상부차단판(1) 아래부위와, 후방 하부 차단판(2)중앙 아래서 위 부위로 도려낸 부위를 서로 붙이면 중공 부위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방 상, 하부 차단판(1,2)은 다시 일체화로 형성되어 운전석 등받이가 그대로 돋아난 부위로 나타나게 되며, 운전석 후면 등받이 가장자리로 하여 삽입 부착시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차단판(1,2)의 도려낸 중공부위 가장자리에 안전을 위해 고무테두리(67)등을 붙여 구성 하게 된다.
상기 택시운전자 보호판(100)을 고정시키는 "T"형 지지대(5)는 폴리카보네이트나 스틸 등을 어느 하나로 형성되거나 복합시켜서 만들어 운전자 후방 등받이 위 헤드레스트 고정봉(50)에 걸고 후방 상부차단판(1)에 볼트/너트로 부착시킨다. 강성, 견고성, 안전성을 높이려면 "T"형 지지대(5) 내면에 보강프레임(57)이 내장된 "T"형 지지대(5)를 부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일반"T"형 지지대(5)나 보강프레임(57)이 내장된 "T"형 지지대(5)중 필요시 어느 하나를 골라 설치 할 수 있다. 보강프레임(57)이 내장된 "T"형지지대(5)는 운전자 후방 상부차단판(1)에 부착돼서 조수석으로 연장된 조수석 상부차단판(11)에 똑같이 고정부재로 부착되어서 큰 힘을 가해졌을 경우에도, 충분히 막아 택시 운전자 보호판(100)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강프레임(57)은 "T'형 지지대(5)의 내면에 삽입되어 볼트/너트,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며, 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스틸파이프 중 어느 하나로 선택 형성되고, 보강프레임(57)은 유동성이없게 "T"형 지지대(50)와 함께 후방 상부차단판(1)에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보강프레임(57)에 양끝부위는 고무마개로 마감처리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택시 운전자 보호판(100)은 택시 운전석을 둘러싸며 택시 내부에 안전 보호방법이나 설치가 빠르고 견고한 고정방법이 더 제공하게 된다.
상기 택시 운전자보호판(100)은 후방 하부차단판(2)에 손님이 타고 내릴때 손을 잡거나 잡고 기댈 수 있는 손잡이(70)를 필요시 레일지지대(60)후미나 하부 앞차단판 지지대(22) 후미 방향에 연결시켜 만들어 설치 할 수 있다.
손걸이(69)는 후방 하부차단판(2)위면을 후방 상부 차단판(1) 아래 밑면 보다 높게 돋거나 올려 설치할 수 있다. 돋아 난 후방 하부차단판(2)위로 길게 돋아난 손걸이(69)부위는 손으로 붙잡기가 좋게 만들며, 돋아난 부위는 쿠션재를 붙임으로 이루어지며, 쿠션재의 외피는 합성수지나 가죽 등의 소재로 한다.
상기 손잡이를 설치 할때는 내면은 견고하게 경질로 하고, 외면은 합성고무등으로 인체에 좋고, 쿠션력이 있는 연질로 구성되면 좋고 접착제 등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콘솔박스 위 공간을 조수석 상부차단판(11)및 레일지지대(60)에 필요시 자바라 형태의 막음을 하는 막음부재를 콘솔박스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내려 연장시킬 수 있다. 또는 스위치로 하는 자동장치나 끈이나 고리 등으로 하는 수동장치로 막음부재가 오르고 내리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운전석 위 부분에 있는 고정수단은 두 개의 헤드레스트 고정봉(50)에 고정되는 "T"형 지지대(5)의 고정구멍은 차량에 따라 고정봉 구멍 사이의 간격이 다르더라도 일측은 구멍사이즈를 고정봉 지지대와 맞게 하고 타측은 고정봉 지지대가 차체에 따라 유동성 있게 자유자재로 왔다 갔다 할 수 있게 장공 형태로 뚫어 구성 할 수 있다.
또는 차종에 따라 그때그때 차량 고정봉 구멍(49)을 똑같이 만들어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택시 운전자 보호판(100)은 레이져커팅으로 가공이 이루어지며, 조수석 하부앞차단판(21)과 조수석 하부 앞차단판지지대(22)도 똑같이 레이져 커팅과 가공으로 이루어 질수 있다.
