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073A - 다자극(多磁極)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 Google Patents

다자극(多磁極)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073A
KR20170001073A KR1020150090503A KR20150090503A KR20170001073A KR 20170001073 A KR20170001073 A KR 20170001073A KR 1020150090503 A KR1020150090503 A KR 1020150090503A KR 20150090503 A KR20150090503 A KR 20150090503A KR 20170001073 A KR20170001073 A KR 20170001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electrode
magnetic
tissue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준
아도성
Original Assignee
김병준
아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준, 아도성 filed Critical 김병준
Priority to KR1020150090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073A/ko
Publication of KR20170001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인체 신경세포의 내막과 외막은 각각 음전하 또는 양전하를 띠고 있으며 세포질 내의 원형질은 +전자, -전자로 분산되어 유동하고 있다. 이러한 작용을 생체전기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생체전기를 발생시키는 이온물질이 원형질을 중심으로 거미줄처럼 배치되어 있어서 전후좌우로 +, -전자가 반작용을 하지 않고 서로 끌어당기고 밀어주는, 이른바 +, -의 수수작용으로 서로 유기적 작용을 유지하면서 전기를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포는 운동을 촉진하면서 생명운동을 이어가게 된다.
전자기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인체조직은 자성을 띤 세포의 집합체로서 전압으로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석과 같다. 따라서 조직에 조성된 전위 상태에 따라 그 강도도 변화하는 것이다.
세포는 각종 영양분이 해리되어 전기적 성질을 띤 전해질이 절연체인 지질의 막 즉 세포막 속에 갇히어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양분된 작은 전지 또는 자석과 같은 구조의 일면을 보인다. 특히 신경세포에서 이러한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신경세포에 전기장을 걸어주면, 신경세포의 세포 내막에 -70mv의 휴지막전위가 생기므로 신경세포는 +쪽으로 생장할 것이다.
한편, 신경세포에 자기장을 걸어줄 경우, 자기장의 수직 방향에서 원형이 생기므로 신경세포의 돌기가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면서 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다자극(多磁極)을 3단 또는 4단 육각형 또는 팔각형으로 구성하여 방사형을 이루도록 S, N, S, N, S, N의 순서로 배치하고 중심 쪽으로도 수직형을 이루도록 S, N, S, N, S, N, S, N의 순서로 배치함으로써 다수의 자기장과 전기장이 서로 반작용이 없이 출력되어 병증부위에서 온전한 치료효과를 거두도록 하였다.
또 중심점에는 단독으로 - 또는 +전극이 출력된다. 이러한 다자극과 단일전극의 동시출력으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와 자기에너지는 회진운동을 하면서 조직세포에 작용하게 되는데, 특히 자기장과 전기장이 병증부위 또는 경직된 조직의 세포에 출력되면 세포조직의 운동을 촉진하고 그 결과, 경직된 부위의 비정상전위가 해소되어 혈액순환이 원활해지고 염증부위가 완화되는 효과가 증대한다.
본 발명의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본체는 외곽본체(211)에 내장본체(202)가 장착되어 있어서 넓은 환부의 치료에는 본체 전체를 적용하고, 환부의 범위가 좁을 경우 내장본체(202)만을 분리하여 소형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고려한 장치이다.

Description

다자극(多磁極)과 단일전극(單一電極) 동시출력장치{A mechanical device that simultaneously outputs multiple stimulation and monopole electrodes}
본 기술은 다자극(多磁極)과 단일전극(單一電極) 동시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자극과 단일전극이라는 상이한 극성을 동시에 출력하여 병증이 유발한 조직의 비정상적인 전자기(電磁氣) 상태를 정상적인 상태로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하는,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인체의 모든 조직에서 전기와 자기는 필수적인 에너지이다. 특히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는 이들 에너지의 역할이 절대적이다. 근육은 전신에 분포되어 육체의 운동이나 조직의 기능을 조절하기 때문에 근육의 상태는 건강과 직결된다. 실제로 질병이 발생한 조직의 근육은 유연성을 잃고 경직되거나 지나치게 이완된다. 그것은 이온물질의 불균형으로 조직이 비정상적인 전자기적 성질을 띠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아니면 체액의 과도한 산성 또는 염기성으로 기운 상태를 바로잡아 인체 조건에 맞게 조절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강한 자성을 띠고 굳어 있는 병증조직의 경화상태를 이완시키지 못하고 높은 치료효과 또한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은 그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수단으로서 비정상적인 조직에 자력과 전압을 적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려는 것이다.
