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620A - 뼈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뼈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620A
KR20160058620A KR1020140160340A KR20140160340A KR20160058620A KR 20160058620 A KR20160058620 A KR 20160058620A KR 1020140160340 A KR1020140160340 A KR 1020140160340A KR 20140160340 A KR20140160340 A KR 20140160340A KR 20160058620 A KR20160058620 A KR 20160058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scaffold
battery
electrode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5414B1 (ko
Inventor
남태현
이지욱
김연욱
조규봉
노정필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0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414B1/ko
Priority to PCT/KR2014/011065 priority patent/WO2016080566A1/ko
Priority to US15/504,587 priority patent/US10314709B2/en
Publication of KR2016005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2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for bone cercl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61L27/047Other specific metals or alloys not covered by A61L27/042 - A61L27/045 or A61L27/0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12Phosphorus-containing materials, e.g. apat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21Bone stimulation by electromagnetic fields or electric current for enhancing oss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1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e.g. phosphates, phospho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urge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Abstract

뼈 손상 부위에 삽입되는 스캐폴드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뼈 재생장치가 개시된다. 본 뼈 재생장치는, 전지, 전지의 제1 전극과 연결되고 스캐폴드의 일측에 존재하는 뼈에 삽입되기 위한 제1 도전체, 및, 전지의 제2 전극과 연결되고 스캐폴드의 타측에 존재하는 뼈에 삽입되기 위한 제2 도전체를 포함하고, 전지는,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스캐폴드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뼈 재생장치{BONE RE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뼈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지와 연결되는 도전체를 스캐폴드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하여 뼈 세포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뼈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캐폴드(scaffold)는 조직구축, 세포기능 제어를 위해 인공적으로 만든 구조물을 말한다. 즉, 스캐폴드(scaffold)는 세포의 접착 유도 물질의 역할을 하고, 뼈 세포가 증식, 분화할 수 있는 지지체로써 작용할 수 있다.
한편, 뼈는 칼슘, 인, 미네랄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써, 스캐폴드(scaffold)를 이용하여 뼈 세포를 성장 시키는 경우에는, 뼈 세포를 형성하는 이온들이 스캐폴드(scaffold)에 부착되어야 한다.
다만, 뼈 세포를 형성하는 이온은 체내에서 생리 작용에 따라 일정한 패턴으로 이동하는 바, 스캐폴드(scaffold)의 삽입만으로는 스캐폴드(scaffold)에 이온이 잘 부착되지 않아 뼈 세포의 형성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와 연결되는 도전체를 스캐폴드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하여 뼈 세포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뼈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뼈 손상 부위에 삽입되는 스캐폴드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뼈 재생장치는, 전지, 상기 전지의 제1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스캐폴드의 일측에 존재하는 뼈에 삽입되기 위한 제1 도전체, 및, 상기 전지의 제2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스캐폴드의 타측에 존재하는 뼈에 삽입되기 위한 제2 도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는, 상기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스캐폴드에 전기장을 형성한다.
이 경우, 본 뼈 재생장치는, 상기 전지가 장착되기 위한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의 일 단부는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뼈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는, 판상형일 수 있다.
한편, 본 뼈 재생장치는, 상기 제1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스위칭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뼈 재생장치는, 뼈 손상 부위에 삽입되어 뼈 세포 재생을 위한 이온이 부착되는 스캐폴드, 및, 상기 스캐폴드 상에 배치되는 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상기 스캐폴드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지는,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스캐폴드에 전기장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전지는, 상기 스캐폴드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스캐폴드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지는, 실(Thread)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본 뼈 재생장치는,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되는 제1 도전체, 상기 제2 전극과 연결되는 제2 도전체, 및, 상기 제1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스위칭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뼈 재생장치는, 뼈 손상 부위에 삽입되어 뼈 세포 재생을 위한 이온이 부착되는 스캐폴드, 및, 상기 스캐폴드를 둘러싸는 실(Thread) 형태 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지에 전류가 인가됨으로써 상기 스캐폴드에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지는, 내부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뼈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캐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뼈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뼈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뼈 재생장치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도전체 및 2 도전체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뼈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뼈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캐폴드 주면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뼈 재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뼈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뼈 재생장치(100)는 전지(110), 제1 도전체(111), 제2 도전체(112), 제1 도선(113), 제2 도선(114)을 포함한다.
뼈 재생장치(100)는 뼈 손상 부위 삽입되는 스캐폴드(미도시)에 전기장을 형성한다.
