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668A - 건설기계의 캐빈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캐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668A
KR20160059668A KR1020140161435A KR20140161435A KR20160059668A KR 20160059668 A KR20160059668 A KR 20160059668A KR 1020140161435 A KR1020140161435 A KR 1020140161435A KR 20140161435 A KR20140161435 A KR 20140161435A KR 20160059668 A KR20160059668 A KR 20160059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glass
opening
construction machine
cab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556B1 (ko
Inventor
이태경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1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556B1/ko
Priority to CN201520921589.9U priority patent/CN205130881U/zh
Publication of KR20160059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60J1/04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건설기계의 캐빈은 건설기계의 상부 선회체에 설치되며 전방에 개구부를 갖는 캐빈 프레임, 개구부의 상부를 커버하며 개구부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하여 캐빈 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글래스, 및 개구부의 하부를 커버하며 캐빈 프레임의 전방과 천정 사이에서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글래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캐빈{CABIN FOR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캐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개방 가능하도록 설치된 전방 글래스를 갖는 건설기계의 캐빈에 관한 것이다.
건설기계는 작업 중 보다 원활한 시계 확보를 위하여 캐빈 전방에 설치된 글래스를 개방할 수 있고, 캐빈 전방 글래스 개방 시에 캐빈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캐빈 전방 상부에는 레인 쉴드를 구비한다.
그런데, 캐빈 전방 글래스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직접 캐빈의 천정까지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많은 힘이 필요하고, 캐빈 내부가 좁아 운전자와의 충돌 위험이 있다. 또한, 레인 쉴드는 캐빈 전방 글래스 개방 시에만 필요한 구조물로서, 항상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작업 안전을 해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방 글래스를 개방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캐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방 글래스 개방 시에 캐빈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건설기계의 캐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기계의 캐빈은 건설기계의 상부 선회체에 설치되며 전방에 개구부를 갖는 캐빈 프레임, 상기 개구부의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캐빈 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글래스, 및 상기 개구부의 하부를 커버하며 상기 캐빈 프레임의 전방과 천정 사이에서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의 캐빈은 상기 캐빈 프레임과 상기 제1 글래스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글래스를 회전시켜 상기 개구부의 상단을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가스 스프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래스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글래스의 전방 단부는 상기 캐빈 프레임의 전면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래스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글래스의 전방 단부는 상기 캐빈 프레임의 저면으로부터 작업자의 눈높이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글래스들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의 캐빈은 상기 캐빈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캐빈 프레임의 전방과 천정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글래스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2 글래스를 상기 캐빈 프레임의 천정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의 캐빈은 상기 캐빈 프레임 외부에 상기 개구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글래스 및 상기 캐빈 프레임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의 캐빈은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2 글래스 아래를 커버하며, 상기 캐빈 프레임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3 글래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기계의 캐빈은 개방되는 전방 글래스의 크기를 줄여 운전자가 손쉽게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전방 글래스 개방 시 운전자와의 충돌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 글래스 상부에 접이식 레인 쉴드를 설치하여, 전방 글래스 개방 시에만 선택적으로 레인 쉴드를 전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기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설기계의 캐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내지 제3 글래스들을 모두 개방시킨 상태의 건설기계의 캐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캐빈 내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캐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제2 글래스를 개방하여 캐빈 천정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제1 글래스를 개방시킨 캐빈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기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설기계의 캐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내지 제3 글래스들을 모두 개방시킨 상태의 건설기계의 캐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건설기계(10)는 상부 선회체(20), 하부 주행체(30)및 캐빈(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선회체(20)는 엔진, 붐, 암, 버킷, 각종 유압 실린더 및 카운터 웨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선회체(20)는 하부 주행체(30) 상에 탑재되며, 지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회전하여 작업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기 붐, 상기 암 및 상기 버킷을 작동시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하여 작업 중인 건설기계(10)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하부 주행체(30)는 상부 선회체(20) 및 캐빈(40)을 지지하고, 상기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건설기계(10)를 주행시킬 수 있다.
