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546A - 차량의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546A
KR20160058546A KR1020140160187A KR20140160187A KR20160058546A KR 20160058546 A KR20160058546 A KR 20160058546A KR 1020140160187 A KR1020140160187 A KR 1020140160187A KR 20140160187 A KR20140160187 A KR 20140160187A KR 20160058546 A KR20160058546 A KR 20160058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all
message
server
mobile communication
vehic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6379B1 (ko
Inventor
문성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0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379B1/ko
Priority to US14/685,377 priority patent/US20160142888A1/en
Publication of KR20160058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82Text-based messaging services in telephone networks such as PSTN/ISDN, e.g. User-to-User Signalling or Short Message Service for fix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터 트리거 서비스(Center Triggered Service)의 성공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 단말의 웨이크 업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사 서버 및 이동통신사 서버에 웨이크 업을 위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고, 메시지에 대한 응답 신호의 패일 시 차량 단말에 웨이크 업 음성콜을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터 트리거 서비스(Center Triggered Service)의 성공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무선이동통신 서비스의 형태가 다양화되면서, 무선이동통신과 위치추적 시스템이 차량에 탑재되고 있다. 실시간 교통정보를 서비스하고 교통정보 서비스를 안내해주는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 차량 이상 유무를 알려주는 원격차량진단, 그리고 GPS를 이용한 차량 위치추적과 각종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정보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차량이 인간들의 실생활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많아지게 됨에 따라 차량 내의 각종 편의시설도 개선되고 있다. 예컨대, 차량에는 CD(Compact Disk)나 CDC(Compact Disk Changer), 내비게이션, 라디오 또는 TV 등 각종 멀티미디어 장치들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에서는 운전자가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도어 락 해제 신호를 발생시켜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빠르게 부팅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자마자 즉시 원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에서는 운전자가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멀티미디어 장치들을 웨이크 업(wake up) 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도어를 개방한 이후 차량 주위를 벗어났을 때는 멀티미디어 장치들이 계속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암전류가 지속적으로 소모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에서는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멀티미디어 장치들이 웨이크 업 된다. 이에 따라, 다수의 전체 멀티미디어 장치들을 부팅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아 키를 꽂고 주행을 할 때까지 부팅이 완료되지 못하여 멀티미디어 장치들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이를 위해, 운전자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을 원격 진단하고, 차량의 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내의 멀티미디어 장치들을 웨이크 업(Wake-up) 시키도록 하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텔레매틱스(Telematics) 서비스에 있어서 음성콜 웨이크 업(Wake-up) 기술을 이용하여 센터 트리거 서비스(Center Triggered Service)의 성공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신 장치는, 차량 단말의 웨이크 업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사 서버; 및 이동통신사 서버에 웨이크 업을 위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고, 메시지에 대한 응답 신호의 패일 시 차량 단말에 웨이크 업 음성콜을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성콜 웨이크 업(Wake-up) 기술을 이용하여 센터 트리거 서비스(Center Triggered Service)의 성공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신 장치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신 장치는, 차량 단말(10), 이동통신망(20), 이동통신사 서버(30) 및 텔레매틱스(TMS) 서버(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텔레매틱스 서버(100)는 미들웨어(Middleware; 110)와, 서비스 로직(120)을 포함한다. 그리고, 미들웨어(110)는 이동통신사 연동부(111)와, 음성콜 제너레이터(1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음성콜 제너레이터(112)는 미들웨어(110)에 포함되는 것을 하나의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음성콜 제너레이터(112)가 미들웨어(110)와는 별도로 구비된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차량 단말(10)은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CD(Compact Disk)나 CDC(Compact Disk Changer), 내비게이션, 라디오 또는 TV 등 각종 멀티미디어 장치를 나타낸다.
이동통신사 서버(30)는 텔레매틱스 서버(100)와 연동되어, 이동통신사 연동부(111)로부터 인가된 정보를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차량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한 서버이다.
텔레매틱스 서버(100)는 차량 단말(10)과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이동통신사 서버(30) 측에 차량 단말(10)을 웨이크 업 시키기 위한 SMS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한다. 그리고, 텔레매틱스 서버(100)는 차량 단말(10)로부터 인가된 웨이크 업 SMS 메시지 전송에 대한 응답 신호가 패일 된 경우 음성콜 제너레이터(112)를 통해 차량 단말(10)에 음성콜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웨이크 업"이란 센터로의 TCP 접속을 유도하는 센터 트리거(trigger) 메시지와 슬립(sleep) 모드(단말 휴면 상태)를 종료시키고 단말기를 기동시키기 위한 메시지를 포함한다.
