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231A - 마그네슘 합금 - Google Patents

마그네슘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231A
KR20160058231A KR1020140153897A KR20140153897A KR20160058231A KR 20160058231 A KR20160058231 A KR 20160058231A KR 1020140153897 A KR1020140153897 A KR 1020140153897A KR 20140153897 A KR20140153897 A KR 20140153897A KR 20160058231 A KR20160058231 A KR 20160058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alloy
remainder
weight
invention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3916B1 (ko
Inventor
박우진
엄형섭
최국선
김근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53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9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5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Abstract

마그네슘 합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7 중량% 내지 15 중량%의 Li과,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B와,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Y과, 잔부인 Mg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마그네슘 합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마그네슘 합금{MAGNESIUM ALLOY}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마그네슘 합금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슘 합금은 물리적 강도, 경량, 리사이클성, 전자파 실드성, 열방산성, 치수안정성 등이 우수하다. 또한, 주조성이나 가공성이 양호하며 경량이므로,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의 대체품으로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부재는 철, 알루미늄 등과 비교할 때 상온에서의 전신성(expansion)이 낮다. 이에, 보다 경량화할 수 있고, 전신성이 향상되어 철이나 알루미늄과 동일하게 상온에서 프레스가 가능하게 되는 소재로서 마그네슘-리튬 합금이 사용되고 있다.
리튬이 포함된 마그네슘 합금은 기지조직이 육방밀집구조(Hexagonal Close-Packing, HCP)가 아닌 체심입방구조(Body Centered Cubic, BCC)를 갖게 되므로 상온에서의 압연, 압출, 및 성형이 가능할 정도의 연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산소친화력이 높은 원소인 마그네슘과 리튬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용해 및 합금화 작업 시 산화성 개재물의 발생 및 혼입의 가능성이 높으며, 정련에 의한 개재물 제어 또한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고강도, 고연성, 및 난연성 마그네슘 합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7 중량% 내지 15 중량%의 Li과,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B와,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Y과, 잔부인 Mg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마그네슘 합금을 제공한다.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7 중량% 내지 11 중량%의 Li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0.01 중량% 내지 2 중량%의 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0.01 중량% 내지 2 중량%의 Y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고강도, 고연성, 및 난연성 마그네슘 합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7 중량% 내지 15 중량%의 Li과,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B와,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Y과, 잔부인 Mg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마그네슘 합금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성분 함량의 수치 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리튬(Li) 7 중량% 이상 첨가하게 되면 기지조직을 HCP(Hexagonal Close-Packing, 육방밀집구조)가 아닌 BCC(Body Centered Cubic, 체심입방구조) 조직으로 변경시켜 주므로 상온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기조조직 변경을 통한 연성향상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리튬을 7 중량% 이상 첨가하여야 한다. 다만, 15 중량%을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BCC 조직 분율이 증가되어 인장 강도의 급격한 저하를 초래하므로 리튬의 함량은 7 중량% 내지 15 중량%로 한정하였다. 예컨대, 리튬은 7 중량% 내지 1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붕소(B)는 함께 첨가하는 Li과 Li-B 화합물을 형성하거나 마그네슘 기지조직 강화를 통해 인장강도 향상에 기여한다. 특히, 붕소는 0.01 중량% 가량의 극미량을 첨가하여도 그 효과가 나타날 수 있지만,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서로 뭉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오히려 강도 및 연성을 동시에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붕소의 함량은 0.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한정하였다. 예컨대, 붕소는 0.01 중량% 내지 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이트륨(Y)은 마그네슘과 함께 Mg-Y 강화용 석출상을 형성하므로 강도향상에 기여하며, 또한 높은 산소친화력으로 인해 용탕표면의 보호막을 견고하게 하여 용탕을 산화를 억제시켜줄 뿐 아니라 응고 후에도 마그네슘 합금의 난연성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석출상 형성 및 난연성 향상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이트륨을 0.01 중량% 이상 첨가하여야 하며, 5 중량%을 초과하게 되면 오히려 연성의 현저한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이트륨의 함량은 0.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한정하였다. 예컨대, 이트륨은 0.01 중량% 내지 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제시된 화학조성을 갖는 마그네슘 합금을 주조하기 위하여 Mg, Li, B, Y 원소를 첨가하기 위한 원료를 준비함에 있어서, Mg과 Li 원소의 순도는 99wt% 이었으며, 고융점 원소인 B와 Y은 Mg-5wt%B, Mg-20wt%Y 모합금으로 준비하였다. 상기의 원료물질을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제시된 화학조성을 갖는 마그네슘 합금을 용해한 후, 중력 주조방법으로 길이 각 마그네슘 합금 폭 40mm, 길이 200mm, 높이 150mm의 주조재를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구분 Li B Y Mg
비교재 1 7 - - 나머지
비교재 2 11 - - 나머지
비교재 3 15 - - 나머지
발명재 1 7 0.01 - 나머지
발명재 2 11 2 - 나머지
발명재 3 15 5 - 나머지
발명재 4 7 0.01 0.01 나머지
발명재 5 7 0.01 2 나머지
발명재 6 7 0.01 5 나머지
발명재 7 7 2 0.1 나머지
발명재 8 7 2 2 나머지
발명재 9 7 2 5 나머지
발명재 10 7 5 0.01 나머지
발명재 11 7 5 2 나머지
발명재 12 7 5 5 나머지
발명재 13 11 0.01 0.01 나머지
발명재 14 11 0.01 2 나머지
발명재 15 11 0.01 5 나머지
발명재 16 11 2 0.01 나머지
발명재 17 11 2 2 나머지
발명재 18 11 2 5 나머지
발명재 19 11 5 0.01 나머지
발명재 20 11 5 2 나머지
발명재 21 11 5 5 나머지
평가
상기의 발명재 1 내지 18, 및 비교재 1 내지 3에 대하여 압축강도을 측정하였으며, 압축시편은 각 마그네슘 합금 주조재로부터 3mm×3mm×6mm의 크기로 절단하여 가공되었고, 통상의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5x10-4s-1의 변형속도로 압축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 마그네슘 합금의 발화온도 측정을 위해, 통상의 선반가공을 통해 일정한 크기의 칩을 만들었으며,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칩 0.3g을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진 용기 안에 담은 후, 온도가 1000℃로 유지되고 있는 가열로 안에서 승온시키면서, 발화로 인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하는 온도를 발화온도로 측정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측정된 발명재 1 내지 18, 및 비교재 1 내지 3에 대한 압축특성 및 발화온도 측정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압축 특성 발화 온도(℃)
YS (MPa)
비교재 1 134 438
비교재 2 117 422
비교재 3 112 377
발명재 1 155 445
발명재 2 163 434
발명재 3 171 399
발명재 4 168 475
발명재 5 179 643
발명재 6 192 745
발명재 7 177 482
발명재 8 190 663
발명재 9 204 753
발명재 10 192 516
발명재 11 209 691
발명재 12 218 762
발명재 13 152 462
발명재 14 163 633
발명재 15 179 729
발명재 16 163 474
발명재 17 174 655
발명재 18 190 746
발명재 19 187 507
발명재 20 196 677
발명재 21 208 748
[표 2]를 참조하면, 발명재 1 내지 18의 경우가 비교재 1 내지 3에 비하여 우수한 압축강도, 연성, 및 난연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7 중량% 내지 15 중량%의 Li과,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B와,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Y과,
    잔부인 Mg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마그네슘 합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7 중량% 내지 11 중량%의 Li을 포함하는 마그네슘 합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0.01 중량% 내지 2 중량%의 B를 포함하는 마그네슘 합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합금은 0.01 중량% 내지 2 중량%의 Y를 포함하는 마그네슘 합금.
KR1020140153897A 2014-11-06 2014-11-06 마그네슘 합금 KR101633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897A KR101633916B1 (ko) 2014-11-06 2014-11-06 마그네슘 합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897A KR101633916B1 (ko) 2014-11-06 2014-11-06 마그네슘 합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231A true KR20160058231A (ko) 2016-05-25
KR101633916B1 KR101633916B1 (ko) 2016-06-28

