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931A -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 및 기존 우수받이의 개량 방법 - Google Patents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 및 기존 우수받이의 개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931A
KR20160059931A KR1020150033483A KR20150033483A KR20160059931A KR 20160059931 A KR20160059931 A KR 20160059931A KR 1020150033483 A KR1020150033483 A KR 1020150033483A KR 20150033483 A KR20150033483 A KR 20150033483A KR 20160059931 A KR20160059931 A KR 20160059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filtration apparatus
modular
fil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식
Original Assignee
(주)에코플러스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플러스,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코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3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9931A/ko
Publication of KR20160059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6Upward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화된 상향식 여과장치,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 및 기존 우수받이의 개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및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는 여과장치의 외곽을 이루며 하단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형성되는 강우유출수 유입구와, 상기 강우유출수 유입구의 전후 측에 형성되는 제1 수평유로와, 상기 강우유출수 유입구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전후 단부가 상기 제1 수평유로의 좌우 양단에 연통되는 제2 수평유로가 구비된 여과장치 본체와;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전후 측 내부에 삽입되어 상단 개방부가 제1 수평유로에 연통되는 상향유로관과;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향유로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여재박스와; 상기 여재박스의 상, 하단 개방부에 복개되는 여과망과; 상기 여재박스의 내부에 충전되는 여재와; 상기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좌우 측 내부에 삽입되어 상단 개방부가 제2 수평유로 연통되는 하향유로관과; 상기 상향유로관을 여과장치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상향유로관 결합수단; 및 상기 하향유로관을 여과장치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하향유로관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우수로부터 협잡물 및 비점오염물질의 여과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협잡물과 비점오염물질이 여과된 우수를 지하로 침투시킴으로써 지하수를 확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우수받이 본체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성요소를 모듈화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를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기존 우수받이 개량 방법은 비점오염물질은 제거하지 못하고 협잡물만 여과하여 방류수계와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기존 우수받이를 간편하게 개량하여 우수로부터 협잡물 및 비점오염물질의 여과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협잡물과 비점오염물질이 여과된 우수를 지하로 침투시킴으로써 지하수를 확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우수받이 본체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성요소를 모듈화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를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 및 기존 우수받이의 개량 방법{MODULARIZED UPWARD FILTER AND INFILTRATION TRENCH AND IMPROVEMENT METHOD EXISTING INFILTRATION TRENCH USING THEM}
본 발명은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 및 기존 우수받이의 개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우수로부터 협잡물 및 비점오염물질의 여과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협잡물과 비점오염물질이 여과된 우수를 지하로 침투시킴으로써 지하수를 확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우수받이 본체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성요소를 모듈화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를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 및 기존 우수받이의 개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수받이는 우수가 합류식 하수관거를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도록 집수하는 장치로서 주로 도로 변에 설치되어 도로를 따라 흐르는 우수를 집수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우수받이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와 함체의 상부에 복개되는 덮개로 구성되며,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이 덮개의 거름살이나 거름망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우수받이는 덮개의 거름살 간격이나 거름망의 망목보다 작은 협잡물은 우수와 함께 함체 내부로 유입되어 하수관거를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므로 하수관거가 이물질에 의해 폐색될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처리장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전처리 시설을 필요로 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종래의 우수받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1109호(2006.11.07 등록)는 상면이 개방된 우수받이 본체와 우수받이 본체의 상면 개방부를 복개하며 거름살을 가지는 덮개로 구성되는 우수받이의 기본 구성에 더하여,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받이 본체의 양측 선후단부에 걸이홈을 형성하고, 걸이홈에 거름장치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덮개의 거름살 간격보다 큰 협잡물은 덮개의 거름살에 의하여 걸러지고, 덮개의 거름살 간격보다 작은 협잡물은 우수와 함께 우수받이 본체로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우수와 함께 우수받이 본체로 유입된 협잡물과 비점오염물질을 거름장치에 의하여 여과하여 협잡물이 하수관거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는 협잡물을 거르는 하향 구조를 가지는 거름장치가 망체, 거름바구니, 필터, 거름통 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거름장치에 협잡물이 쌓이게 되고, 쌓여 있는 협잡물에 강우유출수 중의 비점오염물질이 섞이면서 부패되어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거름장치를 구성하는 침전조, 거름바구니, 필터, 거름통, 배수관 등이 개별적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처음 설치작업시 그리고 유지보수 작업시 우수받이 본체에 대한 거름장치의 장착과 탈거가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우수받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9953호(2005.08.17. 등록)는 상면이 개방된 우수받이 본체와 우수받이 본체의 상면 개방부를 복개하며 거름살을 가지는 덮개로 구성되는 우수받이의 기본 구성에 더하여, 덮개의 하부에 침사조를 설치하고, 우수받이 본체의 측벽 및 저면부에 우수받이 본체로 집수된 빗물이 지하로 스며들 수 있는 물배출공이 형성되어 우수받이 본체로 집수된 물은 일부가 물배출공을 통해 지하로 스며들어 지하수로 활용될 수 있게 되고, 하수관으로 배출되는 빗물의 양을 저감시켜 하수 처리 성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우수침투용 우수받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우수침투용 우수받이는 침사조가 단순히 거름바구니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선행기술의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에서와 마찬가지로 침사조에 협잡물이 쌓이게 되고, 쌓여 있는 협잡물에 강우유출수 중의 비점오염물질이 섞이면서 부패되어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수받이 본체에 바닥과 벽체에 형성된 물배출공을 통하여 협잡물이 걸러진 우수가 지하로 침투하도록 하고 있으나, 침사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협잡물을 걸러지나 강우유출수 중의 비점오염물질은 거의 제거되지 않고 그대로 물배출공을 통해 우수와 함께 지하로 침투하게 되기 때문에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기본적인 우수받이와 선행기술의 우수받이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협잡물 및 비점오염물질의 여과성능을 향상시키고,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수받이의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되고, 기존 우수받이를 간편하게 개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우수받이의 연구와 개발을 진행하여 왔으며, 그 결과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1109호(2006.11.07 등록)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9953호(2005.08.17. 등록) "우수침투용 우수받이"