전지(110)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외부의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전지(110)로는 2차 전지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도전체(111)는 제1 도선(113)에 의해 전지(110)의 제1 전극(양극)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도전체(112)는 제2 도선(114)에 의해 전지(110)의 제2 전극(음극)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지(110)는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 양 단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가 원판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는 본 스크류(bone screw)의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전지(110)의 외부는 생체 적합성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캐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스캐폴드(scaffold)(120)는 뼈 손상부위에 삽입되어 뼈 세포가 재생될 수 있도록 지지체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캐폴드(scaffold)(120)는 조직구축, 세포기능 제어를 위해 인공적으로 만든 구조물을 뜻한다. 구체적으로, 스캐폴드(scaffold)(120)는 세포의 접착 유도 물질의 역할을 하고, 뼈 세포가 증식, 분화할 수 있는 지지체로써 작용할 수 있다.
스캐폴드(scaffold)(120)에는 뼈 세포의 재생에 필요한 각종 이온들이 부착된다. 뼈 세포의 재생에 필요한 이온에는 칼슘이온, 인 이온 및 각종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스캐폴드(scaffold)(120)는 대표적으로 천연재료와 인공재료로 만들어지는데, 천연재료에는 콜라겐, 젤라틴, 키틴, 키토산, 및 히알루론산 등이 있으며, 인공재료에는 세라믹재료, 금속재료, 및 고분자합성 재료 등이 있다. 고분자합성재료에는 polycaprolactone(PCL), 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polylactic acid(PLA), polyglicolic acid (PGA) 등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뼈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제1 도전체(111)는 전지(110)의 제1 전극과 연결되고 스캐폴드(scaffold)(120)의 일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도전체(111)는 스캐폴드(scaffold)(120)의 표면과 접촉되어, 또는 스캐폴드(scaffold)(120)로부터 이격되어 스캐폴드(scaffold)(12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도전체(112)는 전지(110)의 제2 전극과 연결되고 스캐폴드(scaffold)(120)의 타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도전체(112)는 스캐폴드(scaffold)(120)의 표면과 접촉되어, 또는 스캐폴드(scaffold)(120)로부터 이격되어 제1 도전체(111)가 배치된 방향과는 다른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전지(110)는,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스캐폴드(scaffold)(120) 근처에 전기장을 형성하여 뼈 세포 재생을 위한 이온들을 끌어들인다.
구체적으로,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에 전압을 인가하면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된다.
한편, 뼈 세포 재생에 필요한 칼슘, 인 등은 채내에서 이온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뼈 세포 재생에 필요한 원소들이 이온으로써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띄고 있는 경우에는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포획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 사이에는 스캐폴드(scaffold)(120)가 존재하는 바, 스캐폴드(scaffold)(120)에 이온들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 사이에 스캐폴드(scaffold)(120)를 배치함으로써 뼈 세포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한편, 뼈 재생장치(100)는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스위칭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회로(미도시)는 전지(110)의 제1전극 및 제2 전극,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와 연결되어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회로는 제1 전극과 제1 도전체(111)를, 제2 전극과 제2 도전체(112)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한 시간이 지난 경우 스위칭 회로는 제2 전극과 제1 도전체(111)를, 제1 전극과 제2 도전체(112)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시 일정한 시간이 지난 경우 스위칭 회로는 제1 전극과 제1 도전체(111)를, 제2 전극과 제2 도전체(112)를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를 통해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뼈 세포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이온 중 양이온은 한쪽 방향에, 음이온은 반대쪽 방향에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는 스캐폴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 사이에 대응되는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의 세기가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도3에서는,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가 원판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는 본 스크류(bone screw)의 형태일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뼈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뼈 재생장치(100)는 전지(110), 제1 도전체(111), 제2 도전체(112), 스캐폴드(scaffold)(120), 지지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체(111)는 전지(110)의 제1 전극과 연결되고 스캐폴드(scaffold)(120)의 일측에 존재하는 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도전체(111)의 일 단부는 지지대(130)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뼈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대(130)가 뼈를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2 도전체(112)는 전지(110)의 제2 전극과 연결되고 스캐폴드(scaffold)(120)의 타측에 존재하는 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도전체(112)의 일 단부는 지지대(130)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뼈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대(130)가 뼈를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뼈 재생장치(100)는 전지(110)가 장착되기 위한 지지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지(110)는 