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573A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573A
KR20160059573A KR1020140161063A KR20140161063A KR20160059573A KR 20160059573 A KR20160059573 A KR 20160059573A KR 1020140161063 A KR1020140161063 A KR 1020140161063A KR 20140161063 A KR20140161063 A KR 20140161063A KR 20160059573 A KR20160059573 A KR 20160059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pixel block
lifetime
remain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환
이장두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1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9573A/ko
Priority to US14/709,400 priority patent/US20160140905A1/en
Publication of KR20160059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5Compensation of drifts i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8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using evaluation of the usage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각 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화소는 복수의 화소 블록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수명을 연산하며,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수명을 기초로 하여 제1 화소 블록 및 제2 화소 블록의 선정하여,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잔여 수명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화소 블록과 상기 제2 화소 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화소들의 최대 휘도를 조절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그리고 상기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개재된 유기막들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막들은 적어도 발광층(Emitting Layer, EML)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층 외에도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EIL)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막, 특히, 상기 발광층에서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에 의하여 발생된 정공 및 전자가 결합하며, 정공 및 전자가 결합한 엑시톤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에너지 준위가 변동될 때 변동된 에너지 준위에 대응하는 색을 가진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소마다 배치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계조에 대응하는 전류를 공급하면서 원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하지만,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열화되고, 이에 따라 원하는 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실제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열화되면 동일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점차적으로 낮은 휘도의 빛이 생성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특히 로고가 표시되는 영역에서 발생하며, 상기 로고가 표시되는 영역의 수명이 줄어들어, 표시 영역에 따라 휘도의 편차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패널의 영역별 휘도 편차를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 상기 복수의 화소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 블록, 및 상기 각 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수명을 연산하며,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수명을 기초로 하여 제1 화소 블록 및 제2 화소 블록의 선정하여,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잔여 수명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화소 블록과 상기 제2 화소 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화소들의 최대 휘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1 화소 블록은 상기 각 화소 블록 중에서,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짧으며, 상기 제2 화소 블록은 상기 각 화소 블록 중에서,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길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화소 블록을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 및 상기 제2 화소 블록을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화소 영역에 포함된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는 동일하고,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포함된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상기 잔여 수명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화소 영역에서 상기 제2 화소 영역으로 동일한 비율로 상기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상기 잔여 수명이 기준 수명보다 짧아지면,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상기 최대 휘도를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상기 잔여 수명의 비율과 상기 기준 수명의 비율의 차이만큼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는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상기 잔여 수명의 비율과 상기 기준 수명의 비율의 차이만큼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잔여 수명은 상기 각 화소 블록이 표시하는 데이터양의 누계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소 블록의 수명을 측정하는 수명 연산부, 상기 각 화소 블록 중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짧은 제1 화소 블록과 상기 각 화소 블록 중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긴 제2 화소 블록을 선정하는 블록 선택부, 및 상기 제1 화소 블록, 상기 제2 화소 블록, 및 상기 제1 화소 블록과 상기 제2 화소 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각 화소의 휘도를 조절하는 데이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상기 잔여 수명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화소 영역에서 상기 제2 화소 영역으로 동일한 비율로 상기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각 화소 블록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평균 휘도 계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평균 휘도 계산부는 상기 각 화소 블록의 평균 휘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 상기 복수의 화소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 블록, 및 상기 각 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화소 블록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로고부 및 중앙부를 선정하며, 상기 로고부의 잔여 수명을 기준으로 상기 로고부과 상기 중앙부 사이에 위치하는 화소들의 최대 휘도를 조절한다.