지금까지 도로에 설치되는 우수받이 및 주택단지 등에 설치되는 집수정은 강우 시 빗물을 차집하여 방류하는 순수 배수목적으로만 이용되어 왔다. 이와 같이 도로 및 도심지에 설치된 우수받이 및 집수정을 활용하여 빗물침투 및 비점오염원을 저감시킬 수 있다면 다른 저감시설 대비 경제성과 효율성이 탁월할 것으로 사료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종래 개시되지 않았던 입체적인 형태를 개시하여 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우수받이 및 집수정뿐만 아니라 신규로 설치되는 시설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한 모듈화된 침투형 집수정을 개발하여 부지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빗물침투를 유도하고자 한다. 또한, 모듈화된 여과장치는 탈부착이 가능한 상향식 여과장치로 개발하여 강우 시 부유물질로 인한 폐색을 지연시키고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서 항상 최상의 지속가능한 시설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로부터 협잡물 및 비점오염물질의 여과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 및 기존 우수받이의 개량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협잡물과 비점오염물질이 여과된 우수를 지하로 침투시킴으로써 지하수를 확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 및 기존 우수받이의 개량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받이 본체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성요소를 모듈화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를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 및 기존 우수받이의 개량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여과장치의 외곽을 이루며 하단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형성되는 강우유출수 유입구와, 상기 강우유출수 유입구의 전후 측에 형성되는 제1 수평유로와, 상기 강우유출수 유입구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전후 단부가 상기 제1 수평유로의 좌우 양단에 연통되는 제2 수평유로가 구비된 여과장치 본체와;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전후 측 내부에 삽입되어 상단 개방부가 제1 수평유로에 연통되는 상향유로관과;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향유로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여재박스와; 상기 여재박스의 상, 하단 개방부에 복개되는 여과망과; 상기 여재박스의 내부에 충전되는 여재와; 상기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좌우 측 내부에 삽입되어 상단 개방부가 제2 수평유로 연통되는 하향유로관과; 상기 상향유로관을 여과장치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상향유로관 결합수단; 및 상기 하향유로관을 여과장치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하향유로관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여과장치 본체는 전후 외벽체와 전후 내벽체와, 상기 전후 외벽체의 양측 단부와 전후 내벽체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좌우 외벽체와 좌우 내벽체와, 상기 전후 외벽체와 전후 내벽체와 좌우 외벽체 및 좌우 내벽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강우유출수 유입구가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향유로관 결합수단에 의하여 여과장치 본체에 결합되는 상기 상향유로관은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전후 외벽체와 전후 내벽체 및 좌우 외벽체에 대응하는 전후 외벽체와 전후 내벽체 및 좌우 벽체에 의하여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여재박스가 삽입되며 상단 개방부가 제1 수평유로에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여재박스는 상기 상향유로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상향유로관의 전후 외벽체와 전후 내벽체 및 좌우 벽체에 대응하는 전후 외벽체와 전후 내벽체 및 좌우 벽체에 의하여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향유로관과 여재박스는 상단이 수평으로 절취되고 하단은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절취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단 여과망이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하단 여과망의 여과면적이 넓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여재박스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향유로관의 상단에 걸리는 걸림편이 형성된다.
상기 상향유로관의 전후 외벽체는 그 하단이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전후 외벽체의 하단에 일치하도록 하향 연장된다.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상판에는 여과장치 본체와 이에 결합되는 상향유로관, 여재박스, 여과망, 여재 및 하향유로관으로 이루어지는 여과장치 전체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손잡이가 구비된다.
상기 하향유로관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기 여과장치 본체에 결합되는 상기 하향유로관은 상기 상향유로관의 전후 내벽체에 대응하는 전후 벽체와,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좌우 외벽체와 좌우 내벽체에 대응하는 좌우 외벽체와 좌우 내벽체에 의하여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개방부가 상기 제2 수평유로에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향유로관 결합수단은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전후 내벽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향유로관의 전후 내벽체가 걸리는 걸림편과,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전후 외벽체와 걸림편에 형성된 걸림공과, 상기 상향유로관의 전후 외벽체의 상단에 한 쌍의 노치에 의하여 형성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 상단의 전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상단에서 전후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안내면과, 상기 경사안내면의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향유로관 결합수단은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좌우 내벽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향유로관의 좌우 내벽체가 걸리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에 형성되는 걸림공과, 상기 하향유로관의 좌우 외벽체와 좌우 내벽체 상단에 한 쌍의 노치에 의하여 형성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 상단의 좌우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상단에서 좌우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안내면과 상기 경사안내면의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구성된다.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상판의 좌우방향 일측 상부에 돌출 설치되어 여과장치 본체 내에 유입된 강우유출수의 수위가 여과장치 본체의 상단 높이보다 더 높게 상승한 경우 월류시키는 월류위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월류위어의 내부에 형성되며 하단과 좌우방향 일측 단부가 개방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상판의 좌우방향 일측에 형성된 연통공을 통하여 제2 수평유로(P2)에 연통되는 여과처리수 월류통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터파기 홈의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벽체에 의하여 상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우수받이 본체와, 상기 우수받이 본체를 여과장치 수납실과 집수실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여과장치 수납실에 수납되어 상기 바닥판에 안착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와; 상기 바닥판의 여과장치 수납실 측에 구비되어 상기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에 의해 여과처리된 여과처리수가 지하로 침투되도록 하기 위한 지하침투수단; 및 상기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여과장치 수납실 내에 유입되어 수위가 상기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의 상단보다 높게 상승한 우수가 상기 집수실로 월류하도록 하는 월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를 제공한다.
상기 지하침투수단은 바닥판의 여과장치 수납실 측에 형성되는 지하침투공으로 구성된다.
상기 월류수단은 상기 격벽에 형성된 월류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월류공은 하단이 상기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의 상판의 높이와 일치하는 높이로 설치된다.
상기 우수받이 본체의 상단 개방부에 복개되는 우수받이 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우수받이 덮개는 상기 여과장치 수납실 상단 개방부를 복개하며 우수가 통과할 수 있는 투수부와, 상기 집수실 상단 개방부를 복개하며 우수를 차단하는 우수차단부를 포함하여 우수가 집수실로는 직접 유입되지 않고 여과장치 수납실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수부는 사각틀과 사각틀에 용접되는 격자살로 구성되고, 우수차단부는 사각틀과 사각틀에 용접되는 차단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바닥판과 벽체로 구성되는 기존 우수받이 본체의 바닥판에 상기 하향유로관의 하단에 대응하는 지하침투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존 우수받이 본체의 내부에 격벽을 설치하여 여과장치 수납실과 집수실로 구획하는 단계와; 상기 여과장치 수납실에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한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수납하여 바닥판에 안착하는 단계; 및 기존 우수받이의 상단에 우수받이 덮개를 복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기존 우수받이 개량 방법을 제공한다.
