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795B1 -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 Google Patents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795B1
KR100950795B1 KR1020070114096A KR20070114096A KR100950795B1 KR 100950795 B1 KR100950795 B1 KR 100950795B1 KR 1020070114096 A KR1020070114096 A KR 1020070114096A KR 20070114096 A KR20070114096 A KR 20070114096A KR 100950795 B1 KR100950795 B1 KR 100950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ty voltage
output unit
magnetic
polarity
voltag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954A (ko
Inventor
박기권
Original Assignee
박기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권 filed Critical 박기권
Priority to KR1020070114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795B1/ko
Priority to PCT/KR2008/006558 priority patent/WO2009061142A2/en
Publication of KR20090047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극(磁極)과 전극(電極)이라는 상이한 극성에서 출력되는 에너지를 조합(調合)하여, 병증을 유발하는 조직의 비정상적인 전자기 상태를 정상적인 상태로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전기장, 자기장, 극초점 형성부, 극성 전압

Description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A APPARATUS GENERATING A ELECTRIC FIELD AND A MAGNETIC FIELD FOR TREATMENT}
본 발명은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극(磁極)과 전극(電極)이라는 상이한 극성에서 출력되는 에너지를 조합(調合)하여, 병증을 유발하는 조직의 비정상적인 전자기 상태를 정상적인 상태로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기와 자기는 인체의 모든 조직에서 필수적인 에너지이다. 특히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는 이들 에너지의 역할이 절대적이다. 근육은 전신에 분포되어 육신의 운동이나 조직의 기능을 조절하기 때문에 근육의 상태는 건강과 직결된다. 실제로 질병이 발생한 조직의 근육은 유연성을 잃고 경직되거나 지나치게 이완되어 있다. 이러한 근육 조직의 비정상적인 상태가 해소되어야 질병도 치료된다. 본 발명은 그러한 비정상적인 조직에 자력과 전압을 아울러 적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려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의료용 자석과 전기 치료기를 별도로 개발하여 각각 질병 치료에 적용하였다. 자석은 독성이나 충격이 없으면서 조직의 염증을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얇고 가볍게 가공하여 환부에 부착하거나 목걸이나 팔찌로 만들거나 복대 또는 요 속에 넣어 인체와 밀착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어 많은 사람들이 자석을 질병 치료에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환부의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긴 시간이 소요되며 심부에 조성된 병증을 해소시키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것은 N극과 S극의 거리가 가깝고 평면에 극이 형성되어 있어서 자기장의 지향성이 미약하고 자력이 분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자석을 경혈(經穴)에 부착하는 방법이 시도되기도 하지만 이것도 신경반사를 유도하여 환부의 환경을 변화시키는 침술(鍼術)과 유사한 방법일 뿐 그 이상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종래의 전기 치료기는 전기의 합선으로 발생되는 열이나 진동 등의 자극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체온의 상승이나 안마 효과 등 인체의 물리적 변화라는 단순한 작용만 일어나기 때문에 이온 물질의 불균형으로 조직이 비정상적인 전기적 성질을 띠고 그로 인해 체액이 과도한 산성 또는 염기성으로 기운 상태를 바로잡아 인체 조건에 맞게 조절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강한 자성을 띠고 굳어 있는 병증 조직의 경화상태를 이완시키지 못하고 높은 치료 효과 또한 얻을 수 없다. 그래서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무리하게 고전압이나 과다 전류, 고주파 등을 사용하고 그에 따른 충격으로 피치료자가 마비증상을 일으키거나 조직의 손상을 입는 등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기 유도를 일으켜 근육을 포함한 세포 조직에 형성된 생체자기장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자기(磁氣)와 극성에 의해 조직의 전자 농도를 가감할 수 있는 전기(電氣), 즉 자연계의 자기와 전기를 환부에 적용하여 부작용 없이 치료 효과를 높이는 방법을 모색한 것이다.