지지대(1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도선(113) 또는 제2 도선(114) 역시 지지대(130) 내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전지(110)의 모든 부분이 지지대(13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지(110)의 일부는 지지대(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전지(110)의 일부는 지지대(130) 밖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는 스캐폴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 사이에 대응되는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의 세기가 증가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뼈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에 따르면, 전지(110)는 지지대(130)의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도선(113)은 지지대(130) 내에 삽입되어 전지(110)의 제1 전극을 제1 도전체(111)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2 도선(114)은 지지대(130) 내에 삽입되어 전지(110)의 제2 전극을 제2 도전체(114)에 연결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뼈 재생장치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지지대(130)에는 제1 고정부(131) 및 제2 고정부(132)가 연결될 수 있고, 제1 고정부(131) 및 제2 고정부(132) 각각은 뼈 손상부위 주변의 뼈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대(130)가 뼈 손상부위 주변의 뼈를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30)에는 제1 고정부(131) 및 제2 고정부(132)가 연결될 수 있고, 제1 고정부(131) 및 제2 고정부(132) 각각은 뼈 손상부위 주변의 뼈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고정부(131) 및 제2 고정부(132)는 뼈 손상부위 주변의 뼈가 스캐폴드(scaffold)(12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뼈 손상부위 주변의 뼈에 고정됨으로써, 스캐폴드(scaffold)(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는 스캐폴드에 접촉되는 형태로써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되기 때문에,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의 세기가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도 5a에서는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는 스캐폴드(scaffold)(120)에 접촉되는 형태로써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도전체(111)는 스캐폴드(scaffold)(120)의 일측의 임의의 지점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전체(111)는 뼈에 삽입되는 방법으로도 스캐폴드(scaffold)(120)의 일측의 임의의 지점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도전체(112)는 스캐폴드(scaffold)(120)의 제1 도전체(111)의 방향과는 다른 타측의 임의의 지점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도전체(111)는 뼈에 삽입되는 방법으로도 스캐폴드(scaffold)(120)의 타측의 임의의 지점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는, 제1 고정부(131) 및 제2 고정부(132)와는 별개로 고정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의 일 단부는 지지대(130)와 연결되고 타 단부는 뼈에 삽입됨으로써 뼈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지지대(130)와 제1 고정부(131) 및 제2 고정부(132)가 두개의 분리된 뼈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지대(130)와 고정부는 세개 이상의 분리된 뼈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분리되지는 않았으나 일부가 손상된 뼈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세개 이상의 고정부를 가지는 것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대(130)와 하나의 고정부 만으로도 뼈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스캐폴드(scaffold)(110)와 지지대(130)가 분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캐폴드(scaffold)(110)와 지지대(130)가 직접 연결되어 스캐폴드(scaffold)(110)가 지지대(130)에 고정되는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뼈 재생장치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서는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가 제1 고정부(131) 및 제2 고정부(132)가 위치하는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b에 따르면,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는 스캐폴드(scaffold)(110)의 임의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전체(121) 및 제2 도전체(122)는 지지대(130)에 연결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도전체(121) 및 제2 도전체(122)가 스캐폴드(scaffold)(120)를 사이에 두고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 즉, 제1 도전체(121)가 스캐폴드(scaffold)(120)로부터 제1 방향에 배치되면, 제2 도전체(122)는 스캐폴드(scaffold)(120)로부터 제1 방향이 아닌 임의의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제2 도전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에 따르면,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는 판상형의 형태일 수 있다.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의 면적이 더 클수록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의 크기는 커진다. 따라서, 더 많은 이온의 포획을 위해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는 판상형의 형태일 수 있다.
도 6b에 따르면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는 스캐폴드의 측면에 부착되기 위해 스캐폴드의 측면을 따라 완만하게 휘어들어가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서 도시한 것 외에도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전체(111) 및 제2 도전체(112)는 본 스크류(bone screw)의 형태일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뼈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뼈 재생장치(200)는 전지(210), 스캐폴드(220)를 포함한다.
스캐폴드(scaffold)(220)는 뼈 손상부위에 삽입되어 뼈 세포가 재생될 수 있도록 지지체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캐폴드(scaffold)(220)는 조직구축, 세포기능 제어를 위해 인공적으로 만든 구조물을 뜻한다. 구체적으로, 스캐폴드(scaffold)(220)는 세포의 접착 유도 물질의 역할을 하고, 뼈 세포가 증식, 분화할 수 있는 지지체로써 작용할 수 있다.