기존에 개발된 대부분의 침투형 집수정은 하향식 처리 시스템으로 여재층 공극 막힘 현상의 주기가 매우 짧아 빗물침투 및 오염원저감에 비효율적이다. 또한 강우 시 여재층이 부유물질로 쌓일 경우 유지관리가 어렵고 유지관리 빈도가 빈번하여 비용이 높아짐에 따라 비경제적이다. 기존에 설치된 우수받이 및 집수정을 일반 침투형 집수정으로 교체할 경우 넓은 부지 확보와 지장물로 인해 난공사가 예상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종래 개시되지 않았던 독특한 수로를 형성하는 입체적인 형태(형상, shape)를 개시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인 상향식 여과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침투형 집수정을 도심지 도로 및 주택단지 등에 설치할 경우 강우 시 표면유출량 저감, 비점오염원 저감, 지하수 기저유량 확보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침투형 집수정에 전처리조를 설치하여 하부토양의 공극 막힘과 지하수 오염을 최소화해 주고 바이패스를 통해 원래 배수목적에도 부합하도록 개발되었다. 탈부착이 가능한 모듈화된 상향식 여과장치를 전처리조로 활용하면 여재층의 공극 막힘의 주기가 길어지고 유지관리 빈도가 줄어 향후 영구적인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우수받이 및 집수정에도 모듈화된 여과장치를 삽입시킴으로서 빗물침투 및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을 쉽고 빠르게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상향식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는 여과장치의 외곽을 이루며 하단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형성되는 강우유출수 유입구와, 상기 강우유출수 유입구의 전후 측에 형성되는 제1 수평유로와, 상기 강우유출수 유입구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전후 단부가 상기 제1 수평유로의 좌우 양단에 연통되는 제2 수평유로가 구비된 여과장치 본체와;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전후 측 내부에 삽입되어 상단 개방부가 제1 수평유로에 연통되는 상향유로관과;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향유로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여재박스와; 상기 여재박스의 상, 하단 개방부에 복개되는 여과망과; 상기 여재박스의 내부에 충전되는 여재와; 상기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좌우 측 내부에 삽입되어 상단 개방부가 제2 수평유로 연통되는 하향유로관과; 상기 상향유로관을 여과장치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상향유로관 결합수단; 및 상기 하향유로관을 여과장치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하향유로관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우수로부터 협잡물 및 비점오염물질의 여과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협잡물과 비점오염물질이 여과된 우수를 지하로 침투시킴으로써 지하수를 확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우수받이 본체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성요소를 모듈화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를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기존 우수받이 개량 방법은 비점오염물질은 제거하지 못하고 협잡물만 여과하여 방류수계와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기존 우수받이를 간편하게 개량하여 우수로부터 협잡물 및 비점오염물질의 여과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협잡물과 비점오염물질이 여과된 우수를 지하로 침투시킴으로써 지하수를 확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우수받이 본체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성요소를 모듈화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를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분해 사시도,
도 2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의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부 확대도,
도 5는 종단정면도,
도 6은 종단측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7은 분해 사시도,
도 8은 부분 절개 사시도,
도 9는 종단 정면도,
도 10은 종단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2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종단 정면도
도 14는 종단 측면도이며,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5는 분해 사시도,
도 16은 종단 정면도,
도 17은 종단 측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기존 우수받이 개량 방법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공정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기존 우수받이 개량 방법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 및 기존 우수받이의 개량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는, 여과장치(100)의 외곽을 이루며 하단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형성되는 강우유출수 유입구(P)와, 상기 강우유출수 유입구(P)의 전후 측에 형성되는 제1 수평유로(P1)와, 상기 강우유출수 유입구(P)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전후 단부가 상기 제1 수평유로(P1)의 좌우 양단에 연통되는 제2 수평유로(P2)가 구비된 여과장치 본체(110)와;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여과장치 본체(110)의 전후 측 내부에 삽입되어 상단 개방부가 제1 수평유로(P1)에 연통되는 상향유로관(120)과;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향유로관(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여재박스(130)와; 상기 여재박스(130)의 상, 하단 개방부에 복개되는 여과망(141, 142)과; 상기 여재박스(130)의 내부에 충전되는 여재(150)와; 상기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여과장치 본체(110)의 좌우 측 내부에 삽입되어 상단 개방부가 제2 수평유로(P2)에 연통되는 하향유로관(160)과; 상기 상향유로관(120)을 여과장치 본체(110)에 결합하기 위한 상향유로관 결합수단(170); 및 상기 하향유로관(160)을 여과장치 본체(110)에 결합하기 위한 하향유로관 결합수단(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여과장치 본체(110)와 상향유로관(120)과 여재박스(130)와 하향유로관(160)은 강판이나 내약품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성형할 수 있으며, 강판으로 성형하고 표면에 내약품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수지로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여과장치 본체(110)는 전후 외벽체(111)와 전후 내벽체(112)와, 상기 전후 외벽체(111)의 양측 단부와 전후 내벽체(112)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좌우 외벽체(113)와 좌우 내벽체(114)와, 상기 전후 외벽체(111)와 전후 내벽체(112)와 좌우 외벽체(113) 및 좌우 내벽체(114)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강우유출수 유입구(P)가 형성된 상판(11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평유로(P1)는 상기 상판(115)의 하부와 전후 외벽체(111)의 상단부 및 전후 내벽체(112)의 상단부 사이에 하방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수평유로(P2)는 상기 상판(115)의 하부와 좌우 외벽체(113)의 상단부 및 좌우 내벽체(114)의 상단부 사이에 하방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여과장치 본체(110)의 상판(115)에는 여과장치 본체(110)와 이에 결합되는 상향유로관(120), 여재박스(130), 여과망(141, 142), 여재(150) 및 하향유로관(160)으로 이루어지는 여과장치(100) 전체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손잡이(116)가 구비된다.
상기 운반손잡이(116)는 상기 상판(115)에 고정되는 손잡이 고정구(117)와, 상기 손잡이 고정구(117)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손잡이(118)로 구성되어 여과장치(100) 전체를 들어 올리거나 운반할 때는 손잡이(118)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우고, 보관하거나 여과장치(100)를 우수받이 등에 설치한 후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눕혀둘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향유로관(120)은 상기 여과장치 본체(110)의 전후 외벽체(111)와 전후 내벽체(112) 및 좌우 외벽체(113)에 대응하는 전후 외벽체(121)와 전후 내벽체(122) 및 좌우 벽체(123)에 의하여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개방부가 제1 수평유로(P1)에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향유로관(120)의 전후방향 바깥쪽 벽체는 그 하단이 상기 여과장치 본체(110)의 전후 외벽체(111)의 하단에 일치하도록 하향 연장하여 여과장치가 설치되는 우수받이 등의 바닥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재박스(130)는 상기 상향유로관(120)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상향유로관(120)의 전후 외벽체(121)와 전후 내벽체(122) 및 좌우 벽체(123)에 대응하는 전후 외벽체(131)와 전후 내벽체(132) 및 좌우 벽체(133)에 의하여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향유로관(120)과 여재박스(130)는 상단이 수평으로 절취되고 하단은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절취된 박스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하단 여과망(142)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하단 여과망(142)의 여과면적이 넓게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재박스(13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향유로관(120)의 상단에 걸리는 걸림편(134)이 형성된다.