전자기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세포 조직은 자성을 띤 세포의 집합체로서 전압으로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석과 같다. 조직에 조성된 전위 상태에 따라 그 강도가 변하는 것이다.
세포는 각종 영양분이 해리되어 전기적 성질을 띤 전해질이 절연체인 지질(脂質)의 막 즉 세포막 속에 갇히어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양분된 작은 전지 또는 자석과 같은 구조인데, 이것이 같은 구조인 이웃 세포들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집단을 이루면서 정렬된 자기장을 지닌 조직이 된다.
이러한 조직은 세포 내부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에너지를 생성할 때마다 이온의 양극화가 심화하여 전지 구조인 세포가 충전되면서 강한 자성을 띠게 되고 이것이 조직의 수축력을 만든다.
이처럼 세포는 내부에 미토콘드리아라는 충전구조가 있는 반면, 절연체인 지질로 면적의 대부분을 이루는 세포막에는 단백질 합성체가 군데군데 박혀 모자이크 모형을 이루면서 수용된 영양성분과 이온의 통로 역할을 하는데, 전자기적으로는 이것이 이온을 이동시키는 방전구조가 된다. 이 두 구조 즉 충전구조와 방전구조로 인해 조직세포에서 충방전이 제때에 이루어지면 그 부위의 전위(電位)가 조절되면서 원활한 생명활동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조직의 충방전이 순조롭지 않으면 그 부위는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전압을 띠게 되고 자기(磁氣) 또한 지나치게 강하거나 약해지면서 병적인 상태가 된다.
특히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 지나치게 활발해지면 그 부위는 과충전으로 높은 전압을 띠게 되고 그 영향을 받아 자기 또한 강해지면서 세포끼리 밀착되어 방전통로가 막히고 경화상태가 심화되어 병적인 상태 또한 심각해진다. 그것은 미토콘트리아에서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가 세포 조직의 전위(電位)를 높이면서 그 부위의 자기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세포 조직은 외부에서 자력(磁力)이나 전압(電壓)을 가해서 그 신축성을 조절할 수 있다. 조직은 세포 내부의 전해질, 즉 양이온과 음이온의 배열에 따라 결을 이루면서 골격이나 몸통을 둘러싸고 수평으로 자장을 형성하고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자력이나 전압을 가하면 세포 내부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의 배열이 바뀌면서 조직의 자장 방향도 바뀌기 때문에 수축력이 감소하면서 이완 상태가 된다. 이처럼 이완된 조직은 심장에서 형성되는 혈압을 흡수하면서 혈액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그로 인해 그 부위에 정체된 발병 원인이 제거된다.
자석의 N극은 전자를 밀고 S극은 전자를 당긴다. 이러한 자극(磁極)의 성질은 몸속의 전해질도 지향성에 따라 배열을 바꾸어 놓는데 양이온은 N극을 지향하고 음이온은 S극을 지향한다. 그로 인해 자기유도가 일어난다. 그러므로 단순히 자기유도를 통해 경직된 조직을 이완시켜 그 부위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려면 N극이나 S극 중 어느 극을 사용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어느 극이나 마찬가지로 조직에 형성된 자장의 인력 방향을 바꾸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직에 형성된 전해질의 액상은 자극(磁極)에 따라 다르게 조성된다. N극은 조직 주변의 자유전자를 밀어내어 조직액을 산성으로 기울게 하며, S극은 주변의 자유전자를 끌어들여 조직액을 염기성으로 기울게 한다. 그러므로 자력을 통한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극의 선택이 중요하다. 그리고 자력의 지향성이 뚜렷하고 극성이 집중되어야 한다. 자력의 강도와 지향성을 높이려면 N극과 S극의 거리를 멀리해야 하고 극성을 집중시키려면 극초점(極焦點)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어야 조직에서 질병 요인을 빠르게 변화시킬 정도의 자기유도(磁氣誘導)가 일어나게 된다.
