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189A - 유기 아자이드 및 아실 주개로부터 엔아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아자이드 및 아실 주개로부터 엔아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189A
KR20160059189A KR1020140160745A KR20140160745A KR20160059189A KR 20160059189 A KR20160059189 A KR 20160059189A KR 1020140160745 A KR1020140160745 A KR 1020140160745A KR 20140160745 A KR20140160745 A KR 20140160745A KR 20160059189 A KR20160059189 A KR 20160059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reaction
nmr
added
cdc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2593B1 (ko
Inventor
박재욱
이영호
박한규
전미나
한정훈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0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5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9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5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14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by formation of carboxamide groups together with reactions not involving the carboxam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02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nitroge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02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nitroge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07C233/0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nitroge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with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233/0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nitroge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with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having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아자이드 화합물로부터 질소에 치환기가 없는 이민을 발생시키고, 그와 아실 주개와의 반응을 통해 엔아마이드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면, 적절한 촉매를 사용하여 알파 수소를 가진 유기 아자이드로부터 연속한 질소 제거 및 1,2-수소 옮김 반응을 통해 질소에 치환기가 없는 이민을 생성하고, 이 이민과 아실 주개를 반응시켜 엔아마이드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아자이드 및 아실 주개로부터 엔아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CATALYTIC PREPARATION OF ENAMIDES FROM ALKYL AZIDES AND ACYL DONORS}
본 발명은 엔아마이드의 합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 아자이드 분해 촉매를 이용하여 질소에 치환기가 없는 이민을 제조하고, 그 이민과 아실 주개와의 반응을 연결해 다양한 엔아마이드를 합성하는 것이다.
엔아마이드 화합물은 aza-ene, Michael, Friedel-Craft, cycloaddition, arylation 반응과 같이 탄소-탄소 및 탄소-질소 결합 생성 반응에 사용되는 유용한 화합물이다. 특히 광학적으로 순수한 아민 화합물을 얻기 위한 전구체 물질로, 광학 선택적 수소화 반응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폭 넓은 응용성으로 인해, 지금까지 다양한 방법의 엔아마이드 화합물 제조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예를 들면, 1) 나이트릴과 Grignard 시약 혹은 methyl lithium 반응에 이은 acylation 반응, 2) 전이금속 촉매하의 vinyl electrophile 과 amide 사이의 짝지음 반응, 3) aryl triflates 혹은 halide 와 N-vinylacetamide 사이의 Heck 반응, 4) amide 와 ketone 의 축합 반응, 5) ketoximie 의 reductive acylation 반응 등이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반응들은 좁은 기질의 다양성, 기질 준비의 어려움, 낮은 반응성, 추가적인 첨가물의 필요 등의 제약이 따른다.
이에, 최근에는 하기 반응식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티타늄 착화합물을 이용한 ketone, ammonia, 무수물 사이의 반응이 엔아마이드 화합물 합성을 위해 보고되었다. 하지만 이 반응 역시 반응 후, 사용한 티타늄 착화합물의 제거를 위한 특별한 과정을 필요로 한다는 제약을 갖는다.
Figure pat00001
따라서 엔아마이드 화합물의 넓은 응용성을 고려했을 때 기존의 방법이 갖는 제약을 보완하는 새로운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유기 아자이드와 아실 주개로부터 간단하고, 친환경적으로 엔아마이드 화합물을 높은 효율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엔아마이드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유기 아자이드에 금속 착화합물을 첨가하여 질소에 치환기가 없는 이민을 합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민에 아실 주개를 첨가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 아자이드는 알파 수소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아실 주개는 산 할로겐화물 또는 산 무수물을 포함하는 산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착화합물은 루테늄 착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루테늄 착화합물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 루테늄 착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R1, R2, R3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가시광선의 조사 하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기 아자이드와 아실 주개로부터 엔아마이드 화합물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높은 반응 효율성, 넓은 기질 확장성, 그리고 간단하고 실용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엔아마이드 화합물은 의약, 재료, 생명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 유용한 합성 출발 물질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엔아마이드 화합물에 대해서 알려진 합성 방법과는 다르게, 가혹한 반응 조건 및 추가적인 첨가제를 필요치 않기 때문에 합성적, 환경친화적 측면에서 이상적인 합성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나, 높은 반응 효율을 가지고 있지 않았던 종래 엔아마이드(enamide) 기술 방법과 다르게, 고효율이면서도 간단하고 실용적인 엔아마이드의 합성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유기 아자이드(alkyl azide)에 금속 착화합물을 촉매로 사용하여 질소에 치환기가 없는 이민을 합성하고, 상기 이민에 아실 주개를 첨가하여 엔아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기아자이드와 아실 주개로부터 엔아마이드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a) 유기 아자이드에 금속 착화합물을 첨가하여 질소에 치환기가 없는 이민을 합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민에 아실 주개를 첨가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R1, R2, R3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2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탄소수 4 내지 2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이고, 상기 치환된 알킬기, 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된 헤테로고리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N, O, P, Si, 또는 S의 비탄소 원자, 히드록시기, 에테르기, 할로겐 원자, 카르보닐기, 니트로기, 나프틸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진, 히드라존,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인산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케닐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키닐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 탄소수 7 내지 10의 아릴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10의 헤테로아릴알킬기로 치환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엔아마이드의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1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4