상기 여과망(141, 142)은 설계상 여과하고자 하는 협잡물을 거를 수 있는 망목을 가지는 금속망 또는 합성수지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여과망(141, 142)을 여재박스(130)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여재박스(130)를 금속재질로 형성한 경우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절취, 절곡되는 고정편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여재박스(130)를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성형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돌기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적인 망 고정 방식의 하나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여재(150)는 통상적인 모래, 자갈이나 우드칩(wood chip)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재(150)는 하층으로부터 하부 자갈층, 모래층, 상부 자갈층 및 우트칩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여재(150)가 여재박스(130) 내에 적층됨과 아울러 여재박스(130)의 상, 하단에 여과망(141, 142)이 복개되어 있으므로 여재박스(130)와 여과망(141, 142) 및 여재(150)가 하나의 여재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향유로관(160)은 상기 상향유로관(120)의 전후 내벽체(122)에 대응하는 전후 벽체(161)와, 상기 여과장치 본체(110)의 좌우 외벽체(113)와 좌우 내벽체(114)에 대응하는 좌우 외벽체(162)와 좌우 내벽체(163)에 의하여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개방부가 상기 제2 수평유로(P2)에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향유로관(160)의 하단은 여과장치 본체(110)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침투식 우수받이 내에 설치하였을 때 하향유로관(160)의 하단이 침투식 우수받이의 침투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향유로관(160)은 상단과 하단이 모두 수평으로 절취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은 여과장치가 설치되는 우수받이 등의 바닥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향유로관 결합수단(170)은 상기 여과장치 본체(110)의 전후 내벽체(112)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향유로관(120)의 전후 내벽체(122)가 걸리는 걸림편(171)과, 상기 여과장치 본체(110)의 전후 외벽체(111)와 걸림편(171)에 형성된 걸림공(172)과, 상기 상향유로관(120)의 전후 외벽체(121)의 상단에 한 쌍의 노치(notch) (173)에 의하여 형성되는 탄성편(174)과, 상기 탄성편(174) 상단의 전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상단에서 전후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안내면(175)과, 상기 경사안내면(175)의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걸림턱(176)로 구성된다.
상기 하향유로관 결합수단(180)은 상기 여과장치 본체(110)의 좌우 내벽체(114)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향유로관(160)의 좌우 내벽체(162)가 걸리는 걸림편(181)과, 상기 걸림편(181)에 형성되는 걸림공(182)과, 상기 하향유로관(160)의 좌우 외벽체(162)와 좌우 내벽체(163) 상단에 한 쌍의 노치(183)에 의하여 형성되는 탄성편(184)과, 상기 탄성편(184) 상단의 좌우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상단에서 좌우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안내면(185)과 상기 경사안내면(185)의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걸림턱(186)로 구성된다.
상기 여과장치 본체(110)에 대한 상향유로관(120)의 결합은 상향유로관(120)을 여과장치 본체(110)의 하단 개방부의 전후방 측에서 여과장치 본체(110)의 전후 외벽체(111)와 전후 내벽체(112) 및 좌우 외벽체(113) 사이로 삽입하여 상향유로관(120)이 상향유로관 결합수단(170)에 의하여 여과장치 본체(11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상향유로관 결합수단(170)의 경사안내면(175)이 여과장치 본체(110)의 전후 외벽체(111)와 걸림편(171)에 의해 눌리게 되어 탄성편(174)이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경사안내면(175)과 걸림턱(176)이 여과장치 본체(110)의 전후 외벽체(111)와 걸림편(171)로부터 후퇴한 상태로 삽입되고, 경사안내면(175)이 걸림편(171)에 형성된 걸림공(172)에 일치하게 되면, 휘어져 있던 탄성편(174)이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경사면(175)은 걸림공(172) 내에 위치하게 되고 걸림턱(176)이 걸림공(172)의 하단 가장자리에 걸리게 되어 상향유로관(120)이 여과장치 본체(11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여과장치 본체(110)에 대하여 상향유로관(120)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걸림공(172)에 삽입되어 있는 경사안내면(175)을 여과장치 본체(110)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누르면 걸림공(172)에 걸려 있는 걸림턱(176)이 이탈되며, 이 상태에서 하향유로관(120)을 밑으로 당기면 상향유로관(120)을 여과장치 본체(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여과장치 본체(110)에 대한 하향유로관(160)의 결합은 하향유로관(160)을 여과장치 본체(110)의 하단 개방부의 좌우 측방에서 여과장치 본체(110)의 좌우 내벽체(113)와 상향유로관(120)의 전후 내벽체(122) 사이로 삽입하여 하향유로관(160)이 하향유로관 결합수단(180)에 의하여 여과장치 본체(11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하향유로관 결합수단(180)의 경사안내면(175)이 여과장치 본체(110)의 좌우 외벽체(113)와 걸림편(181)에 의해 눌리게 되어 탄성편(174)이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경사안내면(185)과 걸림턱(186)이 여과장치 본체(110)의 좌우 외벽체(113)와 걸림편(181)로부터 후퇴한 상태로 삽입되고, 경사안내면(185)이 걸림편(181)에 형성된 걸림공(182)에 일치하게 되면, 휘어져 있던 탄성편(184)이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경사면(185)은 걸림공(182) 내에 위치하게 되고, 걸림턱(186)이 걸림공(182)의 하단 가장자리에 걸리게 되어 하향유로관(160)이 여과장치 본체(11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여과장치 본체(110)에 대하여 하향유로관(160)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걸림공(182)에 삽입되어 있는 경사안내면(185)을 여과장치 본체(110)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누르면 걸림공(182)에 걸려 있는 걸림턱(186)이 이탈되며, 이 상태에서 상향유로관(160)을 밑으로 당기면 상향유로관(160)을 여과장치 본체(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여과장치(100)는 도로 변이나 광장, 운동장, 공원, 주차장 등에 설치되는 우수받이 등에 삽입 설치하여 유입되는 강우유출수 중의 협잡물과 비점오염물질을 여과처리하여 합류식 하수관거 등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함으로써 하수처리장의 처리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처리수를 방류수계로 배출함으로써 방류수계의 오렴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로 등을 따라 흐르는 우수는 여과장치 본체(110)의 상판(115)에 형성된 강우유출수 유입구(P)를 통해 여과장치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다.
여과장치 본체(110)의 내부에는 전후 측에 상향유로관(120)이, 좌우측에 하향유로관(16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강우유출수 유입구(P)로 유입된 전후 측 상향유로관(120)과 좌우 측 하향유도관(16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입된다.
여과장치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상향유로관(120)의 하단 개방부를 통해 상향유동하게 되는데, 상향유로관(120)의 내부에는 여재박스(130)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향유동 초기에는 여재박스(130)의 하단에 복개된 여과망(142)을 통과하면서 협잡물이 여과된다.
여과망(142)을 통과하여 상향 유동하는 우수는 여재박스(130) 내에 적재된 여재(150)와 접촉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강우유출수 중에 혼합되어 있는 미세 협잡물과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된다.
미세 협잡물과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된 여과처리수는 최종적으로 여재박스(130)의 상단에 복개된 여과망(141)을 통과하여 여과장치 본체(110)의 제1 수평유로(P1)로 유입되어 양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제1 수평유로(P1) 내에서 양측으로 유동하는 여과처리수는 제1 수평유로(P1)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수평유로(P2)로 유입된다.
제2 수평유로(P2)로 유입된 여과처리수는 제2 수평유로(P2)의 하부에 연통되어 있는 하향유로관(160)로 유입되어 하향유동하게 된다.