한편 전기도 양극(+극)과 음극(-극)이 연결된 회로를 통해 발생하는 열이나 진동 등을 세포 조직에 전달하여 병증 조직의 경화 상태를 이완시키는 간접적인 방법이 아니라 조직을 경화시키는 원인인 부적절한 체전위(體電位)를 외부에서 극성(極性)을 통해 조절하는 방법으로 신속한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것은 세포 조직이 체전위에 따라 신축성을 조절하는 일종의 전자석과 같은 구조이기 때문이다.
회로가 연결되지 않은 전기의 극성이 외부에서 접속되었을 경우, 양극(+극)은 전자를 조직에서 외부로 이동시키고 음극(-극)은 전자를 조직의 내부로 이동시 킨다. 즉 높은 전압을 띠고 경화된 조직에서 양극(+극)은 음이온을 중화하여 그 분포를 줄이는 역할을 하고 음극(-극)은 양이온을 중화하여 그 분포를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양극(+극)이든지 음극(-극)이든지 어느 하나가 조직의 외부로 접속되면 그 부위에서 한 쪽의 이온 분포가 줄어들기 때문에 전해질의 양극화가 해소되면서 방전 효과가 나타나는 동시에 조직의 자력이 약화된다.
여기서 양극(+극)이 양이온 분포를 늘리고 음극(-극)이 음이온의 분포를 늘리는 것이 아닌지 의문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온을 이루는 전자와 원자 또는 원자단 중에서 질량이 작은 전자는 질량이 큰 원자나 원자단보다 이동이 용이하다. 그로 인해 음극(-극)에 집중된 전자는 정지되어 있는 양이온 쪽으로 이동하여 양이온만을 중화시키고 양극(+극)은 음이온 쪽에 분포된 전자를 끌어내어 음이온만을 중화시키게 된다. 결국 어느 전극도 세포 조직에 조성된 전압을 떨어뜨려 방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처럼 전기의 양극(+극)과 음극(-극)은 똑같이 조직의 전위 또는 자력을 낮추는 역할을 하지만 체액의 산성도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 전환시킨다. 즉 양극(+극)은 접촉 부위의 체액을 산성으로 기울게 하고 음극(-극)은 접촉 부위의 체액을 염기성으로 기울게 한다. 그러므로 조직의 액상에 따라 전극을 선택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자석의 N극은 전기의 음극(-극)과 유사하고 S극은 전기의 양극(+극)과 유사한 작용을 하지만, 자극과 전극은 각자 상이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자석의 N극이나 전기의 음극(-극)은 똑같이 전자를 밀어내지만, 자유전자를 분포하지 않은 N극은 전자를 몸 속으로 이동시키지 못하고 접속된 부위의 자유전자만 밀 어내어 그 부위의 전자 분포를 줄이는 반면, 자유전자를 지닌 음극(-극)은 조직으로 자유전자를 이동시켜 그 부위의 전자 분포를 늘린다. 한편 자석의 S극과 전기의 양극(+극)은 똑같이 자유전자를 끌어당기지만, 전자를 받아들여 중화시키는 역할을 하지 않는 S극은 자유전자를 몸 밖으로 이동시키지 못하고 이웃한 조직에서 접속된 부위로 이동시켜 그 부위의 전자 분포를 늘리는 반면, 전자를 받아들여 중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양극(+전극)은 자유전자를 몸 밖으로 이동시켜 접속된 부위의 전자 분포를 줄인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성을 지닌 자기장과 전기장을 중복으로 출력시켜 부작용 없이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몸체와, 인체와 접촉 가능하도록 외측면이 상기 몸체의 외부에 노출되고, 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극성 전압을 출력하여 인체 내의 순 전하량을 바꿀수 있도록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띠는 극성 전압 출력부와, 자기력선이 상기 극성 전압 출력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극성 전압 출력부 후방에 설치되는 자기장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극의 극성이 강화되도록, 상기 자기장 출력부의 자극 중 상기 극성 전압 출력부에 가까이 위치하는 자극은 원추형의 극초점 형성부로 형성되거나, 상기 극성 전압 출력부는 비자화성 재질의 도체이거나, 상기 극성 전압 출력부와 상기 자기장 출력부 사이에는 상기 극성 전압 출력부와 상기 자기장 출력부의 접촉을 방지하는 비자화성 및 비전도성 재질로 된 격리부가 설치되거나, 상기 몸체는 상기 극성 전압 출력부의 둘레면 및 상기 자기장 출력부를 감싸는 비자화성 및 비전도성 재질이거나, 