캐빈(40)은 상부 선회체(20)에 설치되며, 내부에 운전자가 탑승하여 건설기계(10)를 조종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캐빈(40) 측면에 설치된 도어(120)를 통해 캐빈(40) 내부로 출입할 수 있고, 캐빈(40) 전방에 설치된 제1 내지 제3 글래스들(200, 300, 400)을 통해 외부를 조망할 수 있다. 또한, 캐빈(40) 내부에는 상부 선회체(20) 및 하부 주행체(30)를 조종하기 위한 각종 조종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캐빈(40)은 전방에 개구부(110)를 갖는 캐빈 프레임(100), 개구부(110)를 커버하도록 개구부(1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1, 제2 및 제3 글래스들(200, 300, 400), 및 제1 글래스(200)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캐빈 프레임(110) 외부에 설치되는 덮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캐빈 프레임(100)은 전방에 제1, 제2 및 제3 글래스들(200, 300, 400)에 의해 커버되는 개구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10)의 상부는 제1 글래스(2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개구부(110)의 하부는 제2 글래스(3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2 글래스(300) 하부에 제3 글래스(400)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개구부(110)는 제1, 제2 및 제3 글래스들(200, 300, 400)에 의해 완전히 커버됨으로써 캐빈(40) 내부의 운전자를 비나 바람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캐빈(40) 내부의 운전자는 개구부(110)에 설치된 제1, 제2 및 제3 글래스들(200, 300, 400)을 통해 외부를 조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내지 제3 글래스들은 빛의 투과가 가능한 유리 또는 아크릴 등일 수 있다.
운전자는 캐빈(40) 내부에 설치된 의자(도시되지 않음)에 착석하여 건설기계를 조종할 수 있으며, 이 때 캐빈(40)의 전방에 설치된 제1 내지 제3 글래스들(200, 300, 400)을 통하여 작업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작업 조건에 따라서는 캐빈(40) 내부에서 운전자가 시계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운전자는 건설기계(10)로부터 하차하지 않고도 제1 내지 제3 글래스들(200, 300, 400)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개방함으로써 개구부(110)를 통해 손쉽게 작업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글래스(300)는 캐빈 프레임(110)의 전방과 천정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운전자는 필요에 따라 제2 글래스(300)를 캐빈 프레임(100)의 전방으로부터 분리하여 캐빈(40)의 천정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개구부(11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캐빈(40)의 천정까지 이동한 제2 글래스(3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330, 도 4 참조) 및 걸림핀(360, 도 4 참조)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캐빈(40)의 천정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건설기계(10)의 캐빈(40)은 제2 글래스(300) 하부에 제3 글래스(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글래스(400)는 개구부(11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고, 캐빈(4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는 제2 글래스(300)에 힘을 가하여 캐빈(40) 내부의 천정까지 들어올려야 한다. 제2 글래스(300)가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제2 글래스(300)를 들어올리기 위해 많은 힘이 필요하고, 내릴 때에는 하중 때문에 가속도가 붙어 파손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시계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글래스(300)를 분할하여 캐빈(40) 천정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제3 글래스(400)를 설정함으로써, 제2 글래스(3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제1 글래스(200)는 개구부(110) 상부에 구비된 회전축(210, 도 4 참조)에 대하여 회전하여 캐빈 프레임(100)의 외측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글래스(200)는 개방 시에 레인 쉴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글래스를 개방하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캐빈 내부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1 글래스를 상기 캐빈 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개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캐빈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10)를 개방시키면서도 캐빈(40)의 천정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는 제1 글래스(200)를 제2 글래스(300) 상부에 설정함으로써, 제2 글래스(3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건설기계(10)의 캐빈(40)은 캐빈 프레임(100) 외부의 개구부(110)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글래스(200)는 상부에 회전축(21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축(210)과 