상기 로고부는 상기 각 화소 블록 중, 상기 각 화소 블록 상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양의 변화율이 일정하고,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짧으며, 상기 중앙부는 상기 각 화소 블록 중, 상기 각 화소 블록 상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양의 변화율이 일정하지 않으며,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길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로고부를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 및 상기 중앙부를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화소 영역에 포함된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는 동일하고,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포함된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로고부의 상기 잔여 수명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화소 영역에서 상기 제2 화소 영역으로 동일한 비율로 상기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는 상기 로고부의 상기 잔여 수명의 비율과 상기 기준 수명의 비율의 차이만큼 감소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 블록에 인가되는 영상 신호의 데이터양을 분석하여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잔여 수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각 화소 블록의 수명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화소 블록 중에서 제1 화소 블록 및 제2 화소 블록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잔여 수명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화소 블록과 상기 제2 화소 블록에 위치한 화소 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화소 블록은 상기 각 화소 블록 중에서,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짧으며, 상기 제2 화소 블록은 상기 각 화소 블록 중에서,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길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잔여 수명이 기준 수명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잔여 수명이 기준 수명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를 조절하지 않고,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잔여 수명이 기준 수명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블록은 상기 각 화소 블록 상에 인가되는 상기 영상 신호의 데이터양의 변화율이 일정하고,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짧으며, 상기 제2 화소 블록은 상기 각 화소 블록 상에 인가되는 상기 영상 신호의 데이터양의 변화율이 일정하지 않으며,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 있다.
즉, 패널의 영역별로 휘도 편차를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데이터 조절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화소 블록 및 제2 화소 블록의 위치를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영역별 휘도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로고부의 수명이 기준 수명보다 긴 경우의 영역별 휘도 분포를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9는 도 8의 영역별 휘도의 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로고부의 수명이 기준 수명보다 짧은 경우의 영역별 휘도 분포를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영역별 휘도의 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0), 제어부(20), 스캔 구동부(30), 데이터 구동부(40), 발광 구동부(50) 및 전압 생성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복수의 화소(PX) 및 복수의 화소(PX)에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 각각은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의 하나의 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표시 패널(10)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1 내지 제n 스캔 신호(S1, S2, ... Sn), 제1 내지 제m 데이터 신호(D1, D2, ..., Dm) 및 제1 내지 제n 발광 신호(EM1, EM2, ... EMn)에 의하여 발광이 제어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스캔 신호(S1, S2, ... Sn)은 복수의 화소(PX) 각각이 제1 내지 제m 데이터 신호(D1, D2, ..., Dm)를 수신할 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m 데이터 신호(D1, D2, ... Dm)는 복수의 화소(PX) 각각이 발광하는 휘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m 발광 신호(EM1, EM2, ... EMn)는 복수의 화소(PX) 각각의 발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배선들은 제1 내지 제n 스캔 신호(S1, S2, ... Sn), 제1 내지 제m 데이터 신호(D1, D2, ... Dm), 제1 내지 제m 발광 신호(EM1, EM2, ... EMn) 및 초기화 전압(VINT)을 전달하기 위한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스캔 신호(S1, S2, ... Sn) 및 제1 내지 제m 발광 신호(EM1, EM2, ... EMn)를 전달하기 위한 배선들은 복수의 화소의(PX)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m 데이터 신호(D1, D2, ... Dm)를 전달하기 위한 배선들은 복수의 화소(PX)의 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초기화 전압(VINT)을 전달하기 위한 배선들은 복수의 화소(PX)의 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초기화 전압(VINT)을 전달하기 위한 배선들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복수의 화소 블록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각 화소 블록의 휘도는 로고부를 포함하는 화소 블록의 수명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20)는 외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되도록 스캔 구동부(30)를 제어할 수 있는 스캔 구동부 제어 신호(SCS), 데이터 구동부(40)를 제어할 수 있는 데이터 구동부 제어 신호(DCS) 및 발광 구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는 발광 구동부 제어 신호(ECS)를 생성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30)는 스캔 구동부 제어 신호(SCS)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되도록 제1 내지 제n 스캔 신호(S1, S2, ... Sn)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n 스캔 신호(S1, S2, ... Sn)를 복수의 스캔 라인을 통해 표시 패널(10)에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40)는 데이터 구동부 제어 신호(DCS)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되도록 제1 내지 제m 데이터 신호(D1, D2, ... Dm)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m 데이터 신호(D1, D2, ... Dm)를 복수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표시 패널(10)에 제공할 수 있다.