상기 극성 전압 출력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면이 볼록하게 돌출되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몸체와, 인체와 접촉 가능하도록 외측면이 상기 제1 몸체의 외측면에 노출되고, 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극성 전압을 출력하여 인체 내의 순 전하량을 바꿀수 있도록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띠는 극성 전압 출력부와, 제2 몸체와, 자극의 극성이 강화되도록,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극이 원추형의 극초점 형성부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몸체에 설치되는 자기장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선단부는 상기 극초점 형성부의 선단부가 외부와 통하도록 통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몸체의 선단부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극성 전압 출력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1 몸체의 선단부에 형성되기도 하며, 상기 제1 몸체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는 비자화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극초점 형성부의 선단부는 비자화성 재질로 피복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인체에 자기장과 전기장을 중복으로 출력함으로써 인체 환경의 다양한 변화를 유도한다. 즉 자극(磁極)과 전극(電極)의 상이한 작용을 중복으로 적용하여 조직의 유연성을 조절하고 조직에 정체되어 있는 산화된 대사 산물이나 과도한 염기성 물질을 중화시킨다. 이러한 자기장과 전기장의 복합 작용은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호산성 또는 호염기성 병원균의 증식을 저지해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장이 출력되는 자극을 극초점 형성부로 형성함으로써 인체에 작용하는 자기장이 집중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실시예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에 관한 일실시예이다. 실시예1은 전원회로부에 연결되는데, 먼저 실시예1에 연결되는 전원회로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실시예1이 연결되는 전원회로부의 개략도를, 도2는 실시예1의 개략도를, 도3은 실시예1의 주요부의 분해도를, 도4a 및 도4b는 실시예1의 몸체의 변형도를, 도5는 실시예1의 작용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이 연결되는 전원회로부(100)는 전원 입력부(110), 중앙 처리부(120), 기능 설정부(130), 기능 표시부(140), 펄스 발생부(150), 극성전압 발생부(160)를 포함한다.
전원입력부(110)는 상용 교류 전원을 브리지 정류하여 얻은 소정의 직류전원 또는 전지에서 얻은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중앙처리부(120)는 전원회로부(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조정하고 제어한다. 기능설정부(130)는 전원회로부(100)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선택하여 설정한다. 기능표시부(140)는 전원회로부(100)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기능설정부(130)에서 설정한 대로 표시창 또는 음향으로 나타낸다. 펄스 발생부(150)는 소정의 발진 주파 신호를 기능설정부(130)에서 설정한 대로 조정하여 극성전압 발생부(160)에 입력한다. 극성전압 발생부(160)는 펄스 발 생부(150)에서 발생한 발진 주파 신호를 기능설정부(130)에서 설정한 대로 증폭 및 파형 정형하여 소정의 극성 전압을 발생시킨다. 극성전압 발생부(160)는 실시예1에 극성 전압을 입력시킨다. 전원회로부(100)는 공지의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1은 몸체(210), 극성 전압 전달도선, 극성 전압 출력부, 자기장 출력부, 격리부를 포함한다.