캐빈 프레임(100)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도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500)는 회전축(210) 및 제1 글래스(200)의 상부 일부를 커버함으로써 캐빈 프레임(100) 내부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덮개부는 고무, 플라스틱 등일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캐빈 내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캐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글래스(200)의 상부에는 양단이 캐빈 프레임(100)에 힌지 결합된 회전축(21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글래스(200)의 내측에는 개폐 부재(220)가 결합될 수 있다. 개폐 부재(220)의 일단은 캐빈 프레임(100)의 내부 측벽에 힌지 결합되고, 개폐 부재(220)의 타단은 제1 글래스(2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폐 부재는 가스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개폐 부재(220)는 내부에 가스를 수용하는 실린더(222), 실린더(222) 내부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224), 및 실린더(222)에 힘을 가하여 피스톤(224)을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제1 손잡이(2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린더(222) 내부에 형성된 가스 압력에 의해 제1 글래스(20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억압부가 캐빈 프레임(100)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억압부는 상기 제1 손잡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갈고리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제2 글래스(300)는 제1 글래스(200)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글래스(300)의 내측 상단에는 상부 롤러(310)가 구비되고, 제2 글래스(300)의 내측 하단에는 하부 롤러(3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롤러(310) 및 하부 롤러(320)는 각각 캐빈 프레임(10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350)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롤러(310)는 가이드 레일(350)에서 캐빈(40)의 개구부(110)를 향하여 돌출된 고정부(352)에 수용될 수 있고, 하부 롤러(320)는 가이드 레일(350)의 이동부(354) 최하단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글래스(300)는 내측에 결합부(330) 및 제2 손잡이(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30)는 캐빈(40)의 천정에서 걸림핀(360)과 결합하여 제2 글래스(3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손잡이(340)는 제2 글래스(300)에 고정되며, 운전자가 제2 글래스(300)를 캐빈(40)의 천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50)은 캐빈 프레임(100)의 내부 양쪽 측벽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50)은 제2 글래스(300)의 상부 롤러(3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52), 및 상부 롤러(310) 및 하부 롤러(320)를 캐빈(40)의 천정까지 안내하기 위한 이동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350)은 걸림핀(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핀(360)은 가이드 레일(350) 하부에 설치되며, 결합부(330)와 결합함으로써 캐빈(40)의 천정에 제2 글래스(3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3 글래스(400)는 제2 글래스(300) 하단에 설치되며, 개구부(11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덮개부(500)는 캐빈 프레임(100) 외부의 개구부(110) 상부에 설치되며, 제1 글래스(200)의 상부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제2 글래스를 개방하여 캐빈 천정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제2 글래스(300)를 캐빈(40)의 내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개구부(110)를 개방시킨다.
제2 글래스(300)의 상단은 제1 글래스(200)의 하단과 맞닿아 있으므로, 운전자는 제2 글래스(300)에 설치된 제2 손잡이(340)를 캐빈(40)의 내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제2 글래스(300)의 상단이 제1 글래스(200)의 하단과 이격되도록 제2 글래스(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글래스(300)는 하부 롤러(320)를 중심으로 캐빈(40)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부 롤러(310)는 고정부(352)를 이탈하여 이동부(354)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글래스(300)가 커버하고 있던 캐빈 프레임(100) 전방의 개구부(110)가 개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350)을 따라 제2 글래스(300)를 캐빈(40)의 천정까지 이동시킨다.
운전자는 제2 손잡이(340)에 힘을 가하여 제2 글래스(300)를 캐빈(40)의 천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부 롤러(310) 및 하부 롤러(320)는 가이드 레일(350)의 이동부(354)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글래스(300)를 캐빈(40) 천정에 고정시킨다.