전지(210)는 스캐폴드(scaffold)(220)에 배치된다. 한편, 도 7에서는 전지(210)가 스캐폴드(scaffold)(220)의 표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스캐폴드(scaffold)(2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전지(210)는 스캐폴드(scaffold)(220)를 감싸는 형태로 스캐폴드(scaffold)(220)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지(210)의 제1 전극(211)은 스캐폴드(scaffold)(220)의 일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211)은 스캐폴드(scaffold)(220)의 표면과 접촉되어, 또는 스캐폴드(scaffold)(220)로부터 이격되어 스캐폴드(scaffold)(2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지(210)의 제2 전극(212)은 스캐폴드(scaffold)(220)의 타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전극(212)은 스캐폴드(scaffold)(220)의 표면과 접촉되어, 또는 스캐폴드(scaffold)(220)로부터 이격되어 제1 전극(211)이 배치된 방향과는 다른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전지(210)는,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제1 전극(211) 및 제 제2 전극(212)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여 뼈 세포 재생을 위한 이온들을 끌어들인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에 전압을 인가하면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된다.
한편, 뼈 세포 재생에 필요한 칼슘, 인 등은 채내에서 이온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뼈 세포 재생에 필요한 원소들이 이온으로써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띄고 있는 경우에는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포획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 사이에는 스캐폴드(scaffold)(220)가 존재하는 바, 스캐폴드(scaffold)(220)에 이온들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 사이에 스캐폴드(scaffold)(220)를 배치함으로써 뼈 세포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서 스캐폴드(scaffold)(220)를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지(210)의 외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은 전지(210) 외부의 절연체와 스캐폴드(scaffold)(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은 스캐폴드(scaffold)(210)를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이 스캐폴드(scaffold)(2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서 서로 평행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 사이에 대응되는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2)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의 세기가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뼈 재생장치(200)는 제1 전극(211)과 연결되는 제1 도전체(미도시) 및 제2 전극(212)와 연결되는 제2 도전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제1 도전체(미도시) 및 제2 도전체(미도시)는 스캐폴드(scaffold)(220)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어 스캐폴드에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뼈 재생장치(200)는 제1 도전체(미도시) 및 제2 도전체(미도시)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스위칭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회로(미도시)는 전지(210)의 제1전극(211) 및 제2 전극(212), 제1 도전체(미도시) 및 제2 도전체(미도시)와 연결되어 제1 도전체(미도시) 및 제2 도전체(미도시)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회로는 제1 전극(211)과 제1 도전체(미도시)를, 제2 전극(212)과 제2 도전체(미도시)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한 시간이 지난 경우 스위칭 회로는 제2 전극(212)과 제1 도전체(미도시)를, 제1 전극(211)과 제2 도전체(미도시)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시 일정한 시간이 지난 경우 스위칭 회로는 제1 전극(211)과 제1 도전체(미도시)를, 제2 전극(212)과 제2 도전체(미도시)를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를 통해 제1 도전체(미도시) 및 제2 도전체(미도시)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뼈 세포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이온 중 양이온은 한쪽 방향에, 음이온은 반대쪽 방향에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지(210)의 외부는 생체 적합성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뼈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전지(210)는 스캐폴드를 감싸는 가변형 전지일 수 있다. 여기서 가변형 전지란 형상의 변형이 자유로운 전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가변형 전지는 실(Thread)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실(Thread)형태라 함은 원통형,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나 단면적에 비하여 길이가 매우 길고, 구부리거나 휠 수 있는 형태를 가리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210)는 실(Thread)형태의 가변형 전지로써, 스캐폴드(scaffold)(220)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지(21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뼈 재생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에 따르면, 스캐폴드(scaffold)(220) 및 전지(210)를 포함하는 뼈 재생장치는 지지대(230) 및 고정부(231, 232)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지지대(230)는 제1 고정부(231) 및 제2 고정부(232)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고정부(231) 및 제2 고정부(232) 각각은 뼈 손상부위 주변의 뼈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대(230)가 뼈를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지지대(230)는 제1 고정부(231) 및 제2 고정부(232)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고정부(231) 및 제2 고정부(232) 각각은 뼈 손상부위 주변의 뼈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뼈 손상부위 주변의 뼈는 제1 고정부(231) 및 제2 고정부(232) 각각에 의해 스캐폴드(scaffold)(220)에 압력을 가하도록 고정됨으로써, 스캐폴드(scaffold)(2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스캐폴드(scaffold)(220)와 지지대(230)가 분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캐폴드(scaffold)(220)와 지지대(230)가 직접 연결되어 스캐폴드(scaffold)(220)가 지지대(230)에 고정되는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캐폴드 주면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뼈 재생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뼈 재생장치(300)은 전지(310), 스캐폴드(320)을 포함한다.