도2를 참조하면 몸체(210)는 대략적으로 일자형의 원통형 내지 원기둥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몸체(210)는 비자화성 및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극성 전압 출력부(220)는 몸체(210)의 선단부에 설치된다. 극성 전압 출력부(220)는 병 뚜껑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둘레면이 몸체(210)의 선단부에 삽착되고, 그 외측면이 인체에 접촉 가능하도록 몸체(210)의 선단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210) 선단부는 극성 전압 출력부(220)가 삽착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3을 참조하면 극성 전압 출력부(220)는 인체에 접촉되는 외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극성 전압 출력부(220)는 비자화성 재질의 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극성 전압 출력부(220)에는 극성 전압 전달도선(230)이 연결된다. 도1을 참조하면 극성 전압 전달도선(230)의 일측단은 극성 전압 발생부(160)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극성 전압 출력부(220)에 연결되는데, 극성 전압 전달도선(230)의 타측단은 극성 전압 출력부(220)의 둘레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극성 전압 출력부(220)는 외부에 노출된 외측면을 통하여 극성 전압을 출력 하게 된다. 한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성 전압 전달도선(230)은 부도체 재질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자기장 출력부(240)는 자기장 출력부(240)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선이 극성 전압 출력부(220)를 통과하도록 극성 전압 출력부(220) 후방에 설치된다. 자기장 출력부(240)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등 일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자기장 출력부(240)는 자극의 극성이 강화되도록, 자기장 출력부(240)의 자극 중 극성 전압 출력부(220)에 가까이 위치하는 자극은 원추형의 극초점 형성부(242)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N극과 S극 중 S극이 극성 전압 출력부(220)에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 S극이 극초점 형성부(242)로 형성된다. 자기장 출력부(240)는 극초점 형성부(242)를 제외한 부분이 원기둥 형태일 수 있는데, 원기둥의 지름과 길이는 자기장의 범위와 지향성을 결정한다. 극초점 형성부(242)는 영구자석 자체를 원추형으로 가공하거나 쉽게 자화하는 금속을 원추형으로 가공한 다음 영구자석의 자극에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자기장 출력부(240)는 극초점 형성부(242)의 선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몸체(210)에 의하여 피복될 수 있다. 몸체(210)는 비자화성 및 비전도성 재질이므로, 극초점 형성부(242)로 인한 자극의 극성 집중이 방해 받지 않고, 극성 전압 출력부(220)와 전기적으로 OFF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극성 전압 출력부(220)의 극초점 형성부(242)와 자기장 출력부 사이에는 격리부(250)가 설치된다. 격리부(250)는 극성 전압 출력부(220)와 자기장 출력부(240)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격리부(250)는 극초점 형성부(242)의 선단부에 탑재 부착되도록 원추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비자화성 및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a 및 도4b를 참조하면 몸체(210)에는 극초점 형성부(242)를 감싸는 부위에 손잡이 형태의 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212)에는 극성 전압 연결도선(230)의 연장 형성을 위한 커넥터(21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상용 교류 전원을 브리지 정류하여 얻은 소정의 직류전원 또는 전지에서 얻은 직류전원을 전원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하고 기능설정부(130)에서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설정하면 중앙처리부(120), 펄스발생부(150)를 거쳐 극성전압 발생부(160)에 최종적으로 소정의 극성 전압이 발생하면서 그 상태가 기능표시부(140)에 그래프 또는 문자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극성 전압 발생 과정은 공지된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원 회로부(100)를 통해서 생성된 극성 전압은 실시예1의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에 전달되어 인체의 환부 또는 그 주변의 다른 조직에서 작용하는 전기장이 된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자기장은 자기장 출력부(240)로부터 극성을 띠고 항상 출력되는데, 다만 자극이 극초점 형성부(242)로 형성되므로 자기장이 극초점 형성부(242)를 통하여 집중된다.
도5는 실시예1의 작용도인데, 극초점 형성부(242)가 N극이고, 전기장의 출력 전압이 음극(-극)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5를 참조하면 극초점 형성부(242)로 인하여 극초점 형성부(242)의 선단부에 자기장이 집중되고, 극성 전압 출력부(220)에 분포된 자유전자가 자극(磁極)의 추진력에 의해 인체의 조직 속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조직이 유연해지고 조직에서 산화된 대사 산물은 전자를 얻어 중화가 이루어지는데 시간이 경과하면 전자의 확산에 따라 그 범위가 확대된다.