제2 글래스(300)가 캐빈(40)의 천정에 도달한 이후에, 운전자는 제2 손잡이(340)에 계속 힘을 가하여 결합부(330)를 걸림핀(360)이 설치된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결합부(330)는 걸림핀(360)과 결합함으로써 제2 글래스(300)를 캐빈(40)의 천정에 고정시킬 수 있고, 개구부(11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설기계(10)가 외부의 충격을 받더라도 제2 글래스(300)가 가이드 레일(350)을 따라 캐빈(40)의 전방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제1 글래스를 개방시킨 캐빈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운전자는 개폐 부재(220)를 이용하여 제1 글래스(200)를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개구부(110)의 상단을 개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손잡이(226)에 캐빈(40)의 외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피스톤(224)이 전진하면서 개폐 부재(22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그런데, 개폐 부재(220)의 일단은 캐빈 프레임(10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제1 글래스(200)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피스톤(224)의 전진에 따라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캐빈(40)의 외측 방향으로 제1 글래스(200)를 회전시키려는 모멘트가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모멘트에 의해 제1 글래스(200)는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개구부(110)의 상단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글래스(20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1 글래스(200)의 하중에 의해 제1 글래스(200)가 닫히려는 힘과 실린더(222) 내부의 가스 압력에 의해 제1 글래스(200)를 개방시키려는 힘이 평형을 이루게 되므로, 제1 글래스(200)는 다시 닫히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글래스(200)의 상부를 덮개부(500)가 커버하고 있으므로, 제1 글래스(20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제1 글래스(200)의 회전축(210) 및 캐빈 프레임(100) 사이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글래스(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 글래스(200)의 전방 단부(B)는 캐빈 프레임(100)의 전면(P1)보다 x축 방향으로 x1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제2 및 제3 글래스들(300, 400)이 제거되어 개구부(110)가 개방되면 빗물이 개구부(110)를 통해 캐빈(4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제1 글래스(200)를 캐빈(40)의 외측 방향으로 개방함으로써 캐빈(40) 내부로의 빗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글래스(200)는 전방 단부(B)가 적어도 캐빈 프레임(100)의 전면(P1)보다 더 돌출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글래스(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 글래스(200)의 전방 단부(B)는 캐빈 프레임(100)의 저면(P2)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작업자의 눈높이(S)보다 y1만큼 더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캐빈(40) 내부의 운전자는 개구부(110)를 통하여 외부의 작업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1 글래스(200)는 운전자의 시계를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빗물이 제1 글래스(200)의 표면을 따라 흐르게 되므로, 운전자의 시계를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글래스(200)는 전방 단부(B)가 캐빈 프레임(100)의 저면(P2)을 기준으로 적어도 운전자의 눈높이(S)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및 제2 글래스들(200, 300)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글래스와 결합되는 상기 제1 글래스의 일단이 ㄱ 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글래스와 결합되는 상기 제2 글래스의 일단이 ㄴ 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글래스들(200, 30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도 제1 및 제2 글래스들(200, 300)이 결합되는 부위를 통해 캐빈(40)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글래스들(200, 300)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경우에, 개폐 시에 서로 간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제2 글래스(300)는 완충 부재(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완충 부재는 고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기계의 캐빈(40)은 캐빈(40)의 천정에 고정되는 제2 글래스(300)의 크기를 줄여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제2 글래스(300)를 캐빈(40)의 천정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제2 글래스(300) 이동시에 운전자와의 충돌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접이식 레인 쉴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1 글래스(200)를 제2 글래스(300)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제2 글래스(300) 개방 시에만 제1 글래스(200)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건설기계 20: 상부 선회체
30: 하부 주행체 40: 캐빈
100: 캐빈 프레임 110: 개구부
120: 도어 200: 제1 글래스
210: 회전축 220: 개폐 부재
222: 실린더 224: 피스톤
226: 제1 손잡이 300: 제2 글래스
310: 상부 롤러 320: 하부 롤러
330: 결합부 340: 제2 손잡이
350: 가이드 레일 360: 걸림핀
352: 고정부 354: 이동부
370: 완충 부재 400: 제3 글래스
500: 덮개부 O: 기준점
P1: 캐빈 프레임의 전면 P2: 캐빈 프레임의 저면
B: 제1 글래스의 전방 단부 S: 운전자의 눈높이

Claims (10)

  1. 건설기계의 상부 선회체에 설치되며, 전방에 개구부를 갖는 캐빈 프레임;
    상기 개구부의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캐빈 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글래스; 및
    상기 개구부의 하부를 커버하며, 상기 캐빈 프레임의 전방과 천정 사이에서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글래스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캐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과 상기 제1 글래스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글래스를 회전시켜 상기 개구부의 상단을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캐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가스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캐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래스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글래스의 전방 단부는 상기 캐빈 프레임의 전면보다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캐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글래스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글래스의 전방 단부는 상기 캐빈 프레임의 저면으로부터 작업자의 눈높이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캐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글래스들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캐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캐빈 프레임의 전방과 천정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글래스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캐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2 글래스를 상기 캐빈 프레임의 천정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캐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 외부의 상기 개구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글래스 및 상기 캐빈 프레임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캐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2 글래스 아래를 커버하며, 상기 캐빈 프레임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3 글래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캐빈.