레일지지대(60)는 홈이 생긴 복수 지지대로 할 수 있지만 단일지지대로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하부 앞차단판(21)에만 레일지지대(60)를 붙여 조수석 상부차단판(11) 앞 부위를 삽입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택시운전자 보호판(100)은 전열선으로 만들고자하는 부위에 열을 가하여 열을 받은 폴리카보네이트판을 인위적으로 절곡시켜 물건이 만들어 지게 된다. 또는 다른 방법으로는 열을 가한 성형 틀에 보호판이나 소재를 넣어 압착시켜 만들어 지기도 한다. 그 외 차량의 운전자 등받이는 회사에 따라 모양도 달라 그때그때 모양에 따라 택시 운전자 보호판(100)모양도 같이 따라 만들어 질수 있으며 택시 운전자 보호판(100)을 만드는 방법은 공지된 방법이면 다 사용 할 수 있다 하겠다. 상기 조수석 하부앞 차단판(21)의 고정 부착되는 하부 앞차단판 지지대(22)는 지지대로 인해 운전자가 대시보드에서 센터 콘솔로 이어지는 부분인 센터 페시아의 일부분이 가림으로 미미하게나마 못 볼 수 있는 부위가 생길 수 있어 지지대 내면에 레이져커팅으로 일부분 장공의 투시구를 파 가려지는 부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앞 차단판 지지대(22)는 절곡 및 벤딩으로 가공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수석 하부 앞 차단판 고정지지대(22)는 조수석 하부앞 차단판(21)과 같이 폴리카보네이트로 할 수 있다. 혹시나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어지는 보호판에 부착되는 지지대의 약한 부위는 일정부위를 스틸로 된 평철이나 환봉으로 구성된 지지대를 부분 연결 지지대나 덧 부착 지지대(68)로 만들어 부분적으로 연결 및 덧 부착시켜, 다수의 고정구멍이 형성된 덧 부착 지지대(68)에, 리벳팅이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체결하여 지지대의 비용절약과 지지력의 버팀 강도를 높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택시 운전자 보호판(100)을 조립할 때에 연결부위는 고정수단(용접, 볼트/너트, 리벳이음, 나사, 접착제 등)로 고정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택시운전자 보호판은 선택 방법에 따라 만약에 운전자가 아주 위험에 쳐 해있을 때는 운전자 후방 상부차단판과 조수석 상부차단판 아래면에 고휘도 램프인 할로겐 램프나 LED램프 등으로 다수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휘도의 램프설치방법은 단수나 복수의 램프를 일면이 반사판이 부착된 램프는 유리나 투명플라스틱 등으로 쉬워진 램프 앞 커버(예; 일자로 뻗은 직사각형, 반원형 등)를 만들고 뒤커버는 반사판이 내장된 금속 등으로 만들어 운전자반대방향으로 빛이 비치게 구성하며, 고정부재로 설치하며 가능한 손님이 바로 안보이게 설치하는 게 좋다. 전기선은 자동차 밧데리에서 나오는 전력으로 배선을 연결하면 되고 스위치 On/Off 방식으로 하며, 운전석 앞자리 대시보드 밑에 스위치를 설치하면 좋다. 혹시 있을 수 있는 위해나 상해를 상대가 램프 등이 설치?을 알아도 눈이 부셔 아무 짓도 못한다 할 수 있다.
또한 고휘도 램프는 운전석이나 운전석 천장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운전자 보호판으로 인해 상대의 눈에 나타나지 않아도 보호판 등의 반사 빛으로 인해 효과가 나타남으로 어디든 좋다 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운전자 보호판의 상기 고정수단으로 본 발명의 택시 운전자 보호판은 다른 공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조립된 상태로 삽입만 하면되니 가장 이상적이며 견고하고 빠르게 간단하게 아무나 설치/탈거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특허등록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수 있다.