지금까지 자석을 질병 치료에 이용한 사례를 보면, 자석을 가공하여 환부에 부착하거나 복대 또는 요 속에 넣어 인체와 밀착시킬 수 있도록 개발했고 또한 자석을 경혈에 부착하는 등 많은 사람들이 자석을 질병 치료에 이용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환부의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긴 시간이 소요되고 심부에 조성된 병증을 해소시키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것은 N극과 S극의 거리가 가깝고 평면에 극이 형성되어 있어서 자기장의 지향성이 미약하고 자기력이 분산되기 때문이다.
또 종래의 기술은 1개의 자극 즉 S극이나 N극 중 한 극만의 자기를 출력하여 병증부위에 적용했기 때문에 크고 넓은 병증부위를 치료하려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S극과 N극을 동시에 출력할 수 없어서 병증조직에 불균형으로 산재한 이온물질의 방향성을 바꾸어 회전운동을 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탁월한 치료효과 또한 나타날 수 없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형의 틀 속에서 다자극(多磁極)을 3단 또는 4단, 육각형 또는 8각형을 이루도록 배열하여 S, N, S, N, S, N, S, N극의 순으로 상이한 극성끼리 마주하도록 배치하고 원형 중심 쪽으로도 S, N, S, N, S, N, S, N극의 순으로 배치함으로써 반작용 없이 서로 상응작용을 일으킬 수 있도록 했다.
또 중심점에는 단일전극으로 - 또는 +전극을 출력하게 하였다. 이처럼 다자극과 단일전극의 동시출력으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와 자기에너지는 회전운동을 하면서 조직세포에 작용하여 이온물질의 균형을 이루고 세포의 운동을 촉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온식 단극 출력 치료기] Medicate Apparatus For Heating Type Single Pole Output Signal (1) Int. CL A61N 1/00(2006.01) (2) 출원번호/일자 1019990014123 (1999.04.21) (3) 출원인 박기권, 조정순, 김병준 (4) 등록번호/일자 1002987590000 (2001.06.04) (5) 공개번호/일자 1019990083356 (1999.11.25)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1) 출원번호/일자 10-2007-01104096 (2007년11월09일) (2) 출원인 박기권 (3) 등록번호/일자 10-0950795) (4) 공개번호 10-2009-0047954 (2009년05월13일)
전자기적인 측면에서 보면, 세포조직은 자성을 띤 세포의 집합체로서 전압으로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석과 같다. 조직에 조성된 전위상태에 따라 그 강도가 변하는 것이다.
세포는 각종 영양분이 해리되어 전기적 성질을 띤 전해질이 절연체인 지질의 막 즉 세포막 속에 갇히어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양분된 작은 전지 또는 자석과 같은 구조인데, 이것이 같은 구조인 이웃 세포들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집단을 이루면서 정렬된 자기장을 지닌 조직이 된다.
원래 전기는 -극과 +극을 동시에 적용하지 않는 단일전극만으로는 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생체조직에서는 단극반응이 가능하다. 생체조직은 전술한 것처럼 부도체의 생체막이 전해질을 감싸고 있어 생체막 내외에 전위차가 형성된 전지와 같은 구조이다. 이 전위차가 형성된 조직에 -전압 또는 +전압 즉 단극전압을 가하면 도선과 조직에 형성된 전위차를 해소하려는 전자의 이동이 벌어진다. 그러므로 단극반응을 유도하여 조직의 이온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세포 내부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에너지를 생성하면 이온의 양극화가 심화되어 전지구조인 세포가 충전되면서 조직은 강한 자성을 띠게 되고 이것이 조직의 수축력을 만든다.