하향유로관(160)을 하향 유동한 여과처리수는 합류식 하수관거 등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거나 방류수계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하향유로관(160)의 하부에 지하침투공을 구비함으로써 여과처리수가 지하로 침투하여 지하수를 확충하는 데에 기여하게 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는, 상기 여과장치 본체(110) 내에 유입된 강우유출수의 수위가 여과장치 본체(110)의 상단 높이보다 더 높게 상승한 경우 월류시키는 월류위어(Weir)(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월류위어(190)는 전후방향 양단이 여과장치 본체(110)의 전후 외벽체(111)에 대응하는 위치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월류위어(190)의 내부에는 상향유로관(160) 내의 여과처리수의 수위가 상판(115)보다 상승한 경우에 여과처리수를 월류시키기 위한 여과처리수 월류통로(19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여과처리수 월류통로(191)는 월류위어(190)의 내부에 형성되며 하단과 좌우방향 일측 단부가 개방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여과처리수 월류통로(191)의 하단은 상기 상판(115)의 좌우방향 일측에 형성된 연통공(192)을 통하여 일측 제2 수평유로(P2)에 연통된다.
강우량이 적은 강우초기의 강우유출수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유입, 여과, 침투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시간 당 강우량이 많은 중기 이후 강우 시에는, 강우유출수 유입구(P)를 통하여 여과장치 본체(110) 내로 유입되는 강우유출수의 수량이 하향유로관(160)을 통하여 지하로 침투하는 여과처리수의 수량보다 증가하게 되면, 여과처리수 모두가 미처 지하로 침투하지 못하여 하향유로관(160)의 여과처리수의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하향유로관(160) 내에서 여과장치 본체(110)의 상판(115) 높이보다 상승한 여과처리수는 상판(115)에 형성된 연통공(192)을 통하여 여과처리수 월류통로(191)를 통하여 월류된다.
또한 강우량이 더욱 증가하면, 여과장치 본체(110)에 유입되는 강우유출수의 수위가 월류위어(190)의 높이보다 상승하게 된다.
월류위어(190)의 높이보다 상승한 강우유출수는 월류위어(190)를 월류하게 된다.
여과처리수 월류통로(191)를 월류한 여과처리수와 월류위어(190)를 월류한 강우유출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가 설치되는 우수받이 등에 따라 방류수계로 방류되거나 집수정에 집수될 수 있다.
또한 강우초기의 강우유출수에는 비점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량이 여과처리된 후 지하로 침투되므로 지하수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강우중기 이후의 강우유출수에는 비점오염물질이 미량 포함되어 있는바, 여과처리되지 않고 월류하여 방류되더라도 방류수계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116) 중 하나는 상판(115) 상에 설치하고, 다른 하나는 월류위어(190)의 상에 설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는, 상기 하단 여과망(142)을 상, 하 이중으로 구성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 여과망(142)은 상대적으로 망목이 작은 하단 상부 여과망(142a)과 상대적으로 망목이 큰 하단 하부 여과망(142b)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목이 작은 하단 상부 여과망(142a)은 여재박스(130) 내에 적층되는 여재(150)를 잡아주는 기능을 하게 되며, 망목이 큰 하단 하부 여과망(142b)은 여과장치 본체(110)에 유입되어 상향 유동하는 강우유출수 중의 협잡물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단 상부 여과망(142a)과 하단 하부 여과망(142b)은 모두 금속선재를 엮어서 된 금속망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하단 하부 여과망(142b)은 협잡물에 의하여 망목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판재를 타공하여 형성되는 가아드부(guard portion)(142c)와, 상기 가아드부(142c)의 일측에 형성되는 망목(142d)을 가지는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체의 흐름과 반대 방향에 망목을 형성하여 망목의 폐색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는, 상기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와 우수받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 1에 따른 여과장치가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우수받이(200)는 터파기 홈(G)의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211)과 바닥판(21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벽체(212)에 의하여 상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는 우수받이 본체(210)와, 상기 우수받이 본체(210)를 여과장치 수납실(C1)과 집수실(C2)로 구획하는 격벽(220)을 포함한다.
상기 우수받이 본체(210)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며, 현장타설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설치하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예에서는 바닥판(211)과 벽체(212) 및 격벽을 일체로 형성한 예를 들고 있으나, 바닥판(211)과 벽체(212)를 별도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격벽(220)은 우수받이 본체(21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우수받이 본체(210)와는 별도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우수받이 본체(210)에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우수받이 본체(210)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지반을 굴착하여 터파기 홈(G)을 형성하고, 터파기 홈(G)의 바닥에 우수받이 본체(210)를 안착시킨다.
이때, 터파기 홈(G)에 잡석층(230)을 깔고 다진 다음, 잡석층(230) 위에 바닥판(211)이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에 의해 여과처리된 여과처리수의 지하침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바닥판(211)에는 여과장치 수납실(C1) 측에 지하침투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지하침투수단은 바닥판(211)의 여과장치 수납실(C1) 측에 형성되는 지하침투공(2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하침투공(240)은 여과장치 수납실(C1)에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를 설치하였을 때, 상기 하향유로관(160)의 하단과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여과장치 수납실(C1)과 집수실(C2) 사이에는 여과장치 수납실(C1) 내에 유입된 우수의 수위가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의 상판(115) 높이보다 상승하였을 때 우수를 집수실(C2)로 월류시키기 위한 월류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월류수단은 상기 격벽(220)에 형성된 월류공(2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월류공(250)은 하단이 상기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의 상판(115)의 높이와 일치하는 높이로 설치된다.
상기 여과장치 수납실(C1)에는 상기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가 수납되며, 집수실(C2)에는 집수된 우수를 방류수계로 방류하기 위한 방류관(260)이 설치된다.
상기 여과장치 수납실(C1)에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를 수납함에 있어서는 상, 하단에 여과망(141, 142)이 복개되고 내부에 여재(150)가 충전된 여재박스(120)가 상향유로관(120) 내에 삽입되어 상단에 형성된 걸림편(134)이 상향유로관(120)의 상단에 걸려 있으며, 상향유로관(120)과 하향유로관(160)은 상향유로관 결합수단(170)에 의하여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 전체를 하나의 모듈로서 여과장치 수납실(C1)에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향유로관(160)의 하단은 여과장치 본체(110)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하침투공(240)에 하향유로관(160)의 하단이 삽입된다.
여과장치 수납실(C1)에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를 수납함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여과장치 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116)를 세워서 잡고 들어서 수납할 수 있으며,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를 여과장치 수납실(C1)에 수납한 상태에서는 손잡이(116)를 눕혀 둘 수 있다.
유지관리를 위하여 여과장치 수납실(C1)에 수납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를 인출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다시 손잡이(116)를 세워서 잡고 들어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 전체를 한꺼번에 인출할 수 있다.