상기 유기 아자이드는 반응식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기 화합물에서 작용기(functional group)에 직접 결합된 탄소 원자인 알파 탄소에 결합된 수소 원자(알파 수소)를 가지는 유기 아자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실 주개는, 산 유도체 형태의 화합물이라면 어느 것이던 사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산 할로겐화물 또는 산 무수물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금속 착화합물은 루테늄 착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루테늄 착화합물의 종류로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 루테늄 착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화학식 2]
Figure pat00006
상기 루테늄 착화합물들은 알파 수소를 가진 유기 아자이드로부터 질소에 치환기가 없는 이민을 생성하는 반응의 촉매로서 활용되며, 반응의 출발물질로 이용되는 유기 아자이드에는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루테늄 착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2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at00007
상기 반응식 2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Ru3(CO)12와 메탄올과 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포르메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디메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아세토니트릴, 톨루엔, 벤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Ru3(CO)12는 화학식 3의 화합물 1당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0.5당량을 사용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3의 화합물 1 당량을 기준으로 0.31 당량의 Ru3(CO)12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24 내지 48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출발 물질들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시판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루테늄 착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3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pat00008
상기 반응식 3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Ru3(CO)12와 클로로포름과 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포르메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디메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아세토니트릴, 톨루엔, 벤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Ru3(CO)12는 화학식 3의 화합물 1당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 당량을 사용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3의 화합물 1 당량을 기준으로 2 당량의 Ru3(CO)12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24 내지 48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 상기 반응식 3에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2-프로판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Na2CO3 와 같은 무기염기 하에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포르메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디메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아세토니트릴, 톨루엔, 벤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상기 무기염기는 탄산나트륨(Na2CO3),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탄산수소나트륨(NaHCO3), 탄산칼륨(K2CO3), 및/또는 탄산수소칼륨(KHCO3)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무기염기는 화학식 4의 화합물 1당량을 기준으로 2 내지 5 당량을 사용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4의 화합물 1 당량을 기준으로 3 당량의 무기염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24 내지 48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출발 물질들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시판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루테늄 착화합물은 알파 수소를 갖는 유기 아자이드로부터 질소에 치환기가 없는 이민을 합성하는 촉매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루테늄 착화합물은 가시광선 조사 분위기 하에서 알파 수소를 갖는 유기 아자이드를 반응의 출발물질로 하여 질소에 치환기가 없는 이민을 합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가시광선 조사는 가시광선 파장(380nm 내지 800nm)을 가지는 광원을 이용하여 조사하는 것으로, 상기 광원은 자연광 또는 인공광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태양빛, 형광등 또는 백열등일 수 있으나 가시광선 파장 대역의 광을 방출하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질소에 치환기가 없는 이민 합성 반응은 불활성 기체 하에 상온에서 적절한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상온은 20±1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질소에 치환기가 없는 이민은 아실 주개와의 반응을 통해 엔아마이드 화합물로 변환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질소에 치환기가 없는 이민은 불활성 기체 하에 상온(바람직하게는, 20±10℃) 또는 고온(바람직하게는, 80±20℃)에서 적절한 시간 동안 적절한 첨가제와 함께 아실 주개와 반응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아자이드로서 (1-azidoethyl)benzene, 아실 주개로서 아세트산 무수물(acetic anhydride)을 사용하는 예를 하기 반응식 4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4]
Figure pat00009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아자이드와 무수물의 비는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3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일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포르메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디메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아세토니트릴, 톨루엔, 벤젠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일 수 있으며, 반응온도는 상온(바람직하게는, 20±10℃) 또는 고온(바람직하게는, 80±20℃)일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루테늄 촉매량은 1 ~ 3 mol% 이지만 유기 아자이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 mol% 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및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유기아자이드와 무수물로부터 엔아마이드의 합성
실시예 1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azidoethyl)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85%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40-7.26 (m,5H), 7.04 (bs,1H), 5.83 (s,1H), 5.08 (s,1H), 2.08 (s,3H); 13C NMR (75MHz, CDCl3):δ= 169.2, 140.6, 138.5, 128.7, 126.1, 102.6, 24.6.