조직세포는 내부에 미토콘드리아라는 충전구조가 있는 반면, 세포막에는 단백질 합성체가 군데군데 박혀 모자이크 모형을 이루면서 수화(水化)한 영양성분과 이온의 통로역할을 하는데, 전자기적으로는 이것이 이온을 이동시키는 방전구조가 된다. 이 두 구조, 즉 충전구조와 방전구조로 인해 조직세포에서 충전과 방전이 제때에 이루어지면 그 부위의 전위가 조절되면서 원활한 생명활동이 이어지는 것이다. 반면 세포에서 충전 또는 방전이 제때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질병상태가 지속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기유도(磁氣誘導)를 일으켜 근육을 포함한 세포조직에 형성된 생체 자기장의 방향을 바꾸고 자기와 전기에 의해 조직의 전자농도를 가감함으로써 전기, 즉 자연계의 자기와 전기를 환부에 적용하여 비침습적으로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자석의 N극은 전자를 밀고 S극은 전자를 당긴다. 이러한 자극(磁極)의 성질은 몸속의 전해질도 지향성에 따라 배열을 바꾸어 놓는데 양이온은 N극을 지향하고, 음이온은 S극을 지향한다. 그로 인해 자기유도가 일어난다. 그러므로 단순히 자기유도를 통해 경직된 조직을 이완시켜 그 부위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려면 N극이나 S극 중 어느 극을 사용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어느 극이나 마찬가지로 조직에 형성된 자기장의 인력방향을 바꾸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직에 형성된 전해질의 액상은 자극에 따라 다르게 조성된다. N극은 조직 주변의 자유전자를 밀어내어 조직액을 산성으로 기울게 하며, S극은 주변의 자유전자를 끌어들여 조직액을 염기성으로 기울게 한다. 그러므로 자기력을 통한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극의 선택이 중요하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어야 조직에서 질병요인을 빠르게 변화시킬 정도의 자기유도(磁氣誘導)가 일어나게 된다.
한편 전기도 양극(+극)과 음극(-극)이 연결된 회로를 통해 발생하는 열이나 진동 등을 세포조직에 전달하여 병증조직의 경화상태를 이완시키는 간접적인 방법이 아니라 조직을 경화시키는 원인인 부적절한 생체전위(生體電位)를 외부에서 극성(極性)을 통해 조절하는 방법으로 신속한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것은 세포조직이 생체전위에 따라 신축성을 조절하는 일종의 전자석과 같은 구조이기 때문이다.
회로가 연결되지 않은 전기의 극성이 외부에서 접속되었을 경우, 양극(+극)은 전자를 조직에서 외부로 이동시키고, 음극(-극)은 전자를 조직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즉, 높은 전압을 띠고 경화된 조직에서 양극(+극)은 음이온을 중화하여 그 분포를 줄이는 역할을 하고, 음극(-극)은 양이온을 중화하여 그 분포를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양극(+극)이든지 음극(-극)이든지 어느 하나가 조직의 외부로 접속되면 그 부위에서 한 쪽의 이온 분포가 줄어들기 때문에 전해질의 양극화가 해소되면서 방전효과가 나타나는 동시에 조직의 자력이 약화된다.