KR1020140161435A 2014-11-19 2014-11-19 건설기계의 캐빈 KR102327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435A KR102327556B1 (ko) 2014-11-19 2014-11-19 건설기계의 캐빈
CN201520921589.9U CN205130881U (zh) 2014-11-19 2015-11-18 建筑机械的驾驶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435A KR102327556B1 (ko) 2014-11-19 2014-11-19 건설기계의 캐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668A true KR20160059668A (ko) 2016-05-27
KR102327556B1 KR102327556B1 (ko) 2021-11-17

Family

ID=5561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435A KR102327556B1 (ko) 2014-11-19 2014-11-19 건설기계의 캐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7556B1 (ko)
CN (1) CN20513088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5763A (zh) * 2018-03-06 2018-08-10 柳州柳工挖掘机有限公司 折叠式防护栏及工程机械
CN112302091A (zh) * 2020-11-11 2021-02-02 徐州徐工矿业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工程机械的低震动低噪音驾驶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2650B (zh) * 2020-05-29 2021-09-03 重庆和金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便于运输和拆装的三轮车组合式驾驶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9658U (ko) * 1985-02-01 1986-08-14
JPH0725051U (ja) * 1993-10-16 1995-05-12 油谷重工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
JPH08100443A (ja) * 1994-09-30 1996-04-16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キャブ
JP2005008056A (ja) * 2003-06-19 2005-01-13 Komatsu Ltd 建設車両の前下窓収納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9658U (ko) * 1985-02-01 1986-08-14
JPH0725051U (ja) * 1993-10-16 1995-05-12 油谷重工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
JPH08100443A (ja) * 1994-09-30 1996-04-16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キャブ
JP2005008056A (ja) * 2003-06-19 2005-01-13 Komatsu Ltd 建設車両の前下窓収納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5763A (zh) * 2018-03-06 2018-08-10 柳州柳工挖掘机有限公司 折叠式防护栏及工程机械
CN112302091A (zh) * 2020-11-11 2021-02-02 徐州徐工矿业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工程机械的低震动低噪音驾驶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130881U (zh) 2016-04-06
KR102327556B1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2417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gine hood of a construction machine
KR20160059668A (ko) 건설기계의 캐빈
EP3258041A1 (en) Door hinge assembly
EP3225442B1 (en) Vehicle door module
CN105775949B (zh) 可拆卸、伸缩的轿厢护脚板及高可靠无底坑电梯
KR100830570B1 (ko) Psd용 구동부 커버의 개폐 장치
CN105951919A (zh) 一种工程机械用驾驶室
KR101614059B1 (ko) 선박용 파일럿 도어장치
KR20130003959U (ko)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
CN205591732U (zh) 一种电动升降门窗结构
KR101615110B1 (ko)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KR100844676B1 (ko) 차량용 후드 스테이 겸용 후드 힌지
CN103950813B (zh) 一种电梯轿门
KR101984980B1 (ko) 탱크 세척 장치
CN102910516B (zh) 一种旋转式的轿顶护栏
KR20130137791A (ko) 문풀 저항 저감 장치
CN203626532U (zh) 机罩
KR100836920B1 (ko) 차량용 도어의 사이드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구조
JP2015229563A (ja) エレベータの保守点検装置
CN103615180A (zh) 一种船用驾驶室移门结构
KR20130062215A (ko)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CN206053672U (zh) 一种开窗器的安装结构
KR102053306B1 (ko) 캐빈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계
JP2008169649A (ja) 車両
KR20140074477A (ko) 도어 지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