Claims (8)

  1. 변속레버커버 및 콘솔박스외부에 삽입하는 하부 앞차단판 및 하부 앞차단판지지대와 운전석 등받이에 장착하는 후방 상부차단판과 후방 하부차단판을 형성시키고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후방 상부차단판은 대략우측으로 휘어진 90도 원형, 또는 135도 135도 두 번 꺾어서 연장하게 되고, 계란크기 이상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빛 흡수구가 형성된 전방으로 향한 우측 상부면을 차단하는 조수석 상부차단판; 및
    상기 후방 하부차단판에서 운전석을 끼고 직각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 향한 조수석 하부차단판 및 덧부착 차단판;
    상기 후방 상부차단판에 부착된 "T"형지지대에 보강프레임이 내장되어 헤드레스트 고정봉으로 삽입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후방 하부차단판에 부착된 낚싯바늘 걸이대와 걸이대 받침판을 운전석 등받이시트 밑에 삽입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후방 상, 하 차단판 배면에 쿠션재가 부착되는 안전수단 및 택시운전자 보호판 가장자리에 고무 테두리가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안전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후방 상부차단판에 부착시키는 보강프레임이 내장된"T"형 지지대, 후방 상, 하부차단판을 고정시키는 연결부, 하부 앞차단판과 하부 앞차단판지지대를 고정시키는 볼트구와 지지대볼트구, 상기 하부앞차단판 지지대와 후미에 연결되는 레일지지대에 팝너트 구멍과 장공의 볼트구, 후방 하부차단판을 연결시키는 낚싯바늘 걸이대의 연결구, 상기 고정시키는 연결부위를 고정시키는 볼트/너트, 리벳팅 등 고정부재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안전수단 및 안전부재를 포함하여 설치할 수 있는 택시운전자 보호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앞차단판은 손 하나가 들락날락 할 수 있는 핸드 유동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운전자 보호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 상, 하부차단판과 조수석 상, 하부차단판은 위에서 보면 부분적인 면이
    Figure pat00021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운전자 보호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 하부차단판은 후방 상부차단 판보다 연결부위 면이 더 높게 돋아나고 돋아난 부위에 손걸이 쿠션재가 부착된 것이 특징인 택시운전자 보호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앞차단판 지지대는 평철이나 환봉으로 구성되며, 단독 또는 서로 복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택시운전자 보호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앞 차단판지지대는 폴리카보네이트판으로 사용하거나 평철이나 환봉중 어느 하나나 둘 이상을 부분적으로 복합시켜 사용하거나 전체를 복합해 만들어 지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택시 운전자 보호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수석 상부차단판을 고정시키는 레일지지대는 단일이나 복수 또는 일부분 부분적으로 만들어 질수 있으며, 이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택시운전자 보호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 상부차단판과 조수석 상부차단 판에 안전부재인 고휘도 램프를 일자로 뻗은 직사각형이나 반원형 등의 형상을 단수나 복수로 하여 부분적 부착하는 것이 특징인 택시운전자 보호판.
KR1020160050961A 2016-04-26 2016-04-26 택시 운전자 보호판 KR20160060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961A KR20160060612A (ko) 2016-04-26 2016-04-26 택시 운전자 보호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961A KR20160060612A (ko) 2016-04-26 2016-04-26 택시 운전자 보호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612A true KR20160060612A (ko) 2016-05-30

Family

ID=57124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961A KR20160060612A (ko) 2016-04-26 2016-04-26 택시 운전자 보호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06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853B1 (ko) 2018-08-20 2020-01-13 김성욱 운전자 보호 격벽
KR20200092638A (ko) * 2019-01-25 2020-08-04 최중용 자동차 운전석 보호격벽
KR102344315B1 (ko) * 2021-08-06 2021-12-29 주식회사 흥진캐노피 차량용 방범 겸용 비말 차단 패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853B1 (ko) 2018-08-20 2020-01-13 김성욱 운전자 보호 격벽
KR20200092638A (ko) * 2019-01-25 2020-08-04 최중용 자동차 운전석 보호격벽
KR102344315B1 (ko) * 2021-08-06 2021-12-29 주식회사 흥진캐노피 차량용 방범 겸용 비말 차단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370B2 (en) Vehicle barrier
CN209955805U (zh) 车辆座椅总成及车辆
KR20160060612A (ko) 택시 운전자 보호판
US9061569B2 (en) Door for recreational off-highway vehicle
US7178874B2 (en) Lateral head restraint system
US20060082196A1 (en) Two-stage protective car seat cover for child and infant safety chairs
US8573664B2 (en) Pet barrier and cover
US2626163A (en) Safety crash pad for vehicles
US20090256374A1 (en) Collapsible armrest for a vehicle door
RU2648929C2 (ru) Подлокотник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5556162A (en) Child seat protection device
CN109843642A (zh) 儿童安全座椅
RU72663U1 (ru) Подголовник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TWM481861U (zh) 機車多功能靠背架兼座墊防護罩
KR20150068339A (ko) 택시 운전자 보호판
US6739634B1 (en) Gel-air impact bumper and retractable impact spoiler with attached impact hood shield
US20130213588A1 (en) Partitioning device
US20110266825A1 (en) Attachable Vehicle Sun Visor for Improved Sun Blockage
KR200470507Y1 (ko) 택시 운전석 보호막
KR20080025112A (ko) 원터치 자동차용 보호커버
US11702154B2 (en) Work vehicle
US20020031414A1 (en) Safety net arrangement for a bunk in a truck cab
JP2009161088A (ja)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シールド
KR20140001093U (ko) 투명고무판이 부착된 운전자 보호판
WO2013134837A2 (pt) Estrutura curvilínea integr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