발광 구동부(50)는 발광 구동부 제어 신호(ECS)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되도록 제1 내지 제n 발광 신호(EM1, EM2, ... EMn)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n 발광 신호(EM1, EM2, ... EMn)를 복수의 발광 제어 라인을 통해 표시 패널(10)에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생성부(60)는 초기화 전압(VINT), 제1 전원 전압(ELVD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1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초기화 전압(VINT), 제1 전원 전압(ELVD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이 고정되어 있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초기화 전압(VINT), 제1 전원 전압(ELVD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이 가변되도록 전원 생성부(60)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는 복수의 신호가 인가될 수 있는 복수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1, T2, T3, T4, T5, T6, T7), 스토리지 캐패시터(storage capacitor, 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driving thin film transistor)(T1), 제2 박막 트랜지스터(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T2),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 및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신호는 스캔 신호(GW[n]), 이전 스캔 신호(GB[n]), 발광 제어 신호(En[n]), 데이터 신호(D[n]), 제1 전원 전압(ELVDD), 제2 전원 전압(ELVSS), 초기화 전압(Vint), 및 블랙 전압 신호(GB[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은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를 경유하여 제1 전원 전압(ELVDD)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은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anode)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데이터 신호(D[n])를 전달받아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구동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은 스캔 신호(GW[n])를 인가 받으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극은 데이터 신호(D[n])를 인가 받으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을 경유하여 제1 전원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는 스캔 신호(GW[n])에 따라 턴 온되어 데이터 신호(D[n])를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으로 전달 하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전극은 스캔 신호(GW[n])를 인가 받으며,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의 소스 전극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anode)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의 드레인 전극은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일단,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의 드레인 전극 및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는 스캔 신호(GW[n])에 따라 턴 온되어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전극(D1)을 서로 연결하여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를 다이오드 연결시킬 수 있다.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 전극은 이전 스캔 신호(GI[n])를 인가 받으며,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의 소스 전극은 초기화 전압(Vint)을 인가 받으며,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의 드레인 전극은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일단,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의 드레인 전극 및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함께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는 이전 스캔 신호(GI[n])에 따라 턴 온되어 초기화 전압(Vint)을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에 전달하여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을 초기화 시키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 전극은 발광 제어 신호(En[n])를 인가 받으며,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의 소스 전극은 제1 전원 전압(ELVDD)가 인가되며,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의 드레인 전극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소스 전극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와 연결될 수 있다.