실시예 2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1-azidoethyl)-2-methyl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80%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26-7.17 (m,4H), 6.59 (bs,1H), 6.06 (s,1H), 4.70 (s,1H), 2.35 (s,3H), 2.05 (s,3H); 13C NMR (75MHz, CDCl3):δ= 168.7, 140.4, 138.8, 136.0, 130.7, 129.4, 128.8, 126.2, 102.7, 24.9, 19.8.
실시예 3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1-azidoethyl)-3-methyl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69%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28-7.16 (m,4H), 6.79 (bs,1H), 5.88 (s,1H), 5.07 (s,1H), 2.38 (s,3H), 2.11 (s,3H); 13C NMR(75MHz,CDCl3):δ= 169.1, 140.7, 138.7, 129.7, 128.9, 126.9, 123.3, 102.3, 24.9, 21.6.
실시예 4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1-azidoethyl)-4-methyl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80%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30 (d,2H,J=7.95Hz), 7.16 (d,2H,J=7.95Hz), 7.04 (bs,1H), 5.78 (s,1H), 5.04 (s,1H), 2.35 (s,3H), 2.08 (s,3H); 13C NMR (75MHz, CDCl3):δ= 169.2, 140.5, 138.8, 135.8, 129.6, 126.1, 102.0, 24.8, 21.4.
실시예 5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1-azidoethyl)-4-fluoro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81%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49 (bs,1H), 7.39-7.28 (m,2H), 7.01 (t,2H,J=8.64Hz), 5.74 (s,1H), 5.03 (s,1H), 2.09 (s,3H); 13C NMR (75MHz,CDCl3): δ= 169.7, 163.0 (J=248.3), 140.0, 134.4, 128.0(J=8.1Hz), 115.5(J=21.5Hz), 103.4, 24.3.
실시예 6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1-azidoethyl)-4-chloro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82%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47-7.44 (m,2H), 7.35-7.03 (m,2H), 6.21 (bs,1H), 6.21 (s,1H), 5.22 (s,1H), 2.09 (s,3H); 13C NMR (75MHz,CDCl3):δ= 169.5, 139.8, 136.8, 134.6, 128.9, 127.6, 103.9, 24.5.
실시예 7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1-azidoethyl)-4-bromo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93%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51-7.48 (m,2H), 7.30-7.28 (m,2H), 6.79 (bs,1H), 5.81 (s,1H), 5.10 (s,1H), 2.13 (s,3H); 13C NMR(75MHz, CDCl3):δ= 169.6, 139.9, 137.2, 131.8, 127.8, 122.7, 104.0, 24.3.
실시예 8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1-azidoethyl)-4-iodo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81%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62 (d,2H,J=8.4Hz), 7.08 (d,2H,J=8.2), 6.78 (bs,1H), 5.71 (s,1H), 5.02 (s,1H), 2.06 (s,3H); 13C NMR (75MHz, CDCl3):δ= 169.2, 139.9, 138.0, 128.0, 103.8, 94.6, 24.7.
실시예 9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1-azidoethyl)-4-methoxy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83%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35-7.33 (m,2H), 7.01 (bs,1H), 6.89-6.86 (m,2H), 5.73 (s,1H), 5.00 (s,1H), 3.81 (s,3H), 2.09 (s,3H); 13C NMR (75MHz, CDCl3): δ= 169.3, 160.1, 140.3, 131.1, 127.5, 114.1, 101.6, 55.5, 24.7.
실시예 10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4-(1-azidoethyl)phenyl)(methyl)sulfa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86%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DMSO): δ 9.28 (bs,1H), 7.37-7.33 (m,2H), 7.28-7.21 (m,2H), 5.53 (s,3H), 4.96 (s,1H), 2.46 (s,3H), 1.99 (s,3H); 13C NMR (75MHz, DMSO): δ= 169.1, 141.0, 138.4, 134.5, 126.7, 125.6, 101.7, 23.7, 14.7.