서비스 로직(120)은 텔레매틱스 서버(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차량 단말(1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반적인 서비스 동작을 수행한다.
올아이피(All IP)가 지원되지 않는 차량에서는, 차량의 통신 단말(10)과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 제어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SMS(Short Message Service) 웨이크 업(Wake-up)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다.
차량 단말(10)은 휴대전화와는 달리 항상 전원이 켜져 있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의 텔레매틱스 서버(100)에서 차량 단말(10)로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SMS를 이용하여 차량 단말(10) 내의 모뎀을 가동시켜야 한다. 이를 웨이크 업(Wake-up) SMS 라 일컫는다.
그런데, SMS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10)을 웨이크 업 하는 서비스는 이동통신사 서버(30)의 큐닝(Queueing) 등으로 인해 서비스 타임아웃(Time-out), SMS 유실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SMS의 실시간성 부족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음성콜을 이용한 텔레매틱스 웨이크 업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SMS의 실시간성 부족으로 인한 센터 트리거(Center Triggered) 텔레매틱스 서비스의 실패율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웨이크 업 메시지(SMS)를 차량 단말(10)로 전송하기 위해서 텔레매틱스(TMS) 서버(100)는 이동통신사 서버(30)와 연동이 가능한 이동통신사 연동부(111)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통신사 연동부(111)는 이동통신사별로 상이한 SMS 전송 규격을 구현하여, 지역별, 통신사 별로 규격에 맞는 SMS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사 연동부(111)가 이동통신사 서버(30)에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그 일 예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동통신사 연동부(111)가 이동통신사 서버(30)에 전송하는 메시지는 LMS(Long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차량 단말(10)의 TCP 전송/수신 기능이 휴면 된 상태에서도 수신이 가능한 메시지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사 연동부(111)는 미들웨어(1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미들웨어(110)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서로 다른 기종의 하드웨어나 프로토콜, 통신환경 등을 연결하여, 응용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환경 간에 원만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동통신사 연동부(111)에서 전송 요청된 SMS 메시지는 이동통신사 서버(30)로 전달된다. 이후에, 이동통신사 서버(30)의 자체 사양에 따라 각각 목적으로 하는 단말로 SMS 메시지가 전송된다.
그런데, 이동통신사 서버(30)는 SMS 메시지를 대기열(Queue)에 저장하여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당 SMS 메시지는 자신의 전송 차례가 도달할 때까지 이동통신사 서버(30)의 SMS 메시지 대기열 내에 머무르게 된다.
이동통신사 서버(30)는 높은(예를 들어, 97% 이상) 메시지 전송 성공율을 보장한다고 하지만, 낮은(예를 들어, 3% 이하) 메시지 전송 실패율을 포함하고 있기도 한다. 이와 더불어, 전송 지연에 따른 텔레매틱스 서비스 실패가 발생하는 경우까지 고려할 때 이동통신사 서버(30)에서 말하는 높은 메시지 전송 성공율은 높은 숫자가 아닐 수도 있다.
또한, 텔레매틱스 서버(100) 자체적으로도 서비스 타임 아웃 시간이 정의되어 있다. 이는, 보안 및 서버 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필수 요소이다.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SMS 메시지 전송 서비스와 더불어 실시간성이 보장 가능한 음성콜 서비스를 통해 차량 단말(10)을 웨이크 업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텔레매틱스 서버(100)의 미들웨어(110) 내부에 포함된 이동통신사 연동부(111)가 이동통신사 서버(30)로 웨이크 업 SMS 메시지 전송 요청을 한다.
이후에, 이동통신사 서버(30)는 SMS 메시지를 SMS 대기열에 저장하였다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차량 단말(10)로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 서버(30)에서 차량 단말(10)로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SMS가 유실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단말(10)로 SMS 메시지의 전송시 타임 아웃이 발생 되거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 제어 프로토콜) 접속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텔레매틱스 서버(100)의 미들웨어(110)는 SMS 메시지의 타임 아웃을 감지하게 된다. 그러면, 음성콜 제너레이터(110)는 차량 단말(10)로 음성콜 서비스를 연결하여 차량 단말(10)을 웨이크 업 하게 된다.