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의 게이트 전극은 발광 제어 신호(En[n])를 인가 받으며,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의 소스 전극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 및 제3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연결되어 있고,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의 드레인 전극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anode) 및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의 드레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 및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는 발광 제어 신호(En[n])에 따라 동시에 턴 온되어 제1 전원 전압(ELVDD)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전달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구동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 전극은 블랙 전압 신호(GB[n])를 인가 받으며,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의 소스 전극은 초기화 전압(Vint)을 인가 받으며,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의 드레인 전극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anode) 및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의 드레인 단자와 함께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는 블랙 전압 신호(GB[n])에 따라 턴 온되어 초기화 전압(Vint)을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anode)에 전달하여 블랙 전압을 인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타단은 제1 전원 전압(ELVDD)과 연결되어 있으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캐소드(cathode)는 제2 전원 전압(ELVSS)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로부터 구동 전류를 전달받아 발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0)는 외부로부터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제공받아, 데이터 신호(DAT)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명 연산부(21), 블록 선택부(23), 및 데이터 조절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수명 연산부(21)는 시간별로 개별 화소에 제공되는 입력 영상 신호(R, G, B)의 크기를 측정하며, 상기 개별 화소에서 사용된 데이터양의 누계를 측정할 수 있다. 개별 화소의 수명은 사용된 데이터양에 비례하여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된 데이터양을 측정하여, 상기 개별 화소의 잔여 수명을 측정할 수 있다. 고계조의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빛을 지속적으로 발광하는 화소의 경우, 저계조의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빛을 지속적으로 발광하는 화소보다 사용된 데이터양이 많기 때문에 상기 고계조의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빛을 지속적으로 발광한 화소의 수명은 상기 저계조의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빛을 지속적으로 발광하는 화소의 수명보다 짧아진다. 따라서, 수명 연산부(21)는 개별 화소가 사용한 데이터 신호(DAT)의 크기를 누계하여, 상기 개별 화소의 잔여 수명을 후술하는 블록 선택부(23)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개별 화소의 수명을 측정하는 방법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개별 화소가 방출하는 광량을 센싱 소자를 활용하여 센싱하여, 개별 화소의 열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블록 선택부(23)는 수명 연산부(21)가 제공하는 상기 개별 화소의 잔여 수명을 활용하여, 가장 수명이 짧은 화소를 포함하는 제1 화소 블록(도 6의 '110')을 선택하며, 가장 수명이 긴 화소를 포함하는 제2 화소 블록(도 6의 '120')을 선택할 수 있다. 블록 선택부(23)는 선택된 제1 화소 블록(110) 및 제2 화소 블록(120)의 위치 정보 및 수명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 선택 신호(BS)를 데이터 조절부(25)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선택부(23)는 표시 패널(100)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역은 제1 화소 블록(110)을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도 8의 '131')과 제2 화소 블록(120)을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역(도 8의 '134')으로 구분될 수 있다.
데이터 조절부(25)는 위치 정보 및 수명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 선택 신호(BS)를 제공받아, 제1 화소 블록(110)의 수명을 기준으로, 제1 화소 블록(110)과 제2 화소 블록(120) 사이에 위치하는 화소 블록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이 제2 화소 블록(120)의 잔여 수명과 상이하므로, 제1 화소 블록(110) 및 제2 화소 블록(120)에 제공되는 동일한 데이터 전압에 대해, 제1 화소 블록(110) 및 제2 화소 블록(120)의 최대 휘도는 상이할 수 있다. 각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는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잔여 수명에 비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화소 블록(110)의 수명을 고려하여, 제1 화소 블록(110)과 제2 화소 블록(120) 사이에 위치한 블록들의 휘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화소 영역(131)과 제2 화소 영역(134) 사이에 위치한 영역을 크게 세 개의 화소 영역으로 구분하여, 휘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화소 영역(131)과 제2 화소 영역(134) 사이에 위치한 영역을 복수의 화소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1 화소 영역(131)과 제2 화소 영역(134)간의 휘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20)는 평균 휘도 계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평균 휘도 계산부는 상기 각 화소 블록의 평균 휘도를 측정할 수 있다.
데이터 조절부(25)는 제1 화소 블록(110), 휘도가 조절된 제2 화소 블록(120) 및 휘도가 조절된 제1 화소 블록(110)과 제2 화소 블록(120) 사이에 위치하는 블록들에 대응되는 데이터 신호(DAT)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데이터 조절부(25)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데이터 조절부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조절부(25)는 메모리부(26) 및 연산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26)는 블록 선택 신호(BS)를 인가받아, 제1 화소 블록(110) 및 제2 화소 블록(120)의 위치 정보와 수명 정보에 대응하는 휘도 정보를 포함하는 룩업-테이블(27)을 포함할 수 있다.