즉, 극초점 형성부(242)가 극성 전압 출력부(220)의 후방에 위치하고, 극초점 형성부(242)가 강한 극성을 띠게 되어 극성 전압 출력부(220)의 전자가 인체의 조직속으로 신속히 넓은 영역에 걸쳐 확산된다.
실시예2
실시예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에 관한 일실시예이다. 실시예2의 제1 몸체는 전원회로부에 연결되는데, 실시예1에 연결되는 전원회로부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바에 준한다. 도6은 실시예2의 제1 몸체의 개략도를, 도7은 실시예2의 제2 몸체의 개략도를, 도8은 실시예2의 작용도를 나타낸다.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제1 몸체(310)를 갖는다. 제1 몸체(310)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선단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310)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제1 몸체(310)에는 극성 전압 출력부(320)가 형성된다. 극성 전압 출력부(320)는 외측면이 인체와 접촉 가능하도록 제1 몸체(310)의 선단부에 설치된다. 즉, 극성 전압 출력부(320)는 외측면이 제1 몸체(310)의 외측면에 노출 되도록, 제1 몸체(310)의 선단부에 설치된다. 극성 전압 출력부(320)는 클립형태로 형성되어 제1 몸체(310)의 선단부에 끼워질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극성 전압 출력부(320)에는 극성 전압 전달도선(330)이 연결된다. 도1을 참조하면 극성 전압 전달도선(330)의 일측단은 극성 전압 발생부(160)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극성 전압 출력부(320)에 연결되는데, 극성 전압 전달도선(330)의 타측단은 제1 몸체(310)의 후단부를 통하여 인입되어 극성 전압 출력부(32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극성 전압 출력부(320)는 외부에 노출된 외측면을 통하여 극성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도7을 참조하면 실시예2는 제2 몸체(410)를 갖는다. 제2 몸체(410)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선단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410)는 비자화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후술하는 극초점 형성부를 감싸는 부위는 비자화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을 참조하면 제2 몸체(410)의 내부에는 자기장 출력부(420)가 설치된다. 자기장 출력부(420)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등일 수 있다. 자기장 출력부(420) 중 제2 몸체(410)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자극은 자극의 극성이 강화되도록, 원추형의 극초점 형성부(422)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극초점 형성부(422)의 선단부는 외부와 통할 수 있도록, 통형으로 형성되는 제2 몸체(410)의 선단부에 둘러싸이며 설치된다.
도7을 참조하며 극초점 형성부(422)의 선단부에는 비자화성 재질의 격리부(430)가 도포되거나, 부착 탑재될 수 있다. 격리부(430)는 극초점 형성부(422)에 의한 자력의 집중을 약화시키지 않으면서 극초점 형성부(422) 및 극초점 형성부(422)에 접촉되는 인체의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겸한다. 격리부(430)는 도전성 재질이거나 비도전성 재질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격리부(430)는 극초점 형성부(422)의 선단부에 탑재되는 것이 아니라 제2 몸체(410)의 선단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그 형태는 판형이거나 볼록부가 형성된 곡면형 등일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제1 몸체(310)와 제2 몸체(410)는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몸체(310)와 제2 몸체(410)는 끈 등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2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은 극성 전압 출력부(320)에 음극(-극)이 인가되고, 극초점 형성부(422)가 S극인 경우의 작용도를 나타낸다.