실시예 11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methyl 4-(1-azidoethyl)benzoat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74%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DMSO): δ 9.47 (bs,1H), 7.97-7.94 (m,2H), 7.59-7.57 (m,2H), 5.64 (s,1H), 5.15 (s,1H), 3.86 (s,3H), 2.02 (s,3H); 13C NMR (75MHz, DMSO): δ= 169.1, 165.9, 142.4, 140.8, 129.1, 126.4, 104.4, 52.1, 23.6.
실시예 12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methyl N-(4-(1-azidoethyl)phenyl)acetamid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7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71%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DMSO): δ 10.02 (bs,1H), 9.25 (bs,1H), 7.57 (d,2H,J=8.66 Hz), 7.36 (d,2H,J=8.67), 5.54 (s,1H), 4.94 (s,1H), 2.05 (s,3H), 2.01 (s,3H); 13C NMR (75MHz, DMSO): δ= 169.2, 168.4, 141.1, 139.5, 132.6, 126.7, 118.6, 101.1, 24.1, 23.8.
실시예 13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methyl 4-(1-azidoethyl)benzonitril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82%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62 (d,2H,J=8.30 Hz), 7.51 (d,2H,J=8.10 Hz), 5.74 (s,1H), 5.20 (s,1H), 2.09 (s,3H); 13C NMR (75MHz, CD3CN): δ= 170.4, 143.5, 141.8, 133.3, 128.0, 119.6, 112.5, 106.2, 24.0.
실시예 14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2-(1-azidoethyl)naphthal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78%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81-7.78 (m,4H), 7.52-7.46 (m,3H), 7.19 (bs,1H), 5.88 (s,1H), 5.21 (s,1H), 2.09 (s,3H); 13C NMR (75MHz, CDCl3): δ= 169.5, 140.6, 135.7, 133.5, 133.3, 128.6, 128.3, 127.8, 126.7, 126.6, 124.9, 124.3, 103.6, 24.6.
실시예 15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4-(1-azidoethyl)pyridi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68%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8.54 (d,2H,J=5.46Hz), 7.77 (bs,1H), 7.31 (d,2H,J=6.02Hz), 5.81 (s,1H), 5.29 (s,1H), 2.10 (s,3H); 13C NMR (75MHz, CDCl3):δ= 169.7, 150.0, 145.7, 139.0, 120.7, 106.9, 24.2.
실시예 16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2-(1-azidoethyl)furan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78%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38 (s,1H), 7.22 (bs,1H), 6.46-6.45 (m,1H), 6.42-6.41 (m,1H), 5.88 (s,1H), 5.29 (s,1H), 2.15 (s,3H); 13C NMR (75MHz, CDCl3):δ= 169.1, 150.6, 142.2, 131.2, 111.8, 105.9, 99.7, 24.9.
실시예 17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2-(1-azidoethyl)thioph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85%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24-7.22 (m,1H), 7.10-6.98 (m,3H), 5.75 (s,1H), 5.23 (s,1H), 2.12 (s,3H); 13C NMR (75MHz, CDCl3): δ= 169.3, 141.8, 134.3, 127.6, 125.4, 123.9, 103.0, 24.6.
실시예 18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azidopropyl)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62%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1:~2.2 mixture of geometric isomers): δ 7.43-7.21 (m,5H), 6.91/6.74 (bs,1H), 6.03/5.93 (q,1H,J=6.97Hz), 2.13 (s,2H), 1.84/1.73 (d,3H,J=6.89Hz); 13C NMR (75MHz, CDCl3):δ= 173.7, 168.6, 138.3, 135.9, 134.1, 128.9, 128.5, 128.3, 127.8, 125.6, 125.5, 122.4, 121.5, 23.4, 20.6, 14.2, 13.8.
실시예 19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azidoethane-1,2-diyl)di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71% 수율로 확인했다.
Z isomer: 1H NMR (300MHz, DMSO): δ 9.61 (bs,1H), 7.57-7.51 (m,4H), 7.38-7.26 (m,6H), 6.76 (s,1H), 2.04 (s,3H); 13C NMR (75MHz, DMSO):δ= 168.8, 138.9, 136.1, 134.7, 128.7, 128.4, 128.3, 127.8, 127.2, 125.6, 122.7, 22.9.
E isomer: 1H NMR (300MHz, CDCl3): δ 7.48 (bs,1H), 7.37 (s,5H), 7.10-7.08 (m,3H), 6.97-6.94 (m,2H), 6.78 (s,1H), 2.11 (s,3H); 13C NMR (75MHz, CDCl3):δ= 168.8, 137.2, 136.6, 134.9, 129.4, 129.2, 129.0, 128.8, 127.9, 126.1, 117.8, 24.9.