룩업-테이블(27)은 제1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와 동일하게 조절된 제1 화소 영역(131)의 휘도 정보, 제2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와 동일하게 조절된 제2 화소 영역(134)의 휘도 정보, 제1 화소 영역(131)과 제2 화소 영역(134) 사이에 위치한 영역(도 8의 '132' 및 '133')의 조절된 휘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28)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분석하여,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화소 영역(131 내지 134)의 최대 휘도에 대응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연산부(28)는 룩업-테이블(27)로부터 제공받은 영역별 휘도 정보를 반영하여, 입력 영상 신호(R, G, B)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된 데이터 신호(DAT)를 데이터 구동부(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은 수명 연산부(21)는 화소 블록별 인가되는 입력 영상 신호(R, G, B)의 크기 및 개별 화소 블록에서 사용된 데이터양의 누계를 측정하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선택부(23)는 수명 연산부(21)가 제공하는 상기 개별 화소의 잔여 수명을 활용하여, 가장 수명이 짧은 화소를 포함하는 제1 화소 블록(도 6의 '110')을 선택하며, 가장 수명이 긴 화소를 포함하는 제2 화소 블록(도 6의 '120')을 선택하는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명 연산부(21)에서 측정한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이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면, 30%)만큼 줄어들었는지 여부를 비교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이 상기 기 설정된 비율만큼 줄어든 경우, 제2 화소 블록(120)의 최대 휘도를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에 상기 기설정된 비율을 더한 값만큼 제2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를 조정(S40)할 수 있다. 다만,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이 상기 기 설정된 비율보다 적게 줄어든 경우, 제2 화소 블록(120)의 최대 휘도는 조정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1 화소 블록(110)과 제2 화소 블록(120)의 최대 휘도 차이가 명확하게 시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 화소 블록(110) 및 제2 화소 블록(120) 사이에 위치한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를 점진적으로 줄이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화소 블록(120)을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역(134)에서 제1 화소 블록(110)을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131)까지 점진적으로 각 화소 영역의 최대 휘도를 줄여, 영역별 휘도 차이가 명확하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화소 블록 및 제2 화소 블록의 위치를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 상에 제1 화소 블록(110) 및 제2 화소 블록(1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화소 블록(110)에 높은 휘도의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제공되므로, 제1 화소 블록(110)의 수명은 다른 화소 블록들에 비해 짧다. 일반적으로, 제1 화소 블록(110)은 각 채널의 로고가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각 채널의 로고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이할 수 있으나, 표시 패널(10)의 모서리 측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다.
제2 화소 블록(120)은 다양한 휘도의 데이터가 제공되므로, 제2 화소 블록(120)은 표시 패널(1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화소 블록(120)은 채널별로 다양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패널의 중앙부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로고부의 수명이 기준 수명보다 긴 경우의 영역별 휘도 분포를 도시한 배치도이며, 도 8은 도 7의 영역별 최대 휘도의 크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영역별 휘도의 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은 크게 네개의 화소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은 제1 화소 블록(110)을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131), 제2 화소 블록(120)을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영(134), 제1 화소 영역(131) 및 제2 화소 영역(134) 상에 형성되는 제3 화소 영역(132) 및 제4 화소 영역(134)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을 기준으로, 제2 화소 블록(120)의 잔여 수명 비율과의 차이를 확정할 수 있다.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과 제2 화소 블록(120)의 잔여 수명의 비율의 차이를 제1 화소 블록(110)과 제2 화소 블록(1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영역의 개수보다 하나 큰 수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이 73%이고, 제2 화소 블록(120)의 잔여 수명이 100%이면, 제3 화소 영역(132), 제4 화소 영역(133)은 각각 82%, 91%의 최대 휘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이 기준 비율(본 발명에서는 70%로 예를 들어 설명함)에 도달하지 않을 때까지는, 제1 화소 블록(110)과 제2 화소 블록(120)의 잔여 수명 비율 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제1 화소 블록(110)과 제2 화소 블록(1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영역의 개수보다 하나 큰 수로 구분하여 화소 영역의 최대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이 기준 비율에 도달하는 경우, 제1 화소 블록(110)과 제2 화소 블록(1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영역들은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과 기준 비율간의 차이만큼 일괄적으로 최대 휘도의 비율이 줄어든다.