여기서 양극(+극)이 양이온 분포를 늘리고 음극(-극)이 음이온의 분포를 늘리는 것이 아닌지 의문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온을 이루는 전자와 원자 또는 원자단 중에서 질량이 작은 전자는 질량이 큰 원자나 원자단보다 이동이 용이하다. 그로 인해 음극(-극)에 집중된 전자는 정지되어 있는 양이온 쪽으로 이동하여 양이온만을 중화시키고 양극(+극)은 음이온 쪽에 분포된 전자를 끌어내어 음이온만을 중화시키게 된다. 결국 어느 전극도 세포조직에 조성된 전압을 떨어뜨려 방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처럼 전기의 양극(+극)과 음극(-극)은 똑같이 조직의 전위 또는 자력을 낮추는 역할을 하지만 체액의 산성도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 전환시킨다. 즉 양극(+극)은 접촉 부위의 체액을 산성으로 기울게 하고, 음극(-극)은 접촉 부위의 체액을 염기성으로 기울게 한다. 그러므로 조직의 액상(液狀)에 따라 전극을 선택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자석의 N극은 전기의 음극(-극)과 유사하고, S극은 전기의 양극(+극)과 유사한 작용을 하지만 자극과 전극은 각자 상이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자석의 N극이나 전기의 음극(-극)은 똑같이 전자를 밀어내지만, 자유전자를 분포하지 않는 N극은 전자를 몸속으로 이동시키지 못하고 접속된 부위의 자유전자만 밀어내어 그 부위의 전자 분포를 줄이는 반면, 자유전자를 지닌 음극(-극)은 조직으로 자유전자를 이동시켜 그 부위의 전자 분포를 늘린다. 한편, 자석의 S극과 전기의 양극(+극)은 똑같이 자유전자를 끌어당기지만, 전자를 받아들여 중화시키는 역할을 하지 않는 S극은 자유전자를 몸 밖으로 이동시키지 못하고 이웃한 조직에서 접속된 부위로 이동시켜 그 부위의 전자 분포를 늘리는 반면, 전자를 받아들여 중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양극(+전극)은 자유전자를 몸 밖으로 이동시켜 접속된 부위의 전자 분포를 줄인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성을 지닌 자기장과 전기장을 동시에 출력시켜 부작용 없이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자극(磁極)을 출력하는 자극 출력부와 하나의 전극을 출력하는 단일전극 출력부가 구비되어 다자극(多磁極)과 단일전극을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극(磁極)은 극성이 강화되도록 원추형으로 다수의 자극을 S, N, S, N, S, N, S, N극의 순서로 배치하고 중심 쪽으로도 S, N, S, N, S, N, S, N극의 순서로 배치하여 다수의 자기(磁氣)가 다발적으로 출력되도록 하였으며, 극성 전압 출력부는 중심부에서 하나의 전극단자를 외부로 노출하여 단일 전극이 출력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자기와 전기가 근접거리에서 출력되더라도 인체조직에 접속하기 전에는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인체와 접촉하는 출력부위를 제외한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본체 전부를 비자화성 재질과 부도체로 절연하고 전면의 인체조직과 접속하는 출력부만을 노출시킨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에 다자극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자기장과 단일전극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단일의 전기장을 동시에 인체조직에 접속함으로써 조직 환경의 다양한 변화를 유도한다. 자극(磁極)과 전극(電極)이라는 상이한 에너지를 동시에 적용하여 조직의 유연성을 조절하고 조직에 정체되어 있는 산화대사산물이나 과도한 염기성 물질의 중화를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장과 전기장의 동시 적용으로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근육 이완과 호산성 또는 호염기성 병원균의 증식을 저지해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1이 연결되는 전원회로부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기장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의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의 자기장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본체로서 자극 출력봉과 단일전극 출력단자가 장착되는 자극봉 삽입구와 단일전극 출력단자 삽입구 위치를 예시한 개략도
[도 2b]는 본 발명의 자극봉 삽입구에 장착될 자극봉의 개략도
[도 2c]는 본 발명의 단일전극 전달장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0 : 전원 회로부
110 : 전원 입력부
120 : 중앙 처리부
130 : 기능 설정부
140 : 기능 표시부
150 : 펄스 발생부
160 : 단일전극 발생부
170 : 단일전극 출력부
200 :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본체
201 :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외곽본체
202 :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내장본체
211 : 자극 출력봉
212 : 자극 출력부
213 : 자극봉 삽입구
220 : 전극 전달장치
221 : 전극 입력단자
222 : 전극 연결도선
223 : 전극 출력단자
224 : 전극 출력단자 삽입구
이하, 도면을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극(多磁極)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에 관한 일 실시예이다. 실시예 1은 전원회로부에 연결되는데, 먼저 실시예 1에 연결되는 전원회로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이 연결되는 전원회로부의 개략도를, 도 2는 실시예 1의 개략도를, 2a는 자기장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본체로서 자극봉(磁極捧) 삽입구와 전극단자 삽입구 위치의 개략도를, 도3b는 자극 출력을 위한 자극봉의 예시도를, 도 3c는 전극 전달장치 예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이 연결되는 전원 회로부(100)는 전원 입력부(110), 중앙 처리부(120), 기능 설정부(130), 기능 표시부(140), 펄스 발생부(150), 단일전극 발생부(160), 단일전극 출력부(170)을 포함한다.