이후에, 차량 단말(10)은 웨이크 업 용 음성콜 서비스가 연결되면, 음성콜 전화 번호를 감지한 후 지정된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로 TCP 연결을 시도하여 통신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차량 단말(10)과 텔레매틱스 서버(100)가 SMS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순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차량 단말(10)과 텔레매틱스 서버(100)가 음성콜 웨이크 업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와 같이, 텔레매틱스 서버(100)의 이동통신사 연동부(111)는 이동통신사 서버(30)로 웨이크 업 SMS 메시지 전송 요청을 한다. 이때, 이동통신사 서버(30)는 SMS 메시지를 SMS 대기열에 저장하였다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차량 단말(10)로 웨이크 업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런데, 이동통신사 서버(30)에서 차량 단말(10)로 웨이크 업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이동통신사 서버(30) 사정으로 인해 SMS가 유실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단말(10)로 SMS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차량 단말(10)은 수신된 SMS 메시지를 체크하게 된다. 이때, 이동통신사 서버(30) 측에서 SMS 메시지가 SMS 대기열에 저장되는 시간으로 인하여 타임 아웃이 발생 될 수 있다.
이후에, 차량 단말(10)은 텔레매틱스 서버(100)로 TCP 통신을 연결하여 웨이크 업 SMS 메시지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텔레매틱스 서버(100)는 차량 단말(1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검증(Validation) 하게 된다. 이때, 이동통신사 서버(30)의 SMS 대기열 시간에 따라 TCP 접속 실패가 발생하거나 텔레매틱스 서버(100)에서 타임 아웃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이, (A)의 구간 동안 차량 단말(10), 이동통신사 서버(30) 및 텔레매틱스 서버(100) 간에 메시지 전송 실패 원인 구간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텔레매틱스 서버(100)는 차량 단말(10)로부터 TCP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의 패일을 검증하기 위해 미들웨어(110) 내부에 별도의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텔레매틱스 서버(100)는 이러한 게이트웨이를 통해 차량 단말(10)과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검증할 수 있다.
만약, 텔레매틱스 서버(100)에서 SMS 메시지에 대한 검증이 실패하게 되면, 텔레매틱스 서버(100)의 미들웨어(110)가 음성콜 제너레이터(112) 측으로 음성 웨이크 업 요청을 하게 된다.
이때, 미들웨어(110)는 음성콜 제너레이터(112)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고유 인식자인 TID(Transaction ID) 정보를 전송하고 단말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즉, 텔레매틱스 서버(100) 내의 각 구성은 내부망(또는, 유선망)으로 연결되어 시스템끼리 서로가 서비스 이력 관리를 위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텔레매틱스 서비스 로그 상의 연속성을 유지하여 서비스 트래킹(Service Tracking)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면, 음성콜 제너레이터(112)는 음성콜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해당하는 차량 단말(10)에 웨이크 업 음성콜을 전송한다. 차량 단말(10)의 통신부는 음성콜 제너레이터(112)에서 수신된 음성콜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를 체크한다.
이때, 차량 단말(10)의 통신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발신자를 식별하게 된다. 여기서, 음성콜 발신자를 식별하는 방법으로는 발신자 번호, 다이얼 톤 등이 있을 수 있다.
차량 단말(10)이 통신부는 음성콜의 종료 후,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텔레매틱스 서버(100)의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로 TCP 연결을 시도하여 웨이크 업 메시지에 대한 응답신호를 텔레메틱스 서버(100)에 전송한다.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9)

  1. 차량 단말의 웨이크 업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사 서버; 및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에 상기 웨이크 업을 위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 신호의 패일 시 상기 차량 단말에 웨이크 업 음성콜을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는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을 검증하여 상기 응답 신호의 패일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는
    상기 웨이크 업 음성콜을 생성하는 음성콜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신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는
    상기 TID(Transaction ID) 정보와 단말 정보를 상기 음성콜 제너레이터에 전송하여 음성콜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신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콜 제너레이터는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의 미들웨어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신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웨이크 업 음성콜의 전송시 발신자 번호, 다이얼 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식별하여 발신자를 식별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신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웨이크 업 음성콜의 번호를 체크하여 사전에 정의된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로 연결을 시도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신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와 연동되는 이동통신사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신 장치.