따라서,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이 기준 비율에 도달하기 전까지의 제3 화소 영역(132), 제4 화소 영역(133)의 최대 휘도 비율의 기울기와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이 기준 비율에 도달한 후의 제3 화소 영역(132), 제4 화소 영역(133)의 최대 휘도 비율의 기울기는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화소 영역(131)과 제2 화소 영역(134) 사이에 제3 화소 블록(133) 및 제4 화소 영역(133)이 형성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여 영역별 휘도차가 분명하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화소 블록(110)의 수명이 감소하는 동안, 제2 화소 블록(120)의 수명은 줄어들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고 기술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화소 블록(120)의 수명 또한 감소할 수 있으며, 제1 화소 블록(110)과 제2 화소 블록(120) 간의 잔여 수명의 비율 차이에 대해 균등하게 조절하여 각 화소 영역의 최대 휘도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로고부의 수명이 기준 수명보다 짧은 경우의 영역별 휘도 분포를 도시한 배치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영역별 휘도의 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이 기준 비율보다 떨어지는 경우, 제1 화소 블록(110)과 제2 화소 블록(1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영역들은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과 기준 비율간의 차이만큼 일괄적으로 최대 휘도의 비율이 줄어든다.
예를 들어,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이 54%로 기준 비율인 70% 아래로 떨어진 경우, 다른 화소 영역들(132, 133, 및 134)의 최대 휘도 비율은 기존의 각 화소 영역들이 최대 휘도 비율에서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과 기준 비율의 차이만큼 더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화소 영역의 최대 휘도 비율은 54%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화소 영역의 최대 휘도 비율은 기존의 각 화소 영역의 최대 휘도 비율인 80%에서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과 기준 비율의 차이만큼 감소한 64%의 최대 휘도 비율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3 화소 영역의 최대 휘도 비율은 기존의 각 화소 영역의 최대 휘도 비율인 90%에서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과 기준 비율의 차이만큼 감소한 74%의 최대 휘도 비율로 조절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 화소 영역의 최대 휘도 비율은 기존의 각 화소 영역의 최대 휘도 비율인 100%에서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과 기준 비율의 차이만큼 감소한 84%의 최대 휘도 비율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이 기준 비율에 도달한 후의 제1 화소 영역(131), 제2 화소 영역(134), 제3 화소 영역(132), 및 제4 화소 영역(133)의 최대 휘도 비율의 기울기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화소 영역(131)과 제2 화소 영역(134) 사이에 제3 화소 블록(133) 및 제4 화소 영역(133)이 형성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여 영역별 휘도차가 분명하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은 수명 연산부(21)는 화소 블록별 인가되는 입력 영상 신호(R, G, B)의 크기 및 개별 화소 블럭에서 사용된 데이터양의 누계를 측정하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선택부(23)는 수명 연산부(21)가 제공하는 개별 화소 블록의 데이터양을 분석하여, 개별 화소 블록이 정지 영상인지 동영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개별 화소 블록의 데이터양 변화율이 일정하면 정지 영상에 해당하며, 개별 화소 블록의 데이터양 변화율이 일정하지 않으면 동영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블록 선택부(23)는 정지 영상으로 판단되는 블록들 중에서 가장 데이터양이 많은 영역을 로고(logo)부로 선정하는 단계(S21)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선택부(23)는 동영상으로 판단되는 블록들 중에서 가장 데이터양이 적은 영역을 패널 중앙부로 선정하는 단계(S23)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명 연산부(21)에서 측정한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 비율이 기 설정된 비율(예를 들면, 30%)만큼 줄어들었는지 여부를 비교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고부의 잔여 수명이 상기 기 설정된 비율만큼 줄어든 경우, 데이터 조절부(25)는 상기 패널 중앙부의 최대 휘도를 상기 로고부의 잔여 수명 비율에 상기 기설정된 비율을 더한 값만큼 상기 패널 중앙부의 최대 휘도를 조정하는 단계(S45)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화소 블록(110)의 잔여 수명이 상기 기 설정된 비율보다 적게 줄어든 경우, 데이터 조절부(25)는 제2 화소 블록(120)의 최대 휘도는 조정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1 화소 블록(110)과 제2 화소 블록(120)의 최대 휘도 차이가 명확하게 시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데이터 조절부(25)는 제1 화소 블록(110) 및 제2 화소 블록(120) 사이에 위치한 화소 블록의 휘도를 점진적으로 줄이는 단계(S50)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화소 블록(120)을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역(134)에서 제1 화소 블록(110)을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131)까지 점진적으로 각 화소 영역의 최대 휘도를 줄여, 영역별 휘도 차이가 명확하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패널 20: 제어부
21: 수명 연산부 23: 블록 선택부
25: 데이터 조절부 26: 메모리부
28: 연산부 30: 스캔 구동부
40: 데이터 구동부 50: 발광 구동부(50)
60: 전압 생성부 110: 제1 화소 블록