여과장치 수납실(C1)에서 인출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는 여과장치 본체(110)로부터 하향유로관(120)과 하향유로관(160)을 상술한 방법으로 분리하고, 하향유로관(120)에 삽입된 여재박스(130)를 인출하며, 여재박스(130)의 상, 하단에 복개되어 있는 여과망(141, 142)을 탈거하고, 여재((150)를 인출하여 세척하거나 교체할 수 있으며, 분리시와 역순으로 결합하여 여과장치 수납실(C1)에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여과장치 수납실(C1)에 수납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는 상기 상향유동관(120)의 전후 외벽체(121)의 하단이 여과장치 본체(100)의 전후 외벽체(111)와 좌우 외벽체(113)의 하단과 함께 바닥판(211A)에 안착되어 여과장치(100)가 여과장치 수납실(C1)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는 상기 우수받이 본체(210)의 상단 개방부에 복개되는 우수받이 덮개(2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우수받이 덮개(270)는 상기 여과장치 수납실(C1)의 상단 개방부를 복개하며 우수가 통과할 수 있는 투수부(271)와, 상기 집수실(C2)의 상단 개방부를 복개하며 우수를 차단하는 우수차단부(274)를 포함하여 우수가 집수실(C1)로는 직접 유입되지 않고 여과장치 수납실(C1)로 유입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투수부(271)는 사각틀(272)과 사각틀(272)에 용접되는 격자살(273)로 구성되고, 우수차단부(274)는 사각틀(275)과 사각틀(275)에 용접되는 차단판(276)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각틀(272, 275)과 격자살(273)은 앵글 형강이나 띠강판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차단판(276)은 강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각틀(272, 275)은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여과장치 수납실(C1) 내의 여과장치(100)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과 집수실(C2)에 대한 청소작업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에 의하여 우수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200)가 설치된 주변의 도로 등을 따라 흐르는 우수는 우수받이 덮개(270)의 투수부(271)를 통하여 여과장치 수납실(C1)로 유입된다. 이때 우수는 집수실(C2)을 복개하는 우수차단부(274)의 차단판(276)에 의하여 차단되어 집수실(C2)로 직접 유입되지 않게 된다.
투수부(271)를 통하여 여과장치 수납실(C1)로 유입되는 강우유출수 중에 혼합된 비교적 큰 협잡물은 투수부(271)의 격자살(273)에 의하여 걸러진다.
여과장치 수납실(C1)로 유입된 우수는 여과장치(100)의 강우유출수 유입구(P)를 통해 여과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여과장치 본체(110)의 내부에는 전후 측에 상향유로관(120)이, 좌우측에 하향유로관(16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강우유출수 유입구(P)로 유입된 전후 측 상향유로관(120)과 좌우 측 하향유도관(16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입된다.
여과장치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상향유로관(120)의 하단 개방부를 통해 상향유동하게 되는데, 상향유로관(120)의 내부에는 여재박스(130)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향유동 초기에는 여재박스(130)의 하단에 복개된 여과망(142)을 통과하면서 협잡물이 여과된다.
여과망(142)을 통과하여 상향 유동하는 우수는 여재박스(130) 내에 적재된 여재(150)와 접촉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강우유출수 중에 혼합되어 있는 미세 협잡물과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된다.
미세 협잡물과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된 여과처리수는 최종적으로 여재박스(130)의 상단에 복개된 여과망(141)을 통과하여 여과장치 본체(110)의 제1 수평유로(P1)로 유입되어 양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제1 수평유로(P1) 내에서 양측으로 유동하는 여과처리수는 제1 수평유로(P1)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수평유로(P2)로 유입된다.
제2 수평유로(P2)로 유입된 여과처리수는 제2 수평유로(P2)의 하부에 연통되어 있는 하향유로관(160)로 유입되어 하향유동하게 된다.
하향유로관(160)을 하향 유동한 여과처리수는 바닥판(211)에 형성된 지하침투공(240)을 통해 지하로 침투하여 지하수를 확충하는 데에 기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하로 침투되는 여과처리수는 여과망(142)과 여재(150)에 의하여 여과처리된 것이고, 지하로 침투한 여과처리수는 지하의 자연정화 능력에 의하여 자연 정화되므로 지하수가 오염되는 일이 없게 된다.
시간 당 강우량이 적은 초기 강우 시에는 여과장치 수납실(C1)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량이 적으므로 상술한 여과처리 및 지하침투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시간 당 강우량이 많은 중기 이후 강우 시에는 여과장치 수납실(C1)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량이 증가하여 여과장치(100)에 의한 처리 및 지하침투공(240)을 통한 지하침투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유입된 우수의 일부에 대해서는 상술한 여과장치(100)에 의한 여과처리와 지하침투공(240)을 통한 지하침투가 이루어지지만, 유입된 우수의 나머지는 여과장치(100)와 여과장치 수납실(C1)에 차오르게 된다.
여과장치 수납실(C1) 내의 우수의 수위가 여과장치(100)의 상판(115) 높이보다 상승하면, 월류수단, 즉 격벽(220)에 형성된 월류공(250)을 통하여 월류하여 집수실(C2)로 유입되고 집수된다.
집수실(C2)에 집수된 우수는 방류관(260)을 통하여 방류수계로 방류된다.
여기서 중기 이후 강우 시에 여과장치 수납실(C1)로 유입되는 강우유출수 중에는 초기 강우 시에 비하여 비점오염물질이 매우 적으므로 유입되는 우수가 여과처리되지 않고 집수실(C2)에 집수되어 방류수계로 방류되더라도 방류수계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는 상술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 2에 따른 여과장치가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200)는 상기 월류수단을 상기 여과장치(100)의 일측 제2 수평유로(P2)의 상부에 연통되는 월류관(1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월류관(190)을 제2 수평유로(P2)에 연통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판(115)에는 연통공(19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여과장치 수납실(C1)과 집수실(C2)을 구획하는 격벽(220A)을 우수받이 본체(210)의 전체 높이로 형성하지 않고 여과장치(100)의 상판(115) 높이로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여과처리 과정과 지하침투 과정과 월류 및 방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시간 당 강우량이 적은 초기 강우 시에는 여과장치 수납실(C1)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량이 적으므로 상술한 여과처리 및 지하침투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시간 당 강우량이 많은 중기 이후 강우 시에는 여과장치 수납실(C1)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량이 증가하여 여과장치(100)에 의한 처리 및 지하침투공(240)을 통한 지하침투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유입된 우수의 일부에 대해서는 상술한 여과장치(100)에 의한 여과처리와 지하침투공(240)을 통한 지하침투가 이루어지지만, 유입된 우수의 나머지는 여과장치(100)와 여과장치 수납실(C1)에 차오르게 된다.
이때, 강우유출수 유입구(P)를 통하여 여과장치 본체(110) 내로 유입되는 강우유출수의 수량이 하향유로관(160)을 통하여 지하로 침투하는 여과처리수의 수량보다 증가하게 되면, 여과처리수 모두가 미처 지하로 침투하지 못하여 하향유로관(160)의 여과처리수의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하향유로관(160) 내에서 여과장치 본체(110)의 상판(115) 높이보다 상승한 여과처리수는 상판(115)에 형성된 연통공(192)을 통하여 여과처리수 월류통로(191)를 통하여 월류된다.
또한 강우량이 더욱 증가하면, 여과장치 본체(110)에 유입되는 강우유출수의 수위가 월류위어(190)의 높이보다 상승하게 된다.