전지(310)는 스캐폴드(320)를 둘러싸는 실(Thread) 형태의 가변형 전지이다. 여기서 가변형 전지란 형상의 변형이 자유로운 전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가변형 전지는 실(Thread)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실(Thread)형태라 함은 원통형,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나 단면적에 비하여 길이가 매우 길고, 구부리거나 휠 수 있는 형태를 가리킨다.
전지(310)의 제1 전극(311) 및 제2 전극(312)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전지(310)의 제1 전극(311) 및 제2 전극(312)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스캐폴드(320)의 주변에는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뼈 세포 재생에 필요한 칼슘, 인 등은 채내에서 이온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뼈 세포 재생에 필요한 원소들이 이온으로써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띄고 있는 경우에는 스캐폴드(320) 주변에 형성된 자기장에 포획되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스캐폴드(scaffold)(320)에 이온들이 부착될 수 있고, 뼈 세포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한편, 전지(310) 내부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 형태의 전지는 전해질과 함께 집전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집전체(미도시) 역시 실 형태를 가지고 제1 전극(311)에서부터 제2 전극(312)까지 전지(310) 내부에서 연결되는 바, 제1 전극(311) 및 제2 전극(312)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전지(310) 내부의 집전체(미도시)를 통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고, 따라서, 스캐폴드(320) 주변에는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지(310)의 외부는 생체 적합성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안 될 것이다.
110: 전지 120: 스캐폴드
130: 지지대

Claims (10)

  1. 뼈 손상 부위에 삽입되는 스캐폴드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뼈 재생장치에 있어서,
    전지;
    상기 전지의 제1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스캐폴드의 일측에 존재하는 뼈에 삽입되기 위한 제1 도전체; 및
    상기 전지의 제2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스캐폴드의 타측에 존재하는 뼈에 삽입되기 위한 제2 도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는, 상기 제1 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스캐폴드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가 장착되기 위한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의 일 단부는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는, 판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재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스위칭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재생장치.
  5. 뼈 손상 부위에 삽입되어 뼈 세포 재생을 위한 이온이 부착되는 스캐폴드; 및
    상기 스캐폴드 상에 배치되는 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상기 스캐폴드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지는,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스캐폴드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재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상기 스캐폴드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스캐폴드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재생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실(Thread)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재생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되는 제1 도전체;
    상기 제2 전극과 연결되는 제2 도전체; 및
    상기 제1도전체 및 상기 제2 도전체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스위칭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재생장치.
  9. 뼈 손상 부위에 삽입되어 뼈 세포 재생을 위한 이온이 부착되는 스캐폴드; 및
    상기 스캐폴드를 둘러싸는 실(Thread) 형태 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지에 전류가 인가됨으로써 상기 스캐폴드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재생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재생장치.


KR1020140160340A 2014-11-17 2014-11-17 뼈 재생장치 KR101675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40A KR101675414B1 (ko) 2014-11-17 2014-11-17 뼈 재생장치
PCT/KR2014/011065 WO2016080566A1 (ko) 2014-11-17 2014-11-18 뼈 재생장치
US15/504,587 US10314709B2 (en) 2014-11-17 2014-11-18 Bone regener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40A KR101675414B1 (ko) 2014-11-17 2014-11-17 뼈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620A true KR20160058620A (ko) 2016-05-25
KR101675414B1 KR101675414B1 (ko) 2016-11-11

Family

ID=56014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340A KR101675414B1 (ko) 2014-11-17 2014-11-17 뼈 재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14709B2 (ko)
KR (1) KR101675414B1 (ko)
WO (1) WO201608056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762A (ko) * 2017-12-13 2019-06-21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뼈 재형성 증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뼈 재형성 증가 방법
KR20200063634A (ko) * 2018-11-28 2020-06-0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골 재건용 하이브리드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0580A1 (en) * 2022-08-05 2024-02-08 University Of Oregon Fixation device with electromagnetic pum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219A (ja) * 1999-01-28 2000-09-05 Depuy Orthopaedics Inc 移植した骨刺激装置、プロテーゼシステムおよび使用方法