도8을 참조하면 극초점 형성부(442)를 인체의 환부 조직에 접촉하고, 극성 전압 출력부(320)를 환부의 주변 조직에 위치시키면, 격리부(430)를 통하여 극초점 형성부(442) 측에 위치하는 환부 조직은 출력되는 자기장의 특성에 따라 자기 유도가 일어나 유연해지고, 환부 주변 조직에 분포된 자유전자가 극초점 형성부(442)의 역할에 따라 극초점 형성부(442)의 선단부로 집중되면서 환부 조직에 정체되어 있는 산화된 대사 산물이 전자를 얻어 신속히 중화하는 반면 환부 주변 조직은 전자의 이동으로 그 분포가 희소해지면서 전자를 잃고 산성을 띠게 된다. 그러나 환부 주변 조직에 극성 전압 출력부(320)가 접촉되어 있으므로, 환부 주변 조직도 전자 를 잃고 산화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것은 극초점 형성부(442)에서 환부 주변 조직의 전자를 끌어들이는 만큼 극성 전압 출력부(320)에 분포된 자유전자가 이동하여 줄어드는 전자를 보충하기 때문이다.
즉, 극성 전압 출력부(320)와 극초점 형성부(422)의 극성에 따라 각각 세포 조직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데, 그 극성을 달리함에 따라 인체 조직에서 다양한 변화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실시예1 및 실시예1이 연결되는 전원회로부의 개략도.
도2는 실시예1의 개략도.
도3은 실시예1의 주요부의 분해도.
도4a 및 도4b는 실시예1의 몸체의 변형도.
도5는 실시예1의 작용도.
도6은 실시예2의 제1 몸체의 개략도.
도7은 실시예2의 제2 몸체의 개략도.
도8은 실시예2의 작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전원회로부 110:전원입력부
120:중앙처리부 130:기능설정부
140:기능표시부 150:펄스발생부
160:극성전압 발생부
200: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210:몸체
220:극성 전압 출력부 230:극성 전압 전달도선
240:자기장 출력부 242:극초점 형성부
250:격리부
310:제1 몸체 320:극성 전압 출력부
330:극성 전압 전달도선
410:제2 몸체 420:자기장 출력부
422:극초점 형성부 430:격리부

Claims (10)

  1. 몸체와,
    인체와 접촉 가능하도록 외측면이 상기 몸체의 외부에 노출되고, 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극성 전압을 출력하여 인체 내의 순 전하량을 바꿀수 있도록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띠는 극성 전압 출력부와,
    자기력선이 상기 극성 전압 출력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극성 전압 출력부 후방에 설치되는 자기장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2. 제1항에 있어서,
    자극의 극성이 강화되도록, 상기 자기장 출력부의 자극 중 상기 극성 전압 출력부에 가까이 위치하는 자극은 원추형의 극초점 형성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전압 출력부는 비자화성 재질의 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전압 출력부와 상기 자기장 출력부 사이에는 상기 극성 전압 출력 부와 상기 자기장 출력부의 접촉을 방지하는 비자화성 및 비전도성 재질로 된 격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극성 전압 출력부의 둘레면 및 상기 자기장 출력부를 감싸는 비자화성 및 비전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전압 출력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면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7. 제1 몸체와,
    인체와 접촉 가능하도록 외측면이 상기 제1 몸체의 외측면에 노출되고, 극성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극성 전압을 출력하여 인체 내의 순 전하량을 바꿀수 있도록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띠는 극성 전압 출력부와,
    제2 몸체와,
    자극의 극성이 강화되도록,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극이 원추형의 극초점 형성부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몸체에 설치되는 자기장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선단부는 상기 극초점 형성부의 선단부가 외부와 통하도록 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선단부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극성 전압 출력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1 몸체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는 비자화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극초점 형성부의 선단부는 비자화성 재질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KR1020070114096A 2007-11-09 2007-11-09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KR100950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096A KR100950795B1 (ko) 2007-11-09 2007-11-09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PCT/KR2008/006558 WO2009061142A2 (en) 2007-11-09 2008-11-07 A apparatus generating a electric field and a magnetic field for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096A KR100950795B1 (ko) 2007-11-09 2007-11-09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954A KR20090047954A (ko) 2009-05-13