월류위어(190)의 높이보다 상승한 강우유출수는 월류위어(190)를 월류하게 된다.
여과처리수 월류통로(191)를 월류한 여과처리수와 월류위어(190)를 월류한 강우유출수는 집수실(C2)로 유입되어 집수된다.
집수실(C2)에 집수된 우수는 방류관(260)을 통하여 방류수계로 방류된다.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기존 우수받이 개량 방법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기존 우수받이 개량 방법은 바닥판(211A)과 벽체(212A)로 구성되는 기존 우수받이 본체(210A)에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기존 우수받이 개량 방법은 기존 우수받이 본체(210A)의 바닥판(211A)에 상기 하향유로관(160)의 하단에 대응하는 지하침투공(240A)을 형성하는 단계[도 18의 (a)(b) 참조]와; 상기 기존 우수받이 본체(210A)의 내부에 월류공(250)을 가지는 격벽(220A)을 설치하여 여과장치 수납실(C1)과 집수실(C2)로 구획하는 단계[도 18의 (c) 참조]와; 상기 여과장치 수납실(C1)에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를 수납하여 바닥판(211A)에 안착하는 단계[도 18의 (d) 참조] 및 기존 우수받이(200A)의 상단에 우수받이 덮개(270)를 복개하는 단계[도 18의 (e)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하침투공(240A)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할 수 있는 천공장비를 사용한다.
상기 격벽(220A)은 강판이나 합성수지판 또는 콘크리트 패널로 구성할 수 있으며, 기존 우수받이 본체(210A)의 바닥판(211A)과 벽체(212A)에 앵글 형강 등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여과장치 수납실(C1)에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를 수납하여 바닥판(211A)에 안착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상향유동관(120)의 전후 외벽체(121)의 하단이 여과장치 본체(100)의 전후 외벽체(111)와 좌우 외벽체(113)의 하단과 함께 바닥판(211A)에 안착되어 여과장치(100)가 여과장치 수납실(C1)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기존 우수받이 개량 방법에 의하여 개량된 우수받이(200)는 상술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와 동일한 우수에 대한 여과처리 과정과 여과처리수의 지하 침투 과정과 우수의 월류 및 집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우수에 대한 여과처리 과정은 상술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의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과처리수의 지하 침투 과정에서는 여과처리수가 하향유로관(160)을 통해 하향 유동하여 기존 우수받이 본체(210A)의 바닥판(211A)에 새로 형성된 지하침투공(240A)을 통하여 지하로 침투된다.
우수의 월류 및 집수 과정에서는 여과장치 수납실(C1)에서 여과장치(100)의 상판(115)보다 높게 상승한 우수가 격벽(220)에 형성된 월류공(250)을 통하여 월류되어 집수실(C2)에 집수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기존 우수받이 개량 방법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바닥판(211A)과 벽체(212A)로 구성되는 기존 우수받이 본체(210A)에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제2 실시예의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의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여과장치 수납실(C1)과 집수실(C2)을 구획하는 격벽(220A)이 여과장치(100)의 상판(115) 높이로 형성되며, 격벽(220A) 상에 월류위어(190)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하침투공(240A)을 형성하는 단계[도 19의 (a)(b) 참조]와, 여과장치 수납실(C1)에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100)를 수납하여 바닥판(211A)에 안착하는 단계[도 19의 (d) 참조] 및 기존 우수받이(200A)의 상단에 우수받이 덮개(270)를 복개하는 단계[도 19의 (e) 참조]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기존 우수받이 개량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 의하여 개량된 우수받이(200)에 의하여 여과처리 과정과 지하침투 고정은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기존 우수받이 개량 방법의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우수의 월류 및 집수 과정에서는 여과장치 수납실(C1)에서 여과장치(100)의 상판(115)보다 높게 상승한 우수가 격벽(220A)의 상단부를 월류하여 집수실(C2)에 집수된다.
시간 당 강우량이 적은 초기 강우 시에는 여과장치 수납실(C1)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량이 적으므로 상술한 여과처리 및 지하침투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시간 당 강우량이 많은 중기 이후 강우 시에는 여과장치 수납실(C1)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량이 증가하여 여과장치(100)에 의한 처리 및 지하침투공(240)을 통한 지하침투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유입된 우수의 일부에 대해서는 상술한 여과장치(100)에 의한 여과처리와 지하침투공(240)을 통한 지하침투가 이루어지지만, 유입된 우수의 나머지는 여과장치(100)와 여과장치 수납실(C1)에 차오르게 된다.
이때, 강우유출수 유입구(P)를 통하여 여과장치 본체(110) 내로 유입되는 강우유출수의 수량이 하향유로관(160)을 통하여 지하로 침투하는 여과처리수의 수량보다 증가하게 되면, 여과처리수 모두가 미처 지하로 침투하지 못하여 하향유로관(160)의 여과처리수의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하향유로관(160) 내에서 여과장치 본체(110)의 상판(115) 높이보다 상승한 여과처리수는 상판(115)에 형성된 연통공(192)을 통하여 여과처리수 월류통로(191)를 통하여 월류된다.
또한 강우량이 더욱 증가하면, 여과장치 본체(110)에 유입되는 강우유출수의 수위가 월류위어(190)의 높이보다 상승하게 된다.
월류위어(190)의 높이보다 상승한 강우유출수는 월류위어(190)를 월류하게 된다.
여과처리수 월류통로(191)를 월류한 여과처리수와 월류위어(190)를 월류한 강우유출수는 집수실(C2)로 유입되어 집수된다.