실시예 20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azido-2-methylpropyl)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56%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DMSO): δ 9.02 (bs,1H), 7.34-7.20 (m,5H), 1.89 (s,3H), 1.72 (s,3H), 1.70 (s,3H); 13C NMR (75MHz, DMSO):δ= 167.5, 139.1, 128.9, 128.7, 127.7, 127.3, 126.7, 22.6, 20.7, 20.6.
실시예 21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azido(cyclohexyl)methyl)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34%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DMSO) : δ 8.99 (bs,1H), 7.34-7.17 (m,5H), 2.14-2.08 (m,4H), 1.87 (s,3H), 1.63-1.50 (m,6H); 13C NMR (75MHz, DMSO):δ= 167.7, 139.0, 134.6, 128.8, 127.7, 126.7, 126.1, 30.3, 30.2, 27.7, 27.0, 26.1, 22.7.
실시예 22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azido-2,3-dihydro-1H-ind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96%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76 (bs,1H), 7.47 (d,1H,J=6.83 Hz), 7.33-7.23 (m,3H), 6.87 (t,1H,J=2.02Hz), 3.41 (d,2H,J=2.07Hz), 2.22 (s,3H); 13C NMR (75MHz, CDCl3):δ= 169.1, 143.0, 140.0, 135.7, 126.1, 125.6, 124.4, 116.5, 116.0, 36.7, 24.3.
실시예 23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azido-1,2,3,4-tetrahydronaphthal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95%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mixture of romaters): δ 7.20-7.14 (m,4H), 7.26 and 6.88 (br,1H), 6.36 (t,0.75H, J=4.70Hz), 5.94 (bs,0.25H), 2.82 and 2.74 (t,0.5H and 1.5H,J=7.67Hz), 2.37 and 2.30 (m,2H), 2.12 and 1.93 (s,2.25H and 0.75H); 13C NMR (75MHz, CDCl3,mixture of romaters):δ= 169.5, 136.9, 131.8, 131.7, 128.4, 128.0, 127.6, 127.0, 126.5, 126.1, 122.2, 120.9, 120.0, 27.8, 27.5, 24.2, 22.8, 22.4, 20.4.
실시예 24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4-azidochroman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81%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DMSO): δ 9.17 (bs,1H), 7.34 (d,1H,J=7.49 Hz), 7.21-7.16 (m,1H), 6.97-6.93 (m,1H), 6.83 (d,1H,J=7.87 Hz), 6.24 (m,1H), 4.75 (d,2H,J=3.84 Hz), 2.06 (s,3H); 13C NMR (75MHz, DMSO): δ= 169.3, 154.8, 129.4, 129.3, 122.6, 120.9, 120.4, 115.9, 109.7, 64.4, 23.6.
실시예 25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5-azido-6,7,8,9-tetrahydro-5H-benzo[7]annul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70%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DMSO): δ 9.22 (s,1 H), 7.25-7.22 (m,4 H), 6.37 (t,1 H,J=7.36Hz), 2.60-2.55 (m,2H), 2.06-2.00 (m,2H), 1.95 (s,3H), 1.80-1.72 (m,2H); 13C NMR (75MHz, DMSO): δ= 168.6, 140.9, 137.4, 135.1, 128.6, 127.3, 126.4, 125.9, 117.0, 34.5, 31.6, 23.4, 23.2.
실시예 26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5-(1-azidoethyl)benzo[d][1,3]dioxol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71%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27 (bs,1H), 6.90-6.88 (m,2 H), 6.79-6.76 (m,1H), 5.97 (s,2H), 5.70 (s,1H), 5.00 (s,1H), 2.09 (s,3H); 13C NMR (75MHz, CDCl3): δ= 169.3, 148.0, 140.3, 132.7, 119.9, 108.4, 108.0, 106.9, 102.3, 101.5, 24.6.
실시예 27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4-(1-azidoethyl)benzaldehyd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50%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9.99 (s,1H), 7.84 (d,2H, J=8.24Hz), 7.57 (d,2H,J=7.98Hz), 7.24 (bs,1H), 5.83 (s,1H), 5.23 (s,1H), 2.13(s,3H); 13C NMR (75MHz, CDCl3):δ= 191.8, 169.4, 144.0, 140.0, 136.3, 130.2, 126.8, 106.1, 24.5.