KR100950795B1 true KR100950795B1 (ko) 2010-04-02

Family

ID=4062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096A KR100950795B1 (ko) 2007-11-09 2007-11-09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0795B1 (ko)
WO (1) WO200906114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077A (ko) 2015-07-15 2017-01-25 김병준 운동전자기장 출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3297A1 (en) * 2012-01-31 2013-08-08 Univerzita Karlova V Praze Electrode for percutaneous neurostimulation therapy and reflex movement detector
CN103768714A (zh) * 2012-10-21 2014-05-07 姜振平 一种灸形治疗头
CN107921252A (zh) 2015-07-06 2018-04-17 特斯拉医疗公司 电刺激装置
US11850440B2 (en) 2019-08-22 2023-12-26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Therapeutic systems using magnetic fields
US11071875B2 (en) 2018-02-20 2021-07-27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Therapeutic systems using magnetic and electric fields
IT201800004643A1 (it) * 2018-04-18 2019-10-18 Apparecchiatura elettromedicale per il trattamento di una regione anatomica patologic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867A (ja) * 2000-09-01 2002-03-05 Tdk Corp 健康器具
JP2002263202A (ja) 2001-03-13 2002-09-17 Fuji Micro Kk 磁気治療器
JP2004089477A (ja) 2002-08-30 2004-03-25 Soken Medical:Kk 交流電磁石及び永久磁石による人体の刺激方法及び人体の刺激装置
JP2006255181A (ja) * 2005-03-17 2006-09-28 Aso Seiyaku Kk 磁気治療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472A (ja) * 2000-03-31 2001-12-11 Keibunsya Seisakusho:Kk 家庭用電気磁気治療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867A (ja) * 2000-09-01 2002-03-05 Tdk Corp 健康器具
JP2002263202A (ja) 2001-03-13 2002-09-17 Fuji Micro Kk 磁気治療器
JP2004089477A (ja) 2002-08-30 2004-03-25 Soken Medical:Kk 交流電磁石及び永久磁石による人体の刺激方法及び人体の刺激装置
JP2006255181A (ja) * 2005-03-17 2006-09-28 Aso Seiyaku Kk 磁気治療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077A (ko) 2015-07-15 2017-01-25 김병준 운동전자기장 출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61142A3 (en) 2009-07-02
KR20090047954A (ko) 2009-05-13
WO2009061142A2 (en) 200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795B1 (ko)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US7335156B2 (en) Digital electromagnetic pulse generator
US6520903B1 (en) Multiple mode photonic stimulation device
US4056097A (en) Contactless stimulus transducer
WO2020183508A1 (en) Electromedical equipment for the treatment of skin aging and pathological areas of the human body
KR20030067392A (ko) 신경 자극기
US5368544A (en) Treatment of living bodies
KR20120034357A (ko) 전자기장을 이용한 자기자극 및 지압장치
US10874869B2 (en) Electrostimulation device
KR20210117994A (ko) 복부 및 두상부 운동치료 전자기 출력기
KR20170001073A (ko) 다자극(多磁極)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CZ306539B6 (cs) Elektrostimulační zařízení
KR20230061301A (ko) 베개용 전자기 출력장치 운동기구
AU652129B2 (en) Treatment of living bodies
KR200338917Y1 (ko) 삼각형의 자극점을 가지는 물리 치료기 또는 지압구
KR200328964Y1 (ko) 위상 차이가 있는 전기 침들의 장치
CZ306538B6 (cs) Elektrostimulační zařízení
KR20210114730A (ko) Pemf를 이용한 청각 장애 치료 장치 및 방법
JPH04170969A (ja) 骨折治療用磁気治療装置
KR100526750B1 (ko) 삼각형의 자극점을 가지는 물리 치료기 또는 지압구
RU2526427C2 (ru) Способ электротерапии
KR200308256Y1 (ko) 초저주파 치료장치
CN112023256A (zh) 驻极体产品、其制备方法、使用方法及相关用途
KR20170009077A (ko) 운동전자기장 출력장치
IT201800004643A1 (it) Apparecchiatura elettromedicale per il trattamento di una regione anatomica patolog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