Family

ID=5611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897A KR101633916B1 (ko) 2014-11-06 2014-11-06 마그네슘 합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9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0436A (ja) * 1993-09-20 1995-04-04 Olympus Optical Co Ltd TiNi系形状記憶合金堆積膜
JP2012143811A (ja) * 2010-12-24 2012-08-02 Sumitomo Electric Ind Ltd マグネシウム合金材
JP2014080690A (ja) * 2007-06-28 2014-05-08 Sumitomo Electric Ind Ltd マグネシウム合金板材、マグネシウム合金成形体、及びマグネシウム合金板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0436A (ja) * 1993-09-20 1995-04-04 Olympus Optical Co Ltd TiNi系形状記憶合金堆積膜
JP2014080690A (ja) * 2007-06-28 2014-05-08 Sumitomo Electric Ind Ltd マグネシウム合金板材、マグネシウム合金成形体、及びマグネシウム合金板材の製造方法
JP2012143811A (ja) * 2010-12-24 2012-08-02 Sumitomo Electric Ind Ltd マグネシウム合金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916B1 (ko) 201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089B1 (ko) 발화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방법
US10519530B2 (en) Magnesium allo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2019123941A (ja) 向上した高温機械特性を有するアルミニウム合金複合材
KR101545970B1 (ko) 고강도 및 고열전도도를 동시에 나타내는 다이캐스팅용 Al-Zn 합금
KR101606525B1 (ko) 내식성이 개선된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
KR101596818B1 (ko)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10102280A1 (en) Zr-based amorphous allo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533477A1 (en) Biodegradable magnesium allo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0358703B2 (en) Magnesium allo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11214854B2 (en) Copper-based alloy for the production of bulk metallic glasses
KR101633916B1 (ko) 마그네슘 합금
EP2865772B1 (en) Aluminium casting alloy
KR102107658B1 (ko) 연신율이 우수한 유기 주조재 제조 방법
KR101274089B1 (ko) 주조성이 우수한 다이캐스팅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KR101218875B1 (ko) 고강도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 및 그 제조방법
EP2865773B1 (en) Aluminium casting alloy
AU2018394138A1 (en) Aluminium alloy
KR101346808B1 (ko) 기계적 성질이 개선된 티타늄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84300B1 (ko) 칼슘실리콘 합금분말을 이용한 마그네슘 합금 주조품의 제조방법
KR101589035B1 (ko) 다이캐스팅용 고열전도도 Al-Zn-Mg-Cu계 합금
KR101858856B1 (ko) 난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마그네슘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101568513B1 (ko) 고강도 마그네슘-리튬 합금
JP2014074202A (ja) 高強度高靱性銅合金鍛造材
KR101787550B1 (ko) 마그네슘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7559B1 (ko) Ti-Fe계 과공정 합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4