실시예 28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4-(1-azidoethyl)phenyl)ethano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84%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90 (d,2H,J=8.34 Hz), 7.45 (d,2H,J=8.34 Hz), 7.28 (bs,1H), 5.82 (s,1H), 5.19 (s,1H), 2.57 (s,3H), 2.13 (s,3H); 13C NMR (75MHz, CDCl3): δ= 197.8, 169.5, 142.7, 140.1, 137.0, 128.8, 126.4, 105.4, 26.8, 24.5.
실시예 29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2-azidoocta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 혹은 70 ℃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91% 수율로 확인했다.
Terminal isomer: 1H NMR (300MHz, CDCl3): δ 7.02 (s,1H), 5.51 (s,1H), 4.50 (s,1H), 2.12 (t,2H,J=7.3Hz), 2.01 (s,1H), 1.54-1.40 (m,2H), 1.40-1.19 (m,8H), 0.88 (t,3H,J=6.75Hz); 13C NMR (75MHz, CDCl3): δ= 141.6, 98.6, 35.9, 31.7, 28.8, 27.7, 24.7, 22.7, 14.2.
Internal isomer: 1H NMR (300MHz, CDCl3): δ (for E isomer) 6.44 (bs,1H), 5.66 (t,1H,J=7.4Hz), 2.06-2.10 (m,2H), 2.01 (s,3H), 1.87 (s,3H), 1.42-1.19 (m,6H), 0.89 (t,3H,J=6.9Hz), (for Z isomer, orthogonal peaks) 4.92 (t,1H,J=6.93), 2.06 (s,3H); 13C NMR (75MHz, CDCl3): δ= (for E isomer) 168.4, 130.4, 118.3, 31.7, 29.6, 27.3, 24.5, 22.7, 16.3, 14.3, (for Z isomer) 168.6, 131.2, 120.4, 31.7, 29.1, 27.0, 24.1, 21.6, 16.3, 14.3.
실시예 30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azidoethyl)cyclohexa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55%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6.49 (bs,1H), 5.59 (s,1H), 4.56 (s,1H), 2.07 (s,3H), 1.90-1.68 (m,5H), 1.31-1.13 (m,6H); 13C NMR (75MHz, CDCl3): δ= 168.9, 146.0, 97.3, 44.1, 31.8, 26.5, 26.2, 24.9.
실시예 31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2-azidopropyl)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 혹은 70 ℃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70% 수율로 확인했다.
Terminal isomer: 1H NMR (300MHz, CDCl3): δ 7.36-7.23 (m,5H), 6.46 (bs,1H), 5.71 (s,1H), 4.65 (s,1H), 3.47 (s,2H), 1.94 (s,3H); 13C NMR (75MHz, CDCl3): δ= 169.0, 139.5, 137.3, 129.0, 128.9, 127.2, 101.3, 42.6, 24.7.
Internal Z isomer: 1H NMR (300MHz, CDCl3): δ 7.36-7.31 (m,2H), 7.26-7.18 (m,4H), 5.72 (s,1H), 2.27 (s,3H), 1.96 (s,3H); 13C NMR (75MHz, CDCl3): δ= 168.8, 136.0, 134.3, 128.9, 128.3, 126.8, 115.1, 24.3, 21.7.
Internal E isomer: 1H NMR (300MHz, CDCl3): δ 7.78 (bs,1H), 7.30-7.13 (m,5H), 7.01 (s,1H), 2.08 (s,3H), 2.06 (s,3H); 13C NMR (75MHz, CDCl3): δ= 169.4, 137.1, 133.2, 128.9, 128.1, 126.0, 116.5, 24.5, 17.8.
실시예 32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azidocyclohexa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49%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6.57 (bs,1H), 6.06 (s,1H), 2.18-2.05 (m,4H), 2.02 (s,3H), 1.76-1.50 (m,4H); 13C NMR (75MHz, CDCl3): δ= 168.6, 132.8, 113.4, 28.2, 24.6, 24.1, 22.7, 22.1.
실시예 33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azidoethyl)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propion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propion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81%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43-7.33 (m,5H), 6.96 (bs,1H), 5.86 (s,1H), 5.06 (s,1H), 2.31 (q,2H,J=7.46Hz), 1.19 (t,3H,J=7.63Hz); 13C NMR (75MHz, CDCl3): δ= 172.9, 140.7, 138.7, 128.8, 126.2, 102.4, 30.9, 9.8.