120: 제2 화소 블록 131: 제1 화소 영역
132: 제3 화소 영역 133: 제4 화소 영역
134: 제2 화소 영역 PX: 화소
VINT: 초기화 전압 ELVDD: 제1 전원 전압
ELVSS: 제2 전원 전압 DAT: 데이터 신호

Claims (20)

  1.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각 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화소는 복수의 화소 블록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잔여 수명을 연산하며,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잔여 수명을 기초로 하여 제1 화소 블록 및 제2 화소 블록의 선정하여,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잔여 수명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화소 블록과 상기 제2 화소 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화소들의 최대 휘도를 조절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블록은 상기 각 화소 블록 중에서,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짧으며,
    상기 제2 화소 블록은 상기 각 화소 블록 중에서,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긴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화소 블록을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 및
    상기 제2 화소 블록을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화소 영역에 포함된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는 동일하고,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포함된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는 동일한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상기 잔여 수명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화소 영역에서 상기 제2 화소 영역으로 동일한 비율로 상기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가 증가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상기 잔여 수명이 기준 수명보다 짧아지면,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상기 최대 휘도를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상기 잔여 수명의 비율과 상기 기준 수명의 비율의 차이만큼 감소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는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상기 잔여 수명의 비율과 상기 기준 수명의 비율의 차이만큼 감소되는 표시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수명은 상기 각 화소 블록이 표시하는 데이터양의 누계를 통해 측정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소 블록의 수명을 측정하는 수명 연산부;
    상기 각 화소 블록 중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짧은 제1 화소 블록과 상기 각 화소 블록 중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긴 제2 화소 블록을 선정하는 블록 선택부; 및
    상기 제1 화소 블록, 상기 제2 화소 블록, 및 상기 제1 화소 블록과 상기 제2 화소 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각 화소의 휘도를 조절하는 데이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상기 잔여 수명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화소 영역에서 상기 제2 화소 영역으로 동일한 비율로 상기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각 화소 블록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조절하는 표시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평균 휘도 계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평균 휘도 계산부는 상기 각 화소 블록의 평균 휘도를 측정하는 표시 장치.
  11.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각 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화소는 복수의 화소 블록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화소 블록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로고부 및 중앙부를 선정하며, 상기 로고부의 잔여 수명을 기준으로 상기 로고부과 상기 중앙부 사이에 위치하는 화소들의 최대 휘도를 조절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부는 상기 각 화소 블록 중, 상기 각 화소 블록 상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양의 변화율이 일정하고,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짧으며,
    상기 중앙부는 상기 각 화소 블록 중, 상기 각 화소 블록 상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양의 변화율이 일정하지 않으며,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긴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로고부를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 및
    상기 중앙부를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화소 영역에 포함된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는 동일하고,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포함된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는 동일한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부의 상기 잔여 수명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화소 영역에서 상기 제2 화소 영역으로 동일한 비율로 상기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가 증가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는 상기 로고부의 상기 잔여 수명의 비율과 상기 기준 수명의 비율의 차이만큼 감소되는 표시 장치.