KR100791512B1 (ko) * 2006-12-21 2008-01-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구조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조직재생용 멤브레인과스캐폴드 및 그들의 제조방법
KR20080027325A (ko) * 2005-06-03 2008-03-26 헬소닉스 인코포레이티드 펄스형 전자기장 치료를 이용한 뼈연골 성장 조절 방법
KR20110025327A (ko) * 2009-09-04 2011-03-1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세포 및 연골세포 공동 배양용 이중 스캐폴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2638A (en) * 1984-10-03 1986-07-29 Eddie Adams Apparatus and method for invasive electrical stimulation of bone fractures
US6095148A (en) 1995-11-03 2000-08-01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Neuronal stimulation using electrically conducting polymers
US7022506B2 (en) 2000-02-23 2006-04-04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osteoarthritis, cartilage disease, defects and injuries in the human knee
US7374916B2 (en) 2000-02-23 2008-05-20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Regulation of aggrecan gene expression using specific and selective electrical and electromagnetic signals
US7840272B2 (en) 2005-06-03 2010-11-23 Medrelief Inc. Methods for modulating osteochondral development using bioelectrical stimulation
CA2650804C (en) 2006-04-25 2016-09-13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open and closed wound spinal cord injuries
NZ582100A (en) 2007-07-03 2013-01-25 Synergy Biosurgical Ag Medical implant with a conductive polymer which is capable of warming up and softening in response to a current flow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219A (ja) * 1999-01-28 2000-09-05 Depuy Orthopaedics Inc 移植した骨刺激装置、プロテーゼシステムおよび使用方法
KR20080027325A (ko) * 2005-06-03 2008-03-26 헬소닉스 인코포레이티드 펄스형 전자기장 치료를 이용한 뼈연골 성장 조절 방법
KR100791512B1 (ko) * 2006-12-21 2008-01-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구조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조직재생용 멤브레인과스캐폴드 및 그들의 제조방법
KR20110025327A (ko) * 2009-09-04 2011-03-1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세포 및 연골세포 공동 배양용 이중 스캐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762A (ko) * 2017-12-13 2019-06-21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뼈 재형성 증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뼈 재형성 증가 방법
KR20200063634A (ko) * 2018-11-28 2020-06-0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골 재건용 하이브리드 구조체
WO2020111711A3 (ko) * 2018-11-28 2020-07-2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골 재건용 하이브리드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0566A1 (ko) 2016-05-26
KR101675414B1 (ko) 2016-11-11
US20170245996A1 (en) 2017-08-31
US10314709B2 (en)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414B1 (ko) 뼈 재생장치
WO2010057026A3 (en) Rechargeable stimulation lead, system, and method
EP2662113A3 (en) Leadless heart stimulation and/or monitoring device
AR245562A1 (es) Dispositivo electronico para atrapar insectos.
ES2710316T3 (es) Sistema de electrodo para formar una descarga de plasma de barrera dieléctrica
MX2018003575A (es) Engrapadora quirurgica que tiene control del motor basado en espejo de corriente.
CL2011001170A1 (es) Un perfil en t de rejilla, un perfil principal y una combinación de una rejilla para techo suspendido, que presenta superficies paralelas y ortogonales, con bandas conductoras eléctricamente aisladas, con un cuerpo metálico alargado de forma de sección transversal convencional y perfiles en t principales metálicos y cruzados.
MY188854A (en) Method and ophthalmic device for galvanic healing of an eye
US9770353B2 (en) Combined cauterization and stent operation device
RU2011140822A (ru) Способ подачи питания,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питания и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питания
KR20160035742A (ko) 공기 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 미용기기
US10615399B2 (en) Power terminal for implantable devices
JP2008542998A (ja) 広域静電気中和装置およびその方法
ES2613873T3 (es) Revestimiento galvánico de un producto a tratar mediante el uso de un ánodo interno
US9474908B2 (en) Bone stabilizer and stimulator implant
KR100950795B1 (ko)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CN210137090U (zh) 空气净化器
EP1962404A3 (en) Power supply device
CN101999734A (zh) 静电型表面清洁杀菌工具
CN104582787A (zh) 电极环带
US11412729B2 (en) Organism inducing device and organism inducing unit
RU2010110934A (ru) Устройство плазменной коагуляции тканей (варианты)
US20200163801A1 (en) Electronic bandage
EP2437279A3 (en) Ion beam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ion beam system
KR20120058847A (ko) 이온발생용 세라믹 방전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