실시예 34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azidoethyl)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benzo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benzo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 혹은 7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51%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85-7.81 (m,2H), 7.56-7.36 (m,9H), 6.03 (s,1H), 5.21 (s,1H); 13C NMR (75MHz, CDCl3): δ= 166.5, 140.8, 138.7, 135.0, 132.0, 129.5, 129.0, 128.9, 127.1, 126.2, 103.2.
실시예 35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azidoethyl)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di-tert-butyl dicarbonat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di-tert-butyl dicarbonat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 혹은 7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70%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45-7.33 (m,5H), 6.14 (s,1H), 5.56 (s,1H), 4.88 (s,1H), 1.48 (s,9H); 13C NMR (75MHz, CDCl3): δ= 153.3, 141.3, 138.9, 128.8, 126.3, 98.7, 80.6, 28.5.
실시예 36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azidoethyl)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2,2,2-trifluoroacet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2,2,2-trifluoroacet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후, 1H NMR을 통해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74%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in crude mixture with an internal standard (CH3NO2)): δ 8.23 (bs,0.74H), 7.95-7.35 (m,3.70H), 5.84 (s,0.74H), 5.37 (s,0.75H).
실시예 37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azidoethyl)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dihydrofuran-2,5-dion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dihydrofuran-2,5-dion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acid group 의 methylation 후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70%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44-7.27 (m,6H), 5.82 (s,1H), 5.08 (s,1H), 3.66 (s,3H), 2.71-2.57 (m,4H); 13C NMR (75MHz, CDCl3): δ= 173.6, 170.7, 140.6, 138.4, 128.8(overlaped), 126.2, 102.7, 52.1, 32.1, 29.2.
실시예 38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azidoethyl)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2,5-dioxotetrahydrofuran-3,4-diyl diacetat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2,5-dioxotetrahydrofuran-3,4-diyl diacetat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acid group 의 methylation 후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70%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CDCl3): δ 7.64 (bs,1H), 7.43-7.38 (m,5H), 5.83 (d,2H,J=2.2Hz), 5.63 (d,1H,J=2.3Hz), 5.28 (s,1H), 3.75 (s,3H), 2.17 (d,3H,J=2.8Hz); 13C NMR (75MHz, CDCl3): δ= 169.5, 168.8, 167.3, 164.4, 139.1, 137.5, 129.1, 129.0, 125.7, 104.8, 72.2, 71.5, 53.0, 20.6, 20.5.
실시예 39
상기 반응식 2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4.6 mg, 0.005 mmol)과 (1-azidoethyl)benzene (0.25 mmol)을 0.5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아르곤 중 상온에서 30W 의 가정용 형광등 조사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아자이드가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 한 후, 0.5 mmol 의 acetic formic anhydride를 첨가하였다. (혹은 0.5 mmol 의 acetic formic anhydride 및 triethylamine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물은 아르곤 중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매를 제거한 후, 분리 정제하여 해당하는 엔아마이드를 91% 수율로 확인했다.
1H NMR (300MHz, THF, 1:~1 mixture of geometric isomers): δ 8.85/8.66 (bs,2H), 8.45/8.31 (s,2H), 7.52-7.44 (m,4H), 7.37-7.30 (m,6H), 6.02 (s,1H), 4.95 (s,1H), 4.86 (s,1H), 4.80 (s,1H); 13C NMR (75MHz, THF): 163.3, 160.5, 144.0, 141.9, 139.6, 138.1, 129.9, 129.40, 129.38, 129.3, 127.6, 127.1, 101.6, 98.4.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생성물 및 수율은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아자이드 아실 주개 생성물 수율(%)
1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85
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80
3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69
4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80
5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81
6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82
7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93
8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81
9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83
10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86
11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74
12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71
13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82
14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78
15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68
16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2
78
17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4
85