전원 입력부(110)는 상용 교류 전원을 브리지 정류하여 얻은 소정의 직류전원 또는 전지에서 얻은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중앙 처리부(120)는 전원 회로부(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조정하고 제어한다. 기능 설정부(130)는 전원 회로부(100)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선택하여 설정한다. 기능 표시부(140)는 전원 회로부(100)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기능 설정부(130)에서 설정한 대로 표시창 또는 음향으로 나타낸다. 펄스 발생부(150)는 소정의 발진주파 신호를 기능 설정부(130)에서 설정한 대로 조정하여 단일전극 발생부(160)에 입력한다. 단일전극 발생부(160)는 펄스 발생부(150)에서 발생한 발진 주파 신호를 기능 설정부(130)에서 설정한 대로 증폭 및 파형 전형하여 소정의 극성 전압을 발생시킨다. 단일전극 발생부(160)는 실시예 1에 전압을 입력시킨다. 전원 회로부(100)는 공지의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의 본체(200)로서, 다자극과 단일전극 출력부이다. 또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본체(200)는 대략적으로 원통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비자화성 및 비전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2a를 참조하면,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본체(200)는 외곽본체(201)와 내장본체(202)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하여 탈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환부면적에 따라 넓게 또는 좁게 적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외곽본체(201)에는 자극봉 삽입구(213)를 방사형으로 배치하여 자극 출력봉(211)을 장착하고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내장본체(202)의 중앙부에는 단전극 출력단자 삽입구(224)를, 그 외부에는 자극봉 삽입구(213)를 배치하여 전극 출력단자(223)와 자극봉(211)을 각각 삽입한다.
또 자극 출력부(212)는 원형으로 3단 또는 4단 육각형 또는 팔각형으로 구성형으로 구성하여 S, N, S, N, S, N 순서로 배치할 수 있다. 자극 출력부(212)는 자극의 배치에 따라 자기장의 범위와 지향성을 결정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자극 출력부(212)들은 본체(200)의 중심부를 제외한 외곽부에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전극 출력단자(223)는 본체(200)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전극 출력(211)만을 인체에 접속하도록 본체(200)의 외부로 노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자극 출력봉(211)은 봉형(捧形)으로서 말단을 자극 출력부(212)로 이용한다. 자극 출력봉(211)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등일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전극 전달장치(220)에는 단일전극 입력단자(221)와 전극 연결도선(222)과 전극 출력단자(223)가 연결된다. 단일전극 연결도선(222)은 부도체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 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 치료기는 전원 회로부(100)를 통해서 생성된 단일전극은 실시예 1의 전극 전달장치(220)에 전달되어 인체의 환부 또는 그 주변의 다른 조직에서 작용하는 전기장이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에 관한 하나의 실시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본체(200)는 외곽본체(201)외 내장본체(202)로 구성되어 환부가 좁을 경우 내장본체(202)를 외곽본체(201)에서 분리하여 내장본체(202)만 환부에 적용하며 환부가 넓을 경우 내장본체(202)를 외곽본체에 장착하여 넓은 면적을 환부에 적용한다.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본체(200)의 내장본체(202) 중앙부 전극 출력단자 삽입구(224)를 제외한 내장본체(202)와 외곽본체(201)의 모든 자극봉 삽입구(213)에는 자극 출력봉(211)이 N, S, N, S의 순서로 상이한 전극의 자극 출력부(212)가 서로 마주하도록 장착되어 각자의 자기장을 출력한다.
상기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본체(200)는 대략 원통형으로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본체(200)의 내장본체(202) 중심부 전극 출력단자 삽입구(224)에는 전극 전달장치(220)의 전극 출력단자(223)가 장착된다. 상기 도1 전원회로부(100)의 단일전극 출력부(170)에서 출력되는 단일전극이 전극 전달장치(220)의 전극 입력단자(221)로 인가되면 전극 연결도선(222)을 거쳐 전극 출력단자(223)에서 출력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단일전극이 환부에 적용된다.