집수실(C2)에 집수된 우수는 방류관(260)을 통하여 방류수계로 방류된다.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110 : 여과장치 본체
P : 강우유출수 유입구
P1, P2 : 제1 및 제2 수평유로
120 : 상향유로관
130 : 여재박스
141, 142 : 여과망
150 : 여재
160 : 하향유로관
170 : 상향유로관 결합수단
180 : 하향유로관 여과수단
190 : 월류관
200 : 우수받이
200A : 기존 우수받이
210 : 우수받이 본체
220, 220A : 격벽
230 : 잡석층
250 : 월류공
252 : 월류관
260 : 방류관
270 : 우수받이 덮개

Claims (19)

  1. 상단에 강우유출수 유입구;
    상기 강우유출수 유입구로 유입된 강우유출수가 위 방향으로 흐르는 상향유로관;
    상기 상향유로관 내부에 위치하는 여재박스;
    상기 상향유로관과 연통되어 상기 강우유출수가 수평으로 흐르는 수평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상향식 여과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 본체는 전후 외벽체와 전후 내벽체와, 상기 전후 외벽체의 양측 단부와 전후 내벽체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좌우 외벽체와 좌우 내벽체와, 상기 전후 외벽체와 전후 내벽체와 좌우 외벽체 및 좌우 내벽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강우유출수 유입구가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향유로관 결합수단에 의하여 여과장치 본체에 결합되는 상기 상향유로관은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전후 외벽체와 전후 내벽체 및 좌우 외벽체에 대응하는 전후 외벽체와 전후 내벽체 및 좌우 벽체에 의하여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여재박스가 삽입되며 상단 개방부가 제1 수평유로에 연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박스는 상기 상향유로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상향유로관의 전후 외벽체와 전후 내벽체 및 좌우 벽체에 대응하는 전후 외벽체와 전후 내벽체 및 좌우 벽체에 의하여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향유로관과 여재박스는 상단은 수평으로 절취되고 하단은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절취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단 여과망이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하단 여과망의 여과면적이 넓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여과망은 하단 상부 여과망과 하단 하부 여과망을 포함하여 이중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상부 여과망의 망목이 하단 하부 여과망의 망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상부 여과망은 금속선재를 엮어서 된 금속망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단 하부 여과망은 금속판재를 타공하여 형성되는 가아드부와, 상기 가아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망목이 유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박스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향유로관의 상단에 걸리는 걸림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유로관의 전후 외벽체는 그 하단이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전후 외벽체의 하단에 일치하도록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상판에는 여과장치 본체와 이에 결합되는 상향유로관, 여재박스, 여과망, 여재 및 하향유로관으로 이루어지는 여과장치 전체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손잡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유로관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기 여과장치 본체에 결합되는 상기 하향유로관은 상기 상향유로관의 전후 내벽체에 대응하는 전후 벽체와,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좌우 외벽체와 좌우 내벽체에 대응하는 좌우 외벽체와 좌우 내벽체에 의하여 상, 하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개방부가 상기 제2 수평유로에 연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유로관 결합수단은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전후 내벽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향유로관의 전후 내벽체가 걸리는 걸림편과,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전후 외벽체와 걸림편에 형성된 걸림공과, 상기 상향유로관의 전후 외벽체의 상단에 한 쌍의 노치에 의하여 형성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 상단의 전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상단에서 전후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안내면과, 상기 경사안내면의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유로관 결합수단은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좌우 내벽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향유로관의 좌우 내벽체가 걸리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에 형성되는 걸림공과, 상기 하향유로관의 좌우 외벽체와 좌우 내벽체 상단에 한 쌍의 노치에 의하여 형성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 상단의 좌우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상단에서 좌우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안내면과 상기 경사안내면의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1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 본체의 상판의 좌우방향 일측 상부에 돌출 설치되어 여과장치 본체 내에 유입된 강우유출수의 수위가 여과장치 본체의 상단 높이보다 더 높게 상승한 경우 월류시키는 월류위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월류위어의 내부에 형성되며 하단과 좌우방향 일측 단부가 개방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상판의 좌우방향 일측에 형성된 연통공을 통하여 제2 수평유로(P2)에 연통되는 여과처리수 월류통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14. 터파기 홈의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벽체에 의하여 상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우수받이 본체와,
    상기 우수받이 본체를 여과장치 수납실과 집수실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여과장치 수납실에 수납되어 상기 바닥판에 안착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와;
    상기 바닥판의 여과장치 수납실 측에 구비되어 상기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에 의해 여과처리된 여과처리수가 지하로 침투되도록 하기 위한 지하침투수단; 및
    상기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여과장치 수납실 내에 유입되어 수위가 상기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의 상단보다 높게 상승한 우수가 상기 집수실로 월류하도록 하는 월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침투수단은 바닥판의 여과장치 수납실 측에 형성되는 지하침투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수단은 상기 격벽에 형성된 월류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월류공은 하단이 상기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의 상판의 높이와 일치하는 높이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받이 본체의 상단 개방부에 복개되는 우수받이 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우수받이 덮개는 상기 여과장치 수납실 상단 개방부를 복개하며 우수가 통과할 수 있는 투수부와, 상기 집수실 상단 개방부를 복개하며 우수를 차단하는 우수차단부를 포함하여 우수가 집수실로는 직접 유입되지 않고 여과장치 수납실로 유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부는 사각틀과 사각틀에 용접되는 격자살로 구성되고, 우수차단부는 사각틀과 사각틀에 용접되는 차단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침투식 우수받이.
  19. 바닥판과 벽체로 구성되는 기존 우수받이 본체의 바닥판에 상기 하향유로관의 하단에 대응하는 지하침투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존 우수받이 본체의 내부에 격벽을 설치하여 여과장치 수납실과 집수실로 구획하는 단계와;
    상기 여과장치 수납실에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한에 따른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수납하여 바닥판에 안착하는 단계; 및
    기존 우수받이의 상단에 우수받이 덮개를 복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기존 우수받이 개량 방법.
KR1020150033483A 2015-03-10 2015-03-10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 및 기존 우수받이의 개량 방법 KR20160059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483A KR20160059931A (ko) 2015-03-10 2015-03-10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 및 기존 우수받이의 개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483A KR20160059931A (ko) 2015-03-10 2015-03-10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 및 기존 우수받이의 개량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782A Division KR101547903B1 (ko) 2014-11-19 2014-11-19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 및 기존 우수받이의 개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931A true KR20160059931A (ko) 2016-05-27

Family

ID=5610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483A KR20160059931A (ko) 2015-03-10 2015-03-10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 및 기존 우수받이의 개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99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3231A (zh) * 2019-01-31 2019-04-12 吴时福 一种渗透式饮用水净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3231A (zh) * 2019-01-31 2019-04-12 吴时福 一种渗透式饮用水净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845B1 (ko) 침투 여과통 부착을 통한 투수성능 및 투수지속성 증대로 초기우수처리 및 지하수 함양효과를 극대화시킨 침투형 빗물받이
KR100854314B1 (ko) 초기우수 처리시설
JP2001507091A (ja) 総汚染物質濾過装置
KR20100008787A (ko)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KR20160071050A (ko) 빗물받이에 장착되어 비점오염원 제거 및 악취 및 침수예방이 가능한 여과형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747899B1 (ko) 지반침투겸용 빗물받이 및 이를 구비한 보도연계형 빗물받이 구조물
KR100597203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KR20180071063A (ko) 집수식 투수블록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KR101582931B1 (ko)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1547903B1 (ko)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 및 기존 우수받이의 개량 방법
JP4445168B2 (ja) 雨水浸透システム
KR20160059931A (ko) 모듈화된 일체형 상향식 여과장치, 이를 이용한 침투형 우수받이 및 기존 우수받이의 개량 방법
KR100429768B1 (ko)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976853B1 (ko) 집수정
JP2006322148A (ja) 雨水の地下貯留浸透施設
KR100750645B1 (ko) 다기능 우수받이
KR101027931B1 (ko) 집수구용 그레이팅
KR101411476B1 (ko)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
JP2009074285A (ja) 雨水貯留浸透施設への雨水供給配管構造
KR20160027786A (ko) 도로상의 각종 오염물과 초기우수를 분리수집하여 하천오염을 예방하는 다기능빗물받이
KR20100059750A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0978238B1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JP2779113B2 (ja) 雨水桝
JP3271745B2 (ja) 防臭装置を備えた雨水浸透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