KR1020140160187A 2014-11-17 2014-11-17 차량의 통신 장치 KR101646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187A KR101646379B1 (ko) 2014-11-17 2014-11-17 차량의 통신 장치
US14/685,377 US20160142888A1 (en) 2014-11-17 2015-04-13 Communication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187A KR101646379B1 (ko) 2014-11-17 2014-11-17 차량의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546A true KR20160058546A (ko) 2016-05-25
KR101646379B1 KR101646379B1 (ko) 2016-08-05

Family

ID=5596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187A KR101646379B1 (ko) 2014-11-17 2014-11-17 차량의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42888A1 (ko)
KR (1) KR101646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8817A (zh) * 2022-04-25 2022-08-19 浙江零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加密短信的车辆远程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122B1 (ko) * 2014-09-16 2016-04-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텔레매틱스 장치의 원격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6094673A (zh) * 2016-08-30 2016-11-09 奇瑞商用车(安徽)有限公司 汽车唤醒词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606987B1 (ko) * 2016-11-09 2023-1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서버, 이를 포함하는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차량의 원격제어방법
CN107483526A (zh) * 2016-12-23 2017-12-15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联网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302870B1 (ko) * 2017-03-15 2021-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US10536828B1 (en) * 2018-10-01 2020-01-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eeping radio resource control activity after SMS wakeup
US10911981B2 (en) * 2019-05-28 2021-02-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network-congestion handling
US11488584B2 (en) 2020-08-31 2022-11-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oice recognition-based task allocation and selective control of hotword detection function in a vehicle networ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203A (ko) * 1999-05-19 2000-12-15 이용훈 차량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69609B1 (ko) * 2004-11-04 2007-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메틱스 단말기
KR100727157B1 (ko) * 2005-07-07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정보센터 간의 접속 제어 방법
KR20100074202A (ko) * 2007-10-20 2010-07-01 에어비퀴티 인코포레이티드. 차량내 시스템들에 의한 무선 인―밴드 시그널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7338B2 (en) * 2003-06-06 2009-12-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voice and data services utilizing wired cordless access with unlicensed spectrum and wired access with licensed spectrum
US7756616B2 (en) * 2005-12-31 2010-07-13 General Motors Llc Criteria-based alternative messaging for a vehicle email notification system
US8522023B2 (en) * 2011-05-06 2013-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ural services platform
US8504123B1 (en) * 2012-05-07 2013-08-06 Google Inc. Telephone ringing signal-based notification method for mobile de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203A (ko) * 1999-05-19 2000-12-15 이용훈 차량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69609B1 (ko) * 2004-11-04 2007-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메틱스 단말기
KR100727157B1 (ko) * 2005-07-07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정보센터 간의 접속 제어 방법
KR20100074202A (ko) * 2007-10-20 2010-07-01 에어비퀴티 인코포레이티드. 차량내 시스템들에 의한 무선 인―밴드 시그널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8817A (zh) * 2022-04-25 2022-08-19 浙江零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加密短信的车辆远程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42888A1 (en) 2016-05-19
KR101646379B1 (ko)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379B1 (ko) 차량의 통신 장치
EP3726806B1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vehicle on the basis of smart apparatus
CN110213217B (zh) 数据访问方法、相关装置、网关和数据访问系统
WO2013097452A1 (zh) 接收数据的方法、发送数据的方法、移动终端和服务器
JP2005354687A (ja) 移動通信端末機のクライアントセッション復旧方法
CA27411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light weight, wireless activ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20083258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车载通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131508B2 (en) Dynamic resource adjustment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a call of interest
US20230082566A1 (en) Data blind re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terminal device
CN103297470A (zh) 永远在线业务的处理方法、应用服务器、用户终端和系统
CN103947162A (zh) 具有消息处理功能的电子装置
WO2017215476A1 (zh) 一种用于物联网的智能设备控制方法、装置和设备
CN112669512A (zh) 基于微信小程序的排队取叫号方法及系统
WO2023279896A1 (zh) 消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7770035B (zh) 一种推送离线通知的方法和装置
CN113746939A (zh) 保活周期调整方法、装置及车辆
CN106161563B (zh) 消息推送方法及装置
WO2018099284A1 (zh) 通讯方法及装置
CN103379428A (zh) 无线通信网络的交互式定位监控方法及系统
CN109118729A (zh) 失联报警方法及装置
CN112291749A (zh) 唤醒T-Box的方法和装置、T-Box、服务器
US10979372B1 (en) User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US10992634B2 (en) Message server and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for relaying application service message
CN111667615A (zh) 智能锁无线下行数据提醒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50054359A (ko) 텔레매틱스 및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의 원격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