  16. 복수의 화소 블록에 인가되는 영상 신호의 데이터양을 분석하여 상기 각 화소 블록의 잔여 수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각 화소 블록의 수명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화소 블록 중에서 제1 화소 블록 및 제2 화소 블록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잔여 수명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화소 블록과 상기 제2 화소 블록에 위치한 화소 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블록은 상기 각 화소 블록 중에서,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짧으며,
    상기 제2 화소 블록은 상기 각 화소 블록 중에서,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잔여 수명이 기준 수명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잔여 수명이 기준 수명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를 조절하지 않고, 상기 제1 화소 블록의 잔여 수명이 기준 수명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화소 블록의 최대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블록은 상기 각 화소 블록 상에 인가되는 상기 영상 신호의 데이터양의 변화율이 일정하고,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짧으며,
    상기 제2 화소 블록은 상기 각 화소 블록 상에 인가되는 상기 영상 신호의 데이터양의 변화율이 일정하지 않으며, 상기 잔여 수명이 가장 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40161063A 2014-11-18 2014-11-18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59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063A KR20160059573A (ko) 2014-11-18 2014-11-18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4/709,400 US20160140905A1 (en) 2014-11-18 2015-05-11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063A KR20160059573A (ko) 2014-11-18 2014-11-18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573A true KR20160059573A (ko) 2016-05-27

Family

ID=5596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063A KR20160059573A (ko) 2014-11-18 2014-11-18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40905A1 (ko)
KR (1) KR201600595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875A (ko) * 2018-10-26 202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표시 장치
KR20200102032A (ko) * 2019-02-20 2020-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화 보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0119B (zh) * 2017-06-07 2022-02-01 深圳通锐微电子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图像数据修正方法
JP6648737B2 (ja) * 2017-06-30 2020-02-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11276102B (zh) * 2020-03-25 2021-03-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像素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KR20210128523A (ko) * 2020-04-16 2021-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제어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220089808A (ko) * 2020-12-21 2022-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30053058A (ko) * 2021-10-13 2023-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수명 평가 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수명 평가 시스템
KR20230118222A (ko) * 2022-02-03 2023-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7615A2 (en) * 2003-05-01 2004-11-11 Maz Laboratory A method of displaying a document
JP3960287B2 (ja) * 2003-09-09 2007-08-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8558765B2 (en) * 2005-11-07 2013-10-15 Global Oled Technolog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ormity and brightness correction in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US8207914B2 (en) * 2005-11-07 2012-06-26 Global Oled Technology Llc OLED display with aging compensation
US8085282B2 (en) * 2006-12-13 2011-12-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JP5440340B2 (ja) * 2010-04-09 2014-03-1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CN102881779A (zh) * 2011-07-15 2013-01-16 展晶科技(深圳)有限公司 发光二极管封装结构的制造方法
JP2013142775A (ja) * 2012-01-11 2013-07-22 Sony Corp 表示装置、電子機器、表示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922599B2 (en) * 2012-08-23 2014-12-30 Blackberry Limit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based display aging monitor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875A (ko) * 2018-10-26 202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표시 장치
KR20200102032A (ko) * 2019-02-20 2020-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화 보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40905A1 (en)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9573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581841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1093735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KR10147068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열화보상방법
KR102156774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리페어 방법
KR100810632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JP5761776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707637B1 (ko)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742056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US1027609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5449641B2 (ja) 表示装置
KR20120104783A (ko) 액티브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6285158B2 (ja) 有機el表示装置
US20150248861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20080231557A1 (en) Emission control in aged active matrix oled display using voltage ratio or current ratio
KR20160055559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4011775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83946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3003667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화질 조정 방법
KR10182946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열화보상방법
US969777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870523B1 (ko) 전계발광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90081809A (ko) 타일드 디스플레이와 그 휘도 보상 방법
KR20190021760A (ko) 전계 발광 시스템 및 그 기준전압 설정 방법
KR10208933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