Claims (4)

  1.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에 있어서,
    다자극을 3단 또는 4단 육각형 또는 팔각형으로 구성하여 원형의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본체에 방사형을 이루어 S, N, S, N, S, N의 순서로 배치하고 중심 쪽으로도 수직형을 이루어 S, N, S, N, S, N, S, N의 순서로 배치함으로써 다수의 자기장과 전기장이 서로 반작용이 없이 출력됨으로써 병증부위에서 온전한 치료 작용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2.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에 있어서,
    다자극과 전극이 동시에 출력되는 장치로서 원형 및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며, 자극봉의 배치 형태가 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원형을 이룸으로써 다수의 자기장이 상충 없이 출력되어 병증부위에서 온전히 작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3.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에 있어서,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본체를 외곽본체(201)와 내장본체(202)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하여 탈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환부면적에 따라 넓게 또는 좁게 적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4.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에 있어서,
    도2 몸체 원통형 부위는 비자화성 재질과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도2b의 다자극의 인체접촉부위는 3mm의 30도 각도의 원추형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극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KR1020150090503A 2015-06-25 2015-06-25 다자극(多磁極)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KR20170001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503A KR20170001073A (ko) 2015-06-25 2015-06-25 다자극(多磁極)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503A KR20170001073A (ko) 2015-06-25 2015-06-25 다자극(多磁極)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73A true KR20170001073A (ko) 2017-01-04

Family

ID=5783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503A KR20170001073A (ko) 2015-06-25 2015-06-25 다자극(多磁極)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073A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가온식 단극 출력 치료기] Medicate Apparatus For Heating Type Single Pole Output Signal (1) Int. CL A61N 1/00(2006.01) (2) 출원번호/일자 1019990014123 (1999.04.21) (3) 출원인 박기권, 조정순, 김병준 (4) 등록번호/일자 1002987590000 (2001.06.04) (5) 공개번호/일자 1019990083356 (1999.11.25)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1) 출원번호/일자 10-2007-01104096 (2007년11월09일) (2) 출원인 박기권 (3) 등록번호/일자 10-0950795) (4) 공개번호 10-2009-0047954 (2009년05월13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5156B2 (en) Digital electromagnetic pulse generator
JP7382645B2 (ja) 双極性ナノ秒パルスの干渉による標的化遠隔電気刺激
KR100950795B1 (ko) 전자기장 중복 출력 치료기
DE502006003889D1 (de)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stimulation von biologischem material
SI24921A (sl) Naprava za magnetno živčno mišično stimulacijo z večjim številom neodvisnih tuljav nameščenih v aplikatorju
CN113329785A (zh) 一种美容仪,及其控制方法
CN110604868A (zh) 基于时间、空间多刺激位点旋转相交实现ti刺激的设备
CN111803792A (zh) 空间电场的发生装置
KR20170001073A (ko) 다자극(多磁極)과 단일전극 동시출력장치
US10874869B2 (en) Electrostimulation device
KR20120034357A (ko) 전자기장을 이용한 자기자극 및 지압장치
KR20210117994A (ko) 복부 및 두상부 운동치료 전자기 출력기
KR101829015B1 (ko)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마사지 방식의 운동기기
WO2019239233A1 (es) Equipo y metodo generador, concentrador y direccionador de campos electromagnéticos para regeneración celular
KR20230061301A (ko) 베개용 전자기 출력장치 운동기구
KR20170009077A (ko) 운동전자기장 출력장치
CN108671390A (zh) 具有高精度定位输出功能的电刺激装置
CN112023256A (zh) 驻极体产品、其制备方法、使用方法及相关用途
CZ2015468A3 (cs) Elektrostimulační zařízení s vodivým magnetem
KR20240035055A (ko)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경피적 전기 자극 장치
KR20160100550A (ko) 자가동력 충전지를 결합한 단일 전극 운동 기구
CN109789305A (zh) 使用电极阵列通过离子电渗法将活性成分递送到人体皮肤中的皮肤治疗装置和方法
WO2017139607A2 (en) Focused electric field neurostimulation by one or more micro particles
CN104147702A (zh) 磁场梳磁疗仪
KR20130134213A (ko) 이식 가능한 자기 자극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