18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62
(E:Z=30:70)
19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71
(E:Z=15:85)
20
Figure pat00049
Figure pat00050
56
21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2
34
22
Figure pat00053
Figure pat00054
96
23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6
95
24
Figure pat00057
Figure pat00058
81
25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60
70
26
Figure pat00061
Figure pat00062
71
27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4
50
28
Figure pat00065
Figure pat00066
84
29
Figure pat00067
Figure pat00068
91
interanl/terminal(E:Z)=81:19(60:40)
30
Figure pat00069
Figure pat00070
55
31
Figure pat00071
Figure pat00072
70
interanl/terminal(E:Z)=35:65(23:77)
32
Figure pat00073
Figure pat00074
49
33
Figure pat00075
Figure pat00076
Figure pat00077
81
34
Figure pat00078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80
51
35
Figure pat00081
Figure pat00082
Figure pat00083
70
36
Figure pat00084
Figure pat00085
Figure pat00086
74
37
Figure pat00087
Figure pat00088
Figure pat00089
70
38
Figure pat00090
Figure pat00091
Figure pat00092
70
39
Figure pat00093
Figure pat00094
Figure pat00095
91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6)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엔아마이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a) 유기 아자이드에 금속 착화합물을 첨가하여 질소에 치환기가 없는 이민을 합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민에 아실 주개(acyl-donor)를 첨가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아자이드는 알파 수소(alpha hydrogen)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실 주개는 산 할로겐화물 또는 산 무수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착화합물은 루테늄 착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루테늄 착화합물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루테늄 착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96

    [화학식 2]
    Figure pat00097

    상기 식에서,
    R1, R2, R3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가시광선의 조사 하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40160745A 2014-11-18 2014-11-18 유기 아자이드 및 아실 주개로부터 엔아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KR101692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745A KR101692593B1 (ko) 2014-11-18 2014-11-18 유기 아자이드 및 아실 주개로부터 엔아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745A KR101692593B1 (ko) 2014-11-18 2014-11-18 유기 아자이드 및 아실 주개로부터 엔아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189A true KR20160059189A (ko) 2016-05-26
KR101692593B1 KR101692593B1 (ko) 2017-01-03

Family

ID=56104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745A KR101692593B1 (ko) 2014-11-18 2014-11-18 유기 아자이드 및 아실 주개로부터 엔아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5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184B1 (ko) * 2004-02-19 2013-03-05 피피쥐-에스아이피에스와이 치환된 알파-아미노인단 유도체의 합성 방법
KR101422388B1 (ko) * 2013-01-16 2014-07-2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질소에 치환기가 없는 이민의 촉매적 제조 방법 및 생성된 이민의 이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184B1 (ko) * 2004-02-19 2013-03-05 피피쥐-에스아이피에스와이 치환된 알파-아미노인단 유도체의 합성 방법
KR101422388B1 (ko) * 2013-01-16 2014-07-2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질소에 치환기가 없는 이민의 촉매적 제조 방법 및 생성된 이민의 이용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Tetrahedron Letters (2004), Vol.45, pp.2919-2922* *
논문: TETRAHEDRON, 69, 2013, PP. 268-27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593B1 (ko)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898192B (zh) 一种n-酰基吲哚化合物的制备方法
JP7109471B2 (ja) D2からの重水素化エタノールの調製方法
JP2001515879A (ja) アリールオリゴアミン類の調製法
WO2009136646A1 (ja) 不飽和有機化合物の製造方法
JP4467935B2 (ja) ハロゲン化芳香族アミン化合物の製造法
KR101692593B1 (ko) 유기 아자이드 및 아실 주개로부터 엔아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CN110804013B (zh) 一种邻位二胺类化合物的合成方法
JP2004238362A (ja) 光学活性四級アンモニウム塩、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相間移動触媒として用いた光学活性α−アミノ酸誘導体の製造方法
CN113735914B (zh) 二茂铁衍生物类金属有机配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5544756B2 (ja) ホスフィン化合物及び該ホスフィン化合物と遷移金属化合物からなる触媒
JP4310284B2 (ja) エナミドのアゾ化合物への求核付加反応方法
JP4070370B2 (ja) 多環式芳香族化合物の製造方法
JP4481589B2 (ja) ビスホスフィンの製造方法
JP6452584B2 (ja) 芳香族化合物の製造方法
JP2019196323A (ja) 9−(1−ナフチル)−9h−カルバゾ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
KR101554539B1 (ko) 금속이 배제된 호기성 산화 아민화 반응을 이용한 아마이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JP2018140985A (ja) 芳香族化合物の製造方法
KR101013147B1 (ko) 신규한 알레닐 설파이드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JP2014084289A (ja) フルオレ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2021178811A (ja) 芳香族エーテル化合物又は芳香族スルフヒドリル化合物の製造方法
JPH09500627A (ja) 治療的活性タキソイド類の合成において有用なn−カルボニルアリールイミン類の製造法
JP4490152B2 (ja) 1,1−ジアルキル−3−(4−フェナントレニル)−2−プロピン−1−オール誘導体
CN116606237A (zh) 一种色氨酸衍生物的合成方法
CN117586169A (zh) 一种三取代羟胺类衍生物及其合成方法
CN116063216A (zh) 一种钯催化脱